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자동차 충전소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에스차저 전경.jpg|thumb]]
[[파일:전기차 충전소.jpg|thumb]]
[[전기자동차]]의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는 곳.
[[전기자동차]]의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는 곳.  


차량 구매시 제조사에서 제공하는 이동용 충전기는 “비상용”이니 평소에는 충전소(개인 충전기 포함)를 이용하는 게 좋다. 비상용 충전기는 충전 속도도 느리고, 가정집 콘센트에 꽃으면 전기요금 과다 청구로 이어진다.
차량 구매시 제조사에서 제공하는 이동용 충전기는 “비상용”이니 평소에는 충전소(개인 충전기 포함)를 이용하는 게 좋다. 비상용 충전기는 충전 속도도 느리고, 일반 콘센트에 꽃으면 전기 요금 과다 청구로 이어진다.
== 설치 장소 ==
== 설치 장소 ==
* 가정 등의 사유 공간
* 가정 등의 사유 공간
13번째 줄: 13번째 줄:


== 요금 징수 ==
== 요금 징수 ==
=== 급속 공용 ===
=== 공용 충전기 ===
[[파일:에스차저 충전기.jpg|thumb]]
전기차 보급 극초기에는 충전 요금을 완전 면제해줬으나, 언제까지고 면제해줄 순 없었기 때문에 2016년 4월부터 공용 충전소의 요금 징수를 시작했다. 충전소 운영은 국가(환경부-환경공단)와 민간 컨소시엄이 맡고 있으며, 요금은 운영 주체에 따라 조금씩 다르다. 차량 제조사가 충전소 네트워크와 협력하여 신차 구매 후 일정기간 동안 요금이 면제되는 경우가 있다.
전기차 보급 극초기에는 충전 요금을 완전 면제해줬으나, 언제까지고 면제해줄 순 없었기 때문에 2016년 4월부터 공용 충전소의 요금 징수를 시작했다. 충전소 운영은 국가(환경부-환경공단)와 민간 컨소시엄이 맡고 있으며, 요금은 운영 주체에 따라 조금씩 다르다. 차량 제조사가 충전소 네트워크와 협력하여 신차 구매 후 일정기간 동안 요금이 면제되는 경우가 있다.


결제는 멤버십 카드로 후불 정산하거나, 신용카드로 현장 정산하는 방법이 있다. 멤버십 없이 신용카드로 현장 정산하는 경우 공통적으로 400원/kwh 이상의 고율을 매긴다. 2018년 8월부터 사업자간 네트워크 공유가 개시되면서 한 군데만 가입하면 거의 모든 충전소를 후불로 이용할 수 있다.
결제는 멤버쉽 카드로 후불 정산하거나, 신용카드로 현장 정산하는 방법이 있다. 멤버쉽 없이 신용카드로 현장 정산하는 경우 공통적으로 400원/kwh 이상의 고율을 매긴다. 2018년 8월부터 사업자간 네트워크 공유가 개시되면서 한 군데만 가입하면 거의 모든 충전소를 후불로 이용할 수 있다.


2018년 8월부터 8개 사업자간 공유 네트워크를 구축해 충전카드를 한다발 들고다니는 풍경은 사라질 예정이다.<ref>[http://www.etnews.com/20180529000178 환경부·민간 사업자, 한전까지 전국 1만개 충전기 로밍], 전자신문, 2018.05.29.</ref> 요금 체계도 획일화되어 최대 430원에 육박했던 요금이 170원 ~ 200원대로 조정되었다.
2018년 8월부터 8개 사업자간 공유 네트워크를 구축해 충전카드를 한다발 들고다니는 풍경은 사라질 예정이다.<ref>[http://www.etnews.com/20180529000178 환경부·민간 사업자, 한전까지 전국 1만개 충전기 로밍], 전자신문, 2018.05.29.</ref> 요금 체계도 획일화되어 최대 430원에 육박했던 요금이 170원 ~ 200원대로 조정되었다.
{{-}}
=== 완속 ===
[[파일:전기차 충전소.jpg|thumb]]
완속 충전기는 엄밀히 말해 "충전기"가 아니다. 그저 220V 전기가 나오는 자판기 같은 것이고, 충전은 차가 알아서 한다. 공용 충전기는 합리적으로 요금을 치룰 수 있는 수단으로 운영한다. 전기차는 220V를 받아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는 장치를 내장하고 있다. 정식 명칭도 "전기차 공급시설(EVSE)"라서 그 부분을 더 확실히 한다.


=== 개인 사용 · 공동주택 공용 ===
주택 등에 설치되는 자가소비용 충전기(비공용)는 주택용 전기의 서슬퍼런 누진요금을 면제해주기 위해 별도 요금제를 적용받는다. 별도 계량을 위해 전기계통의 모자분리를 실시해 충전기용 계량기를 별도로 붙이고 충전기 스펙에 따라 [[계약전력]]은 보통 7kW로 매긴다. “전기자동차 충전전력요금”의 적용을 받는 데, 계절·시간에 따라 부과 요금이 다르다. 2019년까지 기본료 면제 및 요금 50% 감면 혜택을 준다.<ref>[http://news.hankyung.com/article/2016121163201 전기차 충전 기본요금 면제…전력량 요금도 50% 깎아준다], 한국경제, 2016.12.11.</ref>
주택 등에 설치되는 자가소비용 충전기(비공용)는 주택용 전기의 서슬퍼런 누진요금을 면제해주기 위해 별도 요금제를 적용받는다. 별도 계량을 위해 전기계통의 모자분리를 실시해 충전기용 계량기를 별도로 붙이고 충전기 스펙에 따라 [[계약전력]]은 보통 7kW로 매긴다. “전기자동차 충전전력요금”의 적용을 받는 데, 계절·시간에 따라 부과 요금이 다르다. 2019년까지 기본료 면제 및 요금 50% 감면 혜택을 준다.<ref>[http://news.hankyung.com/article/2016121163201 전기차 충전 기본요금 면제…전력량 요금도 50% 깎아준다], 한국경제, 2016.12.11.</ref>


공동주택용 공용 충전기는 신축 때부터 충전기를 설치하거나, 입주자대표회의 동의 하에 공용전기 모자분리 후 공용 충전기를 설치한다. 외부인도 사용할 수 있는 완전개방형와 입주민만 사용가능한 부분개방형로 구분된다. 충전 요금 부과는 관리사무소가 아니라 각 충전 멤버십에서 담당하고, 부분개방형 충전기를 이용할 때는 사전에 입주민임을 입증한다. 비공용 충전기도 설치 못하는 건 아니지만 입주민대표회의 통과를 위해서는 공용 충전기가 수월하다.
공동주택용 공용 충전기는 신축 때부터 충전기를 설치하거나, 입주자대표회의 동의 하에 공용전기 모자분리 후 공용 충전기를 설치한다. 외부인도 사용할 수 있는 완전개방형와 입주민만 사용가능한 부분개방형로 구분된다. 충전 요금 부과는 관리사무소가 아니라 각 충전 멤버쉽에서 담당하고, 부분개방형 충전기를 이용할 때는 사전에 입주민임을 입증한다. 비공용 충전기도 설치 못하는 건 아니지만 입주민대표회의 통과를 위해서는 공용 충전기가 수월하다.


고정형 충전기를 둘 공간이 없을 경우 모자분리한 콘센트를 마련한 후 콘센트에 꽃을 이동형 충전기를 차주가 구매하여 충전한다. 콘센트 주변에 설치한 RFID 태그를 단말기에 태그하거나 과금 단말기가 설치된 콘센트를 이용해 충전 위치를 파악한 후, 단말기의 통신모듈과 운영사 서버 간의 인증이 완료되면 충전할 수 있다. 차주는 운영사에 충전 요금을 내고, 전력 요금은 운영사와 시설 관리자(관리사무소)가 서로 상계하거나 데이터를 제공받은 한국전력에서 전력을 구분하여 부과하는 방식이다. 간단한 등록만으로 쉽게 충전 장소를 마련할 수 있고 단말기 값이 저렴하지만, 매달 통신요금이 나가며 고정형 충전기 속도의 30%~50% 밖에 내지 못한다.
고정형 충전기를 둘 공간이 없을 경우 모자분리한 콘센트를 마련한 후 콘센트에 꽃을 이동형 충전기를 차주가 구매하여 충전한다. 콘센트 주변에 설치한 RFID 태그를 단말기에 태그해 충전 위치를 파악한 후, 단말기의 통신모듈과 운영사 서버 간의 인증이 완료되면 충전할 수 있다. 차주는 운영사에 충전 요금을 내고, 전력 요금은 운영사와 시설 관리자(관리사무소)가 서로 상계하거나 데이터를 제공받은 한국전력에서 전력을 구분하여 부과하는 방식이다. 간단한 등록만으로 쉽게 충전 장소를 마련할 수 있고 단말기 값이 저렴하지만, 고정형 충전기 속도의 50% 밖에 내지 못한다.
{{-}}
<div style="overflow:auto;">
<div style="overflow:auto;">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margin:auto;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margin:auto;
61번째 줄: 54번째 줄:
|-
|-
! 기본요금
! 기본요금
| colspan=3 | 2,390원/kW<br /><small>(7kW 계약시 16,730원)</small>
| colspan=3 | 2,390원/kW<br/><small>(7kW 계약시 16,730원)</small>
| colspan=3 | 2,580원/kW<br /><small>(7kW 계약시 18,060원)</small>
| colspan=3 | 2,580원/kW<br/><small>(7kW 계약시 18,060원)</small>
| colspan=3 | ''한국전력 네트워크 기준''
| colspan=3 | ''한국전력 네트워크 기준''
|}
|}
</div>
</div>


<br />
<br/>
<div style=overflow:auto;>
<div style=overflow:auto;>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margin:auto;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margin:auto;
89번째 줄: 82번째 줄:
! colspan=1 |  ~09H
! colspan=1 |  ~09H
|-
|-
! 봄~가을<br /><small>3월~10월</small><ref>6월 ~ 8월이 여름철</ref>
! 봄~가을<br/><small>3월~10월</small><ref>6월 ~ 8월이 여름철</ref>
| colspan= 2 rowspan=2 style=background:yellow; | 중간
| colspan= 2 rowspan=2 style=background:yellow; | 중간
| colspan= 4 rowspan=2 style=background:orange; | 최대  
| colspan= 4 rowspan=2 style=background:orange; | 최대  
97번째 줄: 90번째 줄:
| colspan= 2 rowspan=2 style=background:black;color:white; | 경
| colspan= 2 rowspan=2 style=background:black;color:white; | 경
|-
|-
! 겨울<br /><small>11월~2월</small>
! 겨울<br/><small>11월~2월</small>
| colspan= 10 style="background:yellow; border-top: solid yellow;" | 중간
| colspan= 10 style="background:yellow; border-top: solid yellow;" | 중간
| colspan= 6 style=background:orange; | 최대
| colspan= 6 style=background:orange; | 최대
114번째 줄: 107번째 줄:
! DC 차데모
! DC 차데모
! 기타
! 기타
|- style=vertical-align:top;
|-
|  
|  
* 현대 2017년 이후 생산차
* 현대 2017년 이후 생산분
* 기아 니로EV 이후 출시차
* 기아 니로EV 이후 출시분
* 쉐보레(GM) 전 차종
* 쉐보레(GM) 전 차종
* BMW 전 차종
* BMW 전 차종
|  
|  
* 현대 2016년 이전 생산차
* 현대 2016년 이전 생산분
* 기아 쏘울EV, 레이EV
* 기아 쏘울EV, 레이EV
* 닛산 리프
* 닛산 리프
|  
|  
* 르삼 SM3 Z.E. (Type2)
* 르노삼성 SM3 Z.E. (Type2)
* 테슬라 (독자규격)
* 테슬라 (독자규격)
|}
|}
* DC 차데모 (CHAdeMO) [[파일:차데모.png|thumb]]
* DC 차데모 (CHAdeMO) [[파일:차데모.png|thumb]]
*: 현대·기아 초기분, 닛산 리프에서 사용하는 급속 충전 규격. 일본에서 만들어진 규격이다. 한국에 가장 먼저 들어온 규격이기 때문에 숫자는 가장 많지만 곧 CCS에게 밀려날 예정. 테슬라는 차데모를 독자 규격으로 바꿔주는 어댑터를 시판하며 국내 테슬라 초기 차주들이 Type2-차데모 어댑터를 일부 소유하고 있다.
*: 현대·기아 초기분, 닛산 리프에서 사용하는 급속 충전 규격. 일본에서 만들어진 규격이다. 한국에 가장 먼저 들어온 규격이기 때문에 숫자는 가장 많지만 곧 CCS에게 밀려날 예정. 유럽·중국에선 테슬라 Type2를 차데모로 바꿔주는 젠더가 시판중이며 국내 테슬라 초기 차주들이 일부 소유하고 있다.
{{-}}
{{-}}
* AC 3상 (Type2) [[파일:충전 타입2.png|thumb]]
* AC 3상 (Type2) [[파일:충전 타입2.png|thumb]]
*: 유럽이나 중국 쪽의 표준으로, 르노삼성 SM3 ZE가 사용하는 급속 충전 규격. 다른 차량은 급속·완속 충전 표준을 따로 설치하는 데, Type2는 AC로 급속·완속 충전이 모두 가능하다.
*: 유럽이나 중국 쪽의 표준으로, 르노삼성 SM3 ZE가 사용하는 급속 충전 규격. 다른 차량은 급속·완속 충전 표준을 따로 설치하는 데, Type2는 AC로 급속·완속 충전이 모두 가능하다.  
*: 테슬라가 한국 진입 초기에 이걸로 들어왔는 데, 껍데기만 Type2이고 내용물은 테슬라 독자규격이다 보니 AC3상만 나오는 급속 충전기에서 급속 충전이 안 되는 문제가 컸다. 유저들은 차데모 어댑터로 대응했지만 충전기 호환 문제로 차가 뻗어버리는 일도 발생했다.
*: 테슬라가 한국 진입 초기에 이걸로 들어왔는 데, 껍데기만 Type2이고 내용물은 테슬라 독자규격이다 보니 AC3상만 나오는 급속 충전기에서 급속 충전이 안 되는 문제가 컸다. 유저들은 차데모 어댑터로 대응했지만 충전기 호환 문제로 차가 뻗어버리는 일도 발생했다.
{{-}}
{{-}}
* DC 콤보 (Combined Charging System / CCS Type1) [[파일:DC콤보1.png|thumb]]
* DC 콤보 (Combined Charging System / CCS Type1) [[파일:DC콤보1.png|thumb]]
*: BMW, 현대·기아, 쉐보레 등이 사용하는 급속 충전 규격. AC 완속 규격에 급속용 DC 단자를 덧붙여서 콤보라고 부른다. 국가별 완속 커넥터 표준에 따라 커넥터가 다르며 미국 위주인 Type1(Combo1) 표준과 유럽 위주인 Type2(Combo2) 표준으로 나뉜다. 차츰 전세계 표준으로 자리잡고 있으며, 한국도 통일 표준으로 채택했다.
*: BMW, 현대·기아, 쉐보레 등이 사용하는 급속 충전 규격. AC 완속 규격에 급속용 DC 단자를 덧붙여서 콤보라고 부른다. 국가별 완속 커넥터 표준에 따라 커넥터가 다르며 미국 위주인 Type1(Combo1) 표준과 유럽 위주인 Type2(Combo2) 표준으로 나뉜다. 차츰 전세계 표준으로 자리잡고 있으며, 한국도 통일 표준으로 채택했다.  
*: 차량과 통신시 AC 완속 규격의 통신 라인을 빌려서 [[전력선 통신]]을 하는 데, 한국에서 산업표준을 정할 때 DC콤보가 한전의 원격검침과 혼선이 일어나니 마니 하면서 갑론을박이 있었다.
*: 차량과 통신시 AC 완속 규격의 통신 라인을 빌려서 [[전력선 통신]]을 하는 데, 한국에서 산업표준을 정할 때 DC콤보가 한전의 원격검침과 혼선이 일어나니 마니 하면서 갑론을박이 있었다.  
 
{{-}}
{{-}}
* 테슬라 [[파일:테슬라 충전.png|thumb]]
* 테슬라 [[파일:테슬라 충전.png|thumb]]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