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문화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6번째 줄: 6번째 줄:
==식문화==
==식문화==
===음식===
===음식===
[[중국]]을 이야기할 때 음식 문화는 빼놓을 수 없는 주제이다. 거대한 영토와 수많은 인구, 다양한 민족을 기반으로 식 문화는 다채롭게 발달했으며, 그 과정에서  중국인들은 "네다리 달린것은 책상 빼고, 날개달린것은 비행기 빼고 다 먹는다"라고 할 정도로 다양한 재료와 기법을 이용하게 되었다. 근데 여기서 사람 다리를 안먹는다는 얘기가 없다. 지역별로 요리가 나뉜다고는 하나 지역 내에서도 요리가 매우 다양한 편이다.  
[[중국]]을 이야기할 때 음식 문화는 빼놓을 수 없는 주제이다. 거대한 영토와 수많은 인구, 다양한 민족을 기반으로 식 문화는 다채롭게 발달했으며, 그 과정에서  중국인들은 "네다리 달린것은 책상 빼고, 날개달린것은 비행기 빼고 다 먹는다"라고 할 정도로 다양한 재료와 기법을 이용하게 되었다. 근데 여기서 사람 다리를 안먹는다는 얘기가 없다. 지역별로 요리가 나뉜다고는 하나 지역 내에서도 요리가 매우 다양한 편이다. 중국에도 [[수육]]이 있다. 상당히 많은 한국 음식이 중국에도 존재한다.


중국 요리는 중국 문화의 대외 영향력에서 매우 큰 부분을 차지하는데, 옆 나라인 한국이나 일본은 몰론이고, 베트남, 태국, 라오스, 인도네시아와 같은 동남아는 몰론, 몽골과 러시아, 그리고 다리 하나 건너 동유럽까지도 간접적인 영향을 주었고, 19세기 말엽부터 급증한 [[차이나타운]]의 영향으로 미국, 페루와 같은 신대륙 지역까지도 중국 요리의 강력한 영향력을 볼 수 있다.
중국도 한국과 마찬가지로 밥과 반찬을 먹는 나라이다.
 
상세 사항은 [[중국 요리]]를 참조.


===차===
===차===
61번째 줄: 59번째 줄:


==스포츠==
==스포츠==
[[탁구]]는 그야말로 중국이 압도적으로 강하다. 올림픽 금메달 37개 중 32개가 중국 선수의 것일 정도이다.
[[테니스]]에서 여러 대회의 우승자를 배출하였다. [[호주 오픈]] 여자 단식에서 [[리나 (테니스)|리나]]가 2014년에 우승하였다.<ref>[https://www.itftennis.com/en/tournament/australian-open/aus/2014/w-sl-aus-01a-2014/draws-and-results/]</ref> 호주 오픈 여자 복식에서 [[옌쯔]]와 [[정제 (테니스)|정제]]가 2006년에<ref>[https://www.itftennis.com/en/tournament/australian-open/aus/2006/w-sl-aus-01a-2006/draws-and-results/]</ref>, [[장솨이]]가 [[호주]]의 [[서맨사 스토서]]와 함께 2019년에 우승하였다.<ref>[https://www.itftennis.com/en/tournament/australian-open/aus/2019/w-sl-aus-01a-2019/draws-and-results/]</ref> [[US 오픈]] 여자 복식에서 장솨이가 호주의 서맨사 스토서와 함께 2021년에 우승하였다.<ref>[https://www.itftennis.com/en/tournament/us-open/usa/2021/w-sl-usa-01a-2021/draws-and-results/]</ref> [[윔블던 (테니스)|윔블던]] 여자 복식에서 옌쯔와 정제가 2006년에<ref>[https://www.itftennis.com/en/tournament/wimbledon/gbr/2006/w-sl-gbr-01a-2006/draws-and-results/]</ref>, [[펑솨이]]가 [[대만]]의 [[셰수웨이]]와 함께 2013년에 우승하였다.<ref>[https://www.itftennis.com/en/tournament/wimbledon/gbr/2013/w-sl-gbr-01a-2013/draws-and-results/]</ref> [[올림픽 테니스]]에서는 여자 복식에서 중국의 [[리팅]]과 [[쑨톈톈]]이 [[2004 아테네 올림픽]]에서 우승한 바 있다.
 
[[테니스]]에서 여러 대회의 우승자를 배출하였다. [[호주 오픈]] 여자 단식에서 [[리나 (테니스)|리나]]가 2014년에 우승하였다.<ref>[https://www.itftennis.com/en/tournament/australian-open/aus/2014/w-sl-aus-01a-2014/draws-and-results/]</ref> 호주 오픈 여자 복식에서 [[옌쯔]]와 [[정제 (테니스)|정제]]가 2006년에<ref>[https://www.itftennis.com/en/tournament/australian-open/aus/2006/w-sl-aus-01a-2006/draws-and-results/]</ref>, [[장솨이]]가 [[호주]]의 [[서맨사 스토서]]와 함께 2019년에 우승하였다.<ref>[https://www.itftennis.com/en/tournament/australian-open/aus/2019/w-sl-aus-01a-2019/draws-and-results/]</ref> [[US 오픈]] 여자 복식에서 장솨이가 호주의 서맨사 스토서와 함께 2021년에 우승하였다.<ref>[https://www.itftennis.com/en/tournament/us-open/usa/2021/w-sl-usa-01a-2021/draws-and-results/]</ref> [[윔블던 (테니스)|윔블던]] 여자 복식에서 옌쯔와 정제가 2006년에<ref>[https://www.itftennis.com/en/tournament/wimbledon/gbr/2006/w-sl-gbr-01a-2006/draws-and-results/]</ref>, [[펑솨이]]가 [[대만]]의 [[셰수웨이]]와 함께 2013년에 우승하였다.<ref>[https://www.itftennis.com/en/tournament/wimbledon/gbr/2013/w-sl-gbr-01a-2013/draws-and-results/]</ref> [[프랑스 오픈]] 여자 단식에서 리나가 2011년에<ref>[https://www.itftennis.com/en/tournament/french-open/fra/2011/w-sl-fra-01a-2011/draws-and-results/]</ref> 우승하였다. 프랑스 오픈 여자 복식에서 펑솨이가 대만의 셰수웨이와 함께 2014년에 우승하였다.<ref>[https://www.itftennis.com/en/tournament/french-open/fra/2014/w-sl-fra-01a-2014/draws-and-results/]</ref> 즉, 중국은 4개의 그랜드 슬램 대회에 모두 우승자를 배출하였다(특히 여자 복식에서 우승이 많다. 여자 단식은 리나의 우승이 전부이다.). 단, 남자 종목에서는 그랜드 슬램 우승자를 배출하지 못하였다. [[올림픽 테니스]]에서는 여자 복식에서 중국의 [[리팅]]과 [[쑨톈톈]]이 [[2004 아테네 올림픽]]에서 우승한 바 있다.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