찰리 채플린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인물 정보
'''찰스 스펜서 "찰리" 채플린''' 경({{llang|en|Sir Charles Spencer "Charlie" Chaplin}}, [[1889년]] [[4월 16일]]~[[1977년]] [[12월 25일]])은 [[영국]] 출신의 희극 [[배우]]이자 [[영화 감독]]이다.
|인물이름 = 찰리 채플린
|원어이름 = Charlie Chaplin
|배경색  =
|글자색  =
|그림    = [[파일:Charlie Chaplin portrait.jpg]]
|그림설명 = 찰리 채플린 (1920년대)
|본명    = 찰스 스펜서 "찰리" 채플린<br />({{영어=|Sir Charles Spencer "Charlie" Chaplin}})
|다른이름 =
|출생일  = {{출생일|1889|4|16}}
|출생지  = [[영국]] [[런던]]
|사망일  = {{사망일과 나이|1977|12|25|1889|4|16}}
|사망지  = [[스위스]] 보주 브베
|국적    = {{나라|영국}}
|학력    =
|직업    = 코미디언, 영화 감독
|종교    = 무종교
|정당    =
|신체    =
|배우자  = [[우나 오닐]] <small>(1943 ~ 1977)</small>
|가족    = 슬하 6남 7녀
|활동기간 = [[1895년]] ~ [[1976년]]
|소속사  =
|웹사이트 =
|비고    =
|하위 틀  =
}}'''찰스 스펜서 "찰리" 채플린''' 경({{영어|Sir Charles Spencer "Charlie" Chaplin}}, [[1889년]] [[4월 16일]]~[[1977년]] [[12월 25일]])은 [[영국]] 출신의 희극 [[배우]]이자 [[영화 감독]]이다.


== 생애 ==
== 생애 ==
===유년기===
===유년기===
찰리 채플린은 [[영국]] [[런던]] 람베스구의 이스트 스트리트에서 태어났다. 어머니 한나는 무명 배우였고 아버지 찰스는 유명 가수는 아니었지만 어느 정도 이름이 알려진 가수였다. 찰리 채플린의 위로는 형 시드니 채플린이 있는데 그는 동생과 아버지기 달랐다. 하지만 아버지에 대해선 알려진 바가 없다. 채플린 형제의 아버지는 찰리가 1살일 때 [[미국]]으로 순회공연을 가고 그 사이 한나는 '리오'라는 사람과 셋째 휠러를 낳았다. 이로 인해 돌아온 찰스가 가족을 등지게 됐다. 그 후 한나와 두 아들은 가난하게 살게 되었다.
찰리 채플린은 [[영국]] 람베스구의 이스트 스트리트에서 태어났다. 어머니 한나는 무명 배우였고 아버지 찰스는 유명 가수는 아니었지만 어느 정도 이름이 알려진 가수였다. 찰리 채플린의 위로는 형 시드니 채플린이 있는데 그는 동생과 아버지기 달랐다. 하지만 아버지에 대해선 알려진 바가 없다. 채플린 형제의 아버지는 찰리가 한 살일 때 [[미국]]으로 순회공연을 가고 그 사이 한나는 '리오'라는 사람과 셋째 휠러를 낳았다. 이로 인해 돌아온 찰스가 가족을 등지게 됐다. 그 후 한나와 두 아들은 가난하게 살게 되었다.


얼마 뒤 찰리가 6세, 시드니가 10세일 때 엄마 한나는 [[정신분열]] 증세를 보이기 시작했다. 시간이 흐르고 잠시 찰리를 찰리의 아버지가 맡게 되었을 때 그의 인생을 바꾼 일이 벌어졌다. 찰리를 아동극단인 '랭커셔의 여덟 꼬마들'에 입단시킨 것이다. 그는 1901년 그곳을 나와 자질구레한 일들을 했다.
얼마 뒤 찰리가 6세, 시드니가 10세일 때 엄마 한나는 [[정신분열]] 증세를 보이기 시작했다. 시간이 흐르고 잠시 찰리를 찰리의 아버지가 맡게 되었을 때 그의 인생을 바꾼 일이 벌어졌다. 찰리를 아동극단인 '랭커셔의 여덟 꼬마들'에 입단시킨 것이다. 그는 1901년 그곳을 나와 자질구레한 일들을 했다.
36번째 줄: 10번째 줄:


===키스턴 영화사 시절===
===키스턴 영화사 시절===
찰리 채플린은 미국의 키스턴 영화사에서 《생활비 벌기》라는 영화로 영화계에 데뷔한다. 그리고 그 다음 영화인 《베니스에서의 꼬마 자동차 경주》에서부터 꽉 끼는 상의와 헐렁한 바지와 큰 구두, 중절모에 대나무 지팡이라는 리틀 트램프의 모습으로 등장해 엄청난 인기를 얻는다.
찰리 채플린은 거기에서 생활비 벌기라는 영화로 영화계에 데뷔한다. 그리고 그 다음 영화인 《베니스에서의 자동차 경주》에서 그 유명한 모습으로 나온다. 꽉 끼는 상의와 헐렁한 바지와 큰 구두, 중절모에 대나무 지팡이라는 리틀 트램프로 말이다.


===에사네이 영화사 시절===
===퍼스트 내셔널===
1915년 채플린은 에사네이사와 계약을 하는데, 그는 여기서부터 본격적으로 자신의 색을 드러내기 시작했다.
찰리 채플린은 네 살바키 배우 재키 쿠건을 발견한 후 그와 같이 《키드》를 찍는다. 이후 찰리는 《유한계급》, 《순례자》 등을 찍는다.


===뮤츄얼 영화사 시절===
===유나이티드 아티스츠===
1916년 채플린은 뮤츄얼 사와 사상 최초로 15만달러 보너스와 주급 1만달러라는 계약을 맺는다. 그는 훗날 자서전에서 이 시절이 가장 창작에 몰두하던 시절이었다고 회상한다.
찰리 채플린은 이곳에서 《[[황금광시대]]》, 《서커스》, 《시티라이트》, 《[[모던타임즈]]》, 《[[위대한 독재자]]》 등을 만든다. 그 중 《모던타임즈》에는 찰리가 부르는 노랫소리가 들리는데, 그는 여기서 [[이탈리아어]] 같이 들리는 뜻 없는 가사를 불렀다. 대충 이렇다. '세 벨라 두셋도레 쥬 노트레 소 카바레 쥬 노트레 시 카바레 세라 투라 틸라 트와~'
 
===퍼스트 내셔널사 시절===
뮤추얼과의 계약이 끝난 찰리 채플린은 퍼스트 내셔널사와 계약한다. 계약 성사 직후 그는 [[할리우드]]에 자신만의 스튜디오를 짓는다. 이후 영화 오디션 중 네 살배기 배우 재키 쿠건을 발견하게 된 채플린은 그와 같이 《[[키드]]》를 찍는다.
 
===유나이티드 아티스츠사 시절===
찰리 채플린은 보다 자유로운 영화제작을 위해 [[더글러스 페어뱅크스]], [[메리 픽포드]], [[D.W.그리피스]] 등과 함께 유나이티드 아티스츠 사를 설립하고, 이곳에서 《[[황금광시대]]》, 《서커스》, 《[[시티 라이트]]》, 《[[모던 타임스]]》, 《[[위대한 독재자]]》 등을 만든다. 그 중 《모던 타임스》에는 찰리가 부르는 노랫소리가 들리는데, 그는 여기서 최초로 자신의 목소리를 대중에게 선보였는데,이는 [[이탈리아어]] 같이 들리는 뜻 없는 노랫소리였다.


그는 이 다음 영화 《위대한 독재자》로 전쟁의 참혹성을 알리지만 수많은 관객을 모음과 동시에 큰 비판을 받았다. 이후 제작한《[[살인광시대]]》는 채플린의 도덕성에 대한 비판을 불렀다. 1952년에 개봉된 영화《[[라임라이트]]》를 만들 적에는 정신적 문제가 있던 조안 베리와의 소송에서 패소하며 미국에서 추방당하는데, 이는 당시의 매카시즘 광풍에 의한 것이었다.
그는 이 다음 영화 《위대한 독재자》로 전쟁의 참혹성을 알리지만 수많은 관객을 모음과 동시에 큰 비판을 받았다. 이후 제작한《[[살인광시대]]》는 채플린의 도덕성에 대한 비판을 불렀다. 1952년에 개봉된 영화《[[라임라이트]]》를 만들 적에는 정신적 문제가 있던 조안 베리와의 소송에서 패소하며 미국에서 추방당하는데, 이는 당시의 매카시즘 광풍에 의한 것이었다.
54번째 줄: 22번째 줄:
===미국 생활 이후===
===미국 생활 이후===
이후 그는 영국에서 마지막 영화 《홍콩에서 온 백작부인》을 만들고 [[스위스]] 코르시에쉬르베베이로 이주해 살다가 [[1977년]] [[12월 25일]] [[크리스마스]]에 그곳의 자택에서 평온히 세상을 떠났다.
이후 그는 영국에서 마지막 영화 《홍콩에서 온 백작부인》을 만들고 [[스위스]] 코르시에쉬르베베이로 이주해 살다가 [[1977년]] [[12월 25일]] [[크리스마스]]에 그곳의 자택에서 평온히 세상을 떠났다.
==필모그래피==
{| class="wikitable"
|-
! 제목
! 원제
! 연도
! 영화사
|-
| 생활비 벌기<ref name="A">방랑자 캐릭터로 등장하지 않는 영화</ref><ref>방랑자 캐릭터를 만들기 전의 영화</ref>
| Making a living
| 1914
| 키스턴
|-
| 베니스의 어린이 자동차 경주<ref>최초로 방랑자 캐릭터가 등장한 영화</ref>
| Kid Auto Races at Venice
| 1914
| 키스턴
|-
| 메이벨의 알 수 없는 곤경
| Mabel's Strange Predicament
| 1914
| 키스턴
|-
| 도둑 잡아라!<ref name="A" /><ref>이 영화에서 채플린은 방랑자 캐릭터가 아닌 경찰 역으로 짧게 출연한다.</ref><ref>채플린의 자서전에 기록되지 않은 출연작이다.</ref><ref name="B">채플린 주연이 아닌 영화</ref>
| A Thief Catcher
| 1914
| 키스턴
|-
| 소나기를 맞으며
| Between Showers
| 1914
| 키스턴
|-
| 필름 조니
| A film Johnnie
| 1914
| 키스턴
|-
| 탱고 소동<ref name="A" />
| Tango Tangles
| 1914
| 키스턴
|-
| 잔인한 사랑<ref name="A" />
| Cruel, Cruel Love
| 1914
| 키스턴
|-
| 인기 하숙생
| The Star Boarder
| 1914
| 키스턴
|-
| 메이벨의 운전<ref name="A" />
| Mabel at the Wheel
| 1914
| 키스턴
|-
| 사랑의 20분
| Twenty Minutes of Love
| 1914
| 키스턴
|-
| 카바레에서
| Caught in Cabaret
| 1914
| 키스턴
|-
| 빗속에서
| Caught in the Rain
| 1914
| 키스턴
|-
| 바쁜 하루<ref name="A" />
| A Busy Day
| 1914
| 키스턴
|-
| 치명적인 망치
| The Fatal Mallet
| 1914
| 키스턴
|-
| 그녀의 친구, 강도<ref name="A" /><ref>유실</ref>
| Her Freind the Bandit
| 1914
| 키스턴
|-
| 녹아웃
| The Knockout
| 1914
| 키스턴
|-
| 메이벨의 바쁜 하루<ref name="A" />
| Mabel's busy day
| 1914
| 키스턴
|-
| 메이벨의 결혼생활
| Mabel's Married Life
| 1914
| 키스턴
|-
| 웃음 가스
| Laughing Gas
| 1914
| 키스턴
|-
| 소품 담당
| The Property Man
| 1914
| 키스턴
|-
| 바 플로어의 얼굴
| The Face on the Bar-room Floor
| 1914
| 키스턴
|-
| 오락
| Recreation
| 1914
| 키스턴
|-
| 분장<ref name="A" /><ref>채플린이 영화 배우 역으로 출연하는데, 영화 도중 그는 방랑자로 분장한다.</ref>
| The Masquerader
| 1914
| 키스턴
|-
| 그의 새 직업
| His New Profession
| 1914
| 키스턴
|-
| 술꾼들<ref name="A" />
| The Rounders
| 1914
| 키스턴
|-
| 새로운 관리인
| The New Janitor
| 1914
| 키스턴
|-
| 사랑의 고통
| Those Love Pangs
| 1914
| 키스턴
|-
| 반죽와 다이너마이트
| Doung and Dynamite
| 1914
| 키스턴
|-
| 무례한 신사들
| Gentlemen of Nerve
| 1914
| 키스턴
|-
| 그의 음악 경력
| His Musical Career
| 1914
| 키스턴
|-
| 그의 밀회 장소
| His Trysting Place
| 1914
| 키스턴
|-
| 틸리의 어긋난 사랑<ref name="A" /><ref>키스턴 영화사에서 제작한 유일한 장편 코미디 영화이다.</ref>
| Tillie's Punctured Romance
| 1914
| 키스턴
|-
| 첫 만남
| Getting Acquainted
| 1914
| 키스턴
|-
| 그의 선사시대
| His Prehistoric Past
| 1914
| 키스턴
|-
| 그의 새로운 직장
| His New Job
| 1915
| 에사네이
|-
| 밤나들이
| A Night Out
| 1915
| 에사네이
|-
| 챔피언
| The Champion
| 1915
| 에사네이
|-
| 공원에서
| In the Park
| 1915
| 에사네이
|-
| 보잘것없는 사랑의 도피
| A Jitney Elopement
| 1915
| 에사네이
|-
| 방랑자
| The Tramp
| 1915
| 에사네이
|-
| 바닷가에서
| By the Sea
| 1915
| 에사네이
|-
| 일
| Work
| 1915
| 에사네이
|-
| 여자
| A Woman
| 1915
| 에사네이
|-
| 은행
| The Bank
| 1915
| 에사네이
|-
| 납치 선원 생활
| Shanghaied
| 1915
| 에사네이
|-
| 극장에서의 밤<ref name="A" /><ref>채플린은 이 영화에서 주정뱅이와 신사의 1인 2역을 맡았다.</ref>
| A Night in the Show
| 1915
| 에사네이
|-
| 찰리의 카르멘<ref name="A" /><ref>오페라 카르멘을 채플린 식으로 재해석한 영화이다.</ref><ref>채플린이 에사네이를 떠난 후에 에사네이에서 시간을 늘려 개봉했다. 이에 분개한 채플린은 에사네이를 고소했으나, 큰 조치가 이루어지진 않았던 것 같다.</ref>
| A Burlesque on Carmen
| 1916
| 에사네이
|-
| 경찰
| Police
| 1916
| 에사네이
|-
| 삼중고
| Triple Troble
| 1918
| 에사네이
|-
| 매장 감독
| The Floorwalker
| 1916
| 뮤추얼
|-
| 소방관
| The Fireman
| 1916
| 뮤추얼
|-
| 부랑자
| The Vagabond
| 1916
| 뮤추얼
|-
| 새벽 1시<ref name="A" />
| One A.M.
| 1916
| 뮤추얼
|-
| 백작
| The Count
| 1916
| 뮤추얼
|-
| 전당포
| The Pawnshop
| 1916
| 뮤추얼
|-
| 은막 뒤에서
| Behind the Screen
| 1916
| 뮤추얼
|-
| 롤러장
| The Rink
| 1916
| 뮤추얼
|-
| 이지 스트리트
| Easy Street
| 1917
| 뮤추얼
|-
| 치료
| The Cure
| 1917
| 뮤추얼
|-
| 이민
| The Immigrant
| 1917
| 뮤추얼
|-
| 모험가
| The Adventurer
| 1917
| 뮤추얼
|-
| 개의 인생
| A Dog's Life
| 1918
| 퍼스트 내셔널
|-
| 어깨 총
| Shoulder Arms
| 1918
| 퍼스트 내셔널
|-
| 공채<ref>1차 대전 중 미국에서 모집한 전시 공채인 자유 공채의 홍보를 위해 제작된 영화이다.</ref>
| The Bond
| 1918
| 퍼스트 내셔널
|-
| 볕 드는 쪽
| Sunnyside
| 1919
| 퍼스트 내셔널
|-
| 행복한 하루
| A Day's Pleasure
| 1919
| 퍼스트 내셔널
|-
| [[키드]]
| The Kid
| 1920
| 퍼스트 내셔널
|-
| 유한계급
| The Idle Class
| 1920
| 퍼스트 내셔널
|-
| 봉급날
| Pay Day
| 1922
| 퍼스트 내셔널
|-
| 순례자<ref name="A" /><ref>채플린은 탈옥수로 나온다. 다만, 거의 방랑자 캐릭터와 동일하다.</ref>
| The Pilgrim
| 1923
| 퍼스트 내셔널
|-
| [[파리의 여인]]<ref name="A" /><ref name="B" /><ref>짐꾼으로 등장한다.</ref>
| A Woman of Paris
| 1923
| 유나이티드 아티스트
|-
| [[황금광시대]]
| The Gold Rush
| 1925
| 유나이티드 아티스트
|-
| [[서커스]]
| The Circus
| 1928
| 유나이티드 아티스트
|-
| [[시티 라이트]]
| City Lights
| 1931
| 유나이티드 아티스트
|-
| [[모던 타임스]]
| Modern Times
| 1936
| 유나이티드 아티스트
|-
| [[위대한 독재자]]<ref name="A" /><ref>유대인 이발사와 독재자 힌켈의 1인 2역을 맡았다.</ref>
| The Great Dictator
| 1940
| 유나이티드 아티스트
|-
| [[살인광시대]]<ref name="A" />
| Monsieur Verdoux
| 1947
| 유나이티드 아티스트
|-
| [[라임라이트]]<ref name="A" />
| Limelight
| 1953
| 유나이티드 아티스트
|-
| 뉴욕의 왕<ref name="A" />
| A King in New York
| 1957
| 아치웨이
|-
| 홍콩에서 온 백작부인<ref name="A" /><ref name="B" /><ref>선장으로 등장한다.</ref>
| A Countess from Hong Kong
| 1967
| 유니버설
|-
|}
==참고문헌==
『찰리 채플린, 나의 자서전』, 찰리 채플린 저, 류현 역, 김영사


{{각주}}
{{각주}}
[[분류:영국의 배우]]
[[분류:영국의 배우]]
[[분류:영국의 영화인]]
[[분류:영국의 영화인]]
[[분류:런던 출신]]
[[분류:1889년 출생]]
[[분류:1977년 사망]]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이 문서는 다음의 숨은 분류 1개에 속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