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80번째 줄: 80번째 줄:
*: 이 고속도로의 설계목적 자체가 서울과 인천공항을 빠르게 이어준다는 성격이므로 서울에서 인천공항 쪽으로 진입하면 [[신공항 요금소]] 이전까지는 출구가 없다. 최근 신공항 요금소 인근에 건설된 [[청라 나들목]]을 통해 [[청라국제도시]], 인천 방향 일반도로 진입이 가능하지만, 이 경우 승용차 기준 2,500원을 내야한다. 회차 목적으로 청라 나들목으로 빠졌다면 차량을 되돌려 다시 고속도로에 진입할때 2,500원을 또 한번 내야해서 사실상 5,000원을 버리는 셈. 개통 초기에는 이런 사실을 잘 모르는 운전자들이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 등으로 갈아타기 위하여 서울에서 이 고속도로에 진입했다가 출구가 없어서 낭패를 겪고, 신공항 요금소에서 편도요금을 지불하고 회차하여 되돌아간 사례가 종종 발생했다.<ref>[http://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1052335&plink=OLDURL 한번 유턴하는 비용이 7,700원 '황당'], SBS, [[2011년]] [[12월 24일]]</ref> [[강변북로]]나 [[올림픽대로]], [[김포공항]] 인근 진입로에는 출구가 없다는 경고표지판이 세워져 있으나, 이를 간과하고 아까운 통행료를 날리지 않으려면 주의가 요구된다.
*: 이 고속도로의 설계목적 자체가 서울과 인천공항을 빠르게 이어준다는 성격이므로 서울에서 인천공항 쪽으로 진입하면 [[신공항 요금소]] 이전까지는 출구가 없다. 최근 신공항 요금소 인근에 건설된 [[청라 나들목]]을 통해 [[청라국제도시]], 인천 방향 일반도로 진입이 가능하지만, 이 경우 승용차 기준 2,500원을 내야한다. 회차 목적으로 청라 나들목으로 빠졌다면 차량을 되돌려 다시 고속도로에 진입할때 2,500원을 또 한번 내야해서 사실상 5,000원을 버리는 셈. 개통 초기에는 이런 사실을 잘 모르는 운전자들이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 등으로 갈아타기 위하여 서울에서 이 고속도로에 진입했다가 출구가 없어서 낭패를 겪고, 신공항 요금소에서 편도요금을 지불하고 회차하여 되돌아간 사례가 종종 발생했다.<ref>[http://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1052335&plink=OLDURL 한번 유턴하는 비용이 7,700원 '황당'], SBS, [[2011년]] [[12월 24일]]</ref> [[강변북로]]나 [[올림픽대로]], [[김포공항]] 인근 진입로에는 출구가 없다는 경고표지판이 세워져 있으나, 이를 간과하고 아까운 통행료를 날리지 않으려면 주의가 요구된다.
* [[영종대교]] 가변속도제한 구간단속
* [[영종대교]] 가변속도제한 구간단속
*: 영종대교 구간은 기본적으로 시속 100km의 제한속력을 가지지만 2017년 3월 27일부터 기상상황에 따라 시속 100㎞ 이하, 80㎞ 이하, 50㎞ 이하, 30㎞ 이하, 폐쇄의 5단계로 적용하는 가변형 구간단속을 시행하였다.<ref>[http://www.hankookilbo.com/v/abe67fab67044a4084fef5f394f19faf ‘106중 추돌’ 영종대교, 27일부터 가변제한속도 단속]</ref> 그러나 문제는 이 제한속도의 변화가 영종대교 전 진입 LED전광판에만 표시되어 잘 알기 어려운데다 그나마도 다른 문구와 뒤섞여 놓치고 지나가 버릴 수 있는 상황이고 다른 곳에 있는 표지판도 안개나 악천후시에는 아예 보이지 않는 수준이어서 알 방법이 없다.. 거기에 차량 [[내비게이션]]은 가변제한속도 표시가 전혀 되지 않기 때문에 이를 모르는 운전자가 상당히 많은 실정이다. 실제로 이 가변형 단속을 시행한지 50일만에 1만 6천여대가 단속되는 기염(!!!)을 토하기도 했다. 즉 하루 평균 3,200대꼴로 단속되었다는 이야기인데 과태료 수입만 해도 최저금액 4만원 기준으로 7억원이라는 결과가 나올 정도이다. 여기에 재미를 붙였는지 경찰은 사고 감소 효과가 크다면서 향후 [[서해대교]]에도 이 방식을 적용할 것이라고 하는데 그 전에 제대로 된 계도와 홍보를 먼저 해야 한다는 비판이 일고 있는 상황이다.<ref>[http://www.incheonilbo.com/?mod=news&act=articleView&idxno=760920 홍보 부족했나 … 영종대교 가변형 구간 과태료 폭탄]</ref>
*: 영종대교 구간은 기본적으로 시속 100 km의 제한속력을 가지지만 2017년 3월 27일부터 기상상황에 따라 시속 100 km 이하, 80 km 이하, 50 km 이하, 30 km 이하, 폐쇄의 5단계로 적용하는 가변형 구간단속을 시행하였다.<ref>[http://www.hankookilbo.com/v/abe67fab67044a4084fef5f394f19faf ‘106중 추돌’ 영종대교, 27일부터 가변제한속도 단속]</ref> 그러나 문제는 이 제한속도의 변화가 영종대교 전 진입 LED전광판에만 표시되어 잘 알기 어려운데다 그나마도 다른 문구와 뒤섞여 놓치고 지나가 버릴 수 있는 상황이고 다른 곳에 있는 표지판도 안개나 악천후시에는 아예 보이지 않는 수준이어서 알 방법이 없다.. 거기에 차량 [[내비게이션]]은 가변제한속도 표시가 전혀 되지 않기 때문에 이를 모르는 운전자가 상당히 많은 실정이다. 실제로 이 가변형 단속을 시행한지 50일만에 1만 6천여대가 단속되는 기염(!!!)을 토하기도 했다. 즉 하루 평균 3,200대꼴로 단속되었다는 이야기인데 과태료 수입만 해도 최저금액 4만원 기준으로 7억원이라는 결과가 나올 정도이다. 여기에 재미를 붙였는지 경찰은 사고 감소 효과가 크다면서 향후 [[서해대교]]에도 이 방식을 적용할 것이라고 하는데 그 전에 제대로 된 계도와 홍보를 먼저 해야 한다는 비판이 일고 있는 상황이다.<ref>[http://www.incheonilbo.com/?mod=news&act=articleView&idxno=760920 홍보 부족했나 … 영종대교 가변형 구간 과태료 폭탄]</ref>


{{각주}}
{{각주}}
{{대한민국의 고속도로 목록}}
{{대한민국의 고속도로 목록}}
[[분류: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 ]]
[[분류: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 ]]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