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술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sorcery(magic) / 呪術
*sorcery(magic) / 呪術
==개요==
==개요==
기원이 아주 오래 된, [[인류]]가 최초로 행했으리라 여겨지는 [[종교]]적 양식 중 하나로 특별한 지식이나 능력이 있는  사람이 [[부적]]이나 [[주문]], [[약물]] 등을 사용해서 어떤 힘이 발생하게 하는 행위를 의미한다.
기원이 아주 오래 된, [[인류]]가 최초로 행했으리라 여겨지는 [[종교]]적 양식 중 하나로 특별한 지식이나 능력이 있는  사람이 [[부적]]이나 [[주문]], [[약물]] 등을 사용해서 어떤 힘이 발생하게 하는 행위를 의미한다.  
 
Magic이라는 용어 자체가 사제, 혹은 주술사를 나타내는 고대 페르시아어 magus에서 시작한 말.
Magic이라는 용어 자체가 사제, 혹은 주술사를 나타내는 고대 페르시아어 magus에서 시작한 말.
사실 여부를 떠나서 주술은 고대인이 세계를 이하는 방식 중 하나였다. 고대인은 자신들이 [[우주]]의 운행에 관여하거나 그 흐름을 여러 징후를 바탕으로<ref>물론 [[과학]]적인 근거는 아니다.</ref> 감지할 수 있는 초자연적인 힘이 있다고 믿었는데, 이러한 초자연적인 힘을 다루기 위한 수단이 바로 주술이다.
사실 여부를 떠나서 주술은 고대인이 세계를 이하는 방식 중 하나였다. 고대인은 자신들이 [[우주]]의 운행에 관여하거나 그 흐름을 여러 징후를 바탕으로<ref>물론 [[과학]]적인 근거는 아니다.</ref> 감지할 수 있는 초자연적인 힘이 있다고 믿었는데, 이러한 초자연적인 힘을 다루기 위한 수단이 바로 주술이다.


현대에는 [[미신]]이라고 곧잘 무시당하지만 기본적인 사고방식 자체는 [[타로 카드|이런]][[시크릿|저런]] [[동종 요법|여러 가지 형태로]] [[물은 답을 알고 있다|변해]] [[황금귀|살아남았다.]] 밈의 생존을 위해 현대인들에게 신뢰받는  과학의 탈을 쓴것이라고 보면 된다.
현대에는 [[미신]]이라고 곧잘 무시당하지만 기본적인 사고바익 자체는 [[타로|이런]][[시크릿|저런]] [[동종 요법|여러가지 형태로]] [[물은 답을 알고 있다|변해]] [[황금귀|살아남았다.]]


== 주술의 원리와 종류 ==
== 주술의 원리와 종류 ==
[[신화]]와 [[종교]]를 연구한 비교종교학 서적인 [[황금가지]]에 따르면 주술은 크게 두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ref>[http://book.naver.com/bookdb/text_view.nhn?bid=1564367&dencrt=WskGK55eT%252B3vdudEkcbm%252BE4PT6xl7ukRytFi%252BeEKHj8%253D&query=%EC%A3%BC%EC%88%A0%EC%9D%98%20%EA%B8%B0%EC%B4%88 제임스 조지 프레이저 「황금가지 제1권」( 을유문화사),박규태 역  P.70]</ref> 첫 번째는 비슷한 것은 비슷한 것을 낳으며 원인은 결과와 닮게 마련이라는 믿음, 두 번째는 이전에 한번 접촉했던 것은 물리적으로는 떨어져 있더라도 계속해서 상호작용를 한다는 믿음이다. 요약하면 첫째 원리의 이름은 ''유사의 법칙'', 두 번째 원리는 ''접촉의 법칙''이다. 유사의 법칙에 입각한 주술은 유감주술, 혹은 동종주술, 모방주술이라 부르며, 접촉의 법칙에 입각한 주술은 감염주술이라고 부른다.
[[신화]]와 [[종교]]를 연구한 비교종교학 서적인 [[황금가지]]에 따르면 주술은 크게 두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ref>제임스 조지 프레이저 「황금가지 제1권」( 을유문화사),박규태 역  P.70</ref> 첫 번째는 비슷한 것은 비슷한 것을 낳으며 원인은 결과와 닮게 마련이라는 믿음, 두 번째는 이전에 한번 접촉했던 것은 물리적으로는 떨어져 있더라도 계속해서 상호작용를 한다는 믿음이다. 요약하면 첫째 원리의 이름은 ''유사의 법칙'', 두 번째 원리는 ''접촉의 법칙''이다. 유사의 법칙에 입각한 주술은 유감주술, 혹은 동종주술, 모방주술이라 부르며, 접촉의 법칙에 입각한 주술은 감염주술이라고 부른다.


=== 유감주술·동종주술 ===
=== 유감주술·동종주술 ===
22번째 줄: 21번째 줄:


=== 흑주술/백주술 ===
=== 흑주술/백주술 ===
목적과 수단이 선한지 악한지에 따른 분류.
목적과 수단의 선과 악에 따른 분류.  
 
백주술이 사특한 것을 몰아내고 좋은 것을 받아들이는 사회나 개인의 안녕, 풍요를 기원하는 보호적 성격의 주술이라면, 흑주술은 남을 저주하거나 무언가를 강탈하기 위한 목적의 반사회적인 목적을 가진 주술을 말한다.  
백주술이 사특한 것을 몰아내고 좋은 것을 받아들이는 사회나 개인의 안녕, 풍요를 기원하는 보호적 성격의 주술이라면,
다만 문화와 시대에  따라서 어떤것이 백주술이고 어떤 것이 흑주술인가에 대한 구분은 달랐으며 약초로 치료하는 것 역시 사악한 악마의 힘을 빌린 것으로 간주한 지역도 있었다.
흑주술은 남을 저주하거나 무언가를 강탈하기 위한 목적의 반사회적인 목적을 가진 주술을 말한다.
 
다만 문화와 시대에  따라서 어떤것이 백주술이고 어떤 것이 흑주술인가에 대한 구분은 달랐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약초로 치료하는 것처럼  아무 문제 없어 보이는 행위 마저도  사악한 악마의 힘을 빌린 것으로 간주한 곳도 있었다.  이 관점에서  자연의 힘은 완전히, 혹은 거의 부정되고, 약초등의 마법적인 효험을 보이는 도구들은 어떤 존재와 [[프로그래밍 언어| 소통하기 위한 약속]]으로 간주된다.


==주변에서 볼 수 있는 주술의 모습과 흔적==
==주변에서 볼 수 있는 주술의 모습과 흔적==
37번째 줄: 33번째 줄:
*뒤집혀진 복(福) : 중국인들이 장사하는 곳이나 중국풍으로 장사하는 곳에서 볼 수 있는 모습이다. 한자로 씌여진 福자를 뒤집어 놓는데 이는 복주머니가 뒤집혀서 복이 쏟아져서 그 집 안에 복이 이미 와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주머니를 쏟아놓는 모습을 형상화한 유감주술이라 할 수 있다.
*뒤집혀진 복(福) : 중국인들이 장사하는 곳이나 중국풍으로 장사하는 곳에서 볼 수 있는 모습이다. 한자로 씌여진 福자를 뒤집어 놓는데 이는 복주머니가 뒤집혀서 복이 쏟아져서 그 집 안에 복이 이미 와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주머니를 쏟아놓는 모습을 형상화한 유감주술이라 할 수 있다.
== 주술과 감정 ==
== 주술과 감정 ==
역겨움의 감정에도 주술적인 관념이 깔려있다.유사의 법칙과 접촉의 법칙이 그것인데,새 빗과 변기는 그것이 더러운 용도로 설계 되었기 때문에 이용 여부와 관계없이 찝찝하며, 개똥모양 초콜릿은 모양 때문에 먹기 싫고, 바퀴벌레를 아무리 소독하고 씻겨서 청결해도  그게 들어간 음료수는 마시기가 거의 불가능한 이유가 그것이다. <ref>스티븐 핑커「마음은 어떻게 작동하는가」( 동녘사이언스),김한영 역  P 585 </ref>
역겨움의 감정에도 주술적인 관념이 깔려있다.유사의 법칙과 접촉의 법칙이 그것인데,새 빗과 변기는 그것이 더러운 용도로 설계 되었기 때문에 이용 여부와 관계없이 찝찝하며, 개똥모양 초콜릿은 모양 떄문에 먹기 싫고, 바퀴벌레를 아무리 소독하고 씻겨서 청결해도  그게 들어간 음료수는 마시기가 거의 불가능한 이유가 그것이다. <ref>스티븐 핑커「마음은 어떻게 작동하는가」( 동녘사이언스),김한영 역  P 585 </ref>
인간의 정신이 깨끗함과 선, 더러움과 악을 구분하는 것을 힘들어 한다는 연구도 있다. 범죄형 얼굴을 떠올리면 이해가 빠르다.
인간의 정신이 깨끗함과 선, 더러움과 악을 구분하는것을 힘들어 한다는 연구도 있다. 범죄형 얼굴을 떠올리면 이해가 빠르다.


== 종교와 주술의 관계 ==
== 종교와 주술의 관계 ==
몹시 애매하다. 종교의식에서 주술적인 흔적이 있고,주술사들의 의식 속에서 신과 통어하고 교감하고자 하거나 하는'종교적'인 시도를 찾을수 있는등  어디까지가 주술이고 어디가 종교인지 구분이 모호하기 때문,종교가 도대체 뭘 말하는지도 명확하지 않기 때문도 있다. 게르만 신화의 주신인 오딘부터 마법의 전문가기도 하고...
몹시 애매하다. 종교의식에서 주술적인 흔적이 있고,주술사들의 의식 속에서 신과 통어하고 교감하고자 하거나 하는'종교적'인 시도를 찾을수 있는등  어디까지가 주술이고 어디가 종교인지 구분이 모호하기 때문,종교가 도대체 뭘 말하는지도 명확하지 않기 때문도 있다.
 
게르만 신화의 주신인 오딘부터 마법의 전문가기도 하고...
프레이저 경은 주술이 종교의 전단계로 보고, 주술이 발전해서 종교가 되었다고 보았지만, 지금은 이 관점이 그렇게 수용되지는 않는다.


== 주술과 마법 ==
== 주술과 마법 ==


번역에 따라 위 ~주술들이 마법으로 번역되기도 할정도로 모호하다. 일부 학자들은 주술과 마법을 구분하기도 하지만, 이 구분은 일관성이 없으며
번역에 따라 위 ~주술들이 마법으로 번역되기도 할정도로 모호하다.
구별이 보편적으로 수용되는 것 역시 아니다. 다만 대중적인 사용에 있어서 마법은 보통 서구의 믿음의 일부로 간주하는 일이 많은 편이다. [[마법]], [[마법사]] 등이 서구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해 만들어진 조어인 만큼 이에 영향을 받은듯하며  이조차도 엄격하게 구분되어 인식되는 것은 아니다.
자세한 내용은 [[마법]] 항목 참조.
 
== 대중문화 속의 주술 ==
서브컬처에서는 좋은 이미지는 [[마법사]]가 다 먹고  튀었으므로(...)부분적으론 우월할지언정 어딘가 불안정하고 열등한 무언가로 묘사된다.


== 서브컬쳐에서의 주술==
서브컬쳐에서는 좋은 이미지는 [[마법사]]가 다 먹고  튀었으므로(...)부분적으론 우월할지언정 어딘가 불안정하고 열등한 무언가로 묘사된다.
주술의 종교적인 면모에서도 수난이 여전한게 [[성직자]](...) 이점을 역이용해서 사실 마법사들이나 사제들이 우월한 갓-주술을 묻어버렸단는 식으로 나오기도 하지만...
주술의 종교적인 면모에서도 수난이 여전한게 [[성직자]](...) 이점을 역이용해서 사실 마법사들이나 사제들이 우월한 갓-주술을 묻어버렸단는 식으로 나오기도 하지만...


[[포켓몬스터]] 시리즈에서는 포켓몬이 사용하는 기술 중 하나로 나온다. 5턴 동안 크리티컬을 봉쇄하는 효과로 등장하지만 게임 특성상 잘 안쓰인다.
[[포켓몬스터]] 시리즈에서는 포켓몬이 사용하는 기술 중 하나로 나온다. 5턴 동안 크리티컬을 봉쇄하는 효과로 등장하지만 게임 특성상 잘 안쓰인다.
== 부활을 위한 노력 ==
{{참고|위카|네오 페이거니즘|오컬트}}
잔존하는 주술들을 비롯해서 사멸한 주술의 영향력을 부활시키려는 움직임이 상당히 오래전부터 있어왔다. 그러나 종교적인 영역은 기성종교들이 자리잡고 있는데다 다른 면모도 세속이 잠식하고 있으니 노력에 비해서는 좀 신통치 못한 편이다. 가장 잘나가는 세력도  교파 하나 정도에 불과하다.


==관련 문서==
==관련 문서==
67번째 줄: 54번째 줄:
*[[주문]]
*[[주문]]
*[[마법]]
*[[마법]]


{{주석}}
{{주석}}
[[분류:종교]]
[[분류:종교]]
[[분류:오컬트]]
[[분류:오컬트]]
[[분류:마법]]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