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조직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2번째 줄: 12번째 줄:


==지근==
==지근==
[[지근]](遲筋,slow-twitch fibers)은 척추동물의 [[골격근]] 가운데 생리적 수축의 속도가 느린 [[근육]]이다. 지속적으로 긴장 상태를 유지한다. 이에 반해  [[속근섬유]](速筋纖維,fast-twitch fibers)는 흰색을 띈 근육 섬유로 구성된, 수축 속도가 빠른 근육을 가리킨다. 순간적으로 힘을 낼 때 사용된다. 지방조직(adipose tissue)의 에너지대사에서 저장후 인출과정은 지근(slow-twitch fibers)과 보다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보고된바있다. 갈색지방조직(brown adipose tissue) 및 백색지방(white fat) 또는 WAT(white adipose tissue)과 관련있다고 알려져있다. <ref>Hirabayashi M, Ijiri D, Kamei Y, Tajima A, Kanai Y. Transformation of Skeletal Muscle from Fast- to Slow-Twitch during Acquisition of Cold Tolerance in the Chick. Endocrinology. 2005 Jan;146(1):399-405. doi: 10.1210/en.2004-0723. Epub 2004 Oct 7. PMID: 15471958.</ref><ref>Yoshida T, Umekawa T, Kumamoto K, Sakane N, Kogure A, Kondo M, Wakabayashi Y, Kawada T, Nagase I, Saito M. beta 3-Adrenergic agonist induces a functionally active uncoupling protein in fat and slow-twitch muscle fibers. Am J Physiol. 1998 Mar;274(3):E469-75. doi: 10.1152/ajpendo.1998.274.3.E469. PMID: 9530130.</ref><ref>Hennig R, Lømo T. Firing patterns of motor units in normal rats. Nature. 1985 Mar 14-20;314(6007):164-6. doi: 10.1038/314164a0. PMID: 3974720.</ref> 이러한 연구결과는 느린 속도의 근육으로 지근을 발달시키는 산소빚(oxygen debt)이 없는 [[유산소운동|호기성(유산소)운동]]의 에너지 대사가 지방조직을 에너지원으로 하도록 경험적으로 학습하게 한다는 점을 지지함으로써 운동이 [[비만]]과 [[염증]] 그리고 [[당뇨병]]등에서 직간접적으로 매우 주요한 매개인자임을 시사한다고 할수있다. <ref>Park YM, Myers M, Vieira-Potter VJ. Adipose tissue inflammation and metabolic dysfunction: role of exercise. Mo Med. 2014 Jan-Feb;111(1):65-72. PMID: 24645302; PMCID: PMC6179510.</ref><ref>Joseph JS, Anand K, Malindisa ST, Oladipo AO, Fagbohun OF. Exercise, CaMKII, and type 2 diabetes. EXCLI J. 2021 Feb 17;20:386-399. doi: 10.17179/excli2020-3317. PMID: 33746668; PMCID: PMC7975583.</ref>
지근(遲筋,slow-twitch fibers)은 척추동물의 골격근 가운데 생리적 수축의 속도가 느린 근육이다. 지속적으로 긴장 상태를 유지한다. 이에 반해  속근섬유(速筋纖維,fast-twitch fibers)는 흰색을 띈 근육 섬유로 구성된, 수축 속도가 빠른 근육을 가리킨다. 순간적으로 힘을 낼 때 사용된다. 지방조직(adipose tissue)의 에너지대사에서 저장후 인출과정은 지근(slow-twitch fibers)과 보다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보고된바있다. 갈색지방조직(brown adipose tissue) 및 백색지방(white fat) 또는 WAT(white adipose tissue)과 관련있다고 알려져있다. <ref>Hirabayashi M, Ijiri D, Kamei Y, Tajima A, Kanai Y. Transformation of Skeletal Muscle from Fast- to Slow-Twitch during Acquisition of Cold Tolerance in the Chick. Endocrinology. 2005 Jan;146(1):399-405. doi: 10.1210/en.2004-0723. Epub 2004 Oct 7. PMID: 15471958.</ref><ref>Yoshida T, Umekawa T, Kumamoto K, Sakane N, Kogure A, Kondo M, Wakabayashi Y, Kawada T, Nagase I, Saito M. beta 3-Adrenergic agonist induces a functionally active uncoupling protein in fat and slow-twitch muscle fibers. Am J Physiol. 1998 Mar;274(3):E469-75. doi: 10.1152/ajpendo.1998.274.3.E469. PMID: 9530130.</ref><ref>Hennig R, Lømo T. Firing patterns of motor units in normal rats. Nature. 1985 Mar 14-20;314(6007):164-6. doi: 10.1038/314164a0. PMID: 3974720.</ref> 이러한 연구결과는 느린 속도의 근육으로 지근을 발달시키는 산소빚(oxygen debt)이 없는 호기성(유산소)운동의 에너지 대사가 지방조직을 에너지원으로 하도록 경험적으로 학습하게 한다는 점을 지지함으로써 운동이 비만과 염증 그리고 당뇨병등에서 직간접적으로 매우 주요한 매개인자임을 시사한다고 할수있다. <ref>Park YM, Myers M, Vieira-Potter VJ. Adipose tissue inflammation and metabolic dysfunction: role of exercise. Mo Med. 2014 Jan-Feb;111(1):65-72. PMID: 24645302; PMCID: PMC6179510.</ref><ref>Joseph JS, Anand K, Malindisa ST, Oladipo AO, Fagbohun OF. Exercise, CaMKII, and type 2 diabetes. EXCLI J. 2021 Feb 17;20:386-399. doi: 10.17179/excli2020-3317. PMID: 33746668; PMCID: PMC7975583.</ref>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