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안시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마을 정보
{{마을 정보
| 마을이름 = 천안
|마을이름   = 천안
| 원어이름 =  
|원어이름   =  
| 그림 = [[파일:Cheonan landscape.jpg]]
|그림       = [[파일:Cheonan landscape.jpg]]
| 그림설명 = 천안시 전경
|그림설명   = 천안시 전경
| 깃발 = Flag of Cheonan.svg
|깃발       =  
| 깃발설명 =  
|깃발설명   =  
| 휘장 =  
|휘장       =  
| 휘장설명 =  
|휘장설명   =  
| 지도 = South Chungcheong-Cheonan.svg
|지도       =  
| 지도설명 =  
|지도설명   =  
| 표어 =  
|표어       =  
| 노래 =  
|노래       =  
| 종류 = [[시 (행정구역)|시]]
|종류       = [[시 (행정구역)|시]]
| 나라 =  
|나라       =  
| 소속지역 = [[충청남도]]
|소속지역   = [[충청남도]]
| 수도 =  
|수도       =  
| 단체장직책 = 시장
|단체장직책 = 시장
| 단체장 = [[박상돈]] ([[국민의힘]])
|단체장     = [[박상돈]] ([[국민의힘]])
| 입법부 =  
|입법부     =  
| 국회의원 =  
|국회의원   =  
| 행정구역 = 2 구, 4 읍, 8면, 18 행정동
|행정구역   = 2 구, 4 읍, 8면, 18 행정동
| 인구 = 657,821
|인구       = 654,251
| 인구밀도 =  
|인구밀도   =  
| 인구 연도 = 2022년 기준
|인구 연도 = 2020년 기준
| 면적 = 642.84
|면적       = 642.836
| 설립일 =  
|설립일     =  
| 해체일 =  
|해체일     =  
| 시간대 = [[한국 표준시]] ([[UTC+09:00]])
|시간대     = [[한국 표준시]] ([[UTC+09:00]])
| ISO =  
|ISO       =  
| 마스코트 =  
|마스코트   =  
| 상징 = [[능수버들]] (나무)<br />[[개나리]] (꽃)<br />[[비둘기]] (새)
|상징       = [[능수버들]] (나무)<br />[[개나리]] (꽃)<br />[[비둘기]] (새)
| 웹사이트 = {{url|}}
|웹사이트   =  
| 비고 =  
|비고       =  
}}
}}


[[파일:Cheonan City Hall.JPG|섬네일|천안시청]]
[[File:Cheonan City Hall.JPG|섬네일|천안시청]]
'''천안시'''(天安市)는 [[대한민국]] [[충청남도]] 동북부 내륙에 있는 충청남도 최대의 [[시 (행정구역)|시]]이다. 동쪽으로 [[충청북도]] [[청주시]]·[[진천군]], 서쪽으로 [[충청남도]] [[아산시]], 남쪽으로 [[공주시]]·[[세종특별자치시]]와 인접하고, 북쪽으로는  [[경기도]] [[평택시]]·[[안성시]]와 경계를 이룬다.
'''천안시'''(天安市)는 [[대한민국]] [[충청남도]] 동북부 내륙에 있는 충청남도 최대의 [[시 (행정구역)|시]]이다. 동쪽으로 [[충청북도]] [[청주시]]·[[진천군]], 서쪽으로 [[충청남도]] [[아산시]], 남쪽으로 [[공주시]]·[[세종특별자치시]]와 인접하고, 북쪽으로는  [[경기도]] [[평택시]]·[[안성시]]와 경계를 이룬다.


44번째 줄: 44번째 줄:


[[조선|조선 시대]]에는 [[충청도]] [[공주목]]의 관할 지역이었고, 1895년 [[을미개혁]](乙未改革)이 추진되어 [[23부제]]를 실시하였을 때 [[공주부]]에 속하였다.
[[조선|조선 시대]]에는 [[충청도]] [[공주목]]의 관할 지역이었고, 1895년 [[을미개혁]](乙未改革)이 추진되어 [[23부제]]를 실시하였을 때 [[공주부]]에 속하였다.
* [[1914년]] [[천안군]], [[직산군]](현 [[직산읍]], [[성환읍]], [[성거읍]], [[입장면]]), [[목천군]](현 [[목천읍]], [[천안 북면|북면]], [[성남면]], [[수신면]], [[병천면]], [[천안 동면|동면]])이 '''천안군'''으로 통폐합되었다.<ref>도의위치관할구역및부군의명칭위치관할구역의규정 (제정 [[1913년]] [[12월 29일]] 조선총독부령 제111호)</ref>
* [[1914년]] [[천안군]], [[직산군]](현 [[직산읍]], [[성환읍]], [[성거읍]], [[입장면]]), [[목천군]](현 [[목천읍]], [[북면 (천안)|북면]], [[성남면]], [[수신면]], [[병천면]], [[동면 (천안)|동면]])이 '''천안군'''으로 통폐합되었다.<ref>도의위치관할구역및부군의명칭위치관할구역의규정 (제정 [[1913년]] [[12월 29일]] 조선총독부령 제111호)</ref>
* [[1963년]] [[1월 1일]] [[천안읍]]과 [[환성면]]이 통합하여 천안시로 승격되었고, 천안군 잔여지역은 [[천원군]]으로 개칭되어 12면 관할. 1991년 천원군이 천안군으로 개칭되었다.
* [[1963년]] [[1월 1일]] [[천안읍]]과 [[환성면]]이 통합하여 천안시로 승격되었고, 천안군 잔여지역은 [[천원군]]으로 개칭되어 12면 관할. 1991년 천원군이 천안군으로 개칭되었다.
* [[1995년]] [[5월 10일]] 천안시와 천안군을 통합하여 2읍 10면 13동을 관할하는 [[도농복합시]]가 되었다.<ref>법률 제4948호(1995.5.10공포)</ref>
* [[1995년]] [[5월 10일]] 천안시와 천안군을 통합하여 2읍 10면 13동을 관할하는 [[도농복합시]]가 되었다.<ref>법률 제4948호(1995.5.10공포)</ref>
54번째 줄: 54번째 줄:


== 지리 ==
== 지리 ==
{{빈 문단}}{{-}}
{{빈 문단}}


== 행정구역 ==
== 행정구역 ==
천안시는 2개 [[구 (행정구역)|구]](서북구, 동남구), 4개 [[읍]], 8개 [[면 (행정구역)|면]], 18개 [[행정동]]으로 이루어진다. 천안시의 면적은 636.25 ㎢,<ref>[http://www.cheonan.go.kr/sub_page/sub_page.asp?mc=0501020000 천안시의 행정구역], 2016년 3월 1일 확인</ref> 인구는 61만 명이다.
천안시는 2개 [[구 (행정구역)|구]](서북구, 동남구), 4개 [[읍]], 8개 [[면 (행정구역)|면]], 18개 [[행정동]]으로 이루어진다. 천안시의 면적은 636.25 ㎢,<ref>[http://www.cheonan.go.kr/sub_page/sub_page.asp?mc=0501020000 천안시의 행정구역], 2016년 3월 1일 확인</ref> 인구는 61만 명이다.
[[2015년]] [[7월]] 말을 기준으로 한 행정구역과 인구는 다음과 같다.
[[2015년]] [[7월]] 말을 기준으로 한 행정구역과 인구는 다음과 같다.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margin: 0 auto;clear:both;"
[[파일:Map_Cheonan_City_District-new.png|섬네일|555x555px]]
!읍·면·행정동 !! 한자 !! 인구 !! 세대 !! 면적<br />(㎢) !! 지도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
|-style="border-top:solid 2px darkgray;"
!읍·면·행정동 !! 한자 !! 인구 !! 세9대 !! 면적<br />(㎢)
|'''[[성환읍]]''' || 成歡邑 || 30,892 || 12,044 || 57.06 ||style="background:white" align=center rowspan=14|[[파일:Seobuk.cheonan-map1.png|450px]]
|- style="border-top:solid 2px darkgray;"
|'''[[성환읍]]'''|| 成歡邑 || 30,892 || 12,044 || 57.06
|-
|-
|'''[[직산읍]]'''|| 稷山邑 || 23,948 || 9,324 || 30.48
|'''[[직산읍]]''' || 稷山邑 || 23,948 || 9,324 || 30.48
|-
|-
|'''[[성거읍]]'''|| 聖居邑 || 21,904 || 8,299 || 31.44
|'''[[성거읍]]''' || 聖居邑 || 21,904 || 8,299 || 31.44
|-
|-
|'''[[입장면]]'''|| 笠長面 || 11,546 || 4,516 || 42.73
|'''[[입장면]]''' || 笠長面 || 11,546 || 4,516 || 42.73
|-
|-
|'''[[성정동|성정1동]]'''|| 星井1洞 || 19,312 || 9,009 || 1.42
|'''[[성정동|성정1동]]''' || 星井1洞 || 19,312 || 9,009 || 1.42
|-
|-
|'''[[성정동|성정2동]]'''|| 星井2洞 || 26,013 || 13,984 || 2.08
|'''[[성정동|성정2동]]''' || 星井2洞 || 26,013 || 13,984 || 2.08
|-
|-
|'''[[쌍용동|쌍용1동]]'''|| 雙龍1洞 ||16,605 || 6,242 || 0.87
|'''[[쌍용동|쌍용1동]]''' || 雙龍1洞 ||16,605 || 6,242 || 0.87
|-
|-
|'''[[쌍용동|쌍용2동]]'''|| 雙龍2洞 || 43,501 || 14,449 || 1.88
|'''[[쌍용동|쌍용2동]]''' || 雙龍2洞 || 43,501 || 14,449 || 1.88
|-
|-
|'''[[쌍용동|쌍용3동]]'''|| 雙龍3洞 || 22,902 || 8,318 || 1.54
|'''[[쌍용동|쌍용3동]]''' || 雙龍3洞 || 22,902 || 8,318 || 1.54
|-
|-
|'''[[불당동]]'''|| 佛堂洞 || 23,385 ||7,602 || 4.5
|'''[[불당동]]''' || 佛堂洞 || 23,385 ||7,602 || 4.5
|-
|-
|'''[[백석동 (천안)|백석동]]'''|| 白石洞 || 31,299 ||10,087 || 4.63
|'''[[백석동 (천안)|백석동]]''' || 白石洞 || 31,299 ||10,087 || 4.63
|-
|-
|'''[[부성동|부성1동]]'''|| 富城1洞 || 34,280 || 14,740 || 12.1
|'''[[부성동|부성1동]]''' || 富城1洞 || 34,280 || 14,740 || 12.1
|-
|-
|'''[[부성동|부성2동]]'''|| 富城2洞 ||32,662 || 14,140 || 7
|'''[[부성동|부성2동]]''' || 富城2洞 ||32,662 || 14,140 || 7
|- style="background:#CCCCCC;border-bottom:solid 2px dimgray;"
|-style="background:#CCCCCC;border-bottom:solid 2px dimgray;"
|'''[[서북구]]'''|| 西北區 || 338,249 || 132,684 || 197.68
|'''[[서북구]]''' || 西北區 || 338,249 || 132,684 || 197.68
|- style="border-top:solid 2px dimgray;"
|-style="border-top:solid 2px dimgray;"
|'''[[목천읍]]'''|| 木川邑 || 27,331 || 10,844 || 63.09
|'''[[목천읍]]''' || 木川邑 || 27,331 || 10,844 || 63.09 ||style="background:white" rowspan=18|[[파일:Dongnam.cheonan-map1.png|720px]]
|-
|-
|'''[[풍세면]]'''|| 豊歲面 || 5,009 || 2,113 || 30.25
|'''[[풍세면]]''' || 豊歲面 || 5,009 || 2,113 || 30.25
|-
|-
|'''[[광덕면]]'''|| 廣德面 || 4,639 || 2,124 || 80.50
|'''[[광덕면]]''' || 廣德面 || 4,639 || 2,124 || 80.50
|-
|-
|'''[[천안 북면|북면]]'''|| 北面 || 5,078 || 2,305 || 58.56
|'''[[북면 (천안)|북면]]''' || 北面 || 5,078 || 2,305 || 58.56
|-
|-
|'''[[성남면]]'''|| 城南面 || 4,420 || 1,703 || 33.01
|'''[[성남면]]''' || 城南面 || 4,420 || 1,703 || 33.01
|-
|-
|'''[[수신면]]'''|| 修身面 || 3,017 || 1,201 || 25.89
|'''[[수신면]]''' || 修身面 || 3,017 || 1,201 || 25.89
|-
|-
|'''[[병천면]]'''|| 竝川面 || 7,084 || 3,196 || 56.39
|'''[[병천면]]''' || 竝川面 || 7,084 || 3,196 || 56.39
|-
|-
|'''[[천안 동면|동면]]'''|| 東面 || 2,767 || 1,147 || 43.25
|'''[[동면 (천안)|동면]]''' || 東面 || 2,767 || 1,147 || 43.25
|-
|-
|'''[[중앙동 (천안)|중앙동]]'''|| 中央洞 || 6,415 || 3,234 || 0.86
|'''[[중앙동 (천안)|중앙동]]''' || 中央洞 || 6,415 || 3,234 || 0.86
|-
|-
|'''[[문성동]]'''|| 文城洞 || 5,512 || 2,775 || 0.60
|'''[[문성동]]''' || 文城洞 || 5,512 || 2,775 || 0.60
|-
|-
|'''[[원성동|원성1동]]'''|| 院城1洞 || 10,734 || 4,683 || 7.30
|'''[[원성동|원성1동]]''' || 院城1洞 || 10,734 || 4,683 || 7.30
|-
|-
|'''[[원성동|원성2동]]'''|| 院城2洞 || 13,046 || 5,668 || 0.84
|'''[[원성동|원성2동]]''' || 院城2洞 || 13,046 || 5,668 || 0.84
|-
|-
|'''[[신안동 (천안)|신안동]]'''|| 新安洞 || 35,110 || 14,823 || 11.54
|'''[[신안동 (천안)|신안동]]''' || 新安洞 || 35,110 || 14,823 || 11.54
|-
|-
|'''[[봉명동 (천안)|봉명동]]'''|| 鳳鳴洞 || 21,611 || 9,550 || 1.57
|'''[[봉명동 (천안)|봉명동]]''' || 鳳鳴洞 || 21,611 || 9,550 || 1.57
|-
|-
|'''[[일봉동]]'''|| 日峰洞 || 24,790 || 8,684 || 2.53
|'''[[일봉동]]''' || 日峰洞 || 24,790 || 8,684 || 2.53
|-
|-
|'''[[신방동]]'''|| 新芳洞 || 44,584 || 15,566 || 5.47
|'''[[신방동]]''' || 新芳洞 || 44,584 || 15,566 || 5.47
|-
|-
|'''[[청룡동]]'''|| 淸龍洞 || 46,091 || 15,789 || 16.89
|'''[[청룡동]]''' || 淸龍洞 || 46,091 || 15,789 || 16.89
|- style="background:#CCCCCC;border-bottom:solid 2px dimgray;"
|-style="background:#CCCCCC;border-bottom:solid 2px dimgray;"
|'''[[동남구]]'''|| 東南區 || 267,238 || 105,405 || 438.54
|'''[[동남구]]''' || 東南區 || 267,238 || 105,405 || 438.54
|-style="border-top:solid 2px darkgray;"
|-
|-
! colspan="2" align="center" |'''총계'''|| 603,003 || 246,097 || 636.25
!colspan=2 align=center | '''총계''' || 603,003 || 246,097 || 636.25 ||
|}
|}


212번째 줄: 211번째 줄:
* [[천성중학교]]
* [[천성중학교]]
* [[천안서여자중학교]]
* [[천안서여자중학교]]
* [[복자여자중학교]]
* [[천안복자여자중학교]]
* [[렘넌트글로벌스쿨]]
* [[렘넌트글로벌스쿨]]
* [[광풍중학교]]
* [[광풍중학교]]
301번째 줄: 300번째 줄:
[[경부선]]과 [[장항선]]이 시의 서부를 지난다. 경부선은 남북으로 뻗은 형태이며, 장항선은 시의 서부를 통해 온양, 예산, 홍성으로 향하는 형태이다. [[2004년]] [[4월 1일]], 천안시와의 경계지역인 [[아산시]] [[배방읍]] 장재리에 [[천안아산역]]이 개업하였고, [[2005년]] [[1월 20일]]부터 경부선, [[2008년]] [[12월 15일]]부터 장항선에 수도권 전철 1호선이 들어오게 되어 [[서울특별시|서울]]로의 접근성이 향상되었다.<ref>속도 및 가격 등급별로 [[한국고속철도|KTX]], [[새마을호]], [[무궁화호]], [[누리로]], 1호선 급행, 1호선 완행이 운행된다.</ref>
[[경부선]]과 [[장항선]]이 시의 서부를 지난다. 경부선은 남북으로 뻗은 형태이며, 장항선은 시의 서부를 통해 온양, 예산, 홍성으로 향하는 형태이다. [[2004년]] [[4월 1일]], 천안시와의 경계지역인 [[아산시]] [[배방읍]] 장재리에 [[천안아산역]]이 개업하였고, [[2005년]] [[1월 20일]]부터 경부선, [[2008년]] [[12월 15일]]부터 장항선에 수도권 전철 1호선이 들어오게 되어 [[서울특별시|서울]]로의 접근성이 향상되었다.<ref>속도 및 가격 등급별로 [[한국고속철도|KTX]], [[새마을호]], [[무궁화호]], [[누리로]], 1호선 급행, 1호선 완행이 운행된다.</ref>


* [[경부고속선]] ([[KTX]])
* [[한국철도공사]]
*: [[천안아산역]]
** [[경부고속선]] ([[KTX]])
* [[경부선]]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1}} [[수도권 전철 1호선|1호선]])
**: ([[경기도]] [[광명시]]) ← [[천안아산역]] → ([[충청북도]] [[청주시]])
*: [[성환역]], [[직산역]], [[두정역]], [[천안역]]
** [[경부선]]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1}} [[수도권 전철 1호선]])
* [[장항선]]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1}} [[수도권 전철 1호선|1호선]])
**: ([[경기도]] [[평택시]]) ← [[성환역]] - [[직산역]] - [[두정역]] - [[천안역]] → ([[세종특별자치시]])
*: [[천안역]], [[봉명역]], [[쌍용역]]
** [[장항선]]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1}} [[수도권 전철 1호선]])
**: (경부선 직결) ← [[천안역]] - [[봉명역]] - [[쌍용역]] → ([[아산시]])
 
* [[천안경전철]]


=== 도로 ===
=== 도로 ===
375번째 줄: 377번째 줄:
{{각주}}
{{각주}}
{{충청남도의 기초자치단체}}
{{충청남도의 기초자치단체}}
[[분류:충청남도의 행정구역]]
[[분류:천안시| ]]
[[분류:천안시| ]]
{{퍼온문서|천안시||일부}}
{{퍼온문서|천안시||일부}}


{{리브레 맵스 마커|36.8147304885061|127.1143913269043|10|천안시}}
{{리브레 맵스 마커|36.8147304885061|127.1143913269043|10|천안시}}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는 다음의 숨은 분류 1개에 속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