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고압직류송전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초고압직류송전'''(high-voltage, direct current, '''HVDC''')는 전력 그리드 시스템중 하나라고 볼 수 있다.<ref>{{웹 인용|url=http://www.abb.com/cawp/seitp202/40b621aafd3db79cc1257225002fcd3d.aspx|title=ABB opens era of power superhighways}}</ref><ref>{{웹 인용|url=http://www.windsystemsmag.com/article/detail/558/high-voltage-direct-current-hvdc-transmission-super-highway-benefits-to-the-plains-and-southeast|title=High Voltage Direct Current (HVDC) Transmission Super Highway Benefits to the Plains and Southeast}}</ref><ref>{{웹 인용|url=https://stateimpact.npr.org/oklahoma/2015/02/05/wind-power-superhighway-could-help-transform-panhandle-into-u-s-energy-hub/|title=Wind Power ‘Superhighway’ Could Help Transform Panhandle Into U.S. Energy Hub}}</ref><ref>{{웹 인용|url=https://books.google.es/books?id=XAQyZXvjusEC&pg=PA31&dq=High-voltage+direct+current+super+highway&hl=es&sa=X&ved=0CFMQ6AEwBWoVChMIs7bz8N3rxgIVTLIUCh3iUQnV#v=onepage&q=High-voltage%20direct%20current%20super%20highway&f=false|title=The Governance of Energy Megaprojects: Politics, Hubris and Energy Security}}</ref> 즉 간단하게 초고압 직류를 송전하는 것을 줄인 것이다.<ref>Arrillaga, Jos; High Voltage Direct Current Transmission, second edition, Institution of Electrical Engineers, {{ISBN|0 85296 941 4}}, 1998.</ref>
'''초고압직류송전'''(high-voltage, direct current, '''HVDC''')는 전력 그리드 시스템중 하나라고 볼 수 있다.<ref>{{cite web|url=http://www.abb.com/cawp/seitp202/40b621aafd3db79cc1257225002fcd3d.aspx|title=ABB opens era of power superhighways}}</ref><ref>{{cite web|url=http://www.windsystemsmag.com/article/detail/558/high-voltage-direct-current-hvdc-transmission-super-highway-benefits-to-the-plains-and-southeast|title=High Voltage Direct Current (HVDC) Transmission Super Highway Benefits to the Plains and Southeast}}</ref><ref>{{cite web|url=https://stateimpact.npr.org/oklahoma/2015/02/05/wind-power-superhighway-could-help-transform-panhandle-into-u-s-energy-hub/|title=Wind Power ‘Superhighway’ Could Help Transform Panhandle Into U.S. Energy Hub}}</ref><ref>{{cite web|url=https://books.google.es/books?id=XAQyZXvjusEC&pg=PA31&dq=High-voltage+direct+current+super+highway&hl=es&sa=X&ved=0CFMQ6AEwBWoVChMIs7bz8N3rxgIVTLIUCh3iUQnV#v=onepage&q=High-voltage%20direct%20current%20super%20highway&f=false|title=The Governance of Energy Megaprojects: Politics, Hubris and Energy Security}}</ref> 즉 간단하게 초고압 직류를 송전하는 것을 줄인 것이다.<ref>Arrillaga, Jos; High Voltage Direct Current Transmission, second edition, Institution of Electrical Engineers, {{ISBN|0 85296 941 4}}, 1998.</ref>


HVDC는 주파수가 상이한 교류전력망 간의 송전이 가능하다. 동-서 전력망의 주파수가 다른 일본 같은 국가가 이를 사용하는데, 직류니까 교류로 다시 바꿔주기 전까진 주파수라는 개념이 없는 것이다. 또한 전자파가 발생하지 않는다.
HVDC는 주파수가 상이한 교류전력망 간의 송전이 가능하다. 동-서 전력망의 주파수가 다른 일본 같은 국가가 이를 사용하는데, 직류니까 교류로 다시 바꿔주기 전까진 주파수라는 개념이 없는 것이다. 또한 전자파가 발생하지 않는다.
13번째 줄: 13번째 줄:
먼거리의 HVDC 송전은 일반적으로 같은 교류 송전보다 가격이 저렴하고 에너지 효율이 더 높다. 터미널의 HVDC 변환기는 비용이 엄청나게 깨지지만, 직류 라인은 선이 별로 없어도 상관없어서 훨씬 덜 나간다. 대충 1000km당 3.5%의 전류가 손실되는데, 같은 전압의 교류는 30~40%가 깨진다. 아 물론, 짧은 거리라면 이 변환기로 인해서 가격이 훅 날아가서 잇점이 사라지게 된다. 거기다가 변환장비들은 엄청나게 많아서 신뢰성이 떨어지는데, 약 98.5%의 가용성을 보여준다.
먼거리의 HVDC 송전은 일반적으로 같은 교류 송전보다 가격이 저렴하고 에너지 효율이 더 높다. 터미널의 HVDC 변환기는 비용이 엄청나게 깨지지만, 직류 라인은 선이 별로 없어도 상관없어서 훨씬 덜 나간다. 대충 1000km당 3.5%의 전류가 손실되는데, 같은 전압의 교류는 30~40%가 깨진다. 아 물론, 짧은 거리라면 이 변환기로 인해서 가격이 훅 날아가서 잇점이 사라지게 된다. 거기다가 변환장비들은 엄청나게 많아서 신뢰성이 떨어지는데, 약 98.5%의 가용성을 보여준다.


그리고 HVDC에서는 변환소가 또 중요한데, 변환소에 들어가는 물건 또한 비싸고, 과부하도 못거는 상황이 벌어질수 있다. 또한 짧은거리의 경우, 교류보다 더 많은 손실률을 보일수 있다.<ref>{{웹 인용|url=http://www.lib.ncsu.edu/resolver/1840.16/10105|title=Design, Modeling and Control of Modular Multilevel Converter based HVDC Systems. - NCSU Digital Repository|website=www.lib.ncsu.edu|access-date=2016-04-17}}</ref>
그리고 HVDC에서는 변환소가 또 중요한데, 변환소에 들어가는 물건 또한 비싸고, 과부하도 못거는 상황이 벌어질수 있다. 또한 짧은거리의 경우, 교류보다 더 많은 손실률을 보일수 있다.<ref>{{Cite web|url=http://www.lib.ncsu.edu/resolver/1840.16/10105|title=Design, Modeling and Control of Modular Multilevel Converter based HVDC Systems. - NCSU Digital Repository|website=www.lib.ncsu.edu|access-date=2016-04-17}}</ref>


거기다가 다중 터미널 시스템도 구축하는게 빡세고, 전류 흐름이 컨버터 제어 시스템에 맡겨져 있는지라 교환소 하나가 터지면 '''다 터지는 결과'''를 낳는다. 그리고 '''현재도 계속 개발중인 물건'''인지라, 돈이 또 제대로 깨질 가능성이 존재한다는게 흠이다.
거기다가 다중 터미널 시스템도 구축하는게 빡세고, 전류 흐름이 컨버터 제어 시스템에 맡겨져 있는지라 교환소 하나가 터지면 '''다 터지는 결과'''를 낳는다. 그리고 '''현재도 계속 개발중인 물건'''인지라, 돈이 또 제대로 깨질 가능성이 존재한다는게 흠이다.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이 문서는 다음의 숨은 분류 1개에 속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