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팩트 디스크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Compact Disc wordmark.svg|200픽셀|오른쪽]]
[[분류:저장 매체]]
'''컴팩트 디스크'''({{영어|Compact Disc}})는, 광 저장매체의 일종이다. 보통 줄여서 '''CD'''(시디)라고 불린다. 본래는 [[음악]]을 저장하기 위한 매체로 만들어졌지만, 이후 CD-ROM 등의 규격을 통해서 데이터도 저장하게 되었다.
[[파일:CD logo.png|200픽셀|오른쪽]]
 
'''컴팩트 디스크'''({{llang|en|Compact Disc}})는, 광 저장매체의 일종이다. 보통 줄여서 [[CD]]라고 불린다. 본래는 [[음악]]을 저장하기 위한 매체로 만들어졌지만, 이후 CD-ROM 등의 규격을 통해서 데이터도 저장하게 되었다.
{{-}}
== 역사 ==
== 역사 ==
[[파일:CD Vector image.png|200픽셀|섬네일|오른쪽|CD의 뒷면]]
[[파일:CD Vector image.png|200픽셀|섬네일|오른쪽|CD의 뒷면]]
8번째 줄: 9번째 줄:
== 종류 ==
== 종류 ==
=== 오디오 CD (레드 북) ===
=== 오디오 CD (레드 북) ===
{{참고|CD-DA}}
최초의 CD. 다른 형태에 비해서 오류 정정 기능이 미약하기 때문에 CD가 손상되었을 경우 '''CD가 튀는''' 현상을 경험할 수 있다. 음원이 44.1kHz에 16비트로 저장되어 있는데, 이는 사람의 가청 영역을 계산한 결과이다. 그래서 웬만한 사람이면, 자신이 [[황금귀]]가 아니면 CD 음질과 CD보다 더 고음질인 것을 구분하기 쉽지가 않다.
최초의 CD. 다른 형태에 비해서 오류 정정 기능이 미약하기 때문에 CD가 손상되었을 경우 '''CD가 튀는''' 현상을 경험할 수 있다. 음원이 44.1kHz에 16비트로 저장되어 있는데, 이는 사람의 가청 영역을 계산한 결과이다. 그래서 웬만한 사람이면, 자신이 [[황금귀]]가 아니면 CD 음질과 CD보다 더 고음질인 것을 구분하기 쉽지가 않다.


26번째 줄: 26번째 줄:


=== CD-RW ===
=== CD-RW ===
CD-R과는 달리 1000번 이상 기록하고 삭제가 가능한 매체. 다만 반사율이 낮기 때문에 오래된 오디오 CD 플레이어에서는 CD-RW를 읽을 수 없다. (현재의 CDP에서는 대부분 지원) 게다가 CD-RW 미디어 역시 CD-R에 비해서 고가였다.
CD-R과는 달리 1000번 이상 기록하고 삭제가 가능한 매체. 다만 반사율이 낮기 때문에 오래된 오디오 CD 플레이어에서는 CD-RW를 읽을 수 없다. 게다가 CD-RW 미디어 역시 CD-R에 비해서 고가였다.


== 수명 ==
== 수명 ==
보관 환경, CD 자체의 품질, 초기 기록 상태, CD의 물리적 훼손 등의 다양한 변수가 영향을 미치며, 이에 따라 CD의 수명도 매우 크게 달라질 수 있다. CD-ROM을 가속 노화시켜 수명을 예측한 연구 결과<ref>[http://www.loc.gov/preservation/resources/rt/CDservicelife_rev.pdf Compact Disc Service Life: An Investigation of the Estimated Service Life of Prerecorded Compact Discs (CD-ROM)]</ref>에서도 실험에 사용한 CD 중 6%는 기대 수명이 너무 짫아 예측에 실패하고 <s>몇 년 만에 정보가 증발해 버리는 CD들이 이런 녀석들인 듯하다.</s>, 16%는 기대 수명이 너무 길어 예측에 실패하는<ref>예상된 기대 수명 중에는 5592년(!)을 기록한 CD도 있다. 기대 수명이 너무 길다고 판정이 나온 CD는 이거보다 더 수명이 길게 나온거다.(...)</ref> 결과가 나왔는데, CD의 물리적 훼손 등 수명에 영향을 미치는 일부 요인이 제거된 상태에서 나온 결과가 이거다(...). 즉, CD의 정확한 수명은 알 수 없지만 통계적으로 온도 25°C, 습도 50%의 통상적인 환경에서 CD-ROM 중 수명이 100년을 넘기는 것은 최대 70% 정도이고, 4% 정도의 CD-ROM은 수명이 10년 이내일 것으로 예측된다고 한다. 또, CD 자체의 품질과 초기 기록 상태가 나쁘면 동일한 노화 조건 아래에서도 오류가 더 많이 발생한다고 한다.<ref>[http://loc.gov/preservation/scientists/projects/cd_longevity.html CD-ROM Longevity Research - Research Projects - Preservation Science (Preservation, Library of Congress)]</ref>
보관 환경, CD 자체의 품질, 초기 기록 상태, CD의 물리적 훼손 등의 다양한 변수가 영향을 미치며, 이에 따라 CD의 수명도 매우 크게 달라질 수 있다. [http://www.loc.gov/preservation/resources/rt/CDservicelife_rev.pdf CD-ROM을 가속 노화시켜 수명을 예측한 연구 결과]에서도 실험에 사용한 CD 중 6%는 기대 수명이 너무 짫아 예측에 실패하고 <s>몇 년만에 정보가 증발해 버리는 CD들이 이런 녀석들인 듯하다.</s>, 16%는 기대 수명이 너무 길어 예측에 실패하는<ref>예상된 기대 수명 중에는 5592년(!)을 기록한 CD도 있다. 기대 수명이 너무 길다고 판정이 나온 CD는 이거보다 더 수명이 길게 나온거다.(...)</ref> 결과가 나왔는데, CD의 물리적 훼손 등 수명에 영향을 미치는 일부 요인이 제거된 상태에서 나온 결과가 이거다(...). 즉, CD의 정확한 수명은 알 수 없지만 통계적으로 온도 25°C, 습도 50%의 통상적인 환경에서 CD-ROM 중 수명이 100년을 넘기는 것은 최대 70% 정도이고, 4% 정도의 CD-ROM은 수명이 10년 이내일 것으로 예측된다고 한다. 또, CD 자체의 품질과 초기 기록 상태가 나쁘면 동일한 노화 조건 아래에서도 오류가 더 많이 발생한다고 한다.[http://loc.gov/preservation/scientists/projects/cd_longevity.html]</br>


CD-R의 경우에도 수명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가 CD-ROM과 거의 같다. 온도 25°C, 습도 50%의 통상적인 환경에서 일반적으로 30년 이상은 가며, CD 제조 기술이 발전할수록 이 수명은 올라갈 것이라고 한다.<ref>[http://loc.gov/preservation/scientists/projects/cd-r_dvd-r_rw_longevity.html CD / CD-R and DVD-R RW Longevity Research - Research Projects - Preservation Science (Preservation, Library of Congress)]</ref> 물론 CD 기술이 아무리 발전해도 수명이 엄청 짦은 폭탄이 걸리면 어쩔 수 없는거다(...).
CD-R의 경우에도 수명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가 CD-ROM과 거의 같다. 온도 25°C, 습도 50%의 통상적인 환경에서 일반적으로 30년 이상은 가며, CD 제조 기술이 발전할수록 이 수명은 올라갈 것이라고 한다.[http://loc.gov/preservation/scientists/projects/cd-r_dvd-r_rw_longevity.html] 물론 CD 기술이 아무리 발전해도 수명이 엄청 짦은 폭탄이 걸리면 어쩔 수 없는거다(...).  


<s>결론: CD에 저장된 정보를 날려버리기 싫다면 뽑기를 잘 해야 한다.</s>
<s>결론: CD에 저장된 정보를 날려버리기 싫다면 뽑기를 잘 해야 한다.</s>


== 보관 및 취급법 ==
== 보관법 ==
CD가 표면에 레이저를 쬔 후 반사되어 나온 빛을 읽어 정보를 읽어들이는 만큼, 반사면이 오래 갈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주는 것이 중요하다. 반사면을 분해하는 자외선<ref>CD-R은 반짝이는 표면의 염료를 '''태워서''' 기록을 하는 것이기 때문에 자외선에 특히 더 취약하다.</ref>과 CD의 반사면을 변형시킬 수 있는 높은 온도와 습도를 피할 수 있는, '직사광선이 닿지 않는 한랭건조한 곳'에 보관하면 CD의 수명을 더 늘릴 수 있다. 온도와 습도가 급격히 변하는 환경 역시 CD의 수명을 단축시킨다.  
CD가 표면에 레이저를 쬔 후 반사되어 나온 빛을 읽어 정보를 읽어들이는 만큼, 반사면이 오래 갈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주는 것이 중요하다. 반사면을 분해하는 자외선<ref>CD-R은 반짝이는 표면의 염료를 '''태워서''' 기록을 하는 것이기 때문에 자외선에 특히 더 취약하다.</ref>과 CD의 반사면을 변형시킬 수 있는 높은 온도와 습도를 피할 수 있는, '직사광선이 닿지 않는 한랭건조한 곳'에 보관하면 CD의 수명을 더 늘릴 수 있다. 온도와 습도가 급격히 변하는 환경 역시 CD의 수명을 단축시킨다. 또, CD를 다룰 때 CD의 반짝이는 면만 조심하게 다루고 반짝이지 않는 반대쪽은 험하게 다루는 경우가 있는데, [http://1.bp.blogspot.com/_MuAIgGPyCMc/R8x4dqLgoAI/AAAAAAAAAI8/17MnHvnkrEI/s1600/cdr-layer.gif 반짝이지 않는 반대쪽 면 '''바로 밑에''' CD의 기록면이 있으므로] 험하게 다루다가 반짝이지 않는 면이 심하게 한 번 긁히기라도 하면 그 날로 CD 하나가 사망(...)할 있다. CD의 양면을 공평하게(?) 곱게 다뤄주면 이런 불상사를 예방할 수 있다.
 
대단히 많은 사람들이 CD의 데이터가 은빛으로 반짝이는 표면에 세겨진다고 생각하는데 이는 반만 맞는 사실이다. CD는 흔히들 '앞면'이라 부르는 CD의 라벨이 붙은 곳 바로 아래에 위치한 편광면과 투명한 아크릴 면으로 구성되는데, 이 둘 중 데이터가 어디에 세겨지는가는 무슨 종류의 CD냐에 따라 다르다. 옐로우 북 등 계급적 컴퓨터 데이터에 의해 관리되는 CD-R이나 RW형식의 사용자 쓰기가 가능한 디스크는 모든 데이터가 편광면에 기록된다. 따라서 앞면의 라벨이 손상되면 [http://1.bp.blogspot.com/_MuAIgGPyCMc/R8x4dqLgoAI/AAAAAAAAAI8/17MnHvnkrEI/s1600/cdr-layer.gif 바로 아래에 놓인 알루미늄 편광면이 함께 손상되면서] 데이터가 물리적으로 손실된다. 반면 공장에서 대량으로 레드북 형식을 사용하여 생산되는 음악 CD 등은 레이저로 투명한 아크릴 표면에 물리적으로 그루브를 에칭하여 데이터를 세기고 그 위에 손상을 막기 위한 코팅 처리를 하기 때문에, 흔히들 "뒷면"이라 부르는 곳에 실질적인 데이터가 존재한다. 라벨 바로 아래에 있는 은빛 알루미늄 표면은 오로지 CD플레이어의 레이저가 플라스틱 표면에 세겨진 데이터를 정확히 읽도록 도와주는 반사판으로서의 역할만을 한다. 당연히 편광판이 손상되면 레이저의 빛이 반사되어 돌아오지 못하여 읽어들일 없는 CD가 되기 때문에 사용이 불가능해지지만, 아크릴 표면이 손상이 되지 않는 이상 데이터 그 자체에 문제가 생긴 것은 아니기 때문에 라벨을 깨끗이 제거해내고 새로운 편광 표면을 부착함으로서 복구가 가능하다.
 
결론적으론 CD의 양면을 공평하게(?) 곱게 다뤄줘야 이런 불상사를 예방할 수 있다.


== 그 외 ==
== 그 외 ==
48번째 줄: 44번째 줄:


대학교 등에서 학점이 C, D로 점철된 경우 비유하여 ‘CD 플레이어’라고 한다.
대학교 등에서 학점이 C, D로 점철된 경우 비유하여 ‘CD 플레이어’라고 한다.
 
==연관 항목==
== 같이 보기 ==
=== 다른 매체 ===
* [[DVD]]
* [[DVD]]
* [[M-Disc]]
* [[M-Disc]]
=== 관련 기술 ===
* [[Cue]]
{{각주}}
{{각주}}
[[분류:광 디스크]]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이 문서는 다음의 숨은 분류 1개에 속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