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맨드 앤 컨커: 타이베리안 선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게임 정보
{{게임 정보
|게임이름 = 커맨드 앤 컨커: 타이베리안 선
| 제목        = '''''커맨드 앤 컨커: 타이베리안 선'''''
|원어이름 = Commnad & Conquer: Tiberian sun
| 원제목      = Commnad & Conquer: Tiberian sun
|배경색  =
| 이미지      = [[파일:타선.jpg|200픽셀|가운데]]
|글자색  =
| 개발사      = [[웨스트우드 스튜디오]]
|그림    = [[파일:타선.jpg|200픽셀|가운데]]
| 배급사     = [[일렉트로닉 아츠|EA]]
|그림설명 =  
| 시리즈      = [[커맨드 앤 컨커]]
|배급사   = [[일렉트로닉 아츠|EA]]
| 플랫폼      = [[윈도우즈]]
|개발사  = [[웨스트우드 스튜디오]]
| 출시        = [[1999년]] [[8월 27일]]
|제작    =
| 장르        = [[RTS|실시간 전략]]
|작가    =
| 모드       = [[멀티 플레이]], [[싱글 플레이]]
|미술    =
| 이용가 등급 = [[오락 소프트웨어 등급 위원회|ESRB]]: T (Teen)
|작곡가  =
|미디어 = [[콤팩트 디스크|CD]], [[DVD]]
|장르    = [[실시간 전략 게임|실시간 전략]]
|입력장치 = [[키보드]], [[마우스]]
|출시일  = [[1999년]] [[8월 27일]]
|후속작 = [[커맨드 앤 컨커: 타이베리안 선: 파이어스톰]]
|종료일  =
|플랫폼  = [[윈도우즈]]
|모드     = 멀티플레이, 싱글플레이
|언어    =  
|엔진    =  
|시리즈  = [[커맨드 앤 컨커 시리즈]]
|이전작  = [[커맨드 앤 컨커: 타이베리안 돈]]
|후속작   = [[커맨드 앤 컨커: 타이베리움 워]]
|웹사이트 =
|비고    =
}}
}}
{{인용문|'''WELCOME BACK COMMANDER <br /> 복귀를 환영합니다 사령관님'''|EVA||가운데}}
 
{{인용문|'''WELCOME BACK COMMANDER <br> 복귀를 환영합니다 사령관님'''|EVA||가운데}}


== 개요 ==
== 개요 ==
[[웨스트우드 스튜디오]]에서 제작한 RTS 게임. [[1995년]] 발매된 [[커맨드 앤 컨커: 타이베리안 돈]]의 후속작이다. 총 3부작으로 계획된 게임 시리즈의 두 번째 작품이기도 하며 커맨드 앤 컨커 프랜차이즈 타이베리움 사가의 4번째 정식 발매작이기도 하다. 두 번째 발매작은 타이베리안 돈의 확장팩인 [[커맨드 앤 컨커 타이베리안 돈 코버트 오퍼레이션|코버트 오퍼레이션]]이며 세 번째 발매작은 [[커맨드 앤 컨커 솔 서바이버|솔 서바이버]]이다.
[[웨스트우드 스튜디오]]에서 제작한 RTS 게임. [[1995년]] 발매된 [[커맨드 앤 컨커: 타이베리안 돈]]의 후속작이다. 총 3부작으로 계획된 게임 시리즈의 두 번째 작품이기도 하며 커맨드 앤 컨커 프랜차이즈의 4번째 정식 발매작이기도 하다. 두 번째 발매작은 타이베리안 돈의 확장팩인 [[커맨드 앤 컨커 타이베리안 돈 코버트 오퍼레이션|코버트 오퍼레이션]]이며 세 번째 발매작은 [[커맨드 앤 컨커 솔 서바이버|솔 서바이버]]이다.


[[커맨드 앤 컨커: 타이베리안 돈|타이베리안 돈]]의 메인 메뉴에서 Sneek Peek를 클릭하면 후속작을 암시하는 예고 영상이 나온다. 보행형 기계 유닛이 등장해 전투를 벌이는 1인칭 시점의 동영상이다. 팬들에게 차기작에 대한 큰 관심을 불러일으킬 정도로 강한 임팩트를 남긴 영상이었는데 차기작이 출시하는데 까지 장장 4년이라는 시간이 걸리며 팬들의 기대는 거품빠지듯 사그라들었다카더라.<ref>{{YouTube|https://youtu.be/opoi52T8k5I|720|480}} <br /> 바로 이 동영상이다. 영상 속 배경음악은 타이베리안 돈의 OST였던 'Mechanical Man (Target)'이다. 음악 제목을 보니 참으로 적절한 선곡이구나! </ref>
[[커맨드 앤 컨커: 타이베리안 돈|타이베리안 돈]]의 메인 메뉴에서 Sneek Peek를 클릭하면 후속작을 암시하는 예고 영상이 나온다. 보행형 기계 유닛이 등장해 전투를 벌이는 1인칭 시점의 동영상이다. 팬들에게 차기작에 대한 큰 관심을 불러일으킬 정도로 강한 임팩트를 남긴 영상이었는데 차기작이 출시하는데 까지 장장 4년이라는 시간이 걸리며 팬들의 기대는 거품빠지듯 사그라들었다카더라. <ref>{{YouTube|https://youtu.be/opoi52T8k5I|720|480}} <BR> 바로 이 동영상이다. 영상 속 배경음악은 타이베리안 돈의 OST였던 'Mechanical Man (Target)'이다. 음악 제목을 보니 참으로 적절한 선곡이구나! </ref>


[[1999년]] [[8월 27일]]에 [[Microsoft Windows]] 플랫폼으로 정식 발매되었다.
[[1999년]] [[8월 27일]]에 [[Microsoft Windows]] 플랫폼으로 정식 발매되었다.
2000년 3월 7일에는 새로운 캠페인과 신규 유닛, 멀티 맵 및 월드 도미네이션 투어가 추가된 확장팩 파이어스톰(Firestorm)이 발매되었다.


== 세계관 ==
== 세계관 ==
83번째 줄: 72번째 줄:
!  
!  
|-
|-
| style="text-align: center; font-weight: bold;" | {{키|Ctrl}}+좌클릭
| style="text-align: center; font-weight: bold;" | 키보드 컨트롤 + 마우스 왼쪽클릭
| style="text-align: center; font-style: italic;" | 강제 공격
| style="text-align: center; font-style: italic;" | 강제 공격
| 커맨드 앤 컨커 유저라면 필히 알아야 할 단축키. 일점사 할 때만 쓰는게 아니라, 파괴가능한 지형을 공격해 우회로를 확보하거나 할 때도 쓴다. 맨 땅 공격이 가능하다. 특히 GDI 유저라면 원반 투척병의 원반 탄성을 이용해  적 보병을 견제할 때 맨 땅 강제 공격을 자주 이용할 것이다.
| 커맨드 앤 컨커 유저라면 필히 알아야 할 단축키. 일점사 할 때만 쓰는게 아니라, 파괴가능한 지형을 공격해 우회로를 확보하거나 할 때도 쓴다. 맨 땅 공격이 가능하다. 특히 GDI 유저라면 원반 투척병의 원반 탄성을 이용해  적 보병을 견제할 때 맨 땅 강제 공격을 자주 이용할 것이다.
|-
|-
| style="text-align: center; font-weight: bold;" | {{키|Alt}}+좌클릭
| style="text-align: center; font-weight: bold;" | 키보드 알트 + 마우스 왼쪽클릭
| style="text-align: center; font-style: italic;" | 강제 이동
| style="text-align: center; font-style: italic;" | 강제 이동
| 커맨드 앤 컨커 유저라면 필히 알아야 할 단축키. 전차전의 핵심이다. 일부 전차들은 보병에 약하기 때문에 강제 이동을 이용해 적 보병을 밟는 방식으로 이에 대처해야하는데 이 때 필요한 단축키가 강제이동이다. 강제이동을 시키면 유닛이 공격을 멈추고 즉각 땅을 가로질러 이동을 시작한다. 만약 본인이 전차가 아닌 보병을 조종하고 있다면 아래 산개 기능과 마우스 컨트롤을 이용해 전차의 밟기 공격을 피하자.
| 커맨드 앤 컨커 유저라면 필히 알아야 할 단축키. 전차전의 핵심이다. 일부 전차들은 보병에 약하기 때문에 강제 이동을 이용해 적 보병을 밟는 방식으로 이에 대처해야하는데 이 때 필요한 단축키가 강제이동이다. 강제이동을 시키면 유닛이 공격을 멈추고 즉각 땅을 가로질러 이동을 시작한다. 만약 본인이 전차가 아닌 보병을 조종하고 있다면 아래 산개 기능과 마우스 컨트롤을 이용해 전차의 밟기 공격을 피하자.
|-
|-
| style="text-align: center; font-weight: bold;" | {{키|X}}
| style="text-align: center; font-weight: bold;" | [[File:키보드 X.PNG|50px]]
| style="text-align: center; font-style: italic;" | 자동 산개
| style="text-align: center; font-style: italic;" | 자동 산개
| 여러 유닛들을 선택한 상태에서 X키를 누르면 선택된 유닛들이 자동으로 산개한다. 광역 피해에 취약하고, 또한 전차의 궤도에 밟혀죽기 쉬운 일반 보병들을 활용할 때 매우 유용한 단축키이기 때문에 자주자주 사용하자.
| 여러 유닛들을 선택한 상태에서 X키를 누르면 선택된 유닛들이 자동으로 산개한다. 광역 피해에 취약하고, 또한 전차의 궤도에 밟혀죽기 쉬운 일반 보병들을 활용할 때 매우 유용한 단축키이기 때문에 자주자주 사용하자.
|-
|-
| style="text-align: center; font-weight: bold;" | {{키|S}}
| style="text-align: center; font-weight: bold;" | [[File:키보드 S.PNG|50px]]
| style="text-align: center; font-style: italic;" | 정지
| style="text-align: center; font-style: italic;" | 정지
| 선택한 유닛들을 그 자리에 즉각 멈춰 세운다. 유닛들을 멈추기 위해 가까운 땅 클릭을 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손의 피로를 덜 수 있다.
| 선택한 유닛들을 그 자리에 즉각 멈춰 세운다. 유닛들을 멈추기 위해 가까운 땅 클릭을 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손의 피로를 덜 수 있다.
|-
|-
| style="text-align: center; font-weight: bold;" | {{키|V}}
| style="text-align: center; font-weight: bold;" | [[File:키보드 V.PNG|50px]]
| style="text-align: center; font-style: italic;" | 마지막 이벤트가 발생한 장소로 시점 이동
| style="text-align: center; font-style: italic;" | 마지막 이벤트가 발생한 장소로 시점 이동
| 마우스 컨트롤을 줄이면 줄일수록 이득이다. 이 단축키의 중요성은 다른 RTS에 비해 크다 할 수 있다.
| 마우스 컨트롤을 줄이면 줄일수록 이득이다. 이 단축키의 중요성은 다른 RTS에 비해 크다 할 수 있다.
|-
|-
| style="text-align: center; font-weight: bold;" | {{키|H}}
| style="text-align: center; font-weight: bold;" | [[File:키보드 H.PNG|50px]]
| style="text-align: center; font-style: italic;" | 건설소로 시점 이동
| style="text-align: center; font-style: italic;" | 건설소로 시점 이동
| 모르는 사람이 많지만 알아두면 매우 유용한 단축키. 레이더 건설 이전에 안개속에서 (유닛 말고 사령관 여러분이) 길을 잃어버리거나, 기지가 공격당해 급하게 시선을 다른 곳으로 옮길 때 쓰면 된다. 본인 건설소가 없으면 가장 중요한 다음 건물로 시점이 이동된다.
| 모르는 사람이 많지만 알아두면 매우 유용한 단축키. 레이더 건설 이전에 안개속에서 (유닛 말고 사령관 여러분이) 길을 잃어버리거나, 기지가 공격당해 급하게 시선을 다른 곳으로 옮길 때 쓰면 된다. 본인 건설소가 없으면 가장 중요한 다음 건물로 시점이 이동된다.
122번째 줄: 111번째 줄:
== 플래티넘 에디션 ==
== 플래티넘 에디션 ==
한정판이다.
한정판이다.
* 게임 박스에 넘버가 붙어있다. 출고된 순서대로 번호가 차례대로 붙는다.
* 게임 박스에 넘버가 붙어있다. 출고된 순서대로 번호가 차례대로 붙는다.
* GDI / 노드 - 백랍 수공예 피규어가 들어있다.
* GDI / 노드 - 백랍 수공예 피규어가 들어있다.
130번째 줄: 120번째 줄:


=== 임무 ===
=== 임무 ===
타이베리안 선의 임무는 타이베리안 돈과는 달리 보조 임무가 있다. 이 보조 임무는 스토리상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임무 플레이에 소소한 변화를 준다. <s>많은</s>몇몇 경우에는 하는 것이 시간낭비일 수 있지만, Nod 마지막 임무같은 몇몇 경우(보조 임무를 완수하면 본 임무에서 이온 캐논을 쓸 수 있다!!)는 꼭 해줄 필요가 있다.
타이베리안 선의 임무는 타이베리안 돈과는 달리 보조 임무가 있다. 이 보조 임무는 스토리상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임무 플레이에 소소한 변화를 준다. <s>많은</s>몇몇 경우에는 하는 것이 시간낭비일 수 있지만, Nod 마지막 임무같은 몇몇 경우(보조 임무를 완수하면 본 임무에서 이온캐논을 쓸 수 있다!!)는 꼭 해줄 필요가 있다.
 
또 별도의 데모 버전이 존재하는데 정품에 수록되지 않은 데모 전용 GDI 미션 2개를 플레이할 수 있다. 그 밖에 맵에 배치된 중립 민간인 차량에 보병들을 탑승시킬 수 있는 등(단 탑승만 가능할 뿐 조종은 불가능하다) 정품버전과 세세한 차이점이 존재한다.[http://www.fileplanet.com/35252/30000/fileinfo/Command-&-Conquer:-Tiberian-Sun-Demo]


[[커맨드 앤 컨커: 타이베리안 선/GDI 임무]]
[[커맨드 앤 컨커: 타이베리안 선/GDI 임무]]
152번째 줄: 140번째 줄:
* '''파괴 가능한 다리 (Destroyable Bridges) :''' 이 설정에 체크하면 맵에 있는 다리를 파괴할 수 있다. 또한 엔지니어로 다리를 복구할 수 있다. 체크가 안되어있으면 폭발성 화기로 다리를 계속 때려도 다리가 무너지지 않는다.
* '''파괴 가능한 다리 (Destroyable Bridges) :''' 이 설정에 체크하면 맵에 있는 다리를 파괴할 수 있다. 또한 엔지니어로 다리를 복구할 수 있다. 체크가 안되어있으면 폭발성 화기로 다리를 계속 때려도 다리가 무너지지 않는다.
* '''재배치가능한 MCV (Re-Deployable MCV) :''' 건설소를 다시 MCV로 바꾸는게 가능하다. 그 MCV를 다른 곳으로 옮겨 다시 건설소로 전환할 수 있다. 건물 짓고 있는 와중에 실수로 건설소를 MCV로 바꾸는 일이 없도록 하자. 멀티플레이에서 이 설정을 켜두면 가끔씩 MCV 러쉬를 가는 엽기 플레이어들이 등장해 곤혹을 치른다.
* '''재배치가능한 MCV (Re-Deployable MCV) :''' 건설소를 다시 MCV로 바꾸는게 가능하다. 그 MCV를 다른 곳으로 옮겨 다시 건설소로 전환할 수 있다. 건물 짓고 있는 와중에 실수로 건설소를 MCV로 바꾸는 일이 없도록 하자. 멀티플레이에서 이 설정을 켜두면 가끔씩 MCV 러쉬를 가는 엽기 플레이어들이 등장해 곤혹을 치른다.
* '''다수의 엔지니어 (Multi Engineer) :''' 엔지니어 하나로 건물 점령하는게 불가능해진다. 체력이 매우 낮은 건물은 엔지니어 하나로 점령 가능하지만, 온전한 상태의 건물은 엔지니어 하나 투입해서는 점령 할 수 없다. 이 설정이 켜진 상태에서 엔지니어를 투입하면 바로 점령되지 않고 건물의 체력이 감소한다. 엔지니어의 가격이 500이나 하기 때문에 대건물용으로 엔지니어를 쓰면 낭비다. 이 설정을 켜두면 평소에 잘 등장하지도 않는 [[하피 (커맨드 앤 컨커: 타이베리안 선)|하피]]가 자주 뜬다. 건물이 터지지 않을 정도로만 체력을 아슬아슬하게 깎는데에는 하피만한 유닛이 없다. 하피로 건물 체력을 긁어서 아슬아슬하게 체력을 낮추고, 엔지니어 하나로 건물을 점령하는 것이다.
* '''다수의 엔지니어 (Multi Engineer) :''' 엔지니어 하나로 건물 점령하는게 불가능해진다. 체력이 매우 낮은 건물은 엔지니어 하나로 점령 가능하지만, 온전한 상태의 건물은 엔지니어 하나 투입해서는 점령 할 수 없다. 이 설정이 켜진 상태에서 엔지니어를 투입하면 바로 점령되지 않고 건물의 체력이 감소한다. 엔지니어의 가격이 500이나 하기 때문에 대건물용으로 엔지니어를 쓰면 낭비다. 이 설정을 켜두면 평소에 잘 등장하지도 않는 [[하피 (커맨드 앤 컨커 타이베리안 선)|하피]]가 자주 뜬다. 건물이 터지지 않을 정도로만 체력을 아슬아슬하게 깎는데에는 하피만한 유닛이 없다. 하피로 건물 체력을 긁어서 아슬아슬하게 체력을 낮추고, 엔지니어 하나로 건물을 점령하는 것이다.
* '''동맹 근처에 건설 허용 (Build Off Ally) :''' 동맹군 건물 옆에 본인의 건물을 건설할 수 있다. 동맹 역시 마찬가지로 내 건물 옆에 건물 건설이 가능하다. <ref>CnCNet 타이베리안 선 멀티플레이 클라이언트에서는 제공되어지는 설정이다.</ref>
* '''동맹 근처에 건설 허용 (Build Off Ally) :''' 동맹군 건물 옆에 본인의 건물을 건설할 수 있다. 동맹 역시 마찬가지로 내 건물 옆에 건물 건설이 가능하다. <ref>CnCNet 타이베리안 선 멀티플레이 클라이언트에서는 제공되어지는 설정이다.</ref>


161번째 줄: 149번째 줄:


=== 멀티플레이 즐기기 ===
=== 멀티플레이 즐기기 ===
이미 세상에 나온지 15년도 훨씬 지난 고전게임이지만, 아직도 멀티플레이를 즐기는 사람들이 많다. 공식 서버를 통한 멀티플레이는 웨스트우드 온라인과 EA 서버가 깨지면서 사라졌지만, 팬들이 운영하고 있는 자체 서버를 이용하면 지금도 타이베리안 선 멀티플레이를 즐길 수 있다. 거기에다 '''무료로 멀티플레이를 즐길 수도 있고 계정 같은거 만들 필요없이 클라이언트 설치만 하면 즉각 멀티가 가능하다!'''  항상 10게임 정도가 수시로 돌아가고, 북적거릴때는 50명 넘는 사람들이 동접해 열나게 게임을 한다. 다른 나라 사람들과 멀티플레이를 해도 좋고, 지인이나 같은 팬들끼리 모여 함께 게임을 즐겨도 좋다.
이미 세상에 나온지 15년도 훨씬 지난 고전게임이지만, 아직도 멀티플레이를 즐기는 사람들이 많다. 공식 서버를 통한 멀티플레이는 웨스트우드 온라인과 EA 서버가 깨지면서 사라졌지만, 팬들이 운영하고 있는 자체 서버를 이용하면 지금도 타이베리안 선 멀티플레이를 즐길 수 있다. 거기에다 '''무료로 멀티플레이를 즐길 수도 있고 계정 같은거 만들 필요없이 클라이언트 설치만 하면 즉각 멀티가 가능하다!'''  항상 10게임 정도가 수시로 돌아가고, 북적거릴때는 50명 넘는 사람들이 동접해 열나게 게임을 한다. 다른 나라 사람들과 멀티플레이를 해도 좋고, 지인이나 같은 팬들끼리 모여 함께 게임을 즐겨도 좋다.  


혹시 놀고 있는 서버를 가지고 있고, 리눅스 같은 것들을 좀 다룰 줄 안다면 아시아 유저들을 위해 서버 후원해보는거 어떠한가.
혹시 놀고 있는 서버를 가지고 있고, 리눅스 같은 것들을 좀 다룰 줄 안다면 아시아 유저들을 위해 서버 후원해보는거 어떠한가.


멀티플레이 클라이언트는 아래에서 받을 수 있다. 타이베리안 돈이나 레드얼럿도 즐길 수 있으니 관심있는 사람은 다른것도 확인해보자.
멀티플레이 클라이언트는 아래에서 받을 수 있다. 타이베리안 돈이나 레드얼럿도 즐길 수 있으니 관심있는 사람은 다른것도 확인해보자.
* [[Windows XP]], [[Windows 7]], [[Windows 8]], [[Windows 8.1]] 지원 클라이언트
* [[Windows XP]], [[Windows 7]], [[Windows 8]], [[Windows 8.1]] 지원 클라이언트


   http://downloads.cncnet.org/TiberianSun_Online_Installer.exe
   http://downloads.cncnet.org/TiberianSun_Online_Installer.exe


* [[macOS]] 지원 클라이언트
* [[OS X]] 지원 클라이언트


   http://dev.cncnet.org/files/CnCNet_Wineskin_Mac_OSX.zip
   http://dev.cncnet.org/files/CnCNet_Wineskin_Mac_OSX.zip
185번째 줄: 174번째 줄:


당장에 보행형 로봇이 나오든 전차가 나오든 아무 상관 안 하는 플레이어가 있는 반면, 그냥 두 발 달린 로봇 보는 게 싫다에서 춫은 전차전이 제맛인데 하는 팬들까지 많은 의견들이 넘치고 넘쳐 범람하는 것이 바로 이 주제다.
당장에 보행형 로봇이 나오든 전차가 나오든 아무 상관 안 하는 플레이어가 있는 반면, 그냥 두 발 달린 로봇 보는 게 싫다에서 춫은 전차전이 제맛인데 하는 팬들까지 많은 의견들이 넘치고 넘쳐 범람하는 것이 바로 이 주제다.


그간 타이베리움 세계관에 무슨 일이 일어났길래, 걸어다니는 전투로봇들이 등장했을까라는 질문의 답에 여러 설이 있다.
그간 타이베리움 세계관에 무슨 일이 일어났길래, 걸어다니는 전투로봇들이 등장했을까라는 질문의 답에 여러 설이 있다.
191번째 줄: 181번째 줄:
둘째. 험지에서의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기동을 위해 보행형 전투병기들을 도입했다는 설이 있다. 타이베리안 선 게임 내에서 보행형 전투 병기가 가지는 장점이 하나 있는데, 그건 지형 변화에 따라 이동속도의 가감이 없다는 것이다. 궤도형 병기들은 지형 변화와 지형의 포장 상태에 따라 무차별적으로 이동속도가 늘어났다 급감했다가 하는데, 보행형 전투병기들은 어느 지형에서나 항상 일정한 이동속력을 보장한다. 이후 타이베리움 워 시기에 이르면, GDI는 음파 기술의 발전으로 타이베리움을 밀어버리고 그곳에 도시를 건설해 블루 존의 주도세력으로 자리잡는다. 수 십년간 Nod의 테러행위도 없어 재정지원도 제대로 못받게 된 GDI는 돈 많이 드는 + 아스팔트 다 부수고 다니는<ref>접지면이 좁다는 것은 접지압이 획기적으로 올라간다는 것을 의미한다. 옐로우, 레드 존에서는 바닥의 울퉁불퉁한 타이베리움을 부수며 다닐 수 있어 좋지만, 블루 존에선 멀쩡한 도로를 다 부수며 다니므로 문제가 생긴다.</ref> 보행형 전투병기를 생산하는데 차질이 생길 수밖에 없다. 거기에다 사람 살만한 블루존의 치안 유지나 보호 정도만 하면 되니까 효율적인 험지 기동의 장점을 가진 보행병기를 생산할 필요성을 느끼지 못할 것이다. 안그래도 군비 축소를 하는 GDI가 보행 병기를 생산해서 당장 눈 앞에 떨어지는 이익이 무엇이 있단 말인가. 그래서 스틸 탈론을 제외하고는 다리달린 전투병기가 거의 보이지 않는다.
둘째. 험지에서의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기동을 위해 보행형 전투병기들을 도입했다는 설이 있다. 타이베리안 선 게임 내에서 보행형 전투 병기가 가지는 장점이 하나 있는데, 그건 지형 변화에 따라 이동속도의 가감이 없다는 것이다. 궤도형 병기들은 지형 변화와 지형의 포장 상태에 따라 무차별적으로 이동속도가 늘어났다 급감했다가 하는데, 보행형 전투병기들은 어느 지형에서나 항상 일정한 이동속력을 보장한다. 이후 타이베리움 워 시기에 이르면, GDI는 음파 기술의 발전으로 타이베리움을 밀어버리고 그곳에 도시를 건설해 블루 존의 주도세력으로 자리잡는다. 수 십년간 Nod의 테러행위도 없어 재정지원도 제대로 못받게 된 GDI는 돈 많이 드는 + 아스팔트 다 부수고 다니는<ref>접지면이 좁다는 것은 접지압이 획기적으로 올라간다는 것을 의미한다. 옐로우, 레드 존에서는 바닥의 울퉁불퉁한 타이베리움을 부수며 다닐 수 있어 좋지만, 블루 존에선 멀쩡한 도로를 다 부수며 다니므로 문제가 생긴다.</ref> 보행형 전투병기를 생산하는데 차질이 생길 수밖에 없다. 거기에다 사람 살만한 블루존의 치안 유지나 보호 정도만 하면 되니까 효율적인 험지 기동의 장점을 가진 보행병기를 생산할 필요성을 느끼지 못할 것이다. 안그래도 군비 축소를 하는 GDI가 보행 병기를 생산해서 당장 눈 앞에 떨어지는 이익이 무엇이 있단 말인가. 그래서 스틸 탈론을 제외하고는 다리달린 전투병기가 거의 보이지 않는다.


반대로 타이베리움이 널리 퍼져 있고, 황무지와 폐허로 가득 찬 옐로우 존의 주도세력이고 일부 레드 존에 기지를 건설한 Nod는 타이베리움 워 시기에 이르러 보행 병기들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기 시작했다. 그리고 타이베리움이 모든곳을 뒤덮어버리는 바람에 이온폭풍이 휘몰아치고 도저히 지구의 지형이라고 볼 수 없을정도로 기괴하고 뒤틀린 곳, 레드 존의 주도세력 스크린은 잘 살펴 보면 모든 유닛들이 호버 유닛 아니면 보행형 전투병기다! 완전히 극험지에서의 전투를 위한 유닛들만 모은 것 같다.
반대로 타이베리움이 널리 퍼져 있고, 황무지와 폐허로 가득 찬 옐로우 존의 주도세력이고 일부 레드 존에 기지를 건설한 Nod는 타이베리움 워 시기에 이르러 보행 병기들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기 시작했다. 그리고 타이베리움이 모든곳을 뒤덮어버리는 바람에 이온폭풍이 휘몰아치고 도저히 지구의 지형이라고 볼 수 없을정도로 기괴하고 뒤틀린 곳, 레드 존의 주도세력 스크린은 잘 살펴 보면 모든 유닛들이 호버 유닛 아니면 보행형 전투병기다! 완전히 극험지에서의 전투를 위한 유닛들만 모은 것 같다.  


다만 타이베리안 선 호감팬이나 비호감팬이나 다함께 비판하는 점을 하나 든다면, '최적화 실패'를 들 수 있을 것이다.
다만 타이베리안 선 호감팬이나 비호감팬이나 다함께 비판하는 점을 하나 든다면, '최적화 실패'를 들 수 있을 것이다.
254번째 줄: 244번째 줄:
== 모드 ==
== 모드 ==
* [[커맨드 앤 컨커: 뒤틀린 반란]]
* [[커맨드 앤 컨커: 뒤틀린 반란]]
* [http://www.moddb.com/mods/tiberian-sun-retro Tiberian Sun Retro]<br />타이베리안 선의 취소된 콘텐츠를 살렸다. 매머드 탱크를 쓰거나 오르카 수송선으로 보병이나 차량을 낙하시킬 수 있다. 또한 삭제된 Nod의 중전차나 타이베리움 운석 낙하도 사용할 수 있다. 다만 '기술적으로 불가능한' GDI의 지원군 요청<ref>미션에서 나오는 드롭쉽으로 증원 병력이 온다.</ref>은 재구현되지 못해 사용할 수 없다.
* [http://www.moddb.com/mods/tiberian-sun-retro Tiberian Sun Retro]<br>타이베리안 선의 취소된 콘텐츠를 살렸다. 매머드 탱크를 쓰거나 오르카 수송선으로 보병이나 차량을 낙하시킬 수 있다. 또한 삭제된 Nod의 중전차나 타이베리움 운석 낙하도 사용할 수 있다. 다만 '기술적으로 불가능한' GDI의 지원군 요청<ref>미션에서 나오는 드롭쉽으로 증원 병력이 온다.</ref>은 재구현되지 못해 사용할 수 없다.
* [http://www.moddb.com/mods/the-dawn-of-the-tiberium-age The Dawn of the Tiberium Age]<br />[[커맨드 앤 컨커: 타이베리안 돈|타이베리안 돈]]의 타일셋과 유닛 및 건물을 재현한 모드이다. 완전한 스탠드얼론 모드이므로 원본인 타이베리안 선이 필요하지 않다.
* [http://www.moddb.com/mods/the-dawn-of-the-tiberium-age The Dawn of the Tiberium Age]<br>[[커맨드 앤 컨커: 타이베리안 돈|타이베리안 돈]]의 타일셋과 유닛 및 건물을 재현한 모드이다. 완전한 스탠드얼론 모드이므로 원본인 타이베리안 선이 필요하지 않다.


== 기타 ==
== 기타 ==
* [[보급상자 (커맨드 앤 컨커 시리즈)]]
[[보급상자 (커맨드 앤 컨커)]]
* [[타이베리움]]
 
[[타이베리움]]


{{각주}}
{{각주}}
{{커맨드 앤 컨커 시리즈}}
{{커맨드 앤 컨커 시리즈}}
[[분류:커맨드 앤 컨커 시리즈]]
[[분류:커맨드 앤 컨커 시리즈]]
[[분류:1999년 비디오 게임]]
[[분류:SF 게임]]
[[분류:실시간 전략 게임]]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는 다음의 숨은 분류 1개에 속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