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제-홍천 전투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학술}}
{{인용문2|본 문서는 [[6·25전쟁사]] 2권 북한의 전면남침과 초기 방어전투》를 기반으로 작성되었음을 알립니다.| ISSN 1739-2705}}
{{인용문2|본 문서는 [[6.25전쟁사]] 2권 북한의 전면남침과 초기 방어전투』를 기반으로 작성되었음을 알립니다.| ISSN 1739-2705}}
{{전쟁 정보
{{전쟁 정보
|전쟁이름 = 인제-홍천 전투
|분쟁 = 인제-홍천 전투
|원어이름 =  
|전체 = [[중동부지역 작전]]
|그림     =  
|그림 =  
|그림설명 =  
|그림크기 =  
|포괄사건 = [[중동부지역 작전]]
|설명 =  
|날짜     = 1950년 6월 25일 ~ 30일
|날짜 = 1950년 6월 25일 ~ 30일
|위치    = 인제, 홍천
|장소 = 인제, 홍천
|결과     = 북한의 승리
|상태 =
|단체1    = 북한
|결과 =  
|지휘관1 = 김창덕 소장<br />조관 총좌<br />김봉문 대좌<br />왕휘 대좌<br />차균섭 대좌<br />전우 소장<br />지병학 총좌<br />최학훈 대좌<br />황동화 대좌<br />손응삼 대좌
|이유 =
|병력1    =
|교전국1 = 북한
|피해1    =
|교전국2 = 대한민국
|단체2    = 대한민국
|지휘관1 = 김창덕 소장<br>조관 총좌<br>백정덕 대좌<br>김봉문 대좌<br> 왕휘 대좌<br>차균섭 대좌<br>전우 소장<br>지병학 총좌<br>최학훈 대좌<br>황동화 대좌<br>손응삼 대좌
|지휘관2 = 김종오 대령<br />함병선 대령<br />민병권 대령<br />김성 소령
|지휘관2 = 김종오 대령<br>함병선 대령<br>민병권 대령<br>김성 소령
|병력2    =  
|군대1 =
|피해2    =  
제2군단
|단체3    =
* 제5보병사단
|지휘관3  =
* 제12보병사단
|병력3    =
** 제30연대
|피해3    =  
** 제32연대
|단체4    =  
* 제603모터사이클연대
|지휘관4  =  
|군대2 =  
|병력4    =  
제6사단
|피해4    =  
* 제2연대
|민간피해 =  
* 제19연대
|비고    =  
* 제16포병대대
|병력1=  
|병력2 =  
|사상자1 =  
|사상자2 =  
|지도 =  
|지도설명 =  
|기타 =  
}}
}}
{{작성중}}


== 개요 ==
== 개요 ==
55번째 줄: 64번째 줄:
북한군 제30연대가 국군 제2중대의 서쪽인 막장골을 돌파해 상수내리로 우회하자 제1대대는 차단될 위기에 직면했다. 06:00까지 현 위치를 고수한 제1대대는 06:20에 철수를 시작했다.
북한군 제30연대가 국군 제2중대의 서쪽인 막장골을 돌파해 상수내리로 우회하자 제1대대는 차단될 위기에 직면했다. 06:00까지 현 위치를 고수한 제1대대는 06:20에 철수를 시작했다.


국군 제2연대장은 전방과 교신이 두절되자 신남으로 이동했고 그곳에서 사격을 받아 후퇴하였다. 연대장은 철수 병력을 통제하고 제1대대를 558고지에, 제2대대를 좌측의 402고지에 배치하였다. 어느 정도 낙오병이 복귀하자 10:00에 지휘소를 자은리로 이동시켰다.
국군 제2연대장은 전방과 교신이 두절되자 신남으로 이동했고 그곳에서 사격을 받아 후퇴하였다. 연대장은 철수 병력을 통제하고 제1대대를 558고지에, 제2대대를 좌측의 402고지에 배치하였다. 어느정도 낙오병이 복귀하자 10:00에 지휘소를 자은리로 이동시켰다.


제2연대장에게 북한군 침공 보고를 받은 사단장 김종오 대령은 제2연대장에게 현지를 사수하고 제3대대를 어론으로 진출시키라는 명령을 내리고 제16포병대대의 1개 중대에게 제2연대를 지원하라고 하였다.
제2연대장에게 북한군 침공 보고를 받은 사단장 김종오 대령은 제2연대장에게 현지를 사수하고 제3대대를 어론으로 진출시키라는 명령을 내리고 제16포병대대의 1개 중대에게 제2연대를 지원하라고 하였다.
76번째 줄: 85번째 줄:


==== 6월 28일 ====
==== 6월 28일 ====
국군 제2연대 제1대대는 반격을 앞두고 03:00에 330고지를 출발, 397고지의 북한군을 격퇴하고 499고지를 탈환했다. 05:30 제1대대는 짙은 안개 속에 적의 중앙을 돌파하고 397고지를 점거, 복골을 포위하였으며 기습을 가해 혼란에 빠진 북한군을 궤멸시켰다. 그러나 전열을 정비한 북한군이 포격과 함께 반격하자 역포위를 우려한 대대장이 철수를 명령, 방어진지인 말고개로 복귀했다.
북한군이 홍천 점령을 만회하기 위해 대규모로 공격을 시작했다. 09:20 안개가 걷히자 북한군의 움직임을 관측한 국군 제2연대장은 57mm 대전차포로 공격할 것을 명했으나 대전차포중대가 명령 전에 철수한 상태가 벌어졌다. 긴급한 상황에 대전차포중대가 돌아와 북한군보다 먼저 주요 지점을 선점했으며, 자주포가 다가오자 제2, 제19연대가 사격을 집중하였다. 자주포는 뒤따라오는 보병과 분리 되었으며 선두 자주포가 대전차포를 맞고 멈추자 미리 시체로 위장하고 있던 특공대가 수류탄으로 선두차량을 폭파시켰다. 진로가 막히자 후속 자주포의 기동이 불가능해졌으며 특공대의 먹잇감으로 전락하였다. 차량 탈출을 기도한 승무원들은 전원 사살되었고 총 10대의 자주포를 노획하거나 파괴하고 추가로 북한군 수십 명이 사살되었다.<ref>모든 특공대원이 피해 없이 돌아왔다.</ref>
22:30 다시 시작된 북한군의 공격으로 국군이 후퇴를 시작했으나 다시 반격을 감행해 하루 3차례의 공격을 모두 격퇴하고 24:00에 주저항선을 회복하였다.
==== 6월 29일 ====
08:00 춘천 함락 소식을 들은 북한군은 중앙돌파를 시도함과 함께 국군 제2, 제19연대의 보급로를 끊기 위해 일부 병력을 우회시켰다. 4시간의 전투로 북한군을 격퇴한 제2연대장은 북한군의 계획을 역이용하고 각 대대장에게 반격 지시를 내렸지만 전황이 위급하게 돌아간 것을 본 사단장이 홍천으로 철수할 것을 지시하였다.
작전명령에 따라 좌일선 제3대대가 먼저 철수, 이를 이어 우일선의 제1대대가, 마지막으로 제2대대가 철수하였다.
연대장을 연대의 주력의 안전한 철수를 위해 제1대대로 하여금 371고지를 재탈환하라는 명령을 내렸고, 24:00에 371고지를 점령하고 있던 북한군을 기습해 탈환하였다.
==== 6월 30일 ====
연대 주력이 철수하자 제1대대는 371고지에서 후퇴, 05:00에 성산리에 도착하였다. 그러나 북한군이 계속 따라붙으며 공격을 하자 대대장이 직접 후미에서 지휘했으나 포탄에 관통상을 입었다. 제1대대는 이후 횡성으로 철수하였다.
한편 제3대대 제11중대는 대대의 후미에 남아 방어를 하고 있었는데 말고개에서 들리던 총성이 홍천에서도 들려오자 고립되었음을 알아차렸다. 중대는 소대별로 나뉘어 탈출을 시도하였고 모든 부대원이 후에 본대와 합류하였다.
18:00 북한군 제12사단 제30, 제32연대가 홍천을 점령하였다.


=== 현리지구 전투 ===
=== 현리지구 전투 ===
==== 6월 25일 ====
현리 동북쪽을 방어하던 국군 제2연대 제3대대는 04:00 연대장으로부터 전투태세에 돌입하라는 명령을 받았으나 이후 1시간 동안 아무런 상황이 발생하지 않아 공비침투로 간주하였다. 그러나 05:30 북한군이 포의 지원을 받으며 제3대대 제9중대 정면으로 공격을 시작했다.


북한군 제1경비여단 예하 제1, 제4대대의 공격을 받은 제9중대는 좌인접 중대인 제11중대와 함께 그들을 유인한 후 공격했지만 북한군의 병력은 계속 증가했다. 북한군의 공세가 강해지자 제3대대장 이운산 소령은 두 중대에 현지에서 이탈해 현리에서 방어하라는 명령을 내리고 예비대인 제10중대 또한 현리로 이동시켰다.


12:00 현리에 도착한 제10중대가 현리 서쪽 558고지에 진지를 점령하였으며, 13:20 제11중대가 520고지 좌측에 배치되었다. 제9중대는 연락이 두절되었다.
== 결과 ==


제12중대장은 제11중대에게 연대 주력이 홍천으로 철수했음을 알렸고 제11중대장은 공격을 멈추고 철수 명령을 내렸는데 마침 대대장에게 중대가 돌출되었으니 521고지로 후퇴하라는 명령을 받았다. 제11중대는 521고지를 점령하고 적을 격퇴하였다.
{{틀:한국전쟁}}
 
13:20 제10중대가 북한군 2개 대대의 공격을 받자 15:00 철수를 시작해 엄수동으로 집결했다.
 
한편 후방이 차단되어 연락이 단절된 제9중대는 14:00 철수를 시작해 아무런 피해 없이 우익의 제8사단 제10연대와 합류하였다.
 
23:00 제3대대는 연대와의 통신을 회복해 연대장에게 한계리로 이동하라는 명령을 받았다.
 
==== 6월 26일 ====
04:00 제3대대가 이동을 시작해 18:30 한계리에 도착한 대대는 연대의 좌일선으로 293-381고지 방어임무를 수행했다.
 
==== 6월 27일 ====
제3대대를 뒤따른 차량제대는 차량의 잦은 고장으로 08:00에 한계리에 도착하였지만 자주포에 보급품을 탑제한 선두차량이 파괴되자 장사원을 우회하여 횡계에서 대대와 합류하였다.
 
== 결과와 평가 ==
오래전부터 방어태세에 전념한 제7연대와 달리 제2연대는 전쟁 발발 3일전에 작전 지역에 배치되어 지형 숙지는 물론 짐도 제대로 풀지 못한 상황에서 전쟁을 시작했다. 그러나 단단한 방어선 구축 실패는 그렇다쳐도 지휘 체계에서 불협화음이 있었다. 제2연대장이 26일 06:00에 실시한 반격은 매우 무모한 작전이었으며 제1대대장의 잦은 교체로 혼란을 불러일으켰다. 다행히 북한군에 불리한 지형에서 전투를 강요해 북한의 홍천 진출을 최대한 지연시키는데 성공했다.
 
{{한국전쟁}}
{{각주}}
{{각주}}
[[분류:6·25 전쟁]]
[[분류:전투]]
[[분류:1950년 분쟁]]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