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성의 가르간티아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영상물 정보
{{애니메이션 정보
|영상물이름  = 취성의 가르간티아
|구분 = TV 애니메이션
|원어이름    = {{일본어=|翠星のガルガンティア}}
|장르 = SF, 로봇
|배경색      =  
|제목 = 취성의 가르간티아
|글자색      =  
|제목/원어 = 翠星のガルガンティア
|그림        = [[파일:Gargantia on the Verdurous Planet logo.png|200px]]
|제목/기타 = Gargantia on the Verdurous Planet
{{탭
|로고 = [[파일:Gargantia on the Verdurous Planet logo.png]]
|그림 = {{탭
|여백좁게 = y
|여백좁게 = y
|버튼여백좁게 = y
|제목1 = 티저 비주얼
|제목1 = 비주얼
|내용1 = [[파일:Gargantia on the Verdurous Planet teaser visual.png]]
|내용1 = [[파일:Gargantia on the Verdurous Planet key visual.png]]
|제목2 = 비주얼
|제목2 = 티저 비주얼
|내용2 = [[파일:Gargantia on the Verdurous Planet key visual.png]]
|내용2 = [[파일:Gargantia on the Verdurous Planet teaser visual.png]]
}}
}}
|그림설명    = 키 비주얼
|화수 = 전 13화+미방영 2화
|배급사      =
|후속작 = [[취성의 가르간티아 ~순환하는 항로, 저 멀리~]]
|방송채널    = [[TOKYO MX]]
<!-- 방영 정보: 일본 -->
|제작사      = [[Production I.G]]
|방영일자 = 2013년 4월 7일 ~ 2013년 6월 30일
|감독        = 무라타 카즈야
|최속방송 = TOKYO MX
|제작        =  
|방영시각 = 일요일 22:00 ~ 22:30
|작가        =
|방영사이트 =  
|출연        =
|공식사이트 = {{URL|http://gargantia.jp/}}
|해설        =  
<!-- 방영 정보: 한국 -->
|장르        = SF, 로봇
|한국방영일자 =  
|나라        = {{나라|일본}}
|한국최속방송 = 애니플러스
|언어        = [[일본어]]
|한국방영시각 =  
|연작제목    =  
|한국방영사이트 =  
|개봉일      =  
|한국공식사이트 =  
|방영일      = 2013년 4월 7일 ~ 2013년 6월 30일
<!-- 제작 정보 -->
|방영시각    = 일요일 22:00 ~ 22:30
|원작 = 오케아노스
|시즌수      =  
|총감독 =  
|화수        = 전 13화+미방영 2화
|감독 = 무라타 카즈야
|시간        =  
|시리즈 구성 = [[우로부치 겐]]
|시리즈       =  
|음악 = 이와사키 타로
|이전작품    =  
|제작사 = [[Production I.G]]
|다음작품    = [[취성의 가르간티아 ~순환하는 항로, 저 멀리~]]
|제작위원회 = 「취성의 가르간티아」 제작위원회
|웹사이트    = {{URL|http://gargantia.jp/}}
<!-- 세부 제작 정보 -->
|캐릭터원안  = [[나루코 하나하루]]
|각본 =  
|캐릭터디자인 = 타시로 마사코
|연출 =
|연출        =
|캐릭터 원안 = [[나루코 하나하루]]
|미술        =  
|캐릭터 디자인 = 타시로 마사코
|촬영감독    =  
|메카닉디자인 = 이시와타리 마코토
|음악        = 이와사키 타로
|배경 =  
|여는곡      =  
|작화감독 =  
|닫는곡      =  
|미술감독 =  
|영상포맷    =  
|색채설계 =  
|음성포맷    =  
|음향감독 =  
|번역배급사  =  
|음악제작 =  
|번역방송채널 = [[애니플러스]]
|촬영감독 =  
|번역개봉일  =  
|편집 =  
|번역방영일  =  
|특수효과 =  
|번역방영시각 =  
|3D감독 =  
|비고        =  
|기획 =  
|프로듀스 =  
}}
}}
《'''취성의 가르간티아'''》({{일본어=|翠星のガルガンティア}})는 2013년에 방영한 [[일본]]의 오리지널 TV 애니메이션과 그 파생 작품을 말한다. 애니메이션의 제작은 [[Production I.G]]에서 맡았으며 각본은 [[니트로플러스]]의 [[우로부치 겐]]이 맡았다.
《'''취성의 가르간티아'''》(翠星のガルガンティア)는 2013년에 방영한 [[일본]]의 오리지널 TV 애니메이션과 그 파생 작품을 말한다. 애니메이션의 제작은 [[Production I.G]]에서 맡았으며 각본은 [[니트로플러스]]의 [[우로부치 겐]]이 맡았다.


TV 시리즈 종영 뒤에 속편으로 [[#OVA|OVA]] 《[[취성의 가르간티아 ~순환하는 항로, 저 멀리~]]》가 제작되었으며, 애니메이션의 뒷이야기를 그린 [[라이트 노벨]] 《[[취성의 가르간티아 ~머나먼 해후의 천지~]]》로 완결되었다.
TV 시리즈 종영 뒤에 속편으로 [[#OVA|OVA]] 《[[취성의 가르간티아 ~순환하는 항로, 저 멀리~]]》가 제작되었으며, 애니메이션의 뒷이야기를 그린 [[라이트 노벨]] 《[[취성의 가르간티아 ~머나먼 해후의 천지~]]》로 완결되었다.


== 줄거리 ==
== 줄거리 ==
먼 미래, 아득한 은하의 끝. 인류는 이형의 괴생명체 히디어즈와 종의 존속을 건 싸움을 계속하고 있었다. 격렬한 싸움 속에서, 소년병 '''레도'''는 탑승기 '''체임버'''와 함께 시공의 틈으로 말려든다.
먼 미래, 아득한 은하의 끝. 인류는 이형의 괴생명체 히디어즈와 종의 존속을 건 싸움을 계속하고 있었다. 격렬한 싸움 속에서, 소년병 레도는 탑승기 체임버와 함께 시공의 틈으로 말려든다. 인공 동면에서 깨어난 레도는 잊혀진 변방의 행성 지구에 표착한 것을 알게 된다. 표면 대부분이 바다로 뒤덮인 지구에서 사람들은 거대한 선단을 이뤄 구시대 문명의 유물을 해저에서 인양하며 살아가고 있었다. 이곳은 그런 선단 중 하나, 가르간티아. 말도 통하지 않고, 문화도 관습도 다른 미지의 환경에 당황한 레도. 할 수 없이, 에이미 등 가르간티아 사람들과의 공생을 모색하기 시작하지만, 그것은 싸움 이외의 살아가는 법을 몰랐던 레도에겐 놀라움으로 가득 찬 나날의 시작이었다.


인공 동면에서 깨어난 레도는 잊힌 변방의 행성 지구에 표착한 것을 알게 된다. 표면 대부분이 바다로 뒤덮인 지구에서 사람들은 거대한 선단을 이뤄 구시대 문명의 유물을 해저에서 인양하며 살아가고 있었다. 이곳은 그런 선단 하나, 가르간티아. 말도 통하지 않고, 문화도 관습도 다른 미지의 환경에 당황한 레도. 할 없이, '''에이미''' 등 가르간티아 사람들과의 공생을 모색하기 시작하지만, 그것은 싸움 이외의 살아가는 법을 몰랐던 레도에겐 놀라움으로 가득 찬 나날의 시작이었다.
== 등장인물 ==
;레도 (レド)
:{{배지|성우}} [[이시카와 카이토]]
:[[주인공]]. 인류은하동맹의 병사였으나 히디어즈와의 결전 끝에 퇴각하던 [[웜홀]]에 빨려들어 자신의 기체인 체임버와 함께 알 없는 별에 불시착한다.


== 등장인물 ==
;체임버 (チェインバー)
{{등장인물 목록/시작}}
:{{배지|기체 넘버}} K-6821<br />{{배지|성우}} [[스기타 토모카즈]]
{{등장인물 목록
:레도가 탑승한 양산형 머신 캘리버 및 그에 탑재된 파일럿 지원계발 인터페이스 시스템.
|이름 = 레도 ({{일본어=|レド}})
 
|그림 = 레도 100x100.png
;에이미 (エイミー)
|성우 = [[이시카와 카이토]]
:{{배지|성우}} [[카네모토 히사코]]
|설명 = [[주인공]]. 인류은하동맹의 병사였으나 히디어즈와의 결전 끝에 퇴각하던 중 [[웜홀]]에 빨려들어 자신의 기체인 체임버와 함께 알 수 없는 별에 불시착한다.
:가르간티아의 주민. 활발하고 호기심 왕성한 소녀다.
}}
 
{{등장인물 목록
;사야 (サーヤ)
|이름 = 체임버 ({{일본어=|チェインバー}})
:{{배지|성우}} [[카야노 아이]]
|그림 = 체임버 100x100.png
:가르간티아의 주민. 에이미, 멜티와 함께 곧잘 행동하는 3인방 소녀 중 한 명이다.
|성우 = [[스기타 토모카즈]]
 
|설명 = 레도가 탑승한 양산형 머신 캘리버 및 그에 탑재된 파일럿 지원계발 인터페이스 시스템. 기체 넘버는 K-6821.
;멜티 (メルティ)
}}
:{{배지|성우}} [[아스미 카나]]
{{등장인물 목록
:가르간티아의 주민. 에이미, 사야와 함께 곧잘 행동하는 3인방 소녀 중 한 명이다.
|이름 = 에이미 ({{일본어=|エイミー}})
 
|그림 = 에이미 100x100.png
;벨로즈 (ベローズ)
|성우 = [[카네모토 히사코]]
:{{배지|성우}} [[이토 시즈카]]
|설명 = 가르간티아의 주민. 활발하고 호기심 왕성한 소녀다.
 
}}
;리지트 (リジット)
{{등장인물 목록
:{{배지|성우}} [[오하라 사야카]]
|이름 = 사야 ({{일본어=|サーヤ}})
 
|그림 = 사야 100x100.png
;피니언 (ピニオン)
|성우 = [[카야노 아이]]
:{{배지|성우}} [[코니시 카츠유키]]
|설명 = 가르간티아의 주민. 곧잘 에이미, 멜티와 함께 행동하는 3인방 소녀 중 한 명이다.
 
}}
;베벨 (ベベル)
{{등장인물 목록
:{{배지|성우}} [[테라사키 유카]]
|이름 = 멜티 ({{일본어=|メルティ}})
|그림 = 멜티 100x100.png
|성우 = [[아스미 카나]]
|설명 = 가르간티아의 주민. 곧잘 에이미, 사야와 함께 행동하는 3인방 소녀 중 한 명이다.
}}
{{등장인물 목록
|이름 = 벨로즈 ({{일본어=|ベローズ}})
|그림 = 벨로즈 100x100.png
|성우 = [[이토 시즈카]]
|설명 =
}}
{{등장인물 목록
|이름 = 리지트 ({{일본어=|リジット}})
|그림 = 리지트 100x100.png
|성우 = [[오하라 사야카]]
|설명 =
}}
{{등장인물 목록
|이름 = 피니언 ({{일본어=|ピニオン}})
|그림 = 피니언 100x100.png
|성우 = [[코니시 카츠유키]]
|설명 =
}}
{{등장인물 목록
|이름 = 베벨 ({{일본어=|ベベル}})
|그림 = 베벨 100x100.png
|성우 = [[테라사키 유카]]
|설명 =
}}
{{등장인물 목록/끝}}


== 용어 ==
== 용어 ==
143번째 줄: 117번째 줄:


;빛벌레 (ヒカリムシ)
;빛벌레 (ヒカリムシ)
:바다 속을 떠돌며 전자파를 흡수해서 발전ㆍ발광 현상을 일으키는 기이한 벌레. 정체는 구 문명 시대에 바다에 퍼진 [[나노머신]]이다.
:바다 속을 떠돌며 전자파를 흡수해서 발전·발광 현상을 일으키는 기이한 벌레. 정체는 구 문명 시대에 바다에 퍼진 [[나노머신]]이다.


;고래오징어 (クジライカ)
;고래오징어 (クジライカ)
:바다 속에 사는 기이한 대형 생물. 먼저 건드리지만 않으면 무해하나 누군가 위해를 끼치면 극히 흉포해진다. 가르간티아 선단의 사람들을 비롯한 지구의 인간들은 오래 전부터 경외시하며 불가침의 존재로 여기고 있었다.
:바다 속에 사는 기이한 대형 생물. 먼저 건드리지만 않으면 무해하나 누군가 위해를 끼치면 극히 흉포해진다. 가르간티아 선단의 사람들을 비롯한 지구의 인간들은 오래 전부터 경외시하며 불가침의 존재로 여기고 있었다.
== 주제가 ==
{{유튜브|imonnVcoqe8}}
* 오프닝 테마 『'''이 세계는 우리를 기다리고 있었다'''』 (この世界は僕らを待っていた)
** {{배지|노래}} [[치하라 미노리]]
** {{배지|작사}} [[하타 아키]] {{배지|작곡ㆍ편곡}} 나카츠치 토모히로
** 오프닝 파트가 없는 제1화와 제13화에서는 엔딩 테마로 사용되었다.
{{유튜브|4W2OseDQQYk}}
* 엔딩 테마 『'''하늘과 너의 메시지'''』 (空とキミのメッセージ)
** {{배지|노래}} [[ChouCho]]
** {{배지|작사}} 코다마 사오리 {{배지|작곡ㆍ편곡}} 야부키 카나
** 제1화와 제13화에서는 사용되지 않았다.
== 에피소드 ==
블루레이 박스에 TV 미방영화인 제14화와 제15화가 특전 영상으로 수록되었다.
{{탭
|버튼여백좁게 = y
|제목1 = 제1화
|내용1 =
<gallery mode=packed>
Gargantia on the Verdurous Planet ep01 ss01.webp
Gargantia on the Verdurous Planet ep01 ss02.webp
</gallery>
;제1화. 표류자 ({{일본어=|漂流者}})
아득한 우주의 심연, 인류은하동맹은 종의 존속을 걸고 이형의 우주생명체군 히디어스와 끝나지 않는 전쟁을 이어가고 있었다. 인류은하동맹의 병사 레도는 퇴각하는 중에 예기치 못한 워프 사고에 말려든다. 상관인 쿠겔 중령의 원호도 헛되이 레도는 탑승기인 인간형 기동 병기 체임버와 함께 공간의 일그러짐으로 내던져졌다.
레도가 다음에 정신이 든 순간, 체임버는 낯선 격납고에 누워 있었다. 긴급 사태에 빠진 레도는 반년 동안 인공 동면하고, 외부로부터 자극을 받은 체임버가 레도를 각성시킨 것이다. 주위를 둘러싼 미지의 언어를 말하는 미지의 사람들. 현재 위치를 상실했으며 구난신호에도 응답은 없다. 어떡하면 되는가. 분명이 뒤떨어진 변경 행성에 단 홀로 표류했다고 생각한 레도는 인기척이 없어지기를 가늠해 전선에 복귀하기 위해서 행동을 일으킨다. 체임버의 밖으로 나온 레도. 그 앞에 한 소녀가 서 있었다. 그때 레도는…….
|제목2 = 제2화
|내용2 =
<gallery mode=packed>
Gargantia on the Verdurous Planet ep02 ss01.webp
Gargantia on the Verdurous Planet ep02 ss02.webp
</gallery>
;제2화. 시작의 행성 ({{일본어=|始まりの惑星}})
|제목3 = 제3화
|내용3 =
<gallery mode=packed>
Gargantia on the Verdurous Planet ep03 ss01.webp
Gargantia on the Verdurous Planet ep03 ss02.webp
</gallery>
;제3화. 무뢰 여제 ({{일본어=|無頼の女帝}})
|제목4 = 제4화
|내용4 =
<gallery mode=packed>
Gargantia on the Verdurous Planet ep04 ss01.webp
Gargantia on the Verdurous Planet ep04 ss02.webp
</gallery>
;제4화. 추억의 피리 ({{일본어=|追憶の笛}})
|제목5 = 제5화
|내용5 =
<gallery mode=packed>
Gargantia on the Verdurous Planet ep05 ss01.webp
Gargantia on the Verdurous Planet ep05 ss02.webp
</gallery>
;제5화. 잔잔한 날 ({{일본어=|凪の日}})
|제목6 = 제6화
|내용6 =
<gallery mode=packed>
Gargantia on the Verdurous Planet ep06 ss01.webp
Gargantia on the Verdurous Planet ep06 ss02.webp
</gallery>
;제6화. 사육제 ({{일본어=|謝肉祭}})
|제목7 = 제7화
|내용7 =
<gallery mode=packed>
Gargantia on the Verdurous Planet ep07 ss01.webp
Gargantia on the Verdurous Planet ep07 ss02.webp
</gallery>
;제7화. 병사의 숙명 ({{일본어=|兵士のさだめ}})
|제목8 = 제8화
|내용8 =
<gallery mode=packed>
Gargantia on the Verdurous Planet ep08 ss01.webp
Gargantia on the Verdurous Planet ep08 ss02.webp
</gallery>
;제8화. 이별 ({{일본어=|離別}})
|제목9 = 제9화
|내용9 =
<gallery mode=packed>
Gargantia on the Verdurous Planet ep09 ss01.webp
Gargantia on the Verdurous Planet ep09 ss02.webp
</gallery>
;제9화. 심해의 비밀 ({{일본어=|深海の秘密}})
|제목10 = 제10화
|내용10 =
<gallery mode=packed>
Gargantia on the Verdurous Planet ep10 ss01.webp
Gargantia on the Verdurous Planet ep10 ss02.webp
</gallery>
;제10화. 야망의 섬 ({{일본어=|野望の島}})
|제목11 = 제11화
|내용11 =
<gallery mode=packed>
Gargantia on the Verdurous Planet ep11 ss01.webp
Gargantia on the Verdurous Planet ep11 ss02.webp
</gallery>
;제11화. 공포의 패왕 ({{일본어=|恐怖の覇王}})
|제목12 = 제12화
|내용12 =
<gallery mode=packed>
Gargantia on the Verdurous Planet ep12 ss01.webp
Gargantia on the Verdurous Planet ep12 ss02.webp
</gallery>
;제12화. 결단의 때 ({{일본어=|決断のとき}})
|제목13 = 제13화
|내용13 =
<gallery mode=packed>
Gargantia on the Verdurous Planet ep13 ss01.webp
Gargantia on the Verdurous Planet ep13 ss02.webp
</gallery>
;제13화. 푸른 별의 전설 ({{일본어=|翠の星の伝説}})
|제목14 = 제14화
|내용14 =
;제14화. 폐허선단 (廃墟船団) {{-1|{{색|#4188f1|[Blu-ray BOX 1 수록]}}}}
|제목15 = 제15화
|내용15 =
;제15화. 도래인의 제단 (まれびとの祭壇) {{-1|{{색|#4188f1|[Blu-ray BOX 3 수록]}}}}
}}
== 엔드 카드 ==
[[엔드 카드]]는 첫 방영판과 재방영판이 다르다.
<gallery mode="packed" caption="첫 방영판">
Gargantia on the Verdurous Planet end card ep01.png|제1화<br />그림: [[나루코 하나하루]]
Gargantia on the Verdurous Planet end card ep02.png|제2화<br />그림: 쿠우.
Gargantia on the Verdurous Planet end card ep03.png|제3화<br />그림: 시모츠키 에이토
Gargantia on the Verdurous Planet end card ep04.png|제4화<br />그림: [[karory]]
Gargantia on the Verdurous Planet end card ep05.png|제5화<br />그림: [[Hisasi]]
Gargantia on the Verdurous Planet end card ep06.png|제6화<br />그림: [[츠지 산타]]
Gargantia on the Verdurous Planet end card ep07.png|제7화<br />그림: [[히무라 키세키]]
Gargantia on the Verdurous Planet end card ep08.png|제8화<br />그림: 키쿠라게
Gargantia on the Verdurous Planet end card ep09.png|제9화<br />그림: 카스카베 아키라
Gargantia on the Verdurous Planet end card ep10.png|제10화<br />그림: [[야에가시 난]]
Gargantia on the Verdurous Planet end card ep11.png|제11화<br />그림: 카모
Gargantia on the Verdurous Planet end card ep12.png|제12화<br />그림: [[이즈미 츠바스]]
Gargantia on the Verdurous Planet end card ep13.png|제13화<br />그림: [[이시케이]]
</gallery>
<gallery mode="packed" caption="재방영판">
Gargantia on the Verdurous Planet end card ep01 repeat.png|제1화<br />그림: [[마냐코]]
Gargantia on the Verdurous Planet end card ep02 repeat.png|제2화<br />그림: Z톤
Gargantia on the Verdurous Planet end card ep03 repeat.png|제3화<br />그림: [[파세리]]
Gargantia on the Verdurous Planet end card ep04 repeat.png|제4화<br />그림: 타카나에 쿄린
Gargantia on the Verdurous Planet end card ep05 repeat.png|제5화<br />그림: 마타로
Gargantia on the Verdurous Planet end card ep06 repeat.png|제6화<br />그림: 다가시
Gargantia on the Verdurous Planet end card ep07 repeat.png|제7화<br />그림: [[칸자키 카루나]]
Gargantia on the Verdurous Planet end card ep08 repeat.png|제8화<br />그림: 카와카미 슈이치
Gargantia on the Verdurous Planet end card ep09 repeat.png|제9화<br />그림: [[논 (일러스트레이터)|논]]
Gargantia on the Verdurous Planet end card ep10 repeat.png|제10화<br />그림: 사사오카 군구
Gargantia on the Verdurous Planet end card ep11 repeat.png|제11화<br />그림: [[Azusa (일러스트레이터)|Azusa]]
Gargantia on the Verdurous Planet end card ep12 repeat.png|제12화<br />그림: 타니 유지
Gargantia on the Verdurous Planet end card ep13 repeat.png|제13화<br />그림: [[나루코 하나하루]]
</gallery>


== 제작진 ==
== 제작진 ==
{{세로목록|열너비=20em|목록=
{{세로목록|열너비=20em|목록=
* 원작: 오케아노스
* 원작: 오케아노스
* 원안ㆍ감독: 무라타 카즈야
* 원안·감독: 무라타 카즈야
* 원안ㆍ시리즈 구성: [[우로부치 겐]]
* 원안·시리즈 구성 (TVA), 스토리 감수 (OVA): [[우로부치 겐]]
* 캐릭터 원안: [[나루코 하나하루]]
* 캐릭터 원안: [[나루코 하나하루]]
* 애니메이션 캐릭터 디자인: 타시로 마사코
* 애니메이션 캐릭터 디자인: 타시로 마사코
* 메카닉 디자인: 이시와타 마코토
* 메카닉 디자인: 이시와타 마코토
* 가르간티아 디자인: 오카다 토모아키
* 가르간티아 디자인: 오카다 토모아키
* 설정 고증ㆍ디자인: 오구라 신야
* 설정 고증·디자인: 오구라 신야, 시라토 세이이치 (OVA)
* 소도구 디자인: 츠네키 시노부, 무라야마 쇼코
* 소도구 디자인: 츠네키 시노부, 무라야마 쇼코
* 미술 감독: 카코이 히로츠구
* 미술 감독: 카코이 히로츠구
* 미술 감수ㆍ미술 설정: 카토 히로시
* 미술 감수·미술 설정: 카토 히로시
* 색채 설계: 타나카 미호
* 색채 설계: 타나카 미호
* 3D 감독: 엔도 마코토
* 3D 감독: 엔도 마코토 (TVA), 스도 유 (OVA)
* 3D 테크니컬 디렉터: 스도 유우
* 3D 테크니컬 디렉터: 스도 유우
* 모니터 웍스: 키치조지 트론
* 모니터 웍스: 키치조지 트론
* 특수 효과: 무라카미 마사히로, 오타 노리유키
* 특수 효과: 무라카미 마사히로 (TVA), 오타 노리유키
* 촬영 감독: 타나카 코지
* 촬영 감독: 타나카 코지
* 편집: 하마츠우츠 타에코
* 편집: 하마츠우츠 타에코
* 음향 감독: [[아케타가와 진]]
* 음향 감독: [[아케타가와 진]]
* 음악: 이와시로 타로
* 음악: 이와시로 타로
* 음악 제작: [[란티스]]
* 음악 제작: 란티스
* 치프 프로듀서: 오카와라 켄, [[데지타로]], 츠노다 히로아키, 타나카 후미히로
* 치프 프로듀서: 오카와라 켄, [[데지타로]], 츠노다 히로아키, 타나카 후미히로
* 프로듀서: 키쿠가와 히로유키, 히라사와 나오, 묘진 이치로, 키타다 슈이치, 코이케 카츠미, 오타 츠요시, 후미노리 메구미
* 프로듀서
** TVA: 키쿠가와 히로유키, 히라사와 나오, 묘진 이치로, 키타다 슈이치, 코이케 카츠미, 오타 츠요시, 후미노리 메구미
** OVA: 키쿠가와 히로유키, 스즈키 테츠시, 무라마츠 유우키, 키타다 슈이치, 키자라 요헤이, 야마다 카호, 후미노리 메구미
* 애니메이션 프로듀서: 오카미 유마
* 애니메이션 프로듀서: 오카미 유마
* 애니메이션 제작: [[Production I.G]]
* 애니메이션 제작: [[Production I.G]]
* 제작: 「취성의 가르간티아」 제작위원회 ([[반다이 비주얼]], Production I.G, [[니트로플러스]], YTE, [[란티스]], [[굿스마일 컴퍼니]], [[부시로드]])
* 제작: 「취성의 가르간티아」 제작위원회 ([[반다이 비주얼]], Production I.G, [[니트로플러스]], YTE, [[란티스]], [[굿스마일 컴퍼니]], [[부시로드]])
}}
}}
== 주제가 ==
{{유튜브|imonnVcoqe8}}
* 오프닝 테마 『'''이 세계는 우리를 기다리고 있었다'''』 (この世界は僕らを待っていた)
** {{배지|노래}} [[치하라 미노리]]
** {{배지|작사}} [[하타 아키]] {{배지|작곡·편곡}} 나카츠치 토모히로
** 오프닝 파트가 없는 제1화와 제13화에서는 엔딩 테마로 사용되었다.
{{유튜브|4W2OseDQQYk}}
* 엔딩 테마 『'''하늘과 너의 메시지'''』 (空とキミのメッセージ)
** {{배지|노래}} [[ChouCho]]
** {{배지|작사}} 코다마 사오리 {{배지|작곡·편곡}} 야부키 카나
** 제1화와 제13화에서는 사용되지 않았다.
== 에피소드 ==
{| class="wikitable"
! 회차 !! 제목 !! 비고
|-
| 제1화 || 표류자 (漂流者) ||
|-
| 제2화 || 시작의 행성 (始まりの惑星) ||
|-
| 제3화 || 무뢰 여제 (無頼の女帝) ||
|-
| 제4화 || 추억의 피리 (追憶の笛) ||
|-
| 제5화 || 잔잔한 날 (凪の日) ||
|-
| 제6화 || 사육제 (謝肉祭) ||
|-
| 제7화 || 병사의 숙명 (兵士のさだめ) ||
|-
| 제8화 || 이별(離別) ||
|-
| 제9화 || 심해의 비밀 (深海の秘密) ||
|-
| 제10화 || 야망의 섬 (野望の島) ||
|-
| 제11화 || 공포의 패왕 (恐怖の覇王) ||
|-
| 제12화 || 결단의 때 (決断の時) ||
|-
| 제13화 || 푸른 별의 전설 (翠の星の伝説) ||
|-
| 제14화 || 폐허선단 (廃墟船団) || Blu-ray BOX 1에 수록된 TV 미방영화
|-
| 제15화 || 도래인의 제단 (まれびとの祭壇) || Blu-ray BOX 3에 수록된 TV 미방영화
|}
== 엔드 카드 ==
{{빈 문단}}


== 쇼트 애니메이션 ==
== 쇼트 애니메이션 ==
[[스튜디오 푸YUKAI]]에서 제작한 쇼트 애니메이션 《'''푸칫토 가르간티아'''》({{일본어=|ぷちっとがるがんてぃあ}})가 《취성의 가르간티아》 공식 사이트에서 2013년 4월 10일부터 2013년 7월 3일까지 전 13화 구성으로 방영했다.
[[스튜디오 푸YUKAI]]에서 제작한 쇼트 애니메이션 《'''푸칫토 가르간티아'''》(ぷちっとがるがんてぃあ)가 《취성의 가르간티아》 공식 사이트에서 2013년 4월 10일부터 2013년 7월 3일까지 전 13화 구성으로 방영했다.


== OVA ==
== OVA ==
Blu-ray BOX에 미방영화인 제14·15화가 [[OVA]]로서 수록되었다.
;[[취성의 가르간티아 ~순환하는 항로, 저 멀리~]]
;[[취성의 가르간티아 ~순환하는 항로, 저 멀리~]]
:{{배지|발매 기간}} 2014년 11월~2015년 5월
:{{배지|발매 기간}} 2014년 11월~2015년 5월
448번째 줄: 309번째 줄:
[[분류:SF 만화]]
[[분류:SF 만화]]
[[분류:로봇 만화]]
[[분류:로봇 만화]]
[[분류:애니메이션 원작 만화]]
[[분류:뉴타입 에이스]]
[[분류:뉴타입 에이스]]
[[분류:패미통 문고]]
[[분류:패미통 문고]]
453번째 줄: 315번째 줄:
[[분류:SF 소설]]
[[분류:SF 소설]]
[[분류:로봇 소설]]
[[분류:로봇 소설]]
[[분류:애니메이션 원작 소설]]
[[분류:2013년 소설]]
[[분류:2013년 소설]]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는 다음의 숨은 분류 2개에 속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