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로 (드래그 온 드라군 3)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7번째 줄: 7번째 줄:
  | 등장작품 = [[드래그 온 드라군 3]]
  | 등장작품 = [[드래그 온 드라군 3]]
  | 이명 = 배신자 우타히메
  | 이명 = 배신자 우타히메
  | 상태 = 생존 (B, C 분기) <br /> 사망 (A 분기) <br /> 봉인 (D 분기)
  | 상태 = 생존 (B, C 분기) <br/> 사망 (A 분기) <br/> 봉인 (D 분기)
  | 종 = 인간 (본편 이전) <br /> 우타우타이 (본편)
  | 종 = 인간 (본편 이전) <br/> 우타우타이 (본편)
  | 키 = 168 cm
  | 키 = 168 cm
  | 몸무게 = 55 kg
  | 몸무게 = 55 kg
  | 나이 = 17 (육체나이) <br /> 18 (프롤로그 시점) <br /> '''19''' (본편 시점)
  | 나이 = 17 (육체나이) <br/> 18 (프롤로그 시점) <br/> '''19''' (본편 시점)
  | 성별 = 여성
  | 성별 = 여성
  | 쓰리 사이즈 = 불명
  | 쓰리 사이즈 = 불명
18번째 줄: 18번째 줄:
  | 싫어하는 것 = 냄새나는 것.
  | 싫어하는 것 = 냄새나는 것.
  | 좋아하는 음식 = 딱히 없음.
  | 좋아하는 음식 = 딱히 없음.
  | 무기 = 검 (기본무기)<br /> 창 <br /> 건틀렛 <br /> 곤륜
  | 무기 = 검 (기본무기)<br/> 창 <br/> 건틀렛 <br/> 곤륜
  | 머리색 = 하얀색
  | 머리색 = 하얀색
  | 눈색 = 연분홍색
  | 눈색 = 연분홍색
  | 동료 = 미하일 (미카엘) <br /> 사도들
  | 동료 = 미하일 (미카엘) <br/> 사도들
  | 성우 = {{깃발|일본}} : [[우치다 마이야]] <br /> {{깃발|미국}} : 타라 플랫
  | 성우 = {{국기그림|일본}} : [[우치다 마이야]] <br/> {{국기그림|미국}} : 타라 플랫
  | 마크 = [[파일:Zero DOD3 crest.png|150px]]
  | 마크 = [[파일:Zero DOD3 crest.png|150px]]
  }}
  }}
89번째 줄: 89번째 줄:


그뒤, 최종장, 원의 힘을 흡수하자마자 제로의 몸에 빛이 나면서 사라지려고 하고 그녀는 망설이는 미하일에게 마지막으로 할 말이 있다고 말한다. 미하일이 궁금해하자,
그뒤, 최종장, 원의 힘을 흡수하자마자 제로의 몸에 빛이 나면서 사라지려고 하고 그녀는 망설이는 미하일에게 마지막으로 할 말이 있다고 말한다. 미하일이 궁금해하자,
{{인용문|'''훌륭해졌구나, 미하일'''...(立派になったな, ミハイル...)|교회도시|미하일과 작별인사|left}}
{{인용문|'''훌륭해졌구나, 미하일'''...(立派になったな, ミハイル...)|교회도시|미하일과 작별인사|left}}


102번째 줄: 103번째 줄:
== 테마곡 ==
== 테마곡 ==
=== クロイウタ(검은 노래) - 보컬곡 ===
=== クロイウタ(검은 노래) - 보컬곡 ===
{{참고|クロイウタ}}
{{참조|クロイウタ}}


드온드 3의 메인 테마곡이자 제로의 테마곡으로 D 분기에서 과거 회상을 할 때, 최종보스전에서 꽃으로 나타날때 부른 노래이다.
드온드 3의 메인 테마곡이자 제로의 테마곡으로 D 분기에서 과거 회상을 할 때, 최종보스전에서 꽃으로 나타날때 부른 노래이다.


=== 검은 노래 - 제로의 기억 (가제) ===
=== 검은 노래 - 제로의 기억 (가제) ===
{{유튜브|https://youtu.be/ylPOA3R_XTE}}<br />
{{유튜브|https://youtu.be/ylPOA3R_XTE}}<br/>


D 분기에서 제로가 과거 기억을 회상할 때 나온 필드음악으로 타이틀은 팬들이 붙인 가제. 사운드 트랙 앨범에는 수록되지 않았다.
D 분기에서 제로가 과거 기억을 회상할 때 나온 필드음악으로 타이틀은 팬들이 붙인 가제. 사운드 트랙 앨범에는 수록되지 않았다.
113번째 줄: 114번째 줄:
== 트리비아 ==
== 트리비아 ==
* 제로 휘하 5자매의 성격과 외형의 기원은 드온드 3 스토리 사이드에서 언급되는데 제로가 살아오면서 본 사람들과 느낀 것, 자신의 감정들이 반영된 사념체와 비슷한 것들이다. (원 - 제로가 처형장에서 본 모반자 소녀, 투 - 제로가 살면서 버린 선량한 성격, 쓰리 - 제로 자신의 뒤틀린 광기, 포 - 당시 사창가에 팔려간 제로의 방어기제와 자존심, 파이브 - 제로가 약탈하고 살해한 수녀 or 제로의 욕망들.) 똑같이 사도들의 모습은<ref>단 성격같은 세부적 성향은 해당 사도들을 휘하에 넣은 각 우타우타이들이 바란 것이 반영된 것으로 대표적으로 파이브는 건방진 미소년을 좋아해서, 투는 자신을 사랑해줄 남자를 원해서 디트와 센트의 성향이 정해진 것이다.</ref> 제로가 만난 남자들이 반영된 것으로 옥타의 원본은 제로가 프롤로그에서 죽인 노인 역사기록자인 "팔티시온(パルティシオン)"이다.
* 제로 휘하 5자매의 성격과 외형의 기원은 드온드 3 스토리 사이드에서 언급되는데 제로가 살아오면서 본 사람들과 느낀 것, 자신의 감정들이 반영된 사념체와 비슷한 것들이다. (원 - 제로가 처형장에서 본 모반자 소녀, 투 - 제로가 살면서 버린 선량한 성격, 쓰리 - 제로 자신의 뒤틀린 광기, 포 - 당시 사창가에 팔려간 제로의 방어기제와 자존심, 파이브 - 제로가 약탈하고 살해한 수녀 or 제로의 욕망들.) 똑같이 사도들의 모습은<ref>단 성격같은 세부적 성향은 해당 사도들을 휘하에 넣은 각 우타우타이들이 바란 것이 반영된 것으로 대표적으로 파이브는 건방진 미소년을 좋아해서, 투는 자신을 사랑해줄 남자를 원해서 디트와 센트의 성향이 정해진 것이다.</ref> 제로가 만난 남자들이 반영된 것으로 옥타의 원본은 제로가 프롤로그에서 죽인 노인 역사기록자인 "팔티시온(パルティシオン)"이다.
* 제로의 이름은 소설에도 나온 것처럼 자신이 가진 것이 아무것도 없고 잃을 것도 없기에(모든게 0) 붙인 이름이다. 연분홍(우스베니)은(는) 사창가 시절 친구인 소녀와 같이 지내면서 서로 부른 이름으로 제로라는 이름을 얻기 전까진 이름이 없었다고 볼 수 있다.
* 제로의 이름은 소설에도 나온 것처럼 자신이 가진 것이 아무것도 없고 잃을 것도 없기에(모든게 0) 붙인 이름이다. 연분홍(우스베니)은(는) 사창가 시절 친구인 소녀와 같이 지내면서 서로 부른 이름으로 제로라는 이름을 얻기 전까진 이름이 없었다고 볼 수 있다.
* 공식 설정집에 따르면 제로의 육신은 이미 죽은 상태로 꽃이 기생해 강제적으로 움직이게 하고 있는 것이다. 꽃이 왜 제로에게 기생했는지, 어떻게 나타났는지 공식적으로 알려진 바가 없으나, 일부 팬덤의 설에 따르면 제로가 험난한 삶을 살았기에 세상을 멸망시키기 위해 꽃이 모반으로 삼았다는 설과 우스베니로서의 세상에 대한 증오가 꽃으로 구현화되었다는 설이 있다.
* 공식 설정집에 따르면 제로의 육신은 이미 죽은 상태로 꽃이 기생해 강제적으로 움직이게 하고 있는 것이다. 꽃이 왜 제로에게 기생했는지, 어떻게 나타났는지 공식적으로 알려진 바가 없으나, 일부 팬덤의 설에 따르면 제로가 험난한 삶을 살았기에 세상을 멸망시키기 위해 꽃이 모반으로 삼았다는 설과 우스베니로서의 세상에 대한 증오가 꽃으로 구현화되었다는 설이 있다.


121번째 줄: 124번째 줄:
{{드래그 온 드라군 3 관련 목록}}
{{드래그 온 드라군 3 관련 목록}}
[[분류:드래그 온 드라군 시리즈 등장인물|3]]
[[분류:드래그 온 드라군 시리즈 등장인물|3]]
[[분류:게임 주인공]]
[[분류:죽은 등장인물]]
{{퍼온문서
{{퍼온문서
|문서=일본어 위키피디아 드래그 온 드라군 3 문서
|문서=일본어 위키피디아 드래그 온 드라군 3 문서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는 다음의 숨은 분류 2개에 속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