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항선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다른 뜻|장항선 (배우)|대한민국 철도노선|이 명칭을 예명으로 사용하는 연기자}}
{{다른뜻|장항선 (배우)|대한민국 철도노선|이 명칭을 예명으로 사용하는 연기자}}
{{철도 노선 정보
{{철도 노선 정보
|이름    = 장항선
|노선이름 = 장항선
|원어이름 =  
|원어이름 =  
|배경색  =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KR}}
|배경색  =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KR}}
|글자색  = white
|글자색  = white
|그림    =  
|그림    =  
|그림크기 =
|그림설명 =  
|그림설명 =  
|그림alt  =
|국가     = {{국기|대한민국}}
|나라     = {{나라|대한민국}}
|종류    = [[일반철도]]([[간선철도|간선]])
|종류    = [[일반철도]]([[간선철도|간선]])
|번호    = 308
|번호    = 308
20번째 줄: 18번째 줄:
|폐지일  =  
|폐지일  =  
|경유노선 =  
|경유노선 =  
|차량기지 =
|궤간    = 1,435 mm ([[표준궤]])
|궤간    = 1,435 mm ([[표준궤]])
|선로    = 2 (천안 ~ [[홍성역|홍성]], [[대야역|대야]] ~ [[목천신호소|목천]])<br />1 (나머지)
|선로    = 2 (천안 ~ [[신창역|신창]], [[대야역|대야]] ~ [[목천신호소|목천]])<br />1 (나머지)
|전기    = [[교류]] 25 kV, 60 Hz, [[가공전차선]] (천안 ~ 신창, 대야 ~ 익산)
|전기    = [[교류]] 25 kV, 60 Hz, [[가공전차선]] (천안 ~ 신창, 대야 ~ 익산)
|신호    = [[ATS]], [[ATP]] (대야 ~ 익산)<br />[[ATS]] (나머지)
|신호    = [[ATS]], [[ATP]] (대야 ~ 익산)<br />[[ATS]] (나머지)
|차량기지 =
|비고    =  
|비고    =  
}}
}}
54번째 줄: 52번째 줄:


더불어 무궁화호와 새마을호 사이의 가격차이만큼 시간적인 절약은 미미한 편이며, 이는 수요가 저조한 노선의 특성상 적자를 어떻게든 보전하려는 취지에서 새마을호도 읍단위 정거장에 정차하는 형편이며, 특히 전철화가 진행되지 않아서 지연회복과 가감속 능력이 우수한 ITX-새마을 전동차를 투입할 수 없는 이유도 크게 작용한다. 장항선의 전철화 사업은 [[2022년]]을 목표로 진행중에 있다.
더불어 무궁화호와 새마을호 사이의 가격차이만큼 시간적인 절약은 미미한 편이며, 이는 수요가 저조한 노선의 특성상 적자를 어떻게든 보전하려는 취지에서 새마을호도 읍단위 정거장에 정차하는 형편이며, 특히 전철화가 진행되지 않아서 지연회복과 가감속 능력이 우수한 ITX-새마을 전동차를 투입할 수 없는 이유도 크게 작용한다. 장항선의 전철화 사업은 [[2022년]]을 목표로 진행중에 있다.
=== 영 좋지 못한 선형 ===
선형 개량화 전에 장항선은 선형이 상당히 불량한 노선이었다. 그도 그럴게 일제 때까지는 사철이었고, 그 이후에 제대로 정비가 이루어지지 았으니. 그래서 선형을 개량했으나... 이번엔 역을 과도하게 멀리 이설한게 문제가 되었다. 장항선 연선의 주요 지점들은 그나마 사정이 낫지만, 중간역들은 거의 다 쳐내졌다. 개량과 더불어 [[금강 하구둑]]을 활용하여 [[충청남도]]와 [[전라북도]]를 이어주게 되었고 [[군산선]]과 통합되었는데, 그 여파로 장항과 군산 시가지로 들어가던 노선은 [[장항화물선]]과 [[군산화물선]]으로 떨어져 나갔고, 장항역과 군산역은 개량된 선형에 맞추다보니 시내에서 저 멀리에 쫓겨나는 신세가 되었다. 수요지와의 접근성을 말아먹은 것은 덤
== 전망 ==
[[2015년]] 무렵부터 [[군산시]] 인근에 조성된 군장국가산업단지의 물류를 개선하기 위하여 우선 [[익산역]] ~ [[대야역]] 사이에 복선전철화가 추진되고 있다. [[신창역]] ~ [[대야역]] 사이 구간도 복선전철화에 대한 장기적인 계획은 수립된 상태이며 [[서해선]]이 [[2020년]] 경에 개통될 경우 [[홍성역]] 이남의 구간은 서해선에 편입될 가능성도 높다.


== 운행 ==
== 운행 ==
[[전라선]]이나 [[호남선]] 등에 비해서 운행거리가 짧은 노선이었던지라, 오래 전부터 오전/오후에 설정된 서울 근교권 통근열차(비둘기호, 통일호 등)의 기착지로 사용되던 전례가 있었다. 현재까지도 수도권 전철 1호선이 그 자리를 이어받아 내려오고 있는 상태. 그 외의 일반열차는 대체로 서울 직결로 1시간에 1대 꼴로 운행되는 편이다. 다른 노선에 비해 운행 거리가 짧아 객을 확보하는 차원에서 다른 계통에 비해 정차역이 많은 편이며, 다른 노선과 달리 독특하게 무궁화호와 새마을호가 교호배차로 1시간 간격을 맞추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2시간에 1대가 되는 역들이 있다.
[[전라선]]이나 [[호남선]] 등에 비해서 운행거리가 짧은 노선이었던지라, 오래 전부터 오전/오후에 설정된 서울 근교권 통근열차(비둘기호, 통일호 등)의 기착지로 사용되던 전례가 있었다. 현재까지도 수도권 전철 1호선이 그 자리를 이어받아 내려오고 있는 상태. 그 외의 일반열차는 대체로 서울 직결로 1시간에 1대 꼴로 운행되는 편이다. 다른 노선에 비해 운행 거리가 짧아 객을 확보하는 차원에서 다른 계통에 비해 정차역이 많은 편이며, 다른 노선과 달리 독특하게 무궁화호와 새마을호가 교호배차로 1시간 간격을 맞추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2시간에 1대가 되는 역들이 있다.


의외로 화물열차의 비중이 좀 있는 편이다. 일단 북부 구간의 경우 [[삽교역]]에 컨테이너 관련 시설이 있어 서해안 방면의 컨테이너 수송이 이루어지고 있다. 향후 대산쪽 산업단지로의 화물 인입선 건설도 고려되고 있다. 남부 구간은 [[군산항]]과 연결되는 [[군산항선]]에 정기 화물수송이 이루어지고 있다.
의외로 화물열차의 비중이 좀 있는 편이다. 일단 북부 구간의 경우 [[삽교역]]에 컨테이너 관련 시설이 있어 서해안 방면의 컨테이너 수송이 이루어지고 있다. 향후 대산쪽 산업단지로의 화물 인입선 건설도 고려되고 있다. 남부 구간의 경우 일단 군산쪽 화물이 아직 부정기지만 살아 있으며, 군장산단 인입선이 개통되면 정기 화물수송이 예정되어 있다. 또 장항선의 중요한 화물 중 하나는 서천화력발전소의 석탄 수송이다. 장항선이 불통되면 석탄 수송이 어려워질 수 있어 조치원 보령선 같은 대체 우회선까지 제안되었을 정도였다. 그러나 신서천화력발전소 건설과 도로망 발달으로 석탄 수송 의존도는 현재 많이 낮아져있는 편이며, 조만간 사용이 중단될 예정이다.


=== 새마을호 ===
=== 새마을호 ===
[[새마을호]]는 '''도시간 철도'''(Intercity)의 기능을 수행하는 열차다. 비전철 노선이라서 새마을호가 남은 마지막 노선이 되었다. 다른 노선의 새마을호에 비해선 정차역이 많지만, 그래도 무궁화호에 비해서는 정차역이 적은 편이다. 주요 간선의 복선전철화가 진행되면서 새마을호가 다니던 곳은 대부분 [[ITX-새마을]]로 교체되었지만, 비전화 구간이 남아있는 장항선의 특성상 마지막까지 객차형 새마을을 운용하다가 내구연한 만료로 인한 공백을 해소하고자 무궁화호 리미트 객차를 리모델링한 객차<ref>외부 도색은 ITX-새마을과 유사하게 변화했고, 동호인들은 리미트 객차가 원판이었기 때문에 '''리마을'''이라는 별칭으로 부른다.</ref>를 투입하고 있다. 정차역은 주요역만을 나열하였으며, ''기울임체''를 사용한 역은 [[경부선]] 구간이다.
[[새마을호]]는 '''도시간 철도'''(Intercity)의 기능을 수행하는 열차다. 비전철 노선이라서 새마을호가 남은 마지막 노선이 되었다. 다른 노선의 새마을호에 비해선 정차역이 많지만, 그래도 무궁화호에 비해서는 정차역이 적은 편이다. 주요 간선의 복선전철화가 진행되면서 새마을호가 다니던 곳은 대부분 [[ITX-새마을]]로 교체되었지만, 비전화 구간이 남아있는 장항선의 특성상 마지막까지 객차형 새마을을 운용하다가 내구연한 만료로 인한 공백을 해소하고자 무궁화호 리미트 객차를 리모델링한 객차<ref>외부 도색은 ITX-새마을과 유사하게 변화했고, 동호인들은 리미트 객차가 원판이었기 때문에 '''리마을'''이라는 별칭으로 부른다.</ref>를 투입하고 있다.
* '''새마을호''' (1050): ''[[용산역|용산]] - [[영등포역|영등포]] - [[수원역|수원]] -'' [[천안역|천안]] - [[아산역|아산]] - [[온양온천역|온양온천]] - [[예산역|예산]] - [[홍성역|홍성]] - [[광천역|광천]] - [[대천역|대천]] - [[웅천역|웅천]] - [[서천역|서천]] - [[장항역|장항]] - [[군산역|군산]] - [[익산역|익산]] (1일 5왕복)
* '''새마을호''' (1050): (경부선 경유 용산 착발←) 천안 - 아산 - 온양온천 - 예산 - 홍성 - 광천 - 대천 - 웅천 - 서천 - 장항 - 군산 - 익산 (1일 5왕복)


=== 무궁화호 ===
=== 무궁화호 ===
[[무궁화호]]는 '''지역간 수송'''(Regional)을 주로 담당하는 열차다. 무궁화호의 경우 2008년 군산선과 연결된 이후 일부 열차가 익산역에서 [[호남선]] 직결을 통해 [[서대전역|서대전]]까지 운행했던 전력이 있으나, 운행 지장(평면교차 필요)이나, 수요 저조 등을 이유로 2016년 현재 폐지되었다. 현재 운행되는 장항선 열차는 다음과 같다. 정차역은 주요역만을 나열하였으며, ''기울임체''를 사용한 역은 [[경부선]] 구간이다.
[[무궁화호]]는 '''지역간 수송'''(Regional)을 주로 담당하는 열차다. 무궁화호의 경우 2008년 군산선과 연결된 이후 일부 열차가 익산역에서 [[호남선]] 직결을 통해 서대전까지 운행했던 전력이 있으나, 운행 지장(평면교차 필요)이나, 수요 저조 등을 이유로 2016년 현재 폐지되어 모든 열차가 선내에서 종착한다.
* '''무궁화호''' (1550): ''용산 - 영등포 - 수원 - [[평택역|평택]] - '' 천안 - 아산 - 온양온천 - 예산 - 홍성 - 광천 - 대천 - 웅천 - 서천 - 장항 - 군산 - 익산 (1일 9왕복)
 
무궁화호 등급인 [[누리로]]의 경우, 성과연봉제 도입을 반대하는 파업이 장기간 이루어진 것과, 방학기간 수요 저조, 잦은 차출로 인한 운행 합리화 등을 골자로 2016년 가을~겨울동안 잠시 운행이 중단되었고, [[SRT]] 개통과 함께 [[2016년]] [[12월 9일]]에 개정된 시각표에 의해 장항선 누리로가 전부 호남선, 전라선 계통으로 변경되어 운행하지 않게 되었다. 이 당시 뜬금없이 서울로 유용하게 접근 가능한 급행 철도를 빼앗긴 [[아산시]]와 누리로의 주요 이용객인 [[순천향대학교]] 등 해당지역 학생들의 민원폭탄이 쏟아졌고 지역 정치권도 반발하면서 코레일은 타협안으로 2017년 2월부터 장항선 누리로 운행을 부활시켰다. 다만 시각표 개정전에 비하여 열차 편성이 대폭 삭감되어 1일 2왕복이 편성되었다. 지역주민의 반발을 의식해서 살리긴 했지만 다른 노선에서 누리로를 활용하려는 생각이 강했던 코레일 입장에서는 어쩔 수 없이 출퇴근 시간대 2회 왕복으로 지역주민들의 반발을 무마시키는 정도의 조치를 취했다. 그리고 [[2020년]] [[5월 23일]]부로 장항선 누리로가 다시 폐지되었다. 폐지된 누리로는 중앙선, 동해선, 영동선 구간에 집중적으로 배치되었기 때문에 장항선 복귀는 쉽지 않아 보인다.
* '''무궁화호''' (1550): (경부선 경유 용산 착발←) 천안 - 아산 - 온양온천 - 예산 - 홍성 - 광천 - 대천 - 웅천 - 서천 - 장항 - 군산 - 익산 (1일 9왕복)


=== 광역전철 ===
=== 수도권 전철 1호선 ===
{{참고|수도권 전철 1호선}}
{{참고|수도권 전철 1호선}}
[[수도권 전철]]의 천안 연장이 계획되었던 무렵부터 [[경부고속선]] 접속을 위해 장항선 방향으로 연장하는 지선의 구상이 있었다. 이 지선의 구상이 조금 더 연장되어 [[온양온천역]]까지 연장되었다가, 반복기지 신설을 전제로 [[신창역]]까지 연장되어 2008년에 복선전철화와 함께 개통된 것이 현재에 이른다. 최초의 비수도권 광역전철<ref>그러나 체계 자체는 [[수도권 전철]]이라는 수도권용 체계에 속해있다.</ref> 운행 노선이나, 저조한 수요 및 운용 효율성 등으로 인해 배차 간격은 40분에 1대에 그치고 있다. 수요 저조도 사실 수도권 지역과는 달리 지역 버스편과의 연계성이 떨어진다든지, 넓은 배차간격 등으로 인한 부분이 좀 크기는 하지만.
[[수도권 전철]]의 천안 연장이 계획되었던 무렵부터 [[경부고속선]] 접속을 위해 장항선 방향으로 연장하는 지선의 구상이 있었다. 이 지선의 구상이 조금 더 연장되어 [[온양온천역]]까지 연장되었다가, 반복기지 신설을 전제로 [[신창역]]까지 연장되어 2008년에 복선전철화와 함께 개통된 것이 현재에 이른다. 최초의 비수도권 광역전철<ref>그러나 체계 자체는 [[수도권 전철]]이라는 수도권용 체계에 속해있다.</ref> 운행 노선이나, 저조한 수요 및 운용 효율성 등으로 인해 배차 간격은 40분에 1대에 그치고 있다. 수요 저조도 사실 수도권 지역과는 달리 지역 버스편과의 연계성이 떨어진다든지, 넓은 배차간격 등으로 인한 부분이 좀 크기는 하지만.
76번째 줄: 82번째 줄:
=== 관광열차 ===
=== 관광열차 ===
[[서해금빛열차]]라는 이름으로 투입되고 있다. 그러나 사실 이 열차는 황금시간대의 열차를 하나 빼서 전환한 열차로, 이 시간대에 원래 1시간이던 일반열차의 간격에 구멍을 만들어 2시간으로 만들게 한 주범으로 취급받는 수준이다. 즉 관광수요도 어느 정도 있는 노선이긴 하더라도, 추가 열차 투입이 아닌 기존 열차 전환을 한 것은 영업 수지 개선이 목적이라는 것. 상행은 새마을호를 뺐지만, 하행은 무궁화호를 빼면서 이전 시간대 열차가 원래 새마을호였던 걸 무궁화호로 전환하면서 정차역 패턴이 깨지게 된 것은 덤이다.
[[서해금빛열차]]라는 이름으로 투입되고 있다. 그러나 사실 이 열차는 황금시간대의 열차를 하나 빼서 전환한 열차로, 이 시간대에 원래 1시간이던 일반열차의 간격에 구멍을 만들어 2시간으로 만들게 한 주범으로 취급받는 수준이다. 즉 관광수요도 어느 정도 있는 노선이긴 하더라도, 추가 열차 투입이 아닌 기존 열차 전환을 한 것은 영업 수지 개선이 목적이라는 것. 상행은 새마을호를 뺐지만, 하행은 무궁화호를 빼면서 이전 시간대 열차가 원래 새마을호였던 걸 무궁화호로 전환하면서 정차역 패턴이 깨지게 된 것은 덤이다.
* [[서해금빛열차]] (2550)
* [[서해금빛열차]] (G-Train)


== 역 목록 ==
== 역 목록 ==
=== 천안 ~ 신창 ===
=== 천안 ~ 신창 ===
* '''새''': 새마을호, '''무''': 무궁화호
* '''새''': 새마을호, '''무''': 무궁화호
* [[수도권 전철 1호선|1호선]] 열차는 해당 구간의 모든 역에 정차
* [[수도권 전철 1호선]] 열차 모든 역에 정차
* ●: 모든 열차 정차, ▲: 일부 열차 정차, ┃: 모든 열차 통과
* ●: 모든 열차 정차, ▲: 일부 열차 정차, ┃: 모든 열차 통과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 font-size: 90%; white-space: nowrap; overflow-x: auto;"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 font-size: 90%;"
|-
|-
! 번호
! 번호
! km
! km
! 정거장
! 역명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여객|새마을}}; color: white;" | 새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여객|새마을}}; color: white;" | 새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여객|무궁화}}; color: white;" | 무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여객|무궁화}}; color: white;" | 무
! 연계 노선
! 연계 노선
! colspan="2" | 소재지
! colspan="2" | 소재지
|-
! colspan="8" | [[천안직결선]], [[경부선]] 직결운행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1}} [[서울 지하철 1호선|1호선]])
|-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1}}; color: white;" | P169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1}}; color: white;" | P169
154번째 줄: 162번째 줄:
|}
|}


=== 도고온천 ~ 익산 ===
=== 신창 ~ 익산 ===
* '''새''': 새마을호, '''무''': 무궁화호
* '''새''': 새마을호, '''무''': 무궁화호
* ●: 모든 열차 정차, ▲: 일부 열차 정차, ┃: 모든 열차 통과
* ●: 모든 열차 정차, ▲: 일부 열차 정차, ┃: 모든 열차 통과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 font-size: 90%; white-space: nowrap; overflow-x: auto;"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 font-size: 90%;"
|-
|-
! km
! km
! 정거장
! 역명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여객|새마을}}; color: white;" | 새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여객|새마을}}; color: white;" | 새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여객|무궁화}}; color: white;" | 무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여객|무궁화}}; color: white;" | 무
! 연계 노선
! 연계 노선
! colspan="2" | 소재지
! colspan="2" | 소재지
|-
| style="text-align: right;" | 19.4
| [[신창역|신창(순천향대)]]
| style="background: #c7d6ee;" | ┃
| style="background: #f9d0ba;" | ┃
| style="text-align: left;" |
| rowspan="18" | {{세로|[[충청남도]]}}
| rowspan="2" | [[아산시]]
|-
|-
| style="text-align: right;" | 25.2
| style="text-align: right;" | 25.2
171번째 줄: 187번째 줄:
| style="background: #f9d0ba;" | ▲
| style="background: #f9d0ba;" | ▲
| style="text-align: left;" |  
| style="text-align: left;" |  
| rowspan="17" | {{세로|[[충청남도]]}}
| [[아산시]]
|-
|-
| style="text-align: right;" | 29.7
| style="text-align: right;" | 29.7
315번째 줄: 329번째 줄:
*[[선장역]]
*[[선장역]]
*[[오가역]]
*[[오가역]]
*[[신곡임시승강장]]
*[[화양역]]
*[[신곡역]]
*[[주교역]]
*[[주교역]]
*[[옥서역]]
*[[옥서역]]
321번째 줄: 336번째 줄:
*[[주산역]]
*[[주산역]]
*[[온동역]]
*[[온동역]]
*[[기동임시승강장]]
*[[기동역]]
*[[삼산역 (서천)|삼산역]]
*[[삼산역 (서천)|삼산역]]
*[[구절역]]
*[[구절역]]
343번째 줄: 358번째 줄:
=== 새만금선 ===
=== 새만금선 ===
{{철도 노선 정보
{{철도 노선 정보
|이름    = 새만금선
|노선이름 = 새만금선
|원어이름 =  
|원어이름 =  
|배경색  =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KR}}
|배경색  =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KR}}
|글자색  = white
|글자색  = white
|그림    =  
|그림    =  
|그림크기 =
|그림설명 =  
|그림설명 =  
|그림alt  =
|국가     =  
|나라     =  
|종류    = [[일반철도]]([[지선철도|지선]])
|종류    = [[일반철도]]([[지선철도|지선]])
|번호    =  
|번호    =  
|구간    = 옥구 ~ 새만금항
|구간    = 옥구 ~ 새만금항
|영업거리 =
|역수    = 3개
|역수    = 3개
|소유자  =  
|소유자  =  
362번째 줄: 374번째 줄:
|폐지일  =  
|폐지일  =  
|경유노선 =  
|경유노선 =  
|차량기지 =  
|영업거리 =  
|궤간    =  
|궤간    =  
|선로    = 1
|선로    = 1
|전기    =  
|전기    =  
|신호    =  
|신호    =  
|차량기지 =
|비고    = 나머지 정보는 장항선과 동일
|비고    = 나머지 정보는 장항선과 동일
}}
}}
376번째 줄: 389번째 줄:
2021년 기획재정부의 예비타당성 조사를 통과했다.<ref>[https://newsis.com/view/?id=NISX20211228_0001704735 새만금 인입철도 예타 통과에 ‘지역발전 청신호 켜졌다’], 뉴시스</ref>
2021년 기획재정부의 예비타당성 조사를 통과했다.<ref>[https://newsis.com/view/?id=NISX20211228_0001704735 새만금 인입철도 예타 통과에 ‘지역발전 청신호 켜졌다’], 뉴시스</ref>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 font-size: 90%; white-space: nowrap; overflow-x: auto;"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 font-size: 90%;"
|-
|-
! km
! km
! 정거장
! 역명
! 연계 노선
! 연계 노선
|-
|-
403번째 줄: 416번째 줄:


[[분류:대한민국의 철도 노선]]
[[분류:대한민국의 철도 노선]]
[[분류:장항선| ]]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