캠핑카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3번째 줄: 3번째 줄:
각종 생활설비를 차내에 갖춘 차량. 캠핑카는 콩글리쉬고 미국식으로는 RV라고 부른다.
각종 생활설비를 차내에 갖춘 차량. 캠핑카는 콩글리쉬고 미국식으로는 RV라고 부른다.


[[미국]]이나 [[캐나다]], [[유럽]]등지에서는 휴가철이면 차를 끌고 멀리 여행다니는 것을 흔히 볼 수 있다. 이때 캠핑 장비를 매번 챙기기 귀찮으니 이를 고스란히 차에 박아버린 것이 캠핑카. 캠핑카들이 생기면서 오토 캠핑장도 속속 생겨 준비만 해오면 물, 전기 걱정 할 일 없는 캠핑을 할 수 있다. 국내에서는 여가 시간에 대한 여유가 없는 사람들이 많아 찾기 힘들다.
[[미국]]이나 [[캐나다]], [[유럽]]등지에서는 휴가철이면 차를 끌고 멀리 여행다니는 것을 흔히 볼 수 있다. 이때 캠핑 장비를 매번 챙기기 귀찮으니 이를 고스란히 차에 박아버린 것이 캠핑카. 캠핑카들이 생기면서 오토 캠핑장도 속속 생겨 준비만 해오면 물, 전기 걱정 할 일 없는 캠핑을 할 수 있다. 국내에서는 여가 시간에 대한 여유가 없는 사람들이 많아 찾기 힘들다.  


== 종류 ==
== 종류 ==
9번째 줄: 9번째 줄:
* 트레일러·카라반 공통
* 트레일러·카라반 공통
*: 피견인자동차로 분류되기 때문에 번호판을 받아야 하고, 자동차세를 내고, 정기검사도 받아야 하지만 자동차 책임보험은 면제(견인차량 보험 적용)된다. [[대한민국의 고속도로]] 환경에서는 트레일러 견인시 차량 종류가 상향되어서 대형 화물차와 같은 요금이 나오며, 등록 정보와 다르므로 [[하이패스]]를 쓸 수 없다. 또한 화물을 견인하는 것으로 보므로 화물차와 같은 차로(우측 차로)를 주행한다.
*: 피견인자동차로 분류되기 때문에 번호판을 받아야 하고, 자동차세를 내고, 정기검사도 받아야 하지만 자동차 책임보험은 면제(견인차량 보험 적용)된다. [[대한민국의 고속도로]] 환경에서는 트레일러 견인시 차량 종류가 상향되어서 대형 화물차와 같은 요금이 나오며, 등록 정보와 다르므로 [[하이패스]]를 쓸 수 없다. 또한 화물을 견인하는 것으로 보므로 화물차와 같은 차로(우측 차로)를 주행한다.
*: [[견인차]]에 견인장치 개조(구조변경 필요)를 해야 끌고다닐 수 있다. 차종으로는 [[기아 모하비]]·[[기아 카니발|카니발]]이나 [[쌍용 렉스턴]]·[[쌍용 렉스턴 스포츠|렉스턴 스포츠]]가 선호된다. 미니밴의 대명사인 카니발을 빼면 프레임 바디 기반의 대형 SUV이거나 그 파생 차종인데, 이론적으로는 카라반에 브레이크가 장착되어 있다는 가정 하에 경차도 1톤 이상을 견인할 순 있지만, 모노코크 바디는 수직하중에 의한 차체 변형이 올 수 있다.
*: 견인차에는 견인장치 개조(구조변경 필요)를 해야 끌고다닐 수 있다. 차종으로는 [[기아 모하비]]·[[기아 카니발|카니발]]이나 [[쌍용 렉스턴]]·[[쌍용 렉스턴 스포츠|렉스턴 스포츠]]가 선호된다. 미니밴의 대명사인 카니발을 빼면 프레임 바디 기반의 대형 SUV이거나 그 파생 차종인데, 이론적으로는 카라반에 브레이크가 장착되어 있다는 가정 하에 경차도 1톤 이상을 견인할 순 있지만, 모노코크 바디는 수직하중에 의한 차체 변형이 올 수 있다.  
*: 트레일러 특성상 통제력을 잃을 수 있는 스웨이 현상을 조심해야 한다. 트레일러에 스웨이 방지 장치가 장착되어 나오는 경우도 있지만 운전자 본인의 습관이 중요하다. 트레일러의 무게가 무거울수록 불리하므로 총중량은 견인차량 자중(自重)의 85% 선으로 정리하는 것이 권장되고, 고속 주행을 삼가(80km/h 이하)하는 것이 중요하다. 스웨이 현상이 발생했을 때 브레이크를 밟으면 잭 나이프(급하게 꺾임) 현상으로 대형 사고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천천히 감속해 통제력을 되찾아야 한다.
*: 트레일러 특성상 통제력을 잃을 수 있는 스웨이 현상을 조심해야 한다. 트레일러에 스웨이 방지 장치가 장착되어 나오는 경우도 있지만 운전자 본인의 습관이 중요하다. 트레일러의 무게가 무거울수록 불리하므로 총중량은 견인차량 자중(自重)의 85% 선으로 정리하는 것이 권장되고, 고속 주행을 삼가(80km/h 이하)하는 것이 중요하다. 스웨이 현상이 발생했을 때 브레이크를 밟으면 잭 나이프(급하게 꺾임) 현상으로 대형 사고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천천히 감속해 통제력을 되찾아야 한다.


25번째 줄: 25번째 줄:
크게 미국식과 유럽식으로 구분된다.
크게 미국식과 유럽식으로 구분된다.
* 미국식
* 미국식
*: 현지에서는 트래블 트레일러(Travel Trailer)라고 부른다. 주택담보대출에서 주택으로 인정해줄만큼 현지 의식주의 한 귀퉁이를 당당히 차지하는 녀석인 만큼 한 덩치하는 모델들은 보통 미국식인 경우가 많고, 내구성도 매우 좋다.
*: 현지에서는 트래블 트레일러(Travel Trailer)라고 부른다. 의식주의 한 귀퉁이를 당당히 차지하는 녀석인 만큼 한 덩치하는 모델들은 보통 미국식인 경우가 많고, 내구성도 매우 좋다. 다만 반대급부로 내구성을 위해 튼튼한 자재를 많이 써서 중량이 많이 나가고, 차축이 뒤쪽으로 쏠려있기 때문에 견인 하중이 높게 나와 같은 크기의 카라반이면 미국식 카라반의 견인이 더 힘들다. 야드파운드법의 나라답게 견인장치의 규격은 인치 단위이므로 견인볼 규격에 유의할 것. 덩치의 끝판은 대형 트레일러와 동일한 연결 규격을 사용하는 Fifth Wheel 종류들이다.
*:다만 반대급부로 내구성을 위해 튼튼한 자재를 많이 써서 중량이 많이 나가고, 차축이 뒤쪽으로 쏠려있기 때문에 견인 하중이 높게 나와 같은 크기의 카라반이면 미국식 카라반의 견인이 더 힘들다. 야드파운드법의 나라답게 견인장치의 규격은 인치 단위이므로 견인볼 규격에 유의할 것. 덩치의 끝판은 대형 트레일러와 동일한 연결 규격을 사용하는 Fifth Wheel 종류들이다.
 
* 유럽식
* 유럽식
*: 카라반(Caravan)이라는 용어의 본고장. 미국처럼 눌러앉아 살진 않기 때문에 레져의 성격이 강하며, 내구성보다는 경량화 등에 초점이 맞춰져 있고 차축이 차체 중앙으로 오기 때문에 미국식 카라반보다 견인 하중이 가벼워 견인차량의 폭이 넓다. 유럽에서 나오는 모든 카라반을 유럽식이라고 뭉뚱그리지만, 그 안에서도 독일식/영국식 등의 구분이 있어 국가별 문화에서 기인하는 소소한 차이가 있다. 견인장치의 규격은 센티미터 단위이다.
*: 카라반(Caravan)이라는 용어의 본고장. 미국처럼 눌러앉아 살진 않기 때문에 레져의 성격이 강하며, 내구성보다는 경량화 등에 초점이 맞춰져 있고 차축이 차체 중앙으로 오기 때문에 미국식 카라반보다 견인 하중이 가벼워 견인차량의 폭이 넓다. 유럽에서 나오는 모든 카라반을 유럽식이라고 뭉뚱그리지만, 그 안에서도 독일식/영국식 등의 구분이 있어 국가별 문화에서 기인하는 소소한 차이가 있다. 견인장치의 규격은 센티미터 단위이다.
47번째 줄: 47번째 줄:
*: 클래스 B와 비슷하나, 운전실을 포함한 샷시(프레임)만 납품받거나, 완성차를 납품받아 필요없는 차체 일부를 제거하고 특장을 올린 차량. 한국에서 포터·봉고 이동업무차들이 여기에 해당된다.
*: 클래스 B와 비슷하나, 운전실을 포함한 샷시(프레임)만 납품받거나, 완성차를 납품받아 필요없는 차체 일부를 제거하고 특장을 올린 차량. 한국에서 포터·봉고 이동업무차들이 여기에 해당된다.


한국의 모터홈은 클래스 B 이하가 주류고, 그 이상을 원하면 보통 카라반을 사서 캠핑장에 세워둔다. 주거 환경상 클래스 A 규모의 차량을 세워둘 곳이 없고, 모는 데 따로 면허도 필요한 클래스 A급 차량에 쉽게 입문하기는 어렵다.<ref>단, 클래스 A의 가장 작은 사이즈인 카운티·레스타는 1종 보통으로 운전 가능한 차량(15인승 이하)이 존재할 수 있다.</ref> 완성차 구조변경시 승합자동차(11인승 이상)을 개조하며{{ㅈ|주로 [[카니발]]이나 [[스타렉스]] 11인승을 개조}}, 형식인증이 되는 업체들은 미완성차(명목상)의 바디를 잘라내고 카고처럼 캠핑 특장을 얹기도 한다.
한국의 모터홈은 클래스 B 이하가 주류고, 그 이상을 원하면 보통 카라반을 사서 캠핑장에 세워둔다. 주거 환경상 클래스 A 규모의 차량을 세워둘 곳이 없고, 모는 데 따로 면허도 필요한 클래스 A급 차량에 쉽게 입문하기는 어렵다.<ref>단, 클래스 A의 가장 작은 사이즈인 카운티·레스타는 1종 보통으로 운전 가능한 차량(15인승 이하)이 존재할 수 있다.</ref> 완성차 구조변경시 승합자동차(11인승 이상)을 개조하며{{ㅈ|주로 [[카니발]]이나 [[스타렉스]] 11인승을 개조}}, 형식인증이 되는 업체들은 미완성차(명목상)의 바디를 잘라내고 카고처럼 캠핑 특장을 얹기도 한다.  


저렴한 가격으로 많이들 찾는 트럭 기반 캠핑카는 [[이동식업무차량]]에 해당하며 원칙상 이동식업무차량은 침대, 취사 및 샤워 시설을 설치할 수 없다(구조변경 기준). 다만 트럭은 구조변경이 아니라 형식승인이기 때문에 이런저런 걸 달아도 넘어가주는 듯하다. 국내에서 만드는 거의 모든 트럭 개조 차량은 포터나 봉고 기반인데, 가격이 저렴하고, 운전면허 제약이 적고(2종보통도 가능), 속도제한장치에서 자유롭기 때문(스타렉스 대비)이다. 공간이 작은 건 벙커베드 같은걸로 해결한다. 이 때문에 좀 기형적인 차량(2.5톤 트럭보다 긴 차량)도 종종 나온다. 더 큰 사이즈로 가는 경우는 대부분 버스 기반의 캠핑카로 넘어간다.
저렴한 가격으로 많이들 찾는 트럭 기반 캠핑카는 [[이동식업무차량]]에 해당하며 원칙상 이동식업무차량은 침대, 취사 및 샤워 시설을 설치할 수 없다(구조변경 기준). 다만 트럭은 구조변경이 아니라 형식승인이기 때문에 이런저런 걸 달아도 넘어가주는 듯하다. 국내에서 만드는 거의 모든 트럭 개조 차량은 포터나 봉고 기반인데, 가격이 저렴하고, 운전면허 제약이 적고(2종보통도 가능), 속도제한장치에서 자유롭기 때문(스타렉스 대비)이다. 공간이 작은 건 벙커베드 같은걸로 해결한다. 이 때문에 좀 기형적인 차량(2.5톤 트럭보다 긴 차량)도 종종 나온다. 더 큰 사이즈로 가는 경우는 대부분 버스 기반의 캠핑카로 넘어간다.
55번째 줄: 55번째 줄:
=== 트럭 캠퍼 ===
=== 트럭 캠퍼 ===
[[파일:트럭캠퍼.jpg|thumb]]
[[파일:트럭캠퍼.jpg|thumb]]
적재함에 싣고 내리는 트럭 캠퍼는 픽업트럭이나 일반 카고트럭의 적재함에다 대형 화물을 올린다는 개념으로 접근한 것이다. 개조시 이런저런 작업이 수반되어야 하는 모터홈이나 견인이 부담되는 카라반과 달리 설치가 간단하고 하나의 차량처럼 움직일 수 있다.
적재함에 싣고 내리는 트럭 캠퍼는 픽업트럭이나 일반 카고트럭의 적재함에다 대형 화물을 올린다는 개념으로 접근한 것이다. 개조시 이런저런 작업이 수반되어야 하는 모터홈이나 견인이 부담되는 카라반과 달리 설치가 간단하고 하나의 차량처럼 움직일 수 있다.  


이미 트럭이 있다면 캠퍼 값만 부담하면 되니 경제적이기도 하고, 다른 종류와 달리 직접 박스부터 짜올리는 DIY가 용이하다.
이미 트럭이 있다면 캠퍼 값만 부담하면 되니 경제적이기도 하고, 다른 종류와 달리 직접 박스부터 짜올리는 DIY가 용이하다.
74번째 줄: 74번째 줄:
*: 청수(깨끗한 물)을 보관하면서 자체적으로 공급하고, 하수(오수)를 외부로 배출하거나 저장할 수 있어야 한다. 변기는 캠핑카 전용 제품(카세트 변기)이 있으며 오수탱크와 별도로 모아서 버린다. 변기가 없으면 휴대용 제품을 따로 살 수 있다. 유럽형 카라반은 별도의 오수 탱크를 두지 않는 경우가 많다. 탱크와 온수기, 수도관은 겨울에 퇴수작업을 반드시 해야 동파로 고생하지 않으며, 청수 탱크는 사용자가 주기적으로 소독 작업을 해주어야 건강한 여행을 즐길 수 있다.
*: 청수(깨끗한 물)을 보관하면서 자체적으로 공급하고, 하수(오수)를 외부로 배출하거나 저장할 수 있어야 한다. 변기는 캠핑카 전용 제품(카세트 변기)이 있으며 오수탱크와 별도로 모아서 버린다. 변기가 없으면 휴대용 제품을 따로 살 수 있다. 유럽형 카라반은 별도의 오수 탱크를 두지 않는 경우가 많다. 탱크와 온수기, 수도관은 겨울에 퇴수작업을 반드시 해야 동파로 고생하지 않으며, 청수 탱크는 사용자가 주기적으로 소독 작업을 해주어야 건강한 여행을 즐길 수 있다.
* 냉난방 시설
* 냉난방 시설
*: 차량 연료를 일부 태워 공기를 뎁히는 [[무시동히터]]는 거의 기본이고, 여건이 된다면 캠핑카용으로 설계된 에어컨을 달거나, 그냥 가정용 에어컨을 단다. 환기팬을 천장에 설치할 수 있다.
*: 차량 연료를 일부 태워 공기를 뎁히는 무시동 히터는 거의 기본이고, 여건이 된다면 캠핑카용으로 설계된 에어컨을 달거나, 그냥 가정용 에어컨을 단다. 환기팬을 천장에 설치할 수 있다.
* 기타 편의 시설
* 기타 편의 시설
*: 햇빛을 가리는 어닝, 이동시 탑승할 수 있는 시트 등이 있다. 엔터테인먼트 시설의 경우 다기능 라디오와 TV가 대부분 기본으로 부착되며, TV에 수반되는 위성방송 등은 옵션이다. 대한민국에서는 스카이라이프 아웃도어나 차량용 상품을 장착한다.
*: 햇빛을 가리는 어닝, 이동시 탑승할 수 있는 시트 등이 있다. 엔터테인먼트 시설의 경우 다기능 라디오와 TV가 대부분 기본으로 부착되며, TV에 수반되는 위성방송 등은 옵션이다. 대한민국에서는 스카이라이프 아웃도어나 차량용 상품을 장착한다.
{{각주}}
{{각주}}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이 문서는 다음의 숨은 분류 1개에 속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