케이뉴스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26번째 줄: 26번째 줄:
방송 편성과 내용에서 미뤄보아 국가정보원의 대북방송인 것이 거의 확실하지만, 하필이면 국가정보원의 (것으로 강력히 추정되는) 대북방송들이 방송국명과 송출주체명을 읊지 않도록 일괄적으로 방침을 변경한 이후 개국한 까닭에 다른 선배 대북방송들과 달리 방송국명도, 명목상의 송출 주체도 알릴 수 없었다. 그나마 언젠가<ref>구체적으로 남아있는 자료가 없지만 문재인 정부 말기인 것은 확실하다.</ref>부터 정각 시보에서 시보의 제공자가 '뉴스를 보는 세상'이라고 언급한 덕택에 적어도 구분할 수 있는 이름이 생기긴 했지만, 이미 다른 곳들에서 'Radio 756 AM'이니 'AM연천'이니 하는 가칭을 붙인 것이 고착화된 후라서 아무도 방송국명으로 생각하지 않았고... 결국 2023년 가을 국정원 대북방송 개편 시 다시 시보 제공자의 이름을 '케이뉴스'로 바꾼 뒤에야 본 문서의 제목도 케이뉴스로 정할 수 있게 되었다. 허나 명목상의 방송 송출 주체는 다른 방송들과 마찬가지로 아직 해금되지 않아 방송국명만 줄창 홍보할 뿐 자신들이 누구인지에 대해서는 알리지 않고 있다.
방송 편성과 내용에서 미뤄보아 국가정보원의 대북방송인 것이 거의 확실하지만, 하필이면 국가정보원의 (것으로 강력히 추정되는) 대북방송들이 방송국명과 송출주체명을 읊지 않도록 일괄적으로 방침을 변경한 이후 개국한 까닭에 다른 선배 대북방송들과 달리 방송국명도, 명목상의 송출 주체도 알릴 수 없었다. 그나마 언젠가<ref>구체적으로 남아있는 자료가 없지만 문재인 정부 말기인 것은 확실하다.</ref>부터 정각 시보에서 시보의 제공자가 '뉴스를 보는 세상'이라고 언급한 덕택에 적어도 구분할 수 있는 이름이 생기긴 했지만, 이미 다른 곳들에서 'Radio 756 AM'이니 'AM연천'이니 하는 가칭을 붙인 것이 고착화된 후라서 아무도 방송국명으로 생각하지 않았고... 결국 2023년 가을 국정원 대북방송 개편 시 다시 시보 제공자의 이름을 '케이뉴스'로 바꾼 뒤에야 본 문서의 제목도 케이뉴스로 정할 수 있게 되었다. 허나 명목상의 방송 송출 주체는 다른 방송들과 마찬가지로 아직 해금되지 않아 방송국명만 줄창 홍보할 뿐 자신들이 누구인지에 대해서는 알리지 않고 있다.


정리하자면 방송국명이 공개되기 전까지 <s>그리고 이 문서가 작성되기 전까지</s> 이 방송의 정체에 관련한 정보는 송신탑이 [[연천군]]에 있고 (북한을 향한) 지향성 안테나탑 3개로 구성되었다는 것<ref>사족으로 송신탑에 대해 조금 더 분석해보자면, [[임진강]] 주변의 복수의 도로 사진을 통해 2017년 하반기 이후부터 2019년 상반기 사이에 새로 세운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출입로는 구체적인 번호를 공개했다가는 형사처벌을 받을 수 있는 모 LTA (Local Training Area)와 공유하고 있으며, 지적편집도상에서는 선배 대북방송들의 송신탑 부지들이 번지가 중구난방으로 찢어진 것과 달리 케이뉴스 송신탑 부지는 딱 하나의 번지 안에 맞춰서 들어가 있다. 해당 토지의 소유주는 '''[[대한민국 정부|'국']]'''.</ref>을 제외하면 정말로 단 하나도 제대로 알려진 게 없었다. 하다 못해 송출출력조차도 나무위키에 근거 없이 100㎾라고 적혀 있고 [[심재철]]이 [[한국방송|KBS]]의 노는 주파수를 대북 송출용으로 쓰자고 할 때 당시의 인허가받은 출력 (즉, 확실한 현재의 출력이 아니다)이 공개된 것<ref>[https://monthly.chosun.com/client/news/viw.asp?ctcd=&nNewsNumb=201612100041 심재철 국회 부의장이 말하는 ‘지금의 북한은 …’ “김정은 고립 위한 ‘국제적 제3전선(The Third Front)’ 구축하자”], 월간조선, 2016년 12월 기사, 2023년 10월 8일 확인.</ref>을 빼면 전세계 어디에도 언급조차 된 자료가 없다.
정리하자면 방송국명이 공개되기 전까지 <s>그리고 이 문서가 작성되기 전까지</s> 이 방송의 정체에 관련한 정보는 송신탑이 [[연천군]]에 있고 (북한을 향한) 지향성 안테나탑 3개로 구성되었다는 것<ref>사족으로 송신탑에 대해 조금 더 분석해보자면, [[임진강]] 주변의 복수의 도로 사진을 통해 2017년 하반기 이후부터 2019년 상반기 사이에 새로 세운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지적편집도상에서는 선배 대북방송들의 송신탑 부지들이 번지가 중구난방으로 찢어진 것과 달리 케이뉴스 송신탑 부지는 딱 하나의 번지 안에 맞춰서 들어가 있다. 출입로는 구체적인 번호를 공개했다가는 형사처벌을 받을 수 있는 모 LTA (Local Training Area)와 공유하고 있다.</ref>을 제외하면 정말로 단 하나도 제대로 알려진 게 없었다. 하다 못해 송출출력조차도 나무위키에 근거 없이 100㎾라고 적혀 있고 [[심재철]]이 [[한국방송|KBS]]의 노는 주파수를 대북 송출용으로 쓰자고 할 때 당시의 인허가받은 출력 (즉, 확실한 현재의 출력이 아니다)이 공개된 것<ref>[https://monthly.chosun.com/client/news/viw.asp?ctcd=&nNewsNumb=201612100041 심재철 국회 부의장이 말하는 ‘지금의 북한은 …’ “김정은 고립 위한 ‘국제적 제3전선(The Third Front)’ 구축하자”], 월간조선, 2016년 12월 기사, 2023년 10월 8일 확인.</ref>을 빼면 전세계 어디에도 언급조차 된 자료가 없다.


뉴스의 내용은 다른 중·단파 대북방송과 일맥상통하고, [[자유코리아방송]]과 [[자유FM]]과 마찬가지로 가짜 상업광고가 있으며, 해당 라디오 방송에서 진행했던 프로그램들 중 일부가 이 쪽으로 옮겨온 정황도 포착되었다. 앞서 설명한 방송국명 공개 시점이 모두 동일했다는 점까지 합쳐 이 방송을 국정원에서 관리한다고 유추할 수 있는 주요 근거이다.
뉴스의 내용은 다른 중·단파 대북방송과 일맥상통하고, [[자유코리아방송]]과 [[자유FM]]과 마찬가지로 가짜 상업광고가 있으며, 해당 라디오 방송에서 진행했던 프로그램들 중 일부가 이 쪽으로 옮겨온 정황도 포착되었다. 앞서 설명한 방송국명 공개 시점이 모두 동일했다는 점까지 합쳐 이 방송을 국정원에서 관리한다고 유추할 수 있는 주요 근거이다.
40번째 줄: 40번째 줄:
{{인용문|케이뉴스가 오전/오후 n시를 알려드립니다.|남성 아나운서|마장조의 우쿨렐레 계열 징글과 함께}}
{{인용문|케이뉴스가 오전/오후 n시를 알려드립니다.|남성 아나운서|마장조의 우쿨렐레 계열 징글과 함께}}
{{인용문|<s>뉴스를 보는 세상에서 n시를 알려드립니다.|남성 아나운서 또는 여성 아나운서|사단조의 피아노 징글과 함께}}
{{인용문|<s>뉴스를 보는 세상에서 n시를 알려드립니다.|남성 아나운서 또는 여성 아나운서|사단조의 피아노 징글과 함께}}
방송국명 자체를 언급하지 않던 최초기에는 [[자유코리아방송]]의 방송국명 비공개 시절 시보와 비슷하게 시각별로 서로 다른 멘트를 준비하여 말했고,<ref>[http://www.chriskadlec.com/media/radio/audio/Seoul_AM_News_Plaza_TOH.mp3], Chris Kadlec, [https://www.chriskadlec.com/radio/seoul Seoul AM Radio Listening Guide], 2023년 12월 11일 확인.</ref> 시보에서 자신들의 이름을 은근히 알려주던 시기에는 자신들을 '''뉴스를 보는 세상'''이라고 소개했다. (뉴스'''로''' 보는 세상도, 뉴스를 '''듣'''는 세상도 아니다!)
시보가 활성화된 초기에는 자신들을 '''뉴스를 보는 세상'''이라고 소개했다. (뉴스'''로''' 보는 세상도, 뉴스를 '''듣'''는 세상도 아니다!)


=== 프로그램 ===
=== 프로그램 ===
92번째 줄: 92번째 줄:
{{youtube|gZkPLSrMkF8||||2023년 10월 5일~6일 방송분 중 일부. 아직까지 시보 제공자가 '뉴스를 보는 세상'이라고 하였으며, 북한 측 방해전파와 중앙인민방송이 혼신되었다.}}
{{youtube|gZkPLSrMkF8||||2023년 10월 5일~6일 방송분 중 일부. 아직까지 시보 제공자가 '뉴스를 보는 세상'이라고 하였으며, 북한 측 방해전파와 중앙인민방송이 혼신되었다.}}
{{youtube|NE3qVDrzjeE||||2023년 12월 2일 방송분 중 일부. 북한 측 방해전파와 중앙인민방송, NHK 라디오까지 혼신되면서 오후 4시 이후부터는 알아먹기 힘들 정도가 되었다.}}
{{youtube|NE3qVDrzjeE||||2023년 12월 2일 방송분 중 일부. 북한 측 방해전파와 중앙인민방송, NHK 라디오까지 혼신되면서 오후 4시 이후부터는 알아먹기 힘들 정도가 되었다.}}
{{youtube|SAFWeZ4gwyY||||2024년 1월 18일 방송분.}}
== 같이 보기 ==
== 같이 보기 ==
* [[대북방송]]
* [[대북방송]]
** [[자유코리아방송]]: 중파 대역을 이용하는 비밀공작 방송.
** [[자유코리아방송]]: 중파 대역을 이용하는 비밀공작 방송.
** [[자유FM]]: 초단파 대역을 이용하는 FM 비밀공작 방송
** [[인민의 소리]]: 단파 대역을 이용하는 비밀공작 방송. 문화어를 상당 부분 차용한 북한 말씨를 사용.
** [[인민의 소리]]: 단파 대역을 이용하는 비밀공작 방송. 문화어를 상당 부분 차용한 북한 말씨를 사용.
** [[희망의 메아리]]: 단파 대역을 이용하는 비밀공작 방송.
** [[희망의 메아리]]: 단파 대역을 이용하는 비밀공작 방송.
* [[프로파간다]]
* [[프로파간다]]
== 주석==
== 주석==
<references />
<references />
[[분류:국가정보원]][[분류:중파방송]][[분류:대북방송]][[분류:북한]]
[[분류:국가정보원]][[분류:중파방송]][[분류:대북방송]][[분류:북한]]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는 다음의 숨은 분류 1개에 속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