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상버스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6번째 줄: 6번째 줄:


== 2계단 저상버스 ==
== 2계단 저상버스 ==
상면지상고가 740mm 내외<ref>상면지상고가 705mm인 [[현대 카운티]]와 비슷하다.</ref>이면서 계단이 2개인 저상버스를 말한다. 흔히 도시형 저상버스라고 말하기도 한다. 일반적인 2계단 고상버스에서 바닥을 약간 낮춘 형태다. 우리나라에는 BS106L, 뉴 슈퍼 [[에어로 시티]] SL 등이 있다.
상면지상고가 740mm 내외이면서 계단이 2개인 저상버스를 말한다. 흔히 도시형 저상버스라고 말하기도 한다. 일반적인 2계단 고상버스에서 바닥을 약간 낮춘 형태다. 우리나라에는 BS106L, 뉴 슈퍼 [[에어로 시티]] SL 등이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자취를 감추어 가고 있고 상기한 두 모델은 단종되었는데 그 이유는 [[CNG]] 차종을 만들 수 없기 때문이다. 바닥 아래에 가스통을 두자니 바닥이 낮아서 공간이 안나오고 중저상, 초저상처럼 지붕 위에 올리자니 무게중심이 너무 올라가서 전복 위험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다시 말하자면 바닥 높이가 애매하서 CNG 모델을 만들 수 없는 것이다. [[자일대우버스]]는 CNG 문제 때문에 BS106L의 후속으로 [[자일대우 BC|BC211]]라는 중저상버스를 개발했다. 하지만 판매량은 [[현실은 시궁창|시궁창]]. 게다가 [[현대자동차]]는 대체 차종조차 없다. 이렇게 해서 우리나라에서 2계단 저상버스들은 2계단 고상버스로 회귀하고 있는 추세다.
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자취를 감추어 가고 있고 상기한 두 모델은 단종되었는데 그 이유는 [[CNG]] 차종을 만들 수 없기 때문이다. 바닥 아래에 가스통을 두자니 바닥이 낮아서 공간이 안나오고 중저상, 초저상처럼 지붕 위에 올리자니 무게중심이 너무 올라가서 전복 위험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다시 말하자면 바닥 높이가 애매하서 CNG 모델을 만들 수 없는 것이다. [[자일대우버스]]는 CNG 문제 때문에 BS106L의 후속으로 [[자일대우 BC|BC211]]라는 중저상버스를 개발했다. 하지만 판매량은 [[현실은 시궁창|시궁창]]. 게다가 [[현대자동차]]는 대체 차종조차 없다. 이렇게 해서 우리나라에서 2계단 저상버스들은 2계단 고상버스로 회귀하고 있는 추세다.
128번째 줄: 128번째 줄:
*<sup>(반)</sup>[[범한 E-STAR 8]]
*<sup>(반)</sup>[[범한 E-STAR 8]]
*<sup>(외)</sup>[[BLK 일레누스]] TS900  
*<sup>(외)</sup>[[BLK 일레누스]] TS900  
*<sup>(외)</sup>[[CHTC 에픽타운]]
*<sup>(외)</sup>[[비야디 eBus-9]]
*<sup>(외)</sup>[[오토카르 e-센트로케이]] (7m급)
*<sup>(외)</sup>[[킹롱 시티라이트]] 9
*<sup>(외)</sup>[[하이거 하이퍼스]] 1609
*<sup>(외)</sup>[[비바 브이버스]] 90N
|
|
* [[현대 일렉시티]]
* [[현대 일렉시티]]
143번째 줄: 137번째 줄:
* {{ㅊ|<sup>(외)</sup>[[에빅 엔비온]]}}
* {{ㅊ|<sup>(외)</sup>[[에빅 엔비온]]}}
* <s><sup>(외)</sup>[[중통 매그넘]]</s>
* <s><sup>(외)</sup>[[중통 매그넘]]</s>
* <s><sup>(외)</sup>[[중통 아데오나]]</s>
* <sup>(외)</sup>[[중통 아데오나]]
* <sup>(외)</sup>[[비야디 eBus-12]]
* <sup>(외)</sup>[[비야디 eBus-12]]
* <sup>(외)</sup>[[포톤 그린어스]]
* <sup>(외)</sup>[[포톤 그린어스]]
* <sup>(외)</sup>[[하이거 하이퍼스]] 1611, 1612
* <sup>(외)</sup>[[하이거 하이퍼스]]
*<s><sup>(외)</sup>[[제이제이 브이버스105]]</s>
*<sup>(외)</sup>[[제이제이 브이버스105]]
*<sup>(외)</sup>[[중국중차 그린웨이]]
*<sup>(외)</sup>[[중국중차 그린웨이]]
*<sup>(외)</sup>[[킹롱 시티라이트]]
*<sup>(외)</sup>[[킹롱 시티라이트]]
153번째 줄: 147번째 줄:
*<sup>(외)</sup>[[황해자동차 E-SKY 11]]
*<sup>(외)</sup>[[황해자동차 E-SKY 11]]
*<sup>(반)</sup>[[범한 E-STAR 11]]
*<sup>(반)</sup>[[범한 E-STAR 11]]
*<sup>(외)</sup>[[CHTC 에픽시티]]
*<sup>(외)</sup>[[골든드래곤 GD]]
*<sup>(외)</sup>[[비바 브이버스]] 110B, 120
|
|
* [[현대 일렉시티]]
* [[현대 일렉시티]]
167번째 줄: 158번째 줄:
** 수입산 부품이 많기 때문에 고상버스보다 가격과 부품값이 비싼 것이 큰 문제점이다. 이 문제점 때문에 보조금도 많이 들어가서 버스회사 뿐만 아니라 정부, 지자체에도 부담이 되고 있다. 부품 국산화가 시급하다. [[현대 뉴 슈퍼 에어로시티]] 초저상 SE처럼 후륜 차축을 국산 고상 차축으로 달면 해소되는 문제이나 보조금을 지급할 수 없다는 시비가 붙는 바람에 그 차종은 2010년에 단종되었다. 그 뒤로 2014년 11월에 [http://www.law.go.kr/admRulBylInfoR.do?bylSeq=1687028&admRulSeq=2200000019721&admFlag=1#AJAX 저상버스 표준모델의 기준]에서 차축 관련 규제를 삭제해서 보조금 지급과 재생산이 다시 가능해졌다. 그리하여 현대 뉴 슈퍼 에어로시티 초저상 SE를 기반으로 한 보급형 저상버스라는 차종이 2017년 말에 다시 나왔다.
** 수입산 부품이 많기 때문에 고상버스보다 가격과 부품값이 비싼 것이 큰 문제점이다. 이 문제점 때문에 보조금도 많이 들어가서 버스회사 뿐만 아니라 정부, 지자체에도 부담이 되고 있다. 부품 국산화가 시급하다. [[현대 뉴 슈퍼 에어로시티]] 초저상 SE처럼 후륜 차축을 국산 고상 차축으로 달면 해소되는 문제이나 보조금을 지급할 수 없다는 시비가 붙는 바람에 그 차종은 2010년에 단종되었다. 그 뒤로 2014년 11월에 [http://www.law.go.kr/admRulBylInfoR.do?bylSeq=1687028&admRulSeq=2200000019721&admFlag=1#AJAX 저상버스 표준모델의 기준]에서 차축 관련 규제를 삭제해서 보조금 지급과 재생산이 다시 가능해졌다. 그리하여 현대 뉴 슈퍼 에어로시티 초저상 SE를 기반으로 한 보급형 저상버스라는 차종이 2017년 말에 다시 나왔다.
** 전국적으로 도입률이 낮다. 목표치 도달을 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2014년말 전국 저상버스 도입률은 목표치(24.7%)보다 낮은 [http://www.etoday.co.kr/news/section/newsview.php?idxno=1195220 18.5%]였다. 도입률이 가장 높다는 [[서울특별시 시내버스]]도 [http://www.edaily.co.kr/news/NewsRead.edy?SCD=JG71&newsid=02168086606285064&DCD=A00707&OutLnkChk=Y 2015년에 50% 도입하려던 계획을 2017년으로 미뤘다.] 목표치 도달이 [[베이퍼웨어]]가 되자 시내, 마을, 농어촌버스의 차량을 대폐차할 때 [https://www.yna.co.kr/view/AKR20211231049200001?input=1195m 저상버스로만 뽑도록 했다.]
** 전국적으로 도입률이 낮다. 목표치 도달을 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2014년말 전국 저상버스 도입률은 목표치(24.7%)보다 낮은 [http://www.etoday.co.kr/news/section/newsview.php?idxno=1195220 18.5%]였다. 도입률이 가장 높다는 [[서울특별시 시내버스]]도 [http://www.edaily.co.kr/news/NewsRead.edy?SCD=JG71&newsid=02168086606285064&DCD=A00707&OutLnkChk=Y 2015년에 50% 도입하려던 계획을 2017년으로 미뤘다.] 목표치 도달이 [[베이퍼웨어]]가 되자 시내, 마을, 농어촌버스의 차량을 대폐차할 때 [https://www.yna.co.kr/view/AKR20211231049200001?input=1195m 저상버스로만 뽑도록 했다.]
** 중형, 소형 저상버스의 보급이 늦었다. 다시 말해서 [[현대 에어로타운]], [[현대 그린시티]], [[자일대우 BS|자일대우 BS090]]의 저상 모델이 없거나 한참 늦게 나욌다. 이 때문에 [[마을버스]], [[농어촌버스]]의 저상버스 도입률이 낮은 편이다. 더 웃긴건 에어로타운의 베이스가 된 [[미쓰비시 후소 에어로미디]]에는 중저상, 초저상 모델이 있다. 개발할 수 있는데도 국산 대형 저상버스가 나온 지 십여년이 지난 여태까지 국내 제조사들이 그냥 손 놓고 있었다는 얘기다. 저상버스 표준모델의 기준을 만들 때 길이 10.5m 이상 규제를 넣은 것도 원인이였지만 그 규제가 생기기 전에 왜 만들지 않았는지에 대해서는 의문이 남는다. {{ㅊ|현대, 자일대우는 우리나라에 수입산 중형 저상버스가 들어와봐야 정신 차릴 듯.}} 2019년부터 중형 초저상버스는 디젤 7m급 차종으로 [[타타대우 LF-40]], 전기 9m급 차종으로 [[중통 매그넘]] 9m, [[디피코 PB085]], [[에디슨 스마트 093]], [[에디슨 스마트 087]], [[우진산전 아폴로900]]이 출시되거나 출시될 예정이다. {{ㅊ|전술한 취소선대로 이뤄진 것인지}} 현대차는 국내 중소 제조사와 수입업체에서 중형저상버스를 내놓자 [[현대 일렉시티]]타운이라는 전기중형저상버스를 2022년에 출시되었다. 저상버스 도입 의무화가 시행된 이후에도 타타대우 LF-40이 아직도 출시되지 않으면서 현재 우리나라에 출시된 중형저상버스는 모두 다 전기버스여서 전기충전소 설치가 중요한 관건이 되었다. 현재 전기충전소가 없는 중형 차량 운행 노선이 전기충전소가 설치되기 전까지 저상버스 의무 도입 대상에서 제외되고 있는 상황이다. 중형 중저상버스는 [[선롱 시티부]]가 출시될 거라는 이야기가 있었으나 백지화되었고 그 이후 [[스카이웰 엘페]]가 출시되었다.
** 중형, 소형 저상버스의 보급이 늦었다. 다시 말해서 [[현대 에어로타운]], [[현대 그린시티]], [[자일대우 BS|자일대우 BS090]]의 저상 모델이 없거나 한참 늦게 나욌다. 이 때문에 [[마을버스]], [[농어촌버스]]의 저상버스 도입률이 낮은 편이다. 더 웃긴건 에어로타운의 베이스가 된 [[미쓰비시 후소 에어로미디]]에는 중저상, 초저상 모델이 있다. 개발할 수 있는데도 국산 대형 저상버스가 나온 지 십여년이 지난 여태까지 국내 제조사들이 그냥 손 놓고 있었다는 얘기다. 저상버스 표준모델의 기준을 만들 때 길이 10.5m 이상 규제를 넣은 것도 원인이였지만 그 규제가 생기기 전에 왜 만들지 않았는지에 대해서는 의문이 남는다. {{ㅊ|현대, 자일대우는 우리나라에 수입산 중형 저상버스가 들어와봐야 정신 차릴 듯.}} 2019년부터 중형 초저상버스는 디젤 7m급 차종으로 [[타타대우 LF-40]], 전기 9m급 차종으로 [[중통 매그넘]] 9m, [[디피코 PB085]], [[에디슨 스마트 093]], [[에디슨 스마트 087]], [[우진산전 아폴로900]]이 출시되거나 출시될 예정이다. {{ㅊ|전술한 취소선대로 이뤄진 것인지}} 현대차는 국내 중소 제조사와 수입업체에서 중형저상버스를 내놓자 [[현대 일렉시티]]타운이라는 전기중형저상버스를 2022년에 내놓을 예정이다. CNG 모델은 아직 소식이 없는데 이렇게 된다면 디젤 차량 출고가 금지된 지역에서는 전기버스 충전 설비를 갖춰야 할 것으로 보인다. 중형 중저상버스는 [[선롱 시티부]]가 출시될 거라는 이야기가 있었으나 백지화되었고 그 이후 [[스카이웰 엘페]]가 출시되었다.
* 차량 운용 문제
* 차량 운용 문제
** 자동 휠체어 경사판을 쓰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고장이 잘 나고 가격이 비싼 게 흠이다. 외국에서는 가격이 싸고 고장이 날 염려가 없는 수동식 경사판도 많이 쓰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휠체어 경사판이 수동식인 저상버스는 [[세종시]] [http://blog.naver.com/wjdghgus789?Redirect=Log&logNo=220409734824 전기버스]와 [[경기도]] [http://www.ablenews.co.kr/News/NewsContent.aspx?CategoryCode=0036&NewsCode=001420150916161601567808 2층버스] 밖에 없었다가 2019년부터 [[에디슨 화이버드]]에 수동식 경사판 옵션이 생겼다. 또한 버스 기사가 슬로프 작동법, 휠체어 고정장치 사용 방법을 [http://news.kbs.co.kr/news/view.do?ncd=3156551&ref=A 모르고 있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  
** 자동 휠체어 경사판을 쓰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고장이 잘 나고 가격이 비싼 게 흠이다. 외국에서는 가격이 싸고 고장이 날 염려가 없는 수동식 경사판도 많이 쓰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휠체어 경사판이 수동식인 저상버스는 [[세종시]] [http://blog.naver.com/wjdghgus789?Redirect=Log&logNo=220409734824 전기버스]와 [[경기도]] [http://www.ablenews.co.kr/News/NewsContent.aspx?CategoryCode=0036&NewsCode=001420150916161601567808 2층버스] 밖에 없었다가 2019년부터 [[에디슨 화이버드]]에 수동식 경사판 옵션이 생겼다. 또한 버스 기사가 슬로프 작동법, 휠체어 고정장치 사용 방법을 [http://news.kbs.co.kr/news/view.do?ncd=3156551&ref=A 모르고 있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