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어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언어 정보
{{언어 정보
|이름    = 중국어
|이름    = 중국어
|원어이름 = {{중국어=|汉语}} / {{중국어 번체=|漢語}}
|원어이름 = {{중국어=|汉语}} / {{중국어 대만=|漢語}}
|그림    = [[파일:New-Map-Sinophone World.PNG]]
|그림    = [[파일:New-Map-Sinophone World.PNG]]
|그림설명 = 색이 진할수록 많은 사람이 쓴다는 뜻이다.
|그림설명 = 색이 진할수록 많은 사람이 쓴다는 뜻이다.
8번째 줄: 8번째 줄:
|사용인구 = 약 12억 명
|사용인구 = 약 12억 명
|공용어  = [[중국]], [[대만]], [[싱가포르]]
|공용어  = [[중국]], [[대만]], [[싱가포르]]
|표준    = 국가언어문자작업위원회 (중국) {{중국어=|国家语言文字工作委员会}}<br />{{중국어 홍콩=|語文教育及研究常務委員会}} (홍콩)<br />{{중국어 홍콩=|教育暨青年局語言推廣中心}} (마카오)<br />{{중국어 번체=|教育部終身教育司}} (대만)<br />추광화어이사회 (싱가포르, {{중국어=|推广华语理事会}})<br />{{중국어=|华语规范理事会}} (말레이시아)
|표준    = 국가언어문자작업위원회 (중국, {{중국어=|国家语言文字工作委员会}}<br />{{중국어 홍콩=|語文教育及研究常務委員会}} (홍공)<br />{{중국어 홍콩=|教育暨青年局語言推廣中心}} (마카오)<br />{{중국어 번체=|教育部終身教育司}} (대만)<br />추광화어이사회 (싱가포르, {{중국어=|推广华语理事会}})<br />{{중국어=|华语规范理事会}} (말레이시아)
|문자    = [[한자]]([[정체자]], [[간체자]])
|문자    = [[한자]]([[정체자]], [[간체자]])
|언어계통 = [[중국티베트어족]]
|언어계통 = [[중국티베트어족]]
30번째 줄: 30번째 줄:


{{ㅊ|크롱크롱}}
{{ㅊ|크롱크롱}}
초기 상고한어에서는 파생 접사들이 발견되는데 한나라 이후 사라지게 된다. 이후의 중국어와는 달리 성조가 존재하지 않았다.
초기 상고한어에서는 파생 접사들이 발견되는데 한나라 이후 사라지게 된다.


순우리말인것 같지만 사실 외래어인 붓과 먹이 상고한어에서 온 말이다. 붓은 '筆'(bǐ, 필)의 상고한어 {{IPA|*p.[r]ut}}에서 유래되었고 먹은 墨(mò, 묵)의 상고한어 {{IPA|*C.mˤək}}에서 유래되었다.
순우리말인것 같지만 사실 외래어인 붓과 먹이 상고한어에서 온 말이다. 붓은 '筆'(필)의 상고한어 {{IPA|*p.[r]ut}}에서 유래되었고 먹은 墨(묵)의 상고한어 {{IPA|*C.mˤək}}에서 유래되었다.
 
상고한어는 자료가 비교적 부족하여 복원 정확성이 떨어진다고 한다.


==== 중고한어 ====
==== 중고한어 ====
41번째 줄: 39번째 줄:
{{유튜브|wUDYY_OAINo|||thumbleft|}}{{-}}
{{유튜브|wUDYY_OAINo|||thumbleft|}}{{-}}
중고 한어의 한자음과 한국 한자음은 비슷하다. 당시에 일본에도 한자가 전해지는 시기였는데 남북조시대엔 한반도와 일본으로 한자와 한자음이 전해져 일본어의 오음(吳音)이 형성되고 당나라 때의 한자음이 한음(漢音)으로 수용된다. 오음의 원형<ref>최초의 오음. 오랜 시간이 지나 음운이 변동되어 현재는 많이 달라져 있다. 고대 일본어</ref>과 한국 한자음은 많이 닮아있다. 일본어에서 한음, 당음부터는 음운이 변동되면서 한국 한자음과 일치하지 않게 되는데 좀 한국어와 비슷한 한자음이면 오음이고 이질적인 한자음이면 한음이다. 한음이 현재 일본어에서 가장 많이 쓰인다. 송나라 이후의 중국 한자음은 일본어에 당음(唐音)으로 전해진다.
중고 한어의 한자음과 한국 한자음은 비슷하다. 당시에 일본에도 한자가 전해지는 시기였는데 남북조시대엔 한반도와 일본으로 한자와 한자음이 전해져 일본어의 오음(吳音)이 형성되고 당나라 때의 한자음이 한음(漢音)으로 수용된다. 오음의 원형<ref>최초의 오음. 오랜 시간이 지나 음운이 변동되어 현재는 많이 달라져 있다. 고대 일본어</ref>과 한국 한자음은 많이 닮아있다. 일본어에서 한음, 당음부터는 음운이 변동되면서 한국 한자음과 일치하지 않게 되는데 좀 한국어와 비슷한 한자음이면 오음이고 이질적인 한자음이면 한음이다. 한음이 현재 일본어에서 가장 많이 쓰인다. 송나라 이후의 중국 한자음은 일본어에 당음(唐音)으로 전해진다.
중고한어는 현대 중국어에는 없는 t, k 종성이 나타난다. 이때 t으로 끝나는 한자음은 한국어에서 'ㄹ'(l)로 변동된다. 그리고 상고한어에서는 없었던 성조가 나타난다.


{{유튜브|OX047xj6HtQ|||thumbleft|}}{{-}}
{{유튜브|OX047xj6HtQ|||thumbleft|}}{{-}}
==== 민어(閩語) ====
고대 중국어에서 민어와 중고한어가 분리된다. 민어에는 민남어와 대만어 등이 있다.


==== 근대한어 ====
==== 근대한어 ====
58번째 줄: 51번째 줄:
[[파일:Map of sinitic languages-ko.svg|thumb|400px|중국어 방언]]
[[파일:Map of sinitic languages-ko.svg|thumb|400px|중국어 방언]]
중국어 [[방언]]의 특징은 입으로 이야기하였을 때 [[상호의사소통성|서로 의사소통이 불가능]]하다는 점이다. 각 방언을 방언으로 취급하느냐 아니면 다른 언어로 취급하느냐 하는 데에는 논란이 있다. 다만, [[한자]] 및 [[한문]]이라는 공통된 문어의 기반 위에서는 중국어 제방언을 아우르는 상호 의사소통성을 유지할 수 있으며, 이것이 중국어 제방언을 공통된 언어의식으로 묶는데에 있어 근본적인 역할을 한다.
중국어 [[방언]]의 특징은 입으로 이야기하였을 때 [[상호의사소통성|서로 의사소통이 불가능]]하다는 점이다. 각 방언을 방언으로 취급하느냐 아니면 다른 언어로 취급하느냐 하는 데에는 논란이 있다. 다만, [[한자]] 및 [[한문]]이라는 공통된 문어의 기반 위에서는 중국어 제방언을 아우르는 상호 의사소통성을 유지할 수 있으며, 이것이 중국어 제방언을 공통된 언어의식으로 묶는데에 있어 근본적인 역할을 한다.
# [[관화]](官話) 또는 북방화(北方話) - cmn: 중국 북부와 서부에서. - 8억 명
# [[관화]](官話}}) 또는 북방화(北方話) - cmn: 중국 북부와 서부에서. - 8억 명
## [[베이징어]] — (北京語)
## [[베이징어]] — (北京語)
### '''[[표준 중국어]]''' - [[중화인민공화국|중국]], [[중화민국|대만]], [[싱가포르]]의 공용어. 한국에서 중국어라는 말은 흔히 이것을 일컫는다.<ref>[[대학수학능력시험]] 중국어 시험지에도 표준 중국어로 문제를 출제한다.</ref>
### '''[[표준 중국어]]''' - [[중화인민공화국|중국]], [[중화민국|대만]], [[싱가포르]]의 공용어. 한국에서 중국어라는 말은 흔히 이것을 일컫는다.<ref>[[대학수학능력시험]] 중국어 시험지에도 표준 중국어로 문제를 출제한다.</ref>
64번째 줄: 57번째 줄:
## [[둥베이어]](東北話)
## [[둥베이어]](東北話)
# [[후이어]](徽語) - czh: [[안후이성]](安徽省)에서.
# [[후이어]](徽語) - czh: [[안후이성]](安徽省)에서.
# [[민어 (언어)|민어]](閩語): [[푸젠성]](福建省)과 [[중화민국]]에서. - 5000만 명
# [[민어 (언어)|민어]](閩語}}): [[푸젠성]](福建省)과 [[중화민국]]에서. - 5000만 명
## [[민둥어]](閩東語) - cdo: 푸젠 성 동북쪽과 [[저장성]](浙江省) 남쪽
## [[민둥어]](閩東語) - cdo: 푸젠 성 동북쪽과 [[저장성]](浙江省) 남쪽
## [[푸셴어]](莆仙語) - cpx: 푸젠 성 중앙의 [[푸톈시]](莆田市)와 [[셴유현]](仙遊縣)에서.
## [[푸셴어]](莆仙語) - cpx: 푸젠 성 중앙의 [[푸톈시]](莆田市)와 [[셴유현]](仙遊縣)에서.
81번째 줄: 74번째 줄:
# [[샹어]](湘語) - hsn: [[후난성|후난성]] (湖南省)에서. - 3500만 명
# [[샹어]](湘語) - hsn: [[후난성|후난성]] (湖南省)에서. - 3500만 명
# [[우어]](吳語) - wuu: 중국 동부에서. - 9000만 명
# [[우어]](吳語) - wuu: 중국 동부에서. - 9000만 명
# 광둥어/월어(粵語) - yue: [[홍콩]], [[마카오]], [[광둥성]], [[광시 좡족 자치구]]의 일부 및 해외의 중국인. - 8000만 명
# [[광둥어]](粵語) - yue: [[홍콩]], [[마카오]], [[광둥성]], [[광시 좡족 자치구]]의 일부 및 해외의 중국인. - 8000만 명
# [[둥간어]](東干語) - dng : [[중앙아시아]], [[키르기스스탄]], [[둥간족]].
# [[둥간어]](東干語) - dng : [[중앙아시아]], [[키르기스스탄]], [[둥간족]].
# [[핑어]](平語) - [[좡족]].
# [[핑어]](平語) - [[좡족]].
96번째 줄: 89번째 줄:
* 거성(제4성) - 罵(mà; 욕하다, 욕설을 퍼붓다)
* 거성(제4성) - 罵(mà; 욕하다, 욕설을 퍼붓다)
* 경성 - 嗎(ma; 의문조사)
* 경성 - 嗎(ma; 의문조사)
입성이란 것도 있는데 방언이나 고대, 중세 중국어에만 나타난다. 보통 한국어의 받침과 유사하게 나타난다.


== 문법 ==
== 문법 ==
103번째 줄: 94번째 줄:


'''예'''
'''예'''
* {{중국어=|我去图书馆看书。}}/{{중국어 번체=|我去圖書館看書。}}
* 표준중국어의 문법: {{중국어=|我去图书馆看书。/ 我去圖書館看書。(Wŏ qù túshūguǎn kàn shū)}} (도서관에 가서 책을 읽다.)
*:Wŏ qù túshūguǎn kàn shū
** [[상하이어]]의 문법: {{중국어=|我到图书馆看书去。/ 我到圖書館看書去。(ngu to dousucuoe choe su chi.)}}
*:도서관에 가서 책을 읽다.
 
현대중국어에서는 일본어처럼 동사의 전후나 문말에 조사, 조동사가 온다. 예를 들면 '''[[了]]'''는 동사에 붙으면 [[상 (언어학)|상]](완료)를 나타내며, 문말에 붙으면 [[모댈리티]]를 나타낸다.
현대중국어에서는 일본어처럼 동사의 전후나 문말에 조사, 조동사가 온다. 예를 들면 '''[[了]]'''는 동사에 붙으면 [[상 (언어학)|상]](완료)를 나타내며, 문말에 붙으면 [[모댈리티]]를 나타낸다.


중국어에는 [[시제]]를 나타내는 [[문법 범주]]가 존재하지 않는다. 반면에 상은 존재하며, 동사에 {{중국어=|了}}(완료), {{중국어=|过/過}}(경험), {{중국어=|着/著}}(진행)을 붙이는 것에 의해서 나타내어진다.
중국어에는 [[시제]]를 나타내는 [[문법 범주]]가 존재하지 않는다. 반면에 상은 존재하며, 동사에 {{중국어=|了}}(완료), {{중국어=|过/過}}(경험), {{중국어=|着/著}}(진행)을 붙이는 것에 의해서 나타내어진다.
* {{중국어=|昨天我'''去'''了电影院。}}/{{중국어 번체=|昨天我'''去'''了電影院。}}
* {{중국어=|昨天我'''去'''了电影院。/ 昨天我'''去'''了電影院。}} (어제 영화관에 갔었다.)
*:어제 영화관에 갔었다.


또, '''[[격]]'''에 의한 어형변화는 없는 것이 고립어의 특징이다. 따라서 중국어에도 [[명사]]나 [[형용사]]에 격변화는 일어나지 않는다. 격은 어순에 의해서 나타내어진다.
또, '''[[격]]'''에 의한 어형변화는 없는 것이 고립어의 특징이다. 따라서 중국어에도 [[명사]]나 [[형용사]]에 격변화는 일어나지 않는다. 격은 어순에 의해서 나타내어진다.
118번째 줄: 106번째 줄:
1인칭단수의 [[인칭대명사]] {{중국어=|我(wŏ)}}
1인칭단수의 [[인칭대명사]] {{중국어=|我(wŏ)}}


* {{중국어=|'''我'''去过中国。}}/{{중국어 번체=|'''我'''去過中國。}}([[주격]])
* {{중국어=|'''我'''去过中国。/ '''我'''去過中國。}}([[주격]]: 나는 중국에 간 적이 있다.)
*:나는 중국에 간 적이 있다.
** 상하이어: {{중국어=|'''我'''到中国去过个。/ '''我'''到中國去過個。('''ngo''' to Tsoncué chicoughé.)}}
* {{중국어=|我妈妈让'''我'''学习。}}/{{중국어 번체=|我媽媽讓'''我'''學習。}}([[목적격]])
* {{중국어=|我妈妈让'''我'''学习。/ 我媽媽讓'''我'''學習。}}([[목적격]]: 어머니는 나에게 공부시킨다.)
*:어머니는 나에게 공부시킨다.
** 상하이어: {{중국어=|我个妈妈让'''我'''学习。/ 我個媽媽讓'''我'''學習。(ngoghé mama gnian '''ngo''' ghózí.)}}


== 중국어를 사용하는 국가 및 지역 ==
== 중국어를 사용하는 국가 및 지역 ==
151번째 줄: 139번째 줄:


== 중국어와 외래어 ==
== 중국어와 외래어 ==
중국어를 표기하는 데 쓰이는 문자인 [[한자]]는 [[표의 문자]]여서, [[표음 문자]]인 [[한글]]이나 [[로마자]]와 같이 외국어를 발음 그대로 표기하는데 제약이 따를 수밖에 없다.<ref>이 때문에 중국어의 외래어 표기법에 사용되는 언어의 수는 무려 57개나 된다.</ref> 그래서 [[웨인 루니]], [[요르고스 사마라스]] 등의 외국 인명이나, [[뉴욕]], [[시카고]], [[샌프란시스코]] 등 외국 지명, [[필립스]]나 [[롯데]]<ref>중국어로 롯데는 {{중국어 번체=|樂天}}이라고 쓰며 한국의 놀이공원인 [[롯데월드]]는 중국어로 {{중국어 번체=|樂天世界}}라고 쓴다.</ref> 등 외국 기업명은 그 지역의 원래 발음과 비슷한 한자를 가차(假借)하여 쓰거나, [[컴퓨터]]와 같은 것은 그 용도와 특징을 한자어로 번역하여 電腦(전뇌, '전기로 작동되는 뇌'라는 뜻)와 같이 쓴다.{{ㅊ|전뇌소녀}}
중국어를 표기하는 데 쓰이는 문자인 [[한자]]는 [[표의 문자]]여서, [[표음 문자]]인 [[한글]]이나 [[로마자]]와 같이 외국어를 발음 그대로 표기하는데 제약이 따를 수밖에 없다.<ref>이 때문에 중국어의 외래어 표기법에 사용되는 언어의 수는 무려 57개나 된다.</ref> 그래서 [[웨인 루니]], [[요르고스 사마라스]] 등의 외국 인명이나, [[뉴욕]], [[시카고]], [[샌프란시스코]] 등 외국 지명, [[필립스]]나 [[롯데]]<ref>중국어로 롯데는 {{중국어 번체=|樂天}}이라고 쓰며 한국의 놀이공원인 [[롯데월드]]는 중국어로 {{중국어 번체=|樂天世界}}라고 쓴다.</ref> 등 외국 기업명은 그 지역의 원래 발음과 비슷한 한자를 가차(假借)하여 쓰거나, [[컴퓨터]]와 같은 것은 그 용도와 특징을 한자어로 번역하여 {{중국어 번체=|電腦}}(전뇌, '전기로 작동되는 뇌'라는 뜻)와 같이 쓴다.{{ㅊ|전뇌소녀}}


== 바깥 고리 ==
== 바깥 고리 ==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