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네키 켄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등장인물 정보
{{포크2:경고|네타}}
|인물이름 = 카네키 켄
==캐릭터==
|원어이름 = 金木 研
{{포크2:정보상자/캐릭터
|배경색  =  
|성별 =
|글자색  =  
|이름 = 카네키 켄
|그림    =  
|이름/일어 = カネキ ケン
|그림설명 =  
|이름/요미카타 =  
|본명    =  
|이름/영어 = Ken Kaneki
|다른이름 = 안대의 구울
|이명 = 안대의 구울
|출생일  = 12월 20일 (18세 → 19세)
|이명/일어 =  
|출생지  =  
|이명/영어 =  
|사망일  =  
<!-- 캐릭터의 속성을 나열해 주세요. 자주 사용되는 속성은 분류로서 자동 등록됩니다. -->
|사망지  =  
|속성 = 대학생 , 문학소년 , 흑화 , 반구울
|종족     = 인간 → 반구울
<!-- 작품은 [[ ]]로 링크하지 않습니다. 여러 작품에 등장한다면 등장작품2, 등장작품3…을 덧붙여 주세요. -->
|성별    = 남성
|등장작품 = 도쿄 구울
|국적    = 일본
|CV = [[하나에 나츠키]]
|직업    = 대학생 1학년 (휴학중)
|종족 = 인간 → 반구울
|종교    =  
|국적 = 일본
|신체    = 169cm->170cm, 55kg->58kg, AB형
|연령 = 18세 → 19세
|배우자  =  
|신분 = 카미이 대학 국문과 1학년 휴학중
|가족    =  
|생일/년 =
|소속    = 카미이 대학 국문과 1학년 (휴학중)
|생일/월 = 12
|색상    =  
|생일/일 = 20
|하위 틀 =  
|혈액형 = AB
|작품    = [[도쿄 구울]]
|신장 = 169cm->170cm
|배우    =  
|체중 = 55kg->58kg
|성우    = [[하나에 나츠키]]
|가슴 =
|창작자  =  
|허리 =
|등장    =  
|엉덩이 =
|퇴장    =  
|=  
|비고    =  
|별명 =  
|능력 =  
|특기 =  
|취미 = 책 읽기
  |거주지 =  
|가족관계 =  
|이미지 컬러 =  
|캐릭터송 =  
|공식 인기투표 =  
<!-- 국내판 프로필 -->
|국내명 =  
|등장작품/국내 =  
|CV/국내 =  
}}
}}
'''카네키 켄'''(金木 研)은 [[만화]] 《[[도쿄 구울]]》의 주인공이다.


본래는 평범한 인간이었으나, 카미시로 리제와의 만남으로 인하여 구울이 되었다. 일반적인 구울과 달리 반(半) 구울이기 때문인지 왼쪽 눈만 혁안으로 변한다. 좋아하는 것은 독서, 아름다운 말, 햄버그 스테이크.
[[도쿄 구울]]의 주인공.
 
본래는 평범한 인간이였으나, 카미시로 리제와의 만남으로 인하여 구울이 되었다. 일반적인 구울과 달리 반(半) 구울이기 때문인지 왼쪽 눈만 혁안으로 변한다. 좋아하는 것은 독서, 아름다운 말, 햄버그 스테이크.


==성격의 변화==
==성격의 변화==
===고문 당하기 전===
===고문 당하기 전===
부모님을 일찍 여의고 책 밖에 모르고 살아 멘탈이 매우 약하다. 인간을 죽인 적이 없는 건 물론 인간의 고기를 먹는 것도 괴로워해 평범한 구울에게도, 인간에게도 경원시 당하면서도 특별한 존재로 취급당한다. 구울이 된 후 인간이 먹는 음식이 역겨워지고 인간의 냄새를 맡으면 식욕이 상승하는 등 신체 변화를 느끼지만 자신이 구울이 되었음을 받아들이지 못한다. 살기 위해 인육을 섭취하려 노력하였지만 끝내 포기하였다. 토우카에 의해 강제로 인육을 섭취하게 되지만 자신이 구울인 것을 받아들일 수 없다며 자신은 구울같은 괴물과는 다르다고 소리친다. 이후 자신의 소중한 사람을 해하고 자신까지 죽이려 한 아몬 코타로의 어깨를 뜯어먹고 카구네를 꺼내 아몬의 쿠인케를 부수며 자신이 아몬을 죽이기 전에 달아나라고 말한다.
부모님을 일찍 여의고 책 밖에 모르고 살아 멘탈이 매우 약하다. 인간을 죽인 적이 없는 건 물론 인간의 고기를 먹는 것도 괴로워해 평범한 구울에게도, 인간에게도 경원시 당하면서도 특별한 존재로 취급당한다. 구울이 된 후 인간이 먹는 음식이 역겨워지고 인간의 냄새를 맡으면 식욕이 상승하는 등 신체 변화를 느끼지만 자신이 구울이 되었음을 받아들이지 못한다. 살기 위해 인육을 섭취하려 노력하였지만 끝내 포기하였다. 토우카에 의해 강제로 인육을 섭취하게 되지만 자신이 구울인 것을 받아들일 수 없다며 자신은 구울같은 괴물과는 다르다고 소리친다. 이후 자신의 소중한 사람을 해하고 자신까지 죽이려 한 아몬 코타로의 어깨를 뜯어먹고 카구네를 꺼내 아몬의 쿠인케를 부수며 자신이 아몬을 죽이기 전에 달아나라고 말한다.
{{인용문|도망쳐주세요... 이대로라면 저는 당신을 죽이고 말겁니다... 부탁이니까... 나를 살인자로 만들지 말아줘...!}}
{{포크2:인용|도망쳐주세요... 이대로라면 저는 당신을 죽이고 말겁니다... 부탁이니까... 나를 살인자로 만들지 말아줘...!}}


===고문 당한 후===
===고문 당한 후===
여러가지 사건을 통해 카네키는 서서히 인간과 구울 사이의 존재로서의 삶에 익숙해져 가지만 카미시로 리제를 찾아 안테이크에 찾아온 아오기리 나무와 본격적으로 접촉하게 되면서 야모리에게 끌려가 갖가지 고문을 당하게 된다. 이 고문을 계기로 카네키는 완전히 뒤바뀌게 된다. 그저 패는 정도가 아니라 Rc세포 억제제로 재생력을 낮춰 발가락을 잘라 고통을 주고 인육을 강제로 먹여 다시 재생력을 회복시켜 새로 돋아나게 만든 후, 이 과정을 계속 반복한다던지, 주사기로 눈을 찌르거나, 귀에 일본에서 제일 커다란 종의 지네를 집어넣거나 하는 극악한 학대였다.   
여러가지 사건을 통해 카네키는 서서히 인간과 구울 사이의 존재로서의 삶에 익숙해져 가지만 카미시로 리제를 찾아 안테이크에 찾아온 아오기리 나무와 본격적으로 접촉하게 되면서 야모리에게 끌려가 갖가지 고문을 당하게 된다. 이 고문을 계기로 카네키는 완전히 뒤바뀌게 된다. 그저 패는 정도가 아니라 Rc세포 억제제로 재생력을 낮춰 발가락을 잘라 고통을 주고 인육을 강제로 먹여 다시 재생력을 회복시켜 새로 돋아나게 만든 후, 이 과정을 계속 반복한다던지, 주사기로 눈을 찌르거나, 귀에 일본에서 제일 커다란 종의 지네를 집어넣거나 하는 극악한 학대였다.   
{{인용문|나는── 구울, 이다.}}
{{포크2:인용|나는── 구울, 이다.}}
자신 내면의 구울을 상징하는 리제의 환영을 잡아먹고, 자신을 구울이라 인정하며 각성한다.  
자신 내면의 구울을 상징하는 리제의 환영을 잡아먹고, 자신을 구울이라 인정하며 각성한다.  
{{인용문|이번엔... 내 차례다...!}}
{{포크2:인용|이번엔... 내 차례다...!}}
처음에는 동족포식을 통해 카쿠쟈가 된 야모리에게 밀리나 싶더니 이윽고 자신의 카쿠네를 꺼내고선 공격 횟수로 밀어붙이며 야모리의 카구네를 잘라내 무력화 시키고 바닥에 꽂아버린다. 야모리의 카쿠호를 뜯어먹으면서 야모리가 자신에게 했던 고문 방식을 그대로 돌려주는 부분은 카네키의 가치관과 성격이 대폭 바뀌었다는 걸 보여주는 명장면.
처음에는 동족포식을 통해 카쿠쟈가 된 야모리에게 밀리나 싶더니 이윽고 자신의 카쿠네를 꺼내고선 공격 횟수로 밀어붙이며 야모리의 카구네를 잘라내 무력화 시키고 바닥에 꽂아버린다. 야모리의 카쿠호를 뜯어먹으면서 야모리가 자신에게 했던 고문 방식을 그대로 돌려주는 부분은 카네키의 가치관과 성격이 대폭 바뀌었다는 걸 보여주는 명장면.


{{인용문|아야토군. 넌 [반죽음]이다. [반죽음]의 정의가 뭐라고 생각해? [죽음]의 정의가 [절반]이니까 죽을 듯한 행위를 절반하면 된다고 생각하는데... 전신의 파괴를 [죽음/1회분]으로 해서 상반신과 하반신으로 나눠버리면 양쪽의 데미지가 너무 달라져. [그렇다면 장기는 어떨까?]─라고 생각했지만 이것도 저마다의 가치를 생각하지 않으면 안 돼. 그러니까 [뼈]는 어때? 사람의 뼈는 대체로 206개. 뼈는 좌우대칭이니까 [절반]을 하기도 쉬워. 그런 이유로 103개. 너의 뼈를 꺾는다.}}
{{포크2:인용|아야토군. 넌 [반죽음]이다. [반죽음]의 정의가 뭐라고 생각해? [죽음]의 정의가 [절반]이니까 죽을 듯한 행위를 절반하면 된다고 생각하는데... 전신의 파괴를 [죽음/1회분]으로 해서 상반신과 하반신으로 나눠버리면 양쪽의 데미지가 너무 달라져. [그렇다면 장기는 어떨까?]─라고 생각했지만 이것도 저마다의 가치를 생각하지 않으면 안 돼. 그러니까 [뼈]는 어때? 사람의 뼈는 대체로 206개. 뼈는 좌우대칭이니까 [절반]을 하기도 쉬워. 그런 이유로 103개. 너의 뼈를 꺾는다.}}


야모리를 해치운 후 위기에 처한 토우카를 구하기 위해 아야토와 전투에 들어간다. 토우카를 발라버린 아야토를 그야말로 가지고 놀며 압도적으로 발라버린다. 토우카의 동생이라 죽여선 안되다는 제약을 걸고도. 그 과정에서 아야토가 아오기리 나무에 들어간 진의나 토우카와 싸운 이유등을 간파하는등 지능적인 면모를 과시한다. 이말을 듣고 벙찐 아야토를 순식간에 제압하고선 싸우기전에 말했던 것처럼 반죽음에 이르게 한다.
야모리를 해치운 후 위기에 처한 토우카를 구하기 위해 아야토와 전투에 들어간다. 토우카를 발라버린 아야토를 그야말로 가지고 놀며 압도적으로 발라버린다. 토우카의 동생이라 죽여선 안되다는 제약을 걸고도. 그 과정에서 아야토가 아오기리 나무에 들어간 진의나 토우카와 싸운 이유등을 간파하는등 지능적인 면모를 과시한다. 이말을 듣고 벙찐 아야토를 순식간에 제압하고선 싸우기전에 말했던 것처럼 반죽음에 이르게 한다.
104번째 줄: 117번째 줄:


==카쿠자==
==카쿠자==
{{인용문|무시무시한 카구네로군. 마치...지네 같아.}}
{{포크2:인용|무시무시한 카구네로군. 마치...지네 같아.}}


시노하라가 구울 수용소에서 아야토와의 전투 종료 후 나타난 카네키와 싸우면서 " 마치 지네 같은 카구네로군. " 이라고 발언했다.
시노하라가 구울 수용소에서 아야토와의 전투 종료 후 나타난 카네키와 싸우면서 " 마치 지네 같은 카구네로군. " 이라고 발언했다.
113번째 줄: 126번째 줄:


==문학소년==
==문학소년==
작중에서 카네키는 대학에서 국문학을 전공하며 책을 굉장히 좋아하는 문학소년으로 등장하는데, 구울이 된 결정적 원인인 카미시로 리제와의 만남을 가지게 된 계기 또한 타카츠키 센의 책인 〈검은 산양의 알〉에서 비롯되었다.
작중에서 카네키는 대학에서 국문학을 전공하며 책을 굉장히 좋아하는 문학소년으로 등장하는데, 구울이 된 결정적 원인인 카미시로 리제와의 만남을 가지게 된 계기 또한 타카츠키 센의 책인 <검은 산양의 알>에서 비롯되었다.


그 외에도 카네키가 겪는 여러상황에 빗대어 타카츠키 센의 작품에 대한 언급 뿐만이 아니라 여러 실존 도서의 구절들이 인용되며, 카네키가 겪고있는 사건에 대한 암시나 구울과 인간사이에서 고뇌하는 카네키가 가진 특유의 비극성을 극대화시켰다.
그 외에도 카네키가 겪는 여러상황에 빗대어 타카츠키 센의 작품에 대한 언급 뿐만이 아니라 여러 실존 도서의 구절들이 인용되며, 카네키가 겪고있는 사건에 대한 암시나 구울과 인간사이에서 고뇌하는 카네키가 가진 특유의 비극성을 극대화시켰다.


특히 반구울이 된 카네키에게 있어서 문학은 자신이 인간으로서의 정체성을 가질 수 있도록 해주는 매개로서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이는 도쿄구울 후반부 카네키가 읊은 하쿠슈 시선 〈늙은 아이누의 노래〉 에서 잘 드러난다. 어떤 의미로 카네키는 그가 사랑하는 문학과 책으로 인한 인연때문에 구울이 되었으나, 책을 통해 인간으로서의 이성을 붙잡으며 반구울과 반인간으로서의 특이성을 지닌 존재로 평형성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도 보인다.  
특히 반구울이 된 카네키에게 있어서 문학은 자신이 인간으로서의 정체성을 가질 수 있도록 해주는 매개로서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이는 도쿄구울 후반부 카네키가 읊은 하쿠슈 시선 <늙은 아이누의 노래> 에서 잘 드러난다. 어떤 의미로 카네키는 그가 사랑하는 문학과 책으로 인한 인연때문에 구울이 되었으나, 책을 통해 인간으로서의 이성을 붙잡으며 반구울과 반인간으로서의 특이성을 지닌 존재로 평형성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도 보인다.  


{| class="wikitable" style="width:100%;"
{| class="wikitable" style="width:100%;"
126번째 줄: 139번째 줄:
|-
|-
| 타카츠키 센
| 타카츠키 센
| 〈검은 산양의 알〉 , 〈매달린 비트의 맥거핀〉 , 〈무지개의 모노크롬〉 , 〈친애하는 카프카〉 , 〈소금과 아편〉 , 〈구울해체신서〉
| <검은 산양의 알> , <매달린 비트의 맥거핀> , <무지개의 모노크롬> , <친애하는 카프카> , <소금과 아편> , <구울해체신서>
|-
|-
| 브리야 사바랭
| 브리야 사바랭
| 〈브리야 사바랭의 미식 예찬〉
| <브리야 사바랭의 미식 예찬>
|-
|-
| C. S. 루이스
| C. S. 루이스
| 〈스크루테이프의 편지〉
| <스크루테이프의 편지>
|-
|-
| 니이미 난키치
| 니이미 난키치
|〈금빛 여우〉
|<금빛 여우>
|-
|-
| 어니스트 헤밍웨이
| 어니스트 헤밍웨이
| 〈노인과 바다〉
| <노인과 바다>
|-
|-
| 프란츠 카프카
| 프란츠 카프카
| 〈변신〉, 〈잡종〉
| <변신>, <잡종>
|-
|-
| 다자이 오사무
| 다자이 오사무
| 〈사양〉
| <사양>
|-
|-
| 헤르만 헤세
| 헤르만 헤세
| 〈데미안〉
| <데미안>
|-
|-
| 키타하라 하쿠슈
| 키타하라 하쿠슈
| 시선집 중 〈검은양〉, 〈늙은 아이누의 노래〉, 〈푸른 잠자리〉
| 시선집 중 <검은양>, <늙은 아이누의 노래>, <푸른 잠자리>
|-
|-
|}
|}
161번째 줄: 174번째 줄:
==지능==
==지능==
유난히 지능적인 면모가 부각되는 편인데 어릴때부터 책을 읽어온 터라 인간시절에도 지식이 상당했다. 이런 면모가 유난히 부각되는 것이 아야토 전인데 아야토를 반죽음 상태로 만들때 103개나 되는 뼈의 이름및 위치나 장기의 이름을 하나하나 읊거나 아야토가 아오기리 나무에 들어간 의도를 간파하기도 했다. 게다가 책에서 읽은 걸 실전에서 곧바로 써먹는 것은 전투센스뿐만 아니라 머리도 좋다는 것. 사실 운만 좀 좋지 않아서 그렇지, 먼치킨이라고 봐도 무방한 캐릭터이다.
유난히 지능적인 면모가 부각되는 편인데 어릴때부터 책을 읽어온 터라 인간시절에도 지식이 상당했다. 이런 면모가 유난히 부각되는 것이 아야토 전인데 아야토를 반죽음 상태로 만들때 103개나 되는 뼈의 이름및 위치나 장기의 이름을 하나하나 읊거나 아야토가 아오기리 나무에 들어간 의도를 간파하기도 했다. 게다가 책에서 읽은 걸 실전에서 곧바로 써먹는 것은 전투센스뿐만 아니라 머리도 좋다는 것. 사실 운만 좀 좋지 않아서 그렇지, 먼치킨이라고 봐도 무방한 캐릭터이다.
{{각주}}
[[분류:도쿄 구울]]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