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도 동호인/용어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9번째 줄: 19번째 줄:
* 부김경: [[부산-김해경전철]]의 준말.
* 부김경: [[부산-김해경전철]]의 준말.
* 김골, 김골라: [[김포골드라인]]의 준말.
* 김골, 김골라: [[김포골드라인]]의 준말.
* 김포골병라인: 김포골드라인의 비하적인 별칭. 연선의 높은 수요가 고작 2량 경전철에 몰리면서 가축수송의 일상화로 인해 붙은 멸칭에 가깝다.
* 김포골병라인: 김포골드라인의 별명.
* 쥐택시, 좃택시: [[GTX]]의 별명.
* 쥐택시, 좃택시: [[GTX]]의 별명.
* 기응즌츨: [[경전철]]의 사투리. 부산에서 경전철이라고 잘못 말하는 경우가 많은 [[동해선 광역전철]]의 별명이기도 하다.
* 기응즌츨: [[경전철]]의 사투리. 부산에서 경전철이라고 잘못 말하는 경우가 많은 [[동해선 광역전철]]의 별명이기도 하다.
* [[고자]]: 중심지로 들어가지 못하는 노선을 이르는 말. (예: [[수도권 전철 경춘선|상봉고자]], [[중부내륙선|부발고자]] 등)
* [[고자]]: 중심지로 들어가지 못하는 노선을 이르는 말. (예: [[수도권 전철 경춘선|상봉고자]], [[중부내륙선|부발고자]] 등)
*[[버뮤다 삼각지대|버뮤다 응암지대]]: [[서울 지하철 6호선#응암순환|응암순환선]]의 별명.


== 열차 등급 ==
== 열차 등급 ==
* 케텍, : [[KTX]](케이티엑스)를 한글로 줄여 적은 것.
* 케텍, : [[KTX]](케이티엑스)를 한글로 줄여 적은 것.
* 개택시, 코리안 택시: KTX의 비하적인 별명. 지역이기주의가 작용하여 정차역이 지속적으로 추가되면서 표정속도 저하로 인한 고속철도의 본질이 사라진 상태를 의미한다.
* 개택시, 코리안 택시: KTX의 별명.
* 설렁탕, 에살티, 에쌀티: [[SRT]]의 별명.
* 설렁탕, 에살티, 에쌀티: [[SRT]]의 별명.
* 아택시, 잉택시: [[ITX]]의 별명.
* 아택시, 잉택시: [[ITX]]의 별명.
** 잉청춘: [[ITX-청춘]]의 별명.
** 잉청춘: [[ITX-청춘]]의 별명.
** 잉마을, 잉말, 잉새말: [[ITX-새마을]]의 별명.
** 잉마을: [[ITX-새마을]]의 별명.
** 잉마음, 잉맘: [[ITX-마음]]의 별명.
*구마을, 헌마을: ITX-새마을과 구분할 때 쓰는 [[새마을호]]의 별명.
* 구마을, 헌마을: ITX-새마을과 구분할 때 쓰는 [[새마을호]]의 별명.
* 통궁화: 통일호 폐지 이후 통일호가 다니던 구간과 유사하게 다니던 각역정차 [[무궁화호]](일명 통근형 무궁화) 의 별칭.
* 통궁화: 통일호 폐지 이후 통일호가 다니던 구간과 유사하게 다니던 각역정차 [[무궁화호]](일명 통근형 무궁화) 의 별칭.


45번째 줄: 43번째 줄:
* 천급: 수도권 전철 1호선에 다니는 [[천안역|천안]]행 급행열차의 준말.
* 천급: 수도권 전철 1호선에 다니는 [[천안역|천안]]행 급행열차의 준말.
* 동급: 수도권 전철 1호선에 다니는 [[동인천역|동인천]]행 급행열차의 준말.
* 동급: 수도권 전철 1호선에 다니는 [[동인천역|동인천]]행 급행열차의 준말.
* 초록급행: 출퇴근 시간대 [[서울역]] 시종착하는 경부선 계통 수도권 전철 1호선 급행열차의 별칭.
*신창라이너: 서울역~[[신창역]] 사이를 운행했던 [[누리로]] 열차를 이르는 말. 일본에서 단거리 좌석형 열차를 '~라이너'라고 부르는 데서 유래되었다.
* 신창라이너: 서울역~[[신창역]] 사이를 운행했던 [[누리로]] 열차를 이르는 말. 일본에서 단거리 좌석형 열차를 '~라이너'라고 부르는 데서 유래되었다.
*임진강라이너, 도라산라이너: 광역전철이 운행하기 전에 다녔던 [[경의선]] [[새마을호]]를 이르는 말.
* 임진강라이너, 도라산라이너: 광역전철이 운행하기 전에 다녔던 [[경의선]] [[새마을호]]를 이르는 말.
*진해라이너: 동대구역~진해역 사이를 운행했던 새마을호를 이르는 말.
* 진해라이너: 동대구역~진해역 사이를 운행했던 새마을호를 이르는 말.


== 역 ==
== 역 ==
* [[유리궁전]]: 유리벽으로 만든 역사를 이르는 말. 주로 2000년대 이후 개량되거나 신설되는 코레일 역사의 외부에 커튼월 방식을 적용하면서 역사 외부가 온통 유리벽으로 마감된 외형을 의미한다.
* [[유리궁전]]: 유리벽으로 만든 역사를 이르는 말.
* 스도: [[스크린도어]]의 준말.
* 스도: [[스크린도어]]의 준말.
* [[바로타]]: 개찰구 바로 앞에 승강장이 있는 역 구조를 이르는 말. 대표적으로 [[노량진역]] 급행 승강장, [[장암역]] 등.
* [[바로타]]: 개찰구 바로 앞에 승강장이 있는 역 구조를 이르는 말.
* [[막장환승]]: 환승 거리가 긴 것을 이르는 말
* [[막장환승]]: 환승 거리가 긴 것을 이르는 말
* [[개념환승]]: 환승 거리가 짧은 것을 이르는 말.
* [[개념환승]]: 환승 거리가 짧은 것을 이르는 말.
* ㅇㅅ: [[오송역]]의 별명. 간혹 [[이수역]]을 일컫는 경우도 있다.
* ㅇㅅ: [[오송역]]의 별명. 간혹 [[이수역]]을 일컫는 경우도 있다.
* [[뻐큐|ㅗ]]송: 오송역의 별명.
*[[뻐큐|ㅗ]]송: 오송역의 별명.
* 광명공항: 공항처럼 수요에 비해 으리으리하게 지어져서 생긴 [[광명역]]의 별명.
* 광명공항: 공항처럼 쓸떼없이 으리으리하게 지어서 생긴 [[광명역]]의 별명.
* 팡띵역: 광명역의 [[야민정음]] 표기.
*팡띵역: 광명역의 [[야민정음]] 표기.
* 헬도림: [[신도림역]]의 별명.
* 헬도림: [[신도림역]]의 별명.
* ㅊㅅㄷㅇㄱ, 철싸대입구: [[이수역]]의 별명.
* ㅊㅅㄷㅇㄱ, 철싸대입구: [[이수역]]의 별명.
66번째 줄: 63번째 줄:
* 구디단: [[구로디지털단지역]]의 준말.
* 구디단: [[구로디지털단지역]]의 준말.
* 동역공, 동역문공, 동역문: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의 준말.
* 동역공, 동역문공, 동역문: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의 준말.
* 김공: [[김포공항역]]의 준말.
*김공: [[김포공항역]]의 준말.
* [[가즈아]]역: [[가좌역]]의 별명.
*[[가즈아]]역: [[가좌역]]의 별명.
* 팡운머역: [[광운대역]]의 야민정음 표기.
*팡운머역: [[광운대역]]의 야민정음 표기.


== 차량 ==
== 차량 ==
* 알바: 다른 노선에 속한 차량이 임시로 운행하는 것을 말한다. 또는 관광열차 전용 견인기가 다른 편성의 열차를 견인하는 경우도 여기 해당된다.
* 알바: 다른 노선에 속한 차량이 임시로 운행하는 것을 말한다. 또는 관광열차 전용 견인기가 다른 편성의 열차를 견인하는 경우도 여기 해당된다.
* 상어: [[한국철도공사 100000호대 전동차]](KTX)의 별명. [[KTX-산천]]과 구별하기 위해 생겨난 별명인 듯 하다.
* 상어: [[한국철도공사 100000호대 전동차]](KTX)의 별명. [[KTX-산천]]과 구별하기 위해 생겨난 별명인 듯 하다.
* [[와인산천]]: 보라색 계열 도색이 와인색을 연상시킨다는 이유로 부여된 KTX-산천 2세대 120000호대의 별명. 현재 전량 [[SRT]] 차량으로 운행중이며, SRT 임대 이전 코레일이 운영하던 시절에 생성된 별명이다. 해당 열차는 더이상 KTX-산천으로 운행하지 않으므로 사장된 별명.
* [[와인산천]]: 와인색깔 도색을 한 KTX-산천의 별명.
* 싸다싸: [[CDC]]의 별명.
* 싸다싸: [[CDC]]의 별명.
** 싸궁화, 라동철: [[RDC]]의 별명.
** 싸궁화, 라동철: [[RDC]]의 별명.
92번째 줄: 89번째 줄:
* 신저항: 1994년부터 1997년까지 도입된 [[한국철도공사 1000호대 전동차]]의 별명.
* 신저항: 1994년부터 1997년까지 도입된 [[한국철도공사 1000호대 전동차]]의 별명.
* 개조저항: 1999년 이후로 도입, 개조한 [[한국철도공사 1000호대 전동차]], [[서울교통공사 1000호대 저항제어 전동차]]의 별명.
* 개조저항: 1999년 이후로 도입, 개조한 [[한국철도공사 1000호대 전동차]], [[서울교통공사 1000호대 저항제어 전동차]]의 별명.
* [[현대로템 통근형 VVVF 전동차 (1세대)|납작이]]: 1993년부터 1999년까지 도입된 [[한국철도공사 341000호대 전동차]], [[한국철도공사 351000호대 전동차]] [[한국철도공사 311000호대 전동차]]의 별명. 우리나라 최초의 [[VVVF]] 전동차다. 현직자들은 깍두기라고 부르기도 한다.
* [[한국철도공사 통근형 VVVF 전동차/1세대|납작이]]: 1993년부터 1999년까지 도입된 [[한국철도공사 341000호대 전동차]], [[한국철도공사 351000호대 전동차]] [[한국철도공사 311000호대 전동차]]의 별명. 우리나라 최초의 [[VVVF]] 전동차다.
* [[현대로템 통근형 VVVF 전동차 (2세대)|동글이]]: 1999년부터 2004년까지 도입된 [[한국철도공사 341000호대 전동차]], [[한국철도공사 351000호대 전동차]] [[한국철도공사 311000호대 전동차]]의 별명.
* [[한국철도공사 통근형 VVVF 전동차/2세대|동글이]]: 1999년부터 2004년까지 도입된 [[한국철도공사 341000호대 전동차]], [[한국철도공사 351000호대 전동차]] [[한국철도공사 311000호대 전동차]]의 별명.
* [[한국철도공사 통근형 VVVF 전동차 (현대로템 3세대)|뱀눈이]]: 2005년부터 2017년까지 도입된 [[코레일]] 소속의 통근형 전동차의 별명.
* [[한국철도공사 통근형 VVVF 전동차/3세대|뱀눈이]]: 2005년부터 2017년까지 도입된 [[코레일]] 소속의 통근형 전동차의 별명.
** 삼눈이: 2016년 이후에 상단에 헤드라이트가 추가되어 나온 뱀눈이를 이르는 말.
** 삼눈이: 2016년 이후에 상단에 헤드라이트가 추가되어 나온 뱀눈이를 이르는 말.
*[[한국철도공사 통근형 VVVF 전동차 (현대로템 4세대)|주둥이]]: 2018년부터 도입되고 있는 코레일 소속의 통근형 전동차의 별명.
*[[주둥이]]: 2018년부터 도입되고 있는 코레일 소속의 통근형 전동차의 별명.
* 큐브: 2022년에 우진산전에서 새로 제작한 코레일 소속의 통근형 전동차의 별명.
* 큐브: 2022년에 우진산전에서 새로 제작한 코레일 소속의 통근형 전동차의 별명.
* 소시지: 벌크양회 화차의 별명.
*소시지: 벌크양회 화차의 별명.
* 자석도색: [[수도권 전철 1호선]], [[경의·중앙선]]에 다니고 있는 코레일 소속의 전동차 도색을 이르는 말. 왜인지는 [[등짝을 보자|문짝을 보자]]. 막대[[자석]]이 그려져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 자석도색: [[수도권 전철 1호선]], [[경의·중앙선]]에 다니고 있는 코레일 소속의 전동차 도색을 이르는 말. 왜인지는 [[등짝을 보자|문짝을 보자]]. 막대[[자석]]이 그려져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 호랑이 도색: 1990년대까지 쓰던 기관차의 주황-검은색의 얼룩줄무늬 도색을 이르는 말.
*호랑이 도색: 1990년대까지 쓰던 기관차의 주황-검은색의 얼룩줄무늬 도색을 이르는 말.
* 구도색: 철도청 시절 쓰던 녹색 계열의 기관차 도색을 이르는 말.
*구도색: 철도청 시절 쓰던 녹색 계열의 기관차 도색을 이르는 말.
* 고추장 도색: 동차형 새마을호([[DHC]]) 최초 도색에서 기인한 별명으로, 당시 기관실 전두부가 강렬한 빨간 도색이 적용되었었다.<ref>덧붙여 빨간 기관실 도색 뒤로는 은빛이 감도는 스테인레스 외벽이 연결되어 마치 고추장에 찍은 마른 멸치를 연상시키기도 했다.</ref> 동차형 새마을호 퇴역 이후 코레일은 화물 견인 전용 특대형 7500호대 및 신조 도입한 7600호대 기관차의 도색을 온통 빨간색으로 뒤덮으면서 고추장 도색의 역사를 이어가고 있다. [[ITX-새마을]]과 [[ITX-마음]] 역시 고추장 도색 기조를 보여주고 있다.
*고추장 도색: 빨강색으로 떡칠한 7500호대 특대형과 7600호대 기관차 도색을 이르는 말.
* 코마개: 동차형 기관차의 전두부 [[연결기]] 커버의 별명. 마스크라 부르기도 했었다.
* 코마개: 동차형 기관차의 전두부 [[연결기]] 커버의 별명. 마스크라 부르기도 했었다.
* 짬뽕: 도색, 차종이 서로 다른 차량이 한 편성으로 다니는 것을 이르는 말. 회송열차들 중에서 심심치 않게 볼 수 있다. 특히 [[CDC]]는 코레일 표준 도색 적용 전 지역마다 각자 특색있는 도장을 적용했는데, 이 차량들이 검수고에 들어갔다 나오면서 뒤죽박죽 섞이면서 짬뽕도색의 절정을 보여준 역사가 있다. 또한 철도청이 철도공사로 전환하면서 녹색 계열의 철도청 도색이 하늘색 계열의 철도공사 도색으로 변경되던 과도기에 무궁화호나 새마을호 객차의 도색이 뒤섞였던 시기도 있었다.
* 짬뽕: 도색, 차종이 서로 다른 차량이 한 편성으로 다니는 것을 이르는 말. 회송열차들 중에서 심심치 않게 볼 수 있다.
* 배불뚝이: 옆면이 곡면이고 뚱뚱하게 생긴 [[서울교통공사 쵸퍼제어 전동차/GEC]]의 별명.
* 배불뚝이: 옆면이 곡면이고 뚱뚱하게 생긴 [[서울교통공사 쵸퍼제어 전동차/GEC]]의 별명.
* 메뚜기: 배불뚝이를 제외한 서울 2호선의 저항제어, 쵸퍼제어 전동차의 별명.
*메뚜기: 배불뚝이를 제외한 서울 2호선의 저항제어, 쵸퍼제어 전동차의 별명.
* 밥통, 커피포트: [[서울교통공사 VVVF 전동차 (현대로템 3세대)#2호선 4차|서울 지하철 2호선 VVVF 전동차의 4차 도입분]]의 별명.
*밥통, 커피포트: [[서울교통공사 VVVF 전동차/2세대#2호선 4차|서울 지하철 2호선 VVVF 전동차의 4차 도입분]]의 별명.
* S차: 공동운행 구간인 수도권 전철 1, 3, 4호선에 투입되는 서울교통공사 소속 전동차를 이르는 말.
*S차: 서울교통공사 소속 차량을 이르는 말.
* K차: 공동운행 구간인 수도권 전철 1, 3, 4호선에 투입되는 코레일 소속 전동차를 이르는 말.
*K차: 코레일 소속 차량을 이르는 말.
* 전자레인지: [[JR 히가시니혼 E235계 전동차]]의 별명.
*전자레인지: [[JR 히가시니혼 E235계 전동차]]의 별명.
* [[지멘스 옥타브]] : 지멘스사에서 제작한 인버터에서 발생하는 소리를 의미. 대한민국에서는 대표적으로 [[한국철도공사 8200호대 전기기관차]]의 발차 구동음 옥타브가 유명하다.
*[[지멘스 옥타브]] : 지멘스사에서 제작한 인버터에서 발생하는 소리를 의미
*우소덴: 합성한 전동차 사진을 이르는 말.


== 운영사, 관련 기관 ==
== 운영사, 관련 기관 ==
140번째 줄: 136번째 줄:
* 트타: [[OpenTTD]]의 준말.
* 트타: [[OpenTTD]]의 준말.
* 잡사: '잡다한 사진'의 준말.
* 잡사: '잡다한 사진'의 준말.
* 강제정모: 철덕이 많이 몰려드는 행사(개통식, 종운식 등)를 이르는 말.
* 강제정모: 철덕이 많이 몰려드는 행사(개통식 등)를 이르는 말.
* 시승: 다른 목적 없이 열차를 타기 위한 목적만으로 철도를 이용하는 것을 이르는 말.
* 시승: 다른 목적 없이 열차를 타기 위한 목적만으로 철도를 이용하는 것을 이르는 말.
* 암철: 밤이나 터널 속과 같이 어두운 곳에서 찍은 열차 사진을 이르는 말.
* 암철: 밤이나 터널 속과 같이 어두운 곳에서 찍은 열차 사진을 이르는 말.
159번째 줄: 155번째 줄:
* 개목걸이: 개념이 없는 [[내일로|내일러]]를 이르는 말.
* 개목걸이: 개념이 없는 [[내일로|내일러]]를 이르는 말.
* 쩍벌, 쩍벌남: 지하철 의자에서 다리를 쩍 벌려 앉는 것을 이르는 말.
* 쩍벌, 쩍벌남: 지하철 의자에서 다리를 쩍 벌려 앉는 것을 이르는 말.
* 종점의 기적: 지하철 안에서 구걸하던 장애인이 종착역에 도착하면 멀쩡한 사람이 되는 기적(?)을 이르는 말. 장님이 개안한다거나 절름발이가 정상인으로 바뀐더거나..
* 종점의 기적: 지하철 안에서 구걸하던 장애인이 종착역에 도착하면 멀쩡한 사람이 되는 기적(?)을 이르는 말.
* 트램뽕, 트램성애자, 트램빠, 트램충, 트램병자 : [[대전 도시철도 2호선]] 때문에 생겨난 말로 [[노면전차]]를 맹목적으로 찬양하는 사람을 이르는 말. {{ㅊ|특히 [[권선택|이 분]].}}
* 트램뽕, 트램성애자, 트램빠, 트램충, 트램병자 : [[대전 도시철도 2호선]] 때문에 생겨난 말로 [[노면전차]]를 맹목적으로 찬양하는 사람을 이르는 말. {{ㅊ|특히 [[권선택|이 분]].}}
* [[핌피]]충, [[님비]]충: 지역 이기주의자를 이르는 말.
* [[핌피]]충, [[님비]]충: 지역 이기주의자를 이르는 말.
168번째 줄: 164번째 줄:
== 기타 ==
== 기타 ==
* [[공기수송]]: 공기만 싣고 다닐 정도로 승객이 적은 상태를 이르는 말.
* [[공기수송]]: 공기만 싣고 다닐 정도로 승객이 적은 상태를 이르는 말.
* [[가축수송]]: 승객이 몰려서 마치 도축장으로 향하는 트럭 적재함에 빼곡히 압착된 가축들처럼 옴짤달싹 못하는 상태를 이르는 말.
* [[가축수송]]: 사람이 아닌 가축을 싣고 다닐 정도로 승객이 많은 상태를 이르는 말.
* 지옥철: 지옥같이 혼잡한 지하철을 이르는 말. 특히 지하철 도입 초창기 여름철 출퇴근 시간대에 에어컨도 없이 선풍기로 냉방을 돌리던 저항제어 전동차에 빼곡히 탑승했던 시민들은 그야말로 지옥철<ref>러시아워때 몰린 수요로 인한 가축수송 상태 + 인파로 인한 열기 + 선풍기에 의존한 꿉꿉한 더운 바람 + 저항제어 특성상 차량 하부에서 올라오는 저항기의 열기 + 변변한 냉방시설이 없었던 당시 지하역의 상황</ref>이 무엇인지 뼈저리게 느꼈었다.  
* 지옥철: 지옥같이 혼잡한 지하철을 이르는 말.
* [[티스푼 공사]]: 티스푼으로 파서 공사하듯이 느린 공사를 이르는 말. KR 타임, 철시공 타임, 연기대상이라고 말하기도 한다.
* [[티스푼 공사]]: 티스푼으로 파서 공사하듯이 느린 공사를 이르는 말. KR 타임, 철시공 타임, 연기대상이라고 말하기도 한다.
** 이쑤시개 공사 : 티스푼 공사보다 더 느려터진 속도의 공사를 두고 하는 말. 땅을 이쑤시개로 파내는 속도라는 의미.
** 이쑤시개 공사 : 티스푼 공사보다 더 느려터진 속도의 공사를 두고 하는 말. 땅을 이쑤시개로 파내는 속도라는 의미.
* 선개통 후완공: 역 건물을 완공하기 전에 먼저 개통하는 것을 이르는 말. 심한 경우 엘리베이터가 설치될 공간에 고작 부실한 안전줄로 땜빵해서 추락사고의 위험성까지 보여준 사례가 많다.
* 선개통 후완공: 완공하기 전에 먼저 개통하는 것을 이르는 말.
* 뾲선: [[복복선]]을 두 글자로 줄여서 쓴 말.
* 뾲선: [[복복선]]을 두 글자로 줄여서 쓴 말.
* [[드리프트]]: 급곡선 구간을 이르는 말. 고속철도에서는 [[호남고속선]]의 오송역 드리프트와 [[무안공항역]] 드리프트, 일반철도에서는 [[호남선]]의 [[개태사역]] 드리프트, 광역철도에서는 신분당선의 용산역 드리프트와 [[인덕원동탄선]]의 [[흥덕역]] 드리프트, 도시철도에서는 [[서울 지하철 1호선]]의 [[종각역]] 드리프트가 유명하다.
* 드리프트: 급곡선 구간을 이르는 말. 고속철도에서는 [[호남고속선]]의 오송역 드리프트와 [[무안공항역]] 드리프트, 일반철도에서는 [[호남선]]의 [[개태사역]] 드리프트, 광역철도에서는 신분당선의 용산역 드리프트와 [[인덕원동탄선]]의 [[흥덕역]] 드리프트, 도시철도에서는 [[서울 지하철 1호선]]의 [[종각역]] 드리프트가 유명하다.
* 코레일 타임: 코리안 타임에서 온 말로 코레일의 잦은 지연 운행을 이르는 말.
* 코레일 타임: 코리안 타임에서 온 말로 코레일의 잦은 지연 운행을 이르는 말.
* 철[[알못]]: 철도에 대해 잘 알지 못하는 사람을 이르는 말이다.
* 철[[알못]]: 철도에 대해 잘 알지 못하는 사람을 이르는 말이다.
* 로지스, 크로이스: 열차 운행상태에 조회할 수 있는 사이트. 철도 출사가 목적이라면 필히 섭렵해야할 덕목이다.
*로지스, 크로이스: 열차 운행상태에 조회할 수 있는 사이트
* 농협: '''N'''ormal '''H'''our(비첨두시간대, [[러시아워]]의 반대말)의 별명.
*농협: '''N'''ormal '''H'''our(비첨두시간대, [[러시아워]]의 반대말)의 별명.
* 환승삥: 환승할 때 내는 추가요금을 속되게 이르는 말.
*환승삥: 환승할 때 내는 추가요금을 속되게 이르는 말.
* 기동카: [[기후동행카드]]의 준말.


== 관련 항목==
== 관련 항목==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