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성씨)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전'''(全, 田, 錢)씨는 [[중국]] 및 [[한국의 성씨]]이다.
'''전'''(全, 田, 錢)씨는 [[중국]] 및 [[한국의 성씨]]이다.


== <span id="全"/>온전할 전 [[]] ==
== 온전할 전 全 ==
=== 한국 ===
=== 한국 ===
'''전'''(全)씨는 2000년 [[대한민국 통계청]] 인구조사에서 493,419명으로 조사되어, 한국 성씨 인구 순위 21위이다.
'''전'''(全)씨는 2000년 [[대한민국 통계청]] 인구조사에서 493,419명으로 조사되어, 한국 성씨 인구 순위 21위이다.


전(全)씨의 도시조 '''전섭'''(全聶)은 [[백제]] 개국공신이다. 전섭은 기원전 18년 [[고구려]] [[동명왕]]의 셋째 아들 [[온조]]가 '''[[백제]]'''를 개국할 때 [[마려]](馬藜), 오간(烏干), 을음(乙音), 해루(解婁), 흘간(屹干), 곽충(郭忠), 한세기(韓世奇), 범창(笵昌), 조성(趙成) 등 9사람과 함께 공을 세워 십제공신(十濟功臣)으로 환성군(歡城君)에 봉해졌다. 전씨(全氏)는 도시조인 전섭으로부터 [[정선 전씨|정선]], [[천안 전씨|천안]], 용궁, [[옥천 전씨|옥천]], [[나주 전씨|나주]], [[완산 전씨|전주]] 등 18본이 분적되었다.
전(全)씨의 도시조 '''전섭'''(全聶)은 [[백제]] 개국공신이다. 전섭은 기원전 18년 [[고구려]] [[동명왕]]의 셋째 아들 [[온조]]가 '''[[백제]]'''를 개국할 때 [[마려]](馬藜), 오간(烏干), 을음(乙音), 해루(解婁), 흘간(屹干), 곽충(郭忠), 한세기(韓世奇), 범창(笵昌), 조성(趙成) 등 9사람과 함께 공을 세워 십제공신(十濟功臣)으로 환성군(歡城君)에 봉해졌다. 전씨(全氏)는 도시조인 전섭으로부터 [[정선 전씨|정선]], [[천안 전씨|천안]], 용궁, [[옥천 전씨|옥천]], [[나주 전씨|나주]], [[완산 전씨|전주]] 등 18본이 분적되었다.
*'''[[정선 전씨]]'''(旌善全氏) 시조 '''전훤'''(全愃)은 전섭(全聶)의 8세손이다. 그는 [[백제]]의 대광공주(大光公主)를 배행하고 신라에 들어가, 신라 [[성덕왕]](재위 702년∼737년) 때 전법판서(典法判書)를 지내고 정선군(旌善君)에 봉해졌다.<ref>{{한국학중앙연구원 인물|LST_190_542_0447|정선 전씨}}</ref> [[정선 전씨]]는 조선시대 문과 급제자 10명을 배출하였다. 2000년 인구는 141,380명이다. [[:분류:정선 전씨|목록]]
 
*'''[[천안 전씨]]'''(天安全氏) 시조 '''전락'''(全樂)은 전섭(全聶)의 16세손이다. 그는 고려의 개국공신으로 삼사좌복야(三司左僕射)를 지냈으며, 천안군(天安君)에 봉해졌다.<ref>{{한국학중앙연구원 인물|LST_190_592_0449|천안 전씨}}</ref> [[천안 전씨]]는 조선시대 문과 급제자 4명을 배출하였다. 2000년 인구는 133,074명이다. [[:분류:천안 전씨|목록]]
*'''[[정선 전씨]]'''(旌善全氏) 시조 '''전훤'''(全愃)은 전섭(全聶)의 8세손이다. 그는 [[백제]]의 대광공주(大光公主)를 배행하고 신라에 들어가, 신라 [[성덕왕]](재위 702년∼737년) 때 전법판서(典法判書)를 지내고 정선군(旌善君)에 봉해졌다.<ref>{{한국학중앙연구원 인물|LST_190_542_0447|정선 전씨}}</ref> [[정선 전씨]]는 조선시대 문과 급제자 10명을 배출하였다. 2000년 인구는 141,380명이다.
*'''[[옥천 전씨]]'''(沃川全氏) 시조 '''전학준'''(全學俊)은 전섭(全聶)의 23세손이다. 그는 영동정(領同正)을 역임했으며, 그의 5세손 전유(全侑)가 고려 때 밀직부사(密直副使), 판도판서(版圖判書), 상호군(上護軍) 등을 지내고 관성군(管城君)에 봉해졌다. [[옥천 전씨]]는 조선시대 문과 급제자 6명을 배출하였다. 2000년 인구는 43,920명이다. [[:분류:옥천 전씨|목록]]
 
*'''[[천안 전씨]]'''(天安全氏) 시조 '''전락'''(全樂)은 전섭(全聶)의 16세손이다. 그는 고려의 개국공신으로 삼사좌복야(三司左僕射)를 지냈으며, 천안군(天安君)에 봉해졌다.<ref>{{한국학중앙연구원 인물|LST_190_592_0449|천안 전씨}}</ref> [[천안 전씨]]는 조선시대 문과 급제자 4명을 배출하였다. 2000년 인구는 133,074명이다.
 
*'''[[옥천 전씨]]'''(沃川全氏) 시조 '''전학준'''(全學俊)은 전섭(全聶)의 23세손이다. 그는 영동정(領同正)을 역임했으며, 그의 5세손 전유(全侑)가 고려 때 밀직부사(密直副使), 판도판서(版圖判書), 상호군(上護軍) 등을 지내고 관성군(管城君)에 봉해졌다. [[옥천 전씨]]는 조선시대 문과 급제자 6명을 배출하였다. 2000년 인구는 43,920명이다.
 
*'''[[죽산 전씨]]'''(竹山全氏) 시조 '''전한'''(全僩)은 전섭(全聶)의 28세손이다. 그는 고려 때 문과에 합격하여 고종 때 밀직부사(密直副使)되어 1231년(고종 18)에 몽골군이 침입했을 때 성신진(成新鎭)을 방어하여 공을 세웠다. 그리하여 좌리공신(佐理功臣)에 책록되었고, 죽산군(竹山君)에 봉해졌다. 2000년 인구는 11,229명이다.
*'''[[죽산 전씨]]'''(竹山全氏) 시조 '''전한'''(全僩)은 전섭(全聶)의 28세손이다. 그는 고려 때 문과에 합격하여 고종 때 밀직부사(密直副使)되어 1231년(고종 18)에 몽골군이 침입했을 때 성신진(成新鎭)을 방어하여 공을 세웠다. 그리하여 좌리공신(佐理功臣)에 책록되었고, 죽산군(竹山君)에 봉해졌다. 2000년 인구는 11,229명이다.
*'''[[용궁 전씨]]'''(龍宮全氏) 시조 '''전방숙'''(全邦淑)은 전섭(全聶)의 28세손이다. 그는 고려 충렬왕 때 한림학사(翰林學士)를 거쳐 문하시중평장사(門下侍中平章事)에 올랐으며, 용성부원군(龍城府院君)에 봉해졌다. 2000년 인구는 27,706명이다.
*'''[[용궁 전씨]]'''(龍宮全氏) 시조 '''전방숙'''(全邦淑)은 전섭(全聶)의 28세손이다. 그는 고려 충렬왕 때 한림학사(翰林學士)를 거쳐 문하시중평장사(門下侍中平章事)에 올랐으며, 용성부원군(龍城府院君)에 봉해졌다. 2000년 인구는 27,706명이다.
*'''[[평강 전씨]]'''(平康全氏) 시조 '''전승'''(全勝)은 전섭(全聶)의 28세손이다. 그는 고려 때 시중을 지냈으며, 그의 아들 전빈(全賓)은 1371년([[고려]] [[공민왕]] 20년)에 문과에 합격하여 정언(正言), 숙천부사(肅川府使) 등을 역임하고 조선이 개국되자 간의대부(諫議大夫) 보문각대제학(寶文閣大提學)을 지내고 평강백(平康伯)에 봉해졌다. 2000년 인구는 2,734명이다.
 
*'''[[평강 전씨]]'''(平康全氏) 시조 '''전승'''(全勝)은 전섭(全聶)의 28세손이다. 그는 고려 때 시중을 지냈으며, 그의 아들 전빈(全賓)은 1371년([[고려]] [[공민왕]] 20년)에 문과에 합격하여 정언(正言), 숙천부사(肅川府使) 등을 역임하고 조선이 개국되자 간의대부(諫議大夫) 보문각대제학(寶文閣大提學)을 지내고 평강백(平康伯)에 봉해졌다. 2000년 인구는 2,734명이다.  
 
*'''[[나주 전씨]]'''(羅州全氏) 시조 '''전경'''(全卿)은 전섭(全聶)의 30세손이다. 그는 [[고려]] [[충렬왕]] 때 국자좨주(國子祭酒)를 역임하고 1341년(충혜왕 복위 2년) 조적의 난에 공을 세워 나성(羅城)군에 봉해졌다. 1985년 인구는 17,687명이다.
*'''[[나주 전씨]]'''(羅州全氏) 시조 '''전경'''(全卿)은 전섭(全聶)의 30세손이다. 그는 [[고려]] [[충렬왕]] 때 국자좨주(國子祭酒)를 역임하고 1341년(충혜왕 복위 2년) 조적의 난에 공을 세워 나성(羅城)군에 봉해졌다. 1985년 인구는 17,687명이다.
*'''[[완산 전씨]]'''(完山全氏) 시조 '''전집'''(全潗)은 전섭(全聶)의 30세손이다. 그는 1361년([[고려]] [[공민왕]] 10년) 중랑장(中郞將)으로 홍건적을 물리치는데 공을 세워 추충정난호성공신(推忠靖亂扈聖功臣)이 되었고, 완산백(完山伯)에 봉해졌다.<ref>{{한국학중앙연구원 인물|LST_190_539_0446|전주 전씨}}</ref> 2000년 인구는 24,002명이다. [[:분류:완산 전씨|목록]]
 
*'''[[완산 전씨]]'''(完山全氏) 시조 '''전집'''(全潗)은 전섭(全聶)의 30세손이다. 그는 1361년([[고려]] [[공민왕]] 10년) 중랑장(中郞將)으로 홍건적을 물리치는데 공을 세워 추충정난호성공신(推忠靖亂扈聖功臣)이 되었고, 완산백(完山伯)에 봉해졌다.<ref>{{한국학중앙연구원 인물|LST_190_539_0446|전주 전씨}}</ref> 2000년 인구는 24,002명이다.


전(全)씨의 인물로는 고려 말기의 충신인 [[전오륜]], 동학농민운동가 [[전봉준]], 독립운동가 [[전덕기]], 노동운동가 [[전태일]], 문화재 수집가 [[전형필]], 대통령 [[전두환]], 가수 [[전영록]], 변호사 [[전원책]], 군인 [[전인범]],[[전도봉]], 방송인 [[전현무]], 가수 [[레이디 제인 (가수)|레이디 제인]](본명 전지혜) 등이 있다.
전(全)씨의 인물로는 고려 말기의 충신인 [[전오륜]], 동학농민운동가 [[전봉준]], 독립운동가 [[전덕기]], 노동운동가 [[전태일]], 문화재 수집가 [[전형필]], 대통령 [[전두환]], 가수 [[전영록]], 변호사 [[전원책]], 군인 [[전인범]],[[전도봉]], 방송인 [[전현무]], 가수 [[레이디 제인 (가수)|레이디 제인]](본명 전지혜) 등이 있다.
20번째 줄: 28번째 줄:
중국의 전씨는 주나라 관직에서 나왔다. 몽골족 계통과 천씨 계통도 있다. 현재는 Quan인데 과거에는 전, 천, 진과 유사하였다. 다른 계통으로는 고대 중국에 서언왕의 서이족들이 전국(全国)에 살았는데 지명 이름을 성으로 하였다. 전국에서 서씨가 나왔으며 [[서복]]이 진나라 출신이라 중국에서는 영성으로 분류한다. (영성도 종류가 많아서 진나라에서 관적한 사람, 백성들도 영성으로 분류하는데, 그 가운데 주나라 희성 공족도 있고, 서이족도 있고, 백족도 있다.) 전국의 위치는 후대 [[제나라]]와 겹친다.
중국의 전씨는 주나라 관직에서 나왔다. 몽골족 계통과 천씨 계통도 있다. 현재는 Quan인데 과거에는 전, 천, 진과 유사하였다. 다른 계통으로는 고대 중국에 서언왕의 서이족들이 전국(全国)에 살았는데 지명 이름을 성으로 하였다. 전국에서 서씨가 나왔으며 [[서복]]이 진나라 출신이라 중국에서는 영성으로 분류한다. (영성도 종류가 많아서 진나라에서 관적한 사람, 백성들도 영성으로 분류하는데, 그 가운데 주나라 희성 공족도 있고, 서이족도 있고, 백족도 있다.) 전국의 위치는 후대 [[제나라]]와 겹친다.


== <span id="田"/>밭 전 [[]] ==
== 밭 전 田 ==
=== 한국 ===
=== 한국 ===
'''전'''(田)씨는 2000년 [[대한민국 통계청]] 인구조사에서 188,354명으로 조사되어, 한국 성씨 인구 순위 35위이다. 본관은 [[담양 전씨]], [[영광 전씨]], [[남양 전씨]] 등 50본이 있고, [[연안 전씨]], [[하음 전씨]] 등은 [[담양 전씨]]에서 분파되었다. [[남양 전씨]]는 왕(王)씨에서 변성된 성씨이다.
'''전'''(田)씨는 2000년 [[대한민국 통계청]] 인구조사에서 188,354명으로 조사되어, 한국 성씨 인구 순위 35위이다. 본관은 [[담양 전씨]], [[영광 전씨]], [[남양 전씨]] 등 50본이 있고, [[연안 전씨]], [[하음 전씨]] 등은 [[담양 전씨]]에서 분파되었다. [[남양 전씨]]는 왕(王)씨에서 변성된 성씨이다.
* '''[[영광 전씨]]'''(靈光 田氏) 시조 '''전종회'''(田宗會)는 [[고려]] 개국 공신이다.<ref>{{한국학중앙연구원 인물|LST_191_390_0456|영광 전씨}}</ref> 이후 계대(系代)가 실전되어 첨사(諂事)를 지낸 전개(田漑)를 1세조로 한다. 2000년 인구는 560명이다.
* '''[[영광 전씨]]'''(靈光 田氏) 시조 '''전종회'''(田宗會)는 [[고려]] 개국 공신이다.<ref>{{한국학중앙연구원 인물|LST_191_390_0456|영광 전씨}}</ref> 이후 계대(系代)가 실전되어 첨사(諂事)를 지낸 전개(田漑)를 1세조로 한다. 2000년 인구는 560명이다.
* '''[[담양 전씨]]'''(潭陽 田氏) 시조 '''전득시'''(田得時)는 [[고려]]시대 사람으로 [[전라도]] [[담양군|담양]](潭陽)에서 조상 대대로 살아온 향리의 아들이다. 그는 현량과(賢良科)로 천거되어 [[고려 의종]] 때 좌복야(左僕射), 참지정사(參知政事) 등을 역임하고 담양군(潭陽君)에 봉해졌다.<ref>{{한국학중앙연구원 인물|LST_191_142_0454|담양 전씨}}</ref> [[담양 전씨]]는 조선시대 문과 급제자 12명을 배출하였다. 2000년 인구는 128,007명이다.
* '''[[담양 전씨]]'''(潭陽 田氏) 시조 '''전득시'''(田得時)는 [[고려]]시대 사람으로 [[전라도]] [[담양군|담양]](潭陽)에서 조상 대대로 살아온 향리의 아들이다. 그는 현량과(賢良科)로 천거되어 [[고려 의종]] 때 좌복야(左僕射), 참지정사(參知政事) 등을 역임하고 담양군(潭陽君)에 봉해졌다.<ref>{{한국학중앙연구원 인물|LST_191_142_0454|담양 전씨}}</ref> [[담양 전씨]]는 조선시대 문과 급제자 12명을 배출하였다. 2000년 인구는 128,007명이다.
34번째 줄: 43번째 줄:
중국의 전(田, tian)씨는 순(舜)임금의 후예로 [[제나라]]를 세운 왕족으로 알려져 있다. 사마천의 ‘사기’에 의하면, 주나라의 봉건국가 중에 진(陳)나라가 있었는데, 완(完)이라는 공자가 왕실의 정쟁에 휘말려 제나라로 도주한 뒤 신분을 숨기고 살았다고 한다. 그의 원래 성씨는 규씨였으나, 제나라에 와서는 모국인 진나라의 진을 성씨로 삼았다고 한다. 후에 제나라 왕으로부터 관직을 얻고 별호로 전을 쓰다가 진이라는 성을 전으로 바꾸었다고 전하고 있다.
중국의 전(田, tian)씨는 순(舜)임금의 후예로 [[제나라]]를 세운 왕족으로 알려져 있다. 사마천의 ‘사기’에 의하면, 주나라의 봉건국가 중에 진(陳)나라가 있었는데, 완(完)이라는 공자가 왕실의 정쟁에 휘말려 제나라로 도주한 뒤 신분을 숨기고 살았다고 한다. 그의 원래 성씨는 규씨였으나, 제나라에 와서는 모국인 진나라의 진을 성씨로 삼았다고 한다. 후에 제나라 왕으로부터 관직을 얻고 별호로 전을 쓰다가 진이라는 성을 전으로 바꾸었다고 전하고 있다.


== <span id="錢"/>화폐 전 [[]] ==
== 화폐 전 錢 ==
전(錢)씨는 중국 팽성(彭城:강소성 서해도 서주)에서 시작된 성씨이다.
전(錢)씨는 중국 팽성(彭城:강소성 서해도 서주)에서 시작된 성씨이다.


48번째 줄: 57번째 줄:


== 참고 ==
== 참고 ==
* 중국에서 영성은 조씨 말고도 다른 계통이 있다. 봉씨, 공손씨([[상앙]])는 본래 주나라 희성인데 진나라에 관적하여 영성으로 분류되고, 서복은 제나라에서 진나라로 들어가 벼슬을 하여 영성으로 분류되고 있다. 그리고 진나라 유민, 장군 등도 영성으로 분류한다. 전국(全国) 전씨는 서이족이므로 굳이 구분하면 영성이다.
* 중국에서 영성은 조씨 말고도 다른 계통이 있다. 봉씨, 공손씨([[상앙]])는 본래 주나라 희성인데 진나라에 관적하여 영성으로 분류되고, 서복은 제나라에서 진나라로 들어가 벼슬을 하여 영성으로 분류되고 있다. 그리고 진나라 유민, 장군 등도 영성으로 분류한다. 전국(全国) 전씨는 서이족이므로 굳이 구분하면 영성이다.  
* 전국은 본래 제나라 지역이므로 강성 제후국과 규성 제후국을 거치게 된다.
* 전국은 본래 제나라 지역이므로 강성 제후국과 규성 제후국을 거치게 된다.  
* 비공식 야사에 의하면 한국 [[전]](田), [[전]](全)씨에는 [[고려]] [[개성 왕씨]]가 변성한 계통이 있다고 한다.
* 비공식 야사에 의하면 한국 [[전]](田), [[전]](全)씨에는 [[고려]] [[개성 왕씨]]가 변성한 계통이 있다고 한다.
* 일본인들이 성에는 복성 뒤에 전(田)자가 들어가는 경우가 있는데 일본인이 한자를 사용하는 다른 나라에 귀화할 때 앞자가 아닌 뒷자를 성으로 하는 경우가 있다고 한다.
* 일본인들이 성에는 복성 뒤에 전(田)자가 들어가는 경우가 있는데 일본인이 한자를 사용하는 다른 나라에 귀화할 때 앞자가 아닌 뒷자를 성으로 하는 경우가 있다고 한다.


{{각주}}
{{각주}}
{{한국인의 성씨}}
{{한국인의 성씨]}
{{퍼온문서|전 (성씨)|15608950}}
{{퍼온문서|전 (성씨)|15608950}}
[[분류:한국인의 성씨]]
[[분류:한국인의 성씨]]
[[분류:전씨| ]]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는 다음의 숨은 분류 1개에 속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