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봉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5번째 줄: 5번째 줄:
|생몰년도|| 생년 미상~ 271년
|생몰년도|| 생년 미상~ 271년
|-
|-
|자|| 승연(承淵)
|자|| 승연
|-
|-
|출생지|| 양주 여강군 안풍현
|출생지|| 양주 여강군 안풍현
|-
|-
|국적|| (吳)
|국적|| (吳)
|-
|-
|자식|| 정온(丁溫)
|자식|| 정오(丁溫)
|}
|}
[[삼국시대]] [[손오]]의 무장이며 동명이인 정봉(丁封)의 형으로 [[제갈량]] 사후 삼국시대 중후기에 두각되는 용장이다.
[[삼국시대]] [[손오]]의 무장이며 동명이인 정봉(丁封)의 형으로 [[제갈량]] 사후 삼국시대 중후기에 두각되는 용이다.


== 생애 ==
== 생애 ==
20번째 줄: 20번째 줄:
252년 12월에 위나라의 제갈탄, 호준의 공격에 [[제갈각]] 휘하로 들어가 위군 진영을 급습해 [[한당]]의 아들이자 전향자인 [[한종]]의 목을 베었다. 이때 부하들에게 갑옷을 풀고 단병만 지니도록 하여 이를 본 위군들은 그 수가 적어 제대로 방비를 하지 않아 패배하고 말았다. 이 전공으로 멸구장군, 도양후로 승격한다.
252년 12월에 위나라의 제갈탄, 호준의 공격에 [[제갈각]] 휘하로 들어가 위군 진영을 급습해 [[한당]]의 아들이자 전향자인 [[한종]]의 목을 베었다. 이때 부하들에게 갑옷을 풀고 단병만 지니도록 하여 이를 본 위군들은 그 수가 적어 제대로 방비를 하지 않아 패배하고 말았다. 이 전공으로 멸구장군, 도양후로 승격한다.


255년 위의 장군 문흠이 투항해 오니, 정봉을 호위장군으로 삼고 여거, 유찬를 이끌은 손준을 따라 수춘에 가 맞이하게 하고, 적의 추격군과 고정(高亭)에서 싸웠다. 정봉이 말에 타고 긴 모을 들고 적의 진중으로 돌입하여, 수백명의 머리를 베고, 군기를 노획했다. 안풍후로 올려 봉했다.
255년 위의 장군 문흠이 투항해 오니, 정봉을 호위장군으로 삼고 손준을 따라 수춘에 가 맞이하게 하고, 적의 추격군과 고정(高亭)에서 싸웠다. 정봉이 말에 타고 긴 모을 들고 적의 진중으로 돌입하여, 수백명의 머리를 베고, 군기를 노획했다. 안풍후로 올려 봉했다.


윤달 정월 9일 손준은 표기장군 여거, 좌장군 유찬과 군대를 이끌고 수춘을 습격하려고 했다. 군대가 동흥에 이르렀을 때, 문흠 등이 패배했다는 소식을 들었다. 19일, 군대가 탁고(橐臯)까지 진군하자, 문흠이 손준에게 투항해 왔고, 회남의 잔여 세력 수만 명도 오나라로 달려왔다. 위나라의 제갈탄이 수춘으로 진입하자, 손준은 군대를 이끌고 돌아왔다. 2월, 위나라 장군 조진(曹珍)과 고정(高亭)에서 마주쳐 교전했는데, 조진이 크게 패했다. 유찬은 제갈탄의 별장 장반에게 고파(菰陂)에서 패했다. 유찬과 장군 손릉(孫楞), 장수(蔣脩) 등이 모두 해를 입었다.
윤달 정월 9일 손준은 표기장군 여거, 좌장군 유찬과 군대를 이끌고 수춘을 습격하려고 했다. 군대가 동흥에 이르렀을 때, 문흠 등이 패배했다는 소식을 들었다. 19일, 군대가 탁고(橐臯)까지 진군하자, 문흠이 손준에게 투항해 왔고, 회남의 잔여 세력 수만 명도 오나라로 달려왔다. 위나라의 제갈탄이 수춘으로 진입하자, 손준은 군대를 이끌고 돌아왔다. 2월, 위나라 장군 조진(曹珍)과 고정(高亭)에서 마주쳐 교전했는데, 조진이 크게 패했다. 유찬은 제갈탄의 별장 장반에게 고파(菰陂)에서 패했다. 유찬과 장군 손릉(孫楞), 장수(蔣脩) 등이 모두 해를 입었다.
오봉 2년(255), 위나라 장수 관구검과 문흠이 부대를 인솔하여 반란을 일으켜 위나라 사람들과 낙가에서 싸웠다. 손준은 표기장군 여거(呂據)와 좌장군 유찬을 인솔하여 수춘을 습격했다. 그러나 마침 문흠이 패배해 항복했으므로 군대를 돌렸다.


257년 [[제갈탄의 난]]에 참전하고 이후 [[손휴]]가 즉위하면서 당시 권신인 [[손침]]을 치기위해 손휴파인 [[장포]]가 정봉을 추천해 정봉도 이에 가담하여 손침을 죽인 공로로 대장군으로 임명되었다.
257년 [[제갈탄의 난]]에 참전하고 이후 [[손휴]]가 즉위하면서 당시 권신인 [[손침]]을 치기위해 손휴파인 [[장포]]가 정봉을 추천해 정봉도 이에 가담하여 손침을 죽인 공로로 대장군으로 임명되었다.
34번째 줄: 36번째 줄:
271년 [[만욱]]이 정봉과 유평에게 손호를 단념하라고 발언하자, 이 발언이 손호의 귀에 들어가 272년 신년연회에 만욱과 유평에게 독주를 보내 사사시켜 죽게 만들었지만 정봉은 이 해 세상을 떠나 그의 아들 정온이 대신 처형되었다고 한다.
271년 [[만욱]]이 정봉과 유평에게 손호를 단념하라고 발언하자, 이 발언이 손호의 귀에 들어가 272년 신년연회에 만욱과 유평에게 독주를 보내 사사시켜 죽게 만들었지만 정봉은 이 해 세상을 떠나 그의 아들 정온이 대신 처형되었다고 한다.


정봉은 승진하면서 교만한 태도를 보이며, 그가 죽은 다음 해인 272년에는 정봉을 참언한 자가 손호에게 생전의 군사생활에서의 실패를 이유로 정봉의 유족들은 임천으로 강제로 이주되었다.
정봉은 승진하면서 교만한 태도를 보이며, 그가 죽은 다음 해인 272년에는 정봉을 참언한 자가 손호에게 생전의 군사생활에서의 실패를 이유로 정봉의 유족들은 임천으로 이주되었다.
 
== [[삼국지연의]] ==
 
== 기타 ==
[[정봉/미디어]] 항목참고.


{{각주}}
{{각주}}
{{삼국지 등장인물/오}}
{{삼국지 등장인물/오}}
[[분류:삼국지 등장인물]]
[[분류:삼국지 등장인물]]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