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트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3번째 줄: 3번째 줄:
== 개요 ==
== 개요 ==
수많은 게임속에는 제작자들이 게임을 편하게 즐기거나 적극적으로 전략을 구성하는데 필요한 시간을 줄여주고자 넣거나 이스터에그 방식으로 넣어주거나 디버그를 위해 숨겨두는 등 여러 이유에서 넣어두는 키(Key)나 코드(Code)라고 할 수 있다. 보통은 개발사, 제작진들이 이러한 키와 코드를 풀어 플레이어가 쉽게 사용 할 수 있도록 오픈하지만 이스터에그로 숨겨두거나 불법 이용자들을 색출하기 위해서 일부러 넣어두는 경우도 있다.
수많은 게임속에는 제작자들이 게임을 편하게 즐기거나 적극적으로 전략을 구성하는데 필요한 시간을 줄여주고자 넣거나 이스터에그 방식으로 넣어주거나 디버그를 위해 숨겨두는 등 여러 이유에서 넣어두는 키(Key)나 코드(Code)라고 할 수 있다. 보통은 개발사, 제작진들이 이러한 키와 코드를 풀어 플레이어가 쉽게 사용 할 수 있도록 오픈하지만 이스터에그로 숨겨두거나 불법 이용자들을 색출하기 위해서 일부러 넣어두는 경우도 있다.
제작자쪽에서는 주로 디버그 용도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게임을 아무리 잘 만들었다 하여도 예상치도 못한 측면에서 버그는 게임의 상품성에 큰 타격을 주기 때문에 이런 현상들을 재현하기 위하여 게임 내 환경은 건들지 않고 캐릭터를 무적으로 만들거나 재화를 무제한으로 만들어서 테스트를 하기 위해 이런 치트 코드를 쓴다고 할 수도 있다.


== 치트키 ==
== 치트키 ==
12번째 줄: 10번째 줄:


== 치트키 목록 ==
== 치트키 목록 ==
=== GTA2 ===
치트키를 쓰기 전에 반드시 플레이어 이름을 GOURANGA라고 입력한 뒤 지우고 다음을 입력해야 한다.
* RSJABBER : 주인공 무적
* HUNSRUS : 주인공 투명화
* ARSESTAR : BUSTED(체포)가 되어도 무기를 소지함
* MADEMAN : 모든 조직과 우호도 최고
* GOTOFGTA : 모든 무기를 갖고 시작
* SEGARULZ : 돈을 배로 받는 아이템을 10개 갖고 시작
* EATSOUP : 정비소 무료
* FLAMEON : 화염방사기 무제한
* VOLTFEST : 일렉트로닉건 무제한
* SCHURULZ : 쌍권총 무제한
* IAMDAVEJ : 돈 무제한
* DANISGOD : 돈 20만을 가진 상태로 시작
* UKGAMER : 모든 스테이지 개방
* NEKKID : 모든 캐릭터가 벗음
* GOREFEST : 혈흔이 튐
* BUCKFAST : 모든 시민이 싸움
* LASVEGAS : 모든 시민이 앨비스가 됨
* WUGGLES : 좌표 표시
=== 롤러코스터 타이쿤 1,2 ===
=== 롤러코스터 타이쿤 1,2 ===
손님들의 이름을 다음과 같이 바꾸면 해당 손님의 능력치가 바뀐다. 롤러코스터 1, 2 모두 쓸 수 있지만 효과가 서로 다른 치트가 있다.
손님들의 이름을 다음과 같이 바꾸면 해당 손님의 능력치가 바뀐다. 롤러코스터 1, 2 모두 쓸 수 있지만 효과가 서로 다른 치트가 있다.
50번째 줄: 26번째 줄:
스카이림은 콘솔창(console) 명령어로 동작한다.
스카이림은 콘솔창(console) 명령어로 동작한다.


* Player.명령어 명령어2 or 수
* Player.명령어 명령어2 or 수 : 예를 들어 "player.additem 000000f 5000" 라고 입력하면 골드가 5000개 들어온다. 또는 "player.setav health 500" 라고 입력하면 플레이어의 HP가 500으로 강제 변경된다. 가령 "player.modav health 500" 이라고 입력하면 현재 체력에 +500을 더한 값으로 변경한다. 이외에도 "player.placeatme NPC코드 수량" 을 입력하면 해당 NPC가 자신 주변으로 수량만큼 소환된다. 이 코드는 해당 NPC를 복사해버리는 기능으로 퀘스트가 꼬여버릴 가능성이 있다. 만약 그냥 npc 쪽으로 이동하고 싶다면 "player.moveto NPC코드" 를 이용하여 NPC가 있는 지역으로 이동하는 것이 좋다. 물론 NPC가 스크립트에 의해 Disable 상태라면 해당 NPC의 게임 내 코드를 찾아서 enable 콘솔로 출현하게끔 변경해줘야 하는 귀찮음이 있다.
*: Player.additem 아이템코드 수량 : 수량만큼 아이템코드를 플레이어에게 지급한다. 대표적인 아이템 코드로는 골드(000000f)가 있다.
* coc 셀(cell)이름 : 해당 셀(cell)로 이동한다. 예를 들어 whiterun으로 이동하고 싶다면 "coc whiterun"라고 입력하면 이동하지 않는다.  whiterun은 "whiterunexterior" 라는 다중 셀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보통 자주 이용되는 예를 들어 설명하면 "coc whiterundragonsreach" 라고 입력하면 드래곤스리치 내부로 이동하게 되는 셈이다. 이와 별개로 리버우드는 그냥 "coc riverwood" 라고 입력하면 그만이기에 만약 어디인가 갇혀서 못 나온다면 이 콘솔로 빠져나오면 된다.
*: Player.Modav 능력치코드 수량 : 수량만큼 플레이어의 능력치를 추가한다.
* kill : 대상을 죽인다. 플레이어도 죽일 수 있다. 다만 대상의 에센셜이 죽이지 못하는 등급인 경우 죽이지 못하거나 그로기 상태로만 들어갈 뿐 죽지 않는다.
*: Player.setav 능력치코드 수량 : 플레이어의 능력치를 수량으로 고정시킨다. 예를 들어 체력이 300인 플레이어의 체력을 500으로 바꾸고자 할 때 이 코드를 사용한다. 위의 modav를 사용한다면 300+500이 되어 최종적으로 체력이 800이 된다.
*: Player.moveto NPC코드 : 플레이어를 NPC의 위치로 이동시킨다. NPC코드를 제대로 입력하지 않았거나 NPC가 존재하지 않을때는 불가.
*: Player.placeatme NPC코드 (수량) : NPC를 플레이어의 근처로 복사한다. 말 그대로 복사하기 때문에 원본 NPC는 다른 곳에 존재 할 수 있다. 하지만 [[카트리아|NPC가 오브젝트 상태로 출현한 경우]] 해당 NPC를 동료로 삼기 위해서는 이 코드를 이용해 복사해야 한다.
*: Player.setlevel 수량 : 유저의 레벨을 수량으로 바꾼다.
 
* coc 셀(cell)이름
해당 셀(cell)로 이동한다. 예를 들어 whiterun으로 이동하고 싶다면 "coc whiterun"라고 입력하면 이동하지 않는다.  whiterun은 "whiterunexterior" 라는 다중 셀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보통 자주 이용되는 예를 들어 설명하면 "coc whiterundragonsreach" 라고 입력하면 드래곤스리치 내부로 이동하게 되는 셈이다. 이와 별개로 리버우드는 그냥 "coc riverwood" 라고 입력하면 그만이기에 만약 어디인가 갇혀서 못 나온다면 이 콘솔로 빠져나오면 된다.
* kill : 콘솔창을 열고 선택한 대상을 죽인다. 플레이어도 죽일 수 있다. 다만 대상의 에센셜이 죽이지 못하는 등급인 경우 죽이지 못하거나 그로기 상태로만 들어갈 뿐 죽지 않는다.
* killall : 주변의 모든 npc를 모두 죽인다. 아군/적군 상관없이 싸그리 죽인다.
* killall : 주변의 모든 npc를 모두 죽인다. 아군/적군 상관없이 싸그리 죽인다.
* resurrect : 대상을 살린다. 다만 오브젝트 처리되는 시체는 살릴 수는 없다. 플레이어도 해당 명령어를 사용하여 처음 시작하듯 모든 아이템을 날려버릴 수는 있다.
* resurrect : 대상을 살린다. 다만 오브젝트 처리되는 시체는 살릴 수는 없다. 플레이어도 해당 명령어를 사용하여 처음 시작하듯 모든 아이템을 날려버릴 수는 있다.
78번째 줄: 46번째 줄:
* setrelationshiprank player 숫자 : 대상을 클릭하고 설정 가능. -4에서 4까지 설정 가능하며 -4로 갈수록 적대적으로 변하고 4로 갈수록 우호적이 된다. 이를 쓰면 일반 산적들도 친근한 동료처럼 변하게 된다. 하지만 그렇다고 동료는 되지 않는다.
* setrelationshiprank player 숫자 : 대상을 클릭하고 설정 가능. -4에서 4까지 설정 가능하며 -4로 갈수록 적대적으로 변하고 4로 갈수록 우호적이 된다. 이를 쓰면 일반 산적들도 친근한 동료처럼 변하게 된다. 하지만 그렇다고 동료는 되지 않는다.
* addtofaction : 대상을 해당 팩션으로 강제 가입시킨다. 강제 동료화 콘솔에 쓰이는 것으로 일반 NPC 팩션을 변경하면 동료화가 가능해지는 NPC가 있는데 이것을 이용해 만들어 줄 수 있다. 강제 동료화 콘솔 사용 시 "addtofaction 5c84d 3(혹은 4)" 를 입력하면 대체로 동료로 영입이 가능해진다. 하지만 동료가 불가능한 NPC가 있는데 나이팅게일의 녹터널과 칼라이아가 대표적이다.
* addtofaction : 대상을 해당 팩션으로 강제 가입시킨다. 강제 동료화 콘솔에 쓰이는 것으로 일반 NPC 팩션을 변경하면 동료화가 가능해지는 NPC가 있는데 이것을 이용해 만들어 줄 수 있다. 강제 동료화 콘솔 사용 시 "addtofaction 5c84d 3(혹은 4)" 를 입력하면 대체로 동료로 영입이 가능해진다. 하지만 동료가 불가능한 NPC가 있는데 나이팅게일의 녹터널과 칼라이아가 대표적이다.
* enable : 선택한 물체를 드러나게 해준다.
* disable : 선택한 물체를 사라지게 해준다. 다만 인게임상에서는 제거 처리되지 않는 한 계속 남아있어서 적대적인 적을 이걸로 없애버리면 빠른여행이 불가능한 문제가 발생하기도 한다.


=== [[스타크래프트]] ===
=== [[스타크래프트]] ===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