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무공 이순신급 구축함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선박 정보
{{사용자:Pika/대체용 틀
|선박이름 = 충무공 이순신급 구축함
|선박이름 = 충무공 이순신급 구축함
|원어이름 =  
|원어이름 =  
15번째 줄: 15번째 줄:
|정원    = 230명
|정원    = 230명
|적재용량 =  
|적재용량 =  
|모항    =  
|모항    = <!-- 일반 제원 -->
|IMO      =  
|IMO      =  
|호출부호 =  
|호출부호 =  
43번째 줄: 43번째 줄:
==전투능력==
==전투능력==
===방공 능력===
===방공 능력===
[[파일:ROKS Munmu the Great (DDH 976).jpg|썸네일|(연돌) 뒤 AH/SPS-49,(마스트 위) MW-08]]
[[File:ROKS Munmu the Great (DDH 976).jpg|썸네일|(연돌) 뒤 AH/SPS-49,(마스트 위) MW-08]]


충무공 이순신급은 단거리 개함 방공 능력만 보유했던 KD-1 광개토대왕급과 달리 스텐다드 SM-2 미사일로 중장거리 요격 능력을 확보해 구역 방공이 가능한 함정으로 거듭났다.
충무공 이순신급은 단거리 개함 방공 능력만 보유했던 KD-1 광개토대왕급과 달리 스텐다드 SM-2 미사일로 중장거리 요격 능력을 확보해 구역 방공이 가능한 함정으로 거듭났다.
50번째 줄: 50번째 줄:
다층 방공망 개념은 자함에 가해지는 위협에 대응할 기회를 보다 더 확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었고 이같은 이점으로 KD-3 세종대왕급 구축함 역시 동일한 다층방공망 개념을 계승하게 된다.
다층 방공망 개념은 자함에 가해지는 위협에 대응할 기회를 보다 더 확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었고 이같은 이점으로 KD-3 세종대왕급 구축함 역시 동일한 다층방공망 개념을 계승하게 된다.


[[파일:SPS-49 Air Search Radar antenna.jpg|200픽셀|썸네일|AN/SPS-49]]
[[File:SPS-49 Air Search Radar antenna.jpg|200픽셀|썸네일|AN/SPS-49]]
[[파일:MW-08 Radar POS Corte Real (F332) 2009-07-10.jpg|200픽셀|썸네일|문제의 MW-08]]
[[File:MW-08 Radar POS Corte Real (F332) 2009-07-10.jpg|200픽셀|썸네일|문제의 MW-08]]


충무공 이순신급이 보유한 구역 방공체계의 경우 일부 이지스 체계에 준한다는 다목표 방공 교전체계 NTU<ref>New Threat Upgrade, 1990년대 미해군에서 실행된 개량사업을 의미하며 구형 함정들에 SM-2 운용능력을 부여하고 현대적 방공임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였다. 현존하는 NTU 함정으로는 12개의 표적과 동시교전 능력이 있는 [[키드급 구축함]]이 대표적이다. </ref>를 적용하여 2차원 장거리 레이더(AN/SPS-49)와 3차원 레이더의 조합을 통해 최대 5~6개의 목표와 동시교전이 가능한 성능을 보여줄 것으로 기대되었다.
충무공 이순신급이 보유한 구역 방공체계의 경우 일부 이지스 체계에 준한다는 다목표 방공 교전체계 NTU<ref>New Threat Upgrade, 1990년대 미해군에서 실행된 개량사업을 의미하며 구형 함정들에 SM-2 운용능력을 부여하고 현대적 방공임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였다. 현존하는 NTU 함정으로는 12개의 표적과 동시교전 능력이 있는 [[키드급 구축함]]이 대표적이다. </ref>를 적용하여 2차원 장거리 레이더(AN/SPS-49)와 3차원 레이더의 조합을 통해 최대 5~6개의 목표와 동시교전이 가능한 성능을 보여줄 것으로 기대되었다.
64번째 줄: 64번째 줄:
따라서 원거리에선 사거리가 긴 스텐다드 미사일을 이용해 공대함 공격을 차단하는 데는 효과적이나 다수의 대함미사일 요격에는 약한 모습을 보인다.
따라서 원거리에선 사거리가 긴 스텐다드 미사일을 이용해 공대함 공격을 차단하는 데는 효과적이나 다수의 대함미사일 요격에는 약한 모습을 보인다.
===대잠 체계===
===대잠 체계===
[[파일:LYNX ROK aircraft 0133.jpg|200픽셀|썸네일|이함하는 링스헬기]]<ref>후방의 함정은 광개토대왕급</ref>
[[File:LYNX ROK aircraft 0133.jpg|200픽셀|썸네일|이함하는 링스헬기]]<ref>후방의 함정은 광개토대왕급</ref>


소나 체계는 함수 소나와 함미의 예인 소나 조합으로 구성된다. 함수 소나는 DSQS-21BZ를, 예인 소나는 SQR240K 흑룡 소나를 사용하며 흑룡 소나의 경우 다중 주파수 대역에 대해 100km범위 내에서 수중 목표를 탐지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소나 체계는 함수 소나와 함미의 예인 소나 조합으로 구성된다. 함수 소나는 DSQS-21BZ를, 예인 소나는 SQR240K 흑룡 소나를 사용하며 흑룡 소나의 경우 다중 주파수 대역에 대해 100km범위 내에서 수중 목표를 탐지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104번째 줄: 104번째 줄:
==운용 및 실전==
==운용 및 실전==
===일반===
===일반===
[[파일:US Navy 100725-N-6720T-114 Choi Young (DDH 981) escorts USS Goerge Washington (CVN 73) after leaving the port of Busan, Republic of Korea.jpg|썸네일|부산항에 입항하는 조지 워싱턴과 호위하는 최영함]]
[[File:US Navy 100725-N-6720T-114 Choi Young (DDH 981) escorts USS Goerge Washington (CVN 73) after leaving the port of Busan, Republic of Korea.jpg|썸네일|부산항에 입항하는 조지 워싱턴과 호위하는 최영함]]


충무공 이순신급에 속하는 6척의 함정 모두 해군의 기동부대인 [[제7기동전단]]에 소속되어 있다.
충무공 이순신급에 속하는 6척의 함정 모두 해군의 기동부대인 [[제7기동전단]]에 소속되어 있다.
136번째 줄: 136번째 줄:
==동급 함정==
==동급 함정==
===함정 목록===
===함정 목록===
[[파일:Republic of Korea Destroyers Yi (DDG 975) and Euljimundok (DDG 972).jpg|썸네일|진주만에 정박한 충무공 이순신함(좌)]]
[[File:Republic of Korea Destroyers Yi (DDG 975) and Euljimundok (DDG 972).jpg|썸네일|진주만에 정박한 충무공 이순신함(좌)]]
[[파일:Choi Young (DDH-981) cropped.jpg|썸네일|최영함]]
[[File:Choi Young (DDH-981) cropped.jpg|썸네일|최영함]]
[[파일:ROKS Kang Gamchan steams by a line of ROK Navy ships during the International Fleet Review.jpg|썸네일|강감찬함]]
[[File:ROKS Kang Gamchan steams by a line of ROK Navy ships during the International Fleet Review.jpg|썸네일|강감찬함]]
{| class="wikitable"
{| class="wikitable"
|-
|-
158번째 줄: 158번째 줄:
본문: '''[[KDDX]]'''
본문: '''[[KDDX]]'''


KDX-4로도 불리기도 한 계획으로 2009년 국정감사에서 KD-2A라는 명칭으로 처음 공개되었다. 원래 계획은 충무공 이순신급 선체를 바탕으로 마스트를 통합마스트로 설계 변경하여 소형 이지스 레이더인 SPY/1-F, 혹은 그에 버금가는 레이더를 다는 계획이었다. 기존 설계를 바탕으로 만들어서 군함을 비교적 싸게 획득하려고 했던 것이 처음 의도였다.
KDX-4로도 불리기도 한 계획으로 2009년 국정감사에서 KD-2A라는 명칭으로 처음 공개되었다.
 
그러나 2013년에 한국형 차기 구축함(KDDX)이란 명칭과 함께 새로운 형상이 공개되면서 KD-2와는 별개의 계획으로 확정되었다. 한국형 구축함 사업의 후계 사업으로 진행되는 건함 사업이다.


그러나 2013년에 한국형 차기 구축함(KDDX)이란 명칭과 함께 새로운 형상이 공개되면서 KD-2와는 별개의 계획으로 확정되었고 한국형 구축함 사업의 후계 사업으로 진행되는 건함 사업이다.
한국형 미니 이지스함이란 별칭으로 불려지며 경하 6,000톤, 만재 8,000톤 정도 체급으로 예정되어 충무공 이순신급과 세종대왕급 사이 공백을 메꿔줄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한국형 미니 이지스함이란 별칭으로 불려지며 경하 6,000톤, 만재 8,000톤 정도 체급으로 예정되어 충무공 이순신급과 세종대왕급 사이 공백을 메꿔줄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L-SAM의 레이더에서 파생된 4면 배열 AESA레이더가 장착된 통합 마스트가 채용되어 S밴드와 X밴드 병용 주파수를 사용하게 될 것이다. 추가로 IRST가 마스트에 통합되어 레이더를 보조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L-SAM의 레이더에서 파생된 4면 배열 AESA레이더가 장착된 통합 마스트가 채용되어 S밴드와 X밴드 병용 주파수를 사용하게 될 것이며 추가로 IRST가 마스트에 통합되어 레이더를 보조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전체적으로 강력한 스텔스 형상을 띄고 있는것이 특징이라 매우 낮은 반사면적을 보일 것으로 예상되며 64쉘의 확장된 KVLS를 달 예정이라 무장 체계도 기존 구축함들보다 강화될 것이다.
전체적으로 강력한 스텔스 형상을 띄고 있는것이 특징이라 매우 낮은 반사면적을 보일 것으로 예상되며 64쉘의 확장된 KVLS를 달 예정이라 무장 체계도 기존 구축함들보다 강화될 것이다.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