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색왜성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2번째 줄: 2번째 줄:
질량이 [[태양]]의 0.075~0.46배의 질량을 가지고 있는 [[항성]]으로 분광형은 M이며 표면온도는 2300~3800K의 온도분포를 가지고 있는 항성이다.
질량이 [[태양]]의 0.075~0.46배의 질량을 가지고 있는 [[항성]]으로 분광형은 M이며 표면온도는 2300~3800K의 온도분포를 가지고 있는 항성이다.
분광형 M의 온도범위는 1973K~3873K의 온도범위이며 이안에 들어가면 적색왜성이 된다.
분광형 M의 온도범위는 1973K~3873K의 온도범위이며 이안에 들어가면 적색왜성이 된다.
다만 질량이 중원소 함량에 따라 다르지만 태양의 0.075배 미만이면 갈색왜성으로 되는데 [[갈색왜성]]은 처음에는 적색왜성과 동일한 빛을 내뿜지만 핵융합이 불가능하므로 나이가 들면 분광형 L로 떨어진다는 점에서 적색왜성과 다르다.
다만 질량이 중원소 함량에 따라 다르지만 태양의 0.075배 미만이면 갈색왜성으로 되는데 [[갈색왜성]]은 처음에는 적색왜성과 동일한 빛을 내뿜지만 핵융합이 불가능하므로 나이가 들면 분광형 L로 떨어진다는 점에서 적색왜성과 다르다.  


== 특징 ==
== 특징 ==
9번째 줄: 9번째 줄:


양성자-양성자 연쇄 반응을 이용하여 에너지를 생산하지만 연료를 매우 천천히 태우므로 적색왜성의 지름은 매우 작다.
양성자-양성자 연쇄 반응을 이용하여 에너지를 생산하지만 연료를 매우 천천히 태우므로 적색왜성의 지름은 매우 작다.
모든 파장의 밝기를 고려해도 가장 밝은 적색왜성은 태양 밝기의 10%이하이며, 가장 어두운 적색왜성의 광도는 태양의 7천분의 1에 이른다.
모든 파장의 밝기를 고려해도 가장 밝은 적색왜성은 태양 밝기의 10%이하이며, 가장 어두운 적색왜성의 광도는 태양의 7천분의 1에 이른다.  
 
하지만 적색왜성은 대부분 [[적외선]] 영역으로 빛을 발산하기 때문에 가시 광선 영역으로만 관측하면 태양 질량의 10%이하만 되도 1만분의 1의 광도로 내려가며 태양의 7.5%의 광도를 가진 적색 왜성은 10만분의 1이하로까지 내려가게 된다.
하지만 적색왜성은 대부분 [[적외선]] 영역으로 빛을 발산하기 때문에 가시 광선 영역으로만 관측하면 태양 질량의 10%이하만 되도 1만분의 1의 광도로 내려가며 태양의 7.5%의 광도를 가진 적색 왜성은 10만분의 1이하로까지 내려가게 된다.


24번째 줄: 23번째 줄:


따라서 엄청난 슈퍼 플레어가 일어난다.
따라서 엄청난 슈퍼 플레어가 일어난다.
이 슈퍼 플레어는 2천만K까지 가열되어 폭발하는데, 이때 치명적인 방사선도 다량으로 내뿜으며, 단 2분간 쬐어도 적색왜성으로부터 350만km 떨어진 지점의 자기 그릇의 색을 변색시킬만큼 강력하다.
이 슈퍼 플레어는 2천만K까지 가열되어 폭발하는데, 이때 치명적인 방사선도 다량으로 내뿜으며, 단 2분간 쬐어도 적색왜성으로부터 350만km 떨어진 지점의 자기 그릇의 색을 변색시킬만큼 강력하다.  
 
생명체의 경우 단 2초만 쬐어도 모두 전멸할 25Sv의 방사능에 노출되게 된다. (사실 1시간동안 10Sv의 방사능에 노출되면 2달 이내로 전원 사망하게 된다. 적색 왜성의 슈퍼 플레어는 이보다 훨씬 강력하다.)
생명체의 경우 단 2초만 쬐어도 모두 전멸할 25Sv의 방사능에 노출되게 된다. (사실 1시간동안 10Sv의 방사능에 노출되면 2달 이내로 전원 사망하게 된다. 적색 왜성의 슈퍼 플레어는 이보다 훨씬 강력하다.)


사실 적색 왜성은 밝기가 낮기 때문에 물이 존재할 수 있는 온도 범위는 태양 질량의 9%의 적색 왜성의 기준(보통 태양의 9%의 질량을 가진 적색왜성의 밝기는 태양의 2700분의 1에 불과)으로 260만~500만km 범위이며, [[지구]]와 동일한 온도 범위는 290만km에 불과하다.
사실 적색 왜성은 밝기가 낮기 때문에 물이 존재할 수 있는 온도 범위는 태양 질량의 9%의 적색 왜성의 기준(보통 태양의 9%의 질량을 가진 적색왜성의 밝기는 태양의 2700분의 1에 불과)으로 260만~500만km 범위이며, [[지구]]와 동일한 온도 범위는 290만km에 불과하다.  
 
이러다 보니 슈퍼플레어에 한방 맞으면 이 행성은 강력한 방사선에 즉시 노출되게 된다. 또한 적색왜성은 대부분 적외선 영역으로 빛을 발산하므로 [[오존층]]이 거의 형성되지 않는다. 따라서 적색왜성에서 발산되는 자외선과 방사선이 즉시 들어오게 된다.
이러다 보니 슈퍼플레어에 한방 맞으면 이 행성은 강력한 방사선에 즉시 노출되게 된다. 또한 적색왜성은 대부분 적외선 영역으로 빛을 발산하므로 [[오존층]]이 거의 형성되지 않는다. 따라서 적색왜성에서 발산되는 자외선과 방사선이 즉시 들어오게 된다.


40번째 줄: 37번째 줄:
헬륨 연료의 85% 이상을 소비하게 되는 말년에는 서서히 표면온도가 밝아지는 청색왜성으로 진화하여 질량에 따라 10억년(태양 질량의 25%)~550억년(태양 질량의 7.5%)년 유지할 수 있다.
헬륨 연료의 85% 이상을 소비하게 되는 말년에는 서서히 표면온도가 밝아지는 청색왜성으로 진화하여 질량에 따라 10억년(태양 질량의 25%)~550억년(태양 질량의 7.5%)년 유지할 수 있다.


청색왜성의 표면온도는 6200K~8900K이며, 질량이 큰 적색왜성일수록 더 뜨거운 청색왜성을 형성하며,또한 청색왜성중에 늙은 경우에는 더뜨거워지고 수명도 더 짧다.
청색왜성의 표면온도는 6200K~8900K이며, 질량이 큰 적색왜성일수록 더 뜨거운 청색왜성을 형성하며 수명도 더 짧다.
과학자가 예측한 청색왜성의 광도는 태양 밝기의 3%에서 가장 밝은 것은 태양 밝기의 80%에 이른다.
청색왜성은 태양 밝기의 3%에서 가장 밝은 것은 태양 밝기의 80%에 이른다.
즉 자신이 주계열성 시절때의 광도보다 200~500배 이상 증가한 광도를 내뿜는다.
즉 자신이 주계열성 시절때의 광도보다 200~500배 이상 증가한 광도를 내뿜는다.


이러한 이유는 내부에 헬륨이 85%이상 많이 쌓여 있어 압력도 강해 내부 온도가 800만K~1300만K까지 상승하여 내부뿐 아니라 중간층에까지도 핵융합이 발생하여 열이 효율적으로 표면에 전달되기 때문이다. 다만 헬륨이 많이 쌓여 있어 무거워 크게 부풀지는 못하며, 가장 큰 이유는 여전히 별 내부가 주계열 시절 때처럼 별전체가 대류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크게 부풀지는 않는다.
이러한 이유는 내부에 헬륨이 85%이상 많이 쌓여 있어 압력도 강해 내부 온도가 800만K~1300만K까지 상승하여 내부뿐 아니라 중간층에까지도 핵융합이 발생하여 열이 효율적으로 표면에 전달되기 때문이다. 다만 헬륨이 많이 쌓여 있어 무거워 크게 부풀지는 못하며, 가장 큰 이유는 여전히 별 내부가 주계열 시절 때처럼 별전체가 대류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크게 부풀지는 않는다.
참고로 청색왜성의 지름은 태양의 20~45%이며 주계열성 때보다 조금 더 커진 상태이다.
참고로 청색왜성의 지름은 태양의 20~45%이며 주계열성 때보다 조금 더 커진 상태이다.  


태양의 16% 이하의 작은 적색왜성들은 청색왜성 단계를 거치면 백색왜성으로 되지만 특이한 점은 축퇴 상태의 [[백색왜성]]이 아니라는 점이다. 헬륨의 축퇴가 이루어지려면 백색왜성의 질량이 최소 태양의 17%는 되어야 하므로 작은 적색왜성의 최후는 일반적인 물질 상태의 백색왜성으로 수명을 마치게 된다.
태양의 16% 이하의 작은 적색왜성들은 청색왜성 단계를 거치면 백색왜성으로 되지만 특이한 점은 축퇴 상태의 [[백색왜성]]이 아니라는 점이다. 헬륨의 축퇴가 이루어지려면 백색왜성의 질량이 최소 태양의 17%는 되어야 하므로 작은 적색왜성의 최후는 일반적인 물질 상태의 백색왜성으로 수명을 마치게 된다.  


[[태양]]의 17%의 질량을 가진 적색 왜성은 처음에는 내부가 전부 대류층으로 이루어져 잘 섞이지만 중심핵에 헬륨이 85%이상 쌓이면, 중심핵이 수축하면서 뜨거워져 외포층이 부풀어오른다.
[[태양]]의 17%의 질량을 가진 적색 왜성은 처음에는 내부가 전부 대류층으로 이루어져 잘 섞이지만 중심핵에 헬륨이 85%이상 쌓이면, 중심핵이 수축하면서 뜨거워져 외포층이 부풀어오른다.
77번째 줄: 74번째 줄:
* [[갈색왜성]]
* [[갈색왜성]]
* [[왜성]]
* [[왜성]]
 
[[분류:항성의 종류]]
[[분류:항성]]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