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고속도로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2번째 줄: 2번째 줄:


== 개황 ==
== 개황 ==
[[일본]]의 [[고속도로]]는 여타 선진국들에 비하면 비교적 빈약한 편이다. 20% 이상의 구간이 왕복 2차선이라는 열악한 인프라 수준 뿐만 아니라, 노선망 역시도 약 8,500 km에 머물고 있어 한국의 약 1/2 정도 노선 밀도 밖에 되지 않는다. 일본은 한국보다 인구밀도가 낮고 국토가 훨씬 길기 때문에 장거리를 자가용으로 이동하는 경우가 드물다.비싼 통행요금으로 수요가 미적지근한 편. 자연적으로 고규격 도로망의 정비도 늦다. 그러나 시골에서는 나름 활발하게 사용되는 편이기는 하다.
[[일본]]의 [[고속도로]]는 여타 선진국들에 비하면 비교적 빈약한 편이다. 20% 이상의 구간이 왕복 2차선이라는 열악한 인프라 수준 뿐만 아니라, 노선망 역시도 약 8,500 km에 머물고 있어 한국의 약 1/3 정도<ref>사실 한국이 이상할 정도로 도로가 잘 닦여 있는 것이지만...</ref>의 노선 밀도 밖에 되지 않는다. 워낙 전체적으로 도로의 수준이 떨어지는 나라다보니, 도로망의 정비도 늦고, 수요도 나오지 않아서 미적지근한 편. 그러나 시골에서는 나름 활발하게 사용되는 편이기는 하다.


그 반면 일본의 고속도로 체계는 전 세계에서도 가장 복잡한 것으로 유명하다. 노선망은 훌륭하지도 않은데, [[일본의 철도]]에서도 나타나는 고질적인 문제지만, 노선 체계가 지저분하기 때문이다. 숫자를 잘 활용하지 않고 개별 명칭을 붙이기 좋아하며, 그 반면 법률상, 서류상 이름과 안내상 이름을 별도로 두는 것에 대해서 거리낌이 없는 일본의 특성을 따라 고속도로 역시 체계가 상당히 복잡하게 되어있다. 게다가 철도 민영화를 따라 이루어진 고속도로 민영화 정책에 따라 지역별 관할 회사가 다르며, 일부 비수익성 노선에 대해서는 특수한 방법의 관리를 도입한다든지, 도시별로 별도로 도시고속도로 체계를 가지고 있다든지 하는 점에 있어서 일본의 고속도로 망은 그 체계가 후진적이라고 불릴 정도로 알기 어려운 편이다.
그 반면 일본의 고속도로 체계는 전 세계에서도 가장 복잡한 것으로 유명하다. 노선망은 훌륭하지도 않은데, [[일본의 철도]]에서도 나타나는 고질적인 문제지만, 노선 체계가 더럽게 지저분하기 때문이다. 숫자를 잘 활용하지 않고 개별 명칭을 붙이기 좋아하며, 그 반면 법률상, 서류상 이름과 안내상 이름을 별도로 두는 것에 대해서 거리낌이 없는 일본의 특성을 따라 고속도로 역시 체계가 상당히 복잡하게 되어있다. 게다가 철도 민영화를 따라 이루어진 고속도로 민영화 정책에 따라 지역별 관할 회사가 다르며, 일부 비수익성 노선에 대해서는 특수한 방법의 관리를 도입한다든지, 도시별로 별도로 도시고속도로 체계를 가지고 있다든지 하는 점에 있어서 일본의 고속도로 망은 그 체계가 후진적이라고 불릴 정도로 알기 어려운 편이다.


고속도로라는 개념에 대한 단어는 한국과 똑같이 '''高速道路'''(こうそくどうろ, 코-소쿠도-로)를 쓰고 있다. 축약어는 고속(高速)이며, 영문명도 동일하게 Expressway(축약어 Expwy)를 쓰고 있다. 그러나 실제 노선명에 고속도로가 붙는 노선은 딱 두 개 노선, 정확히는 4개 노선으로, 역사적 경위에 의해 고속도로를 쓰는 [[토메이 고속도로]] 및 [[메이신 고속도로]]와, 그들의 병행 신노선으로 고속도로라는 명칭을 쓰는 [[신토메이 고속도로]]와 [[신메이신 고속도로]]만이 고속도로라고 불린다. 이외의 노선에 대해서는 자동차 전용도로를 축약한 자동차도(自動車道, じどうしゃどう)를 쓴다.
고속도로라는 개념에 대한 단어는 한국과 똑같이 '''高速道路'''(こうそくどうろ, 코-소쿠도-로)를 쓰고 있다. 축약어는 고속(高速)이며, 영문명도 동일하게 Expressway(축약어 Expwy)를 쓰고 있다. 그러나 실제 노선명에 고속도로가 붙는 노선은 딱 두 개 노선, 정확히는 4개 노선으로, 역사적 경위에 의해 고속도로를 쓰는 [[토메이 고속도로]] 및 [[메이신 고속도로]]와, 그들의 병행 신노선으로 고속도로라는 명칭을 쓰는 [[신토메이 고속도로]]와 [[신메이신 고속도로]]만이 고속도로라고 불린다. 이외의 노선에 대해서는 자동차 전용도로를 축약한 자동차도(自動車道, じどうしゃどう)를 쓴다.
55번째 줄: 55번째 줄:
어느 나라에나 있는 일반적인 고속도로처럼 보행자와 자전거가 통행할 수 없는 것은 기본이며 마이크로카나 초소형차로 불리는 배기량 125cc나 50cc이하일정도로 배기량이 낮거나 전기모터의 출력이 낮은 차량은 통행할 수 없다.
어느 나라에나 있는 일반적인 고속도로처럼 보행자와 자전거가 통행할 수 없는 것은 기본이며 마이크로카나 초소형차로 불리는 배기량 125cc나 50cc이하일정도로 배기량이 낮거나 전기모터의 출력이 낮은 차량은 통행할 수 없다.


한국과 달리 125cc를 넘는 이륜차의 통행이 가능한 것이 특징이며, 2명이 탄 이륜차의 경우에는 운전자가 이륜차 면허를 딴지 3년 이상이 된 경우에만 고속도로에 다닐수 있다. 이런 특징때문에 일본의 고속도로 휴게소에는 이륜차 전용 주차구역이 있으며 한국의 하이패스 단말기에 해당하는 ETC 단말기 중에서 이륜차용 단말기도 존재한다.
한국과 달리 125cc를 넘는 이륜차의 통행이 가능한것이 특징이며, 2명이 탄 이륜차의 경우에는 운전자가 이륜차 면허를 딴지 3년 이상이 된 경우에만 고속도로에 다닐수 있다. 이런 특징때문에 일본의 고속도로 휴게소에는 이륜차 전용 주차구역이 있으며 한국의 하이패스 단말기에 해당하는 ETC 단말기 중에서 이륜차용 단말기도 존재한다.


{{각주}}
{{각주}}
[[분류:일본의 고속도로| ]]
[[분류:일본의 고속도로| ]]
[[분류:일본의 교통]]
[[분류:일본의 교통]]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