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민의 소리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2번째 줄: 2번째 줄:
{{안내문|[[조선의 소리]]와 혼동 주의.}}
{{안내문|[[조선의 소리]]와 혼동 주의.}}


'''《인민의 소리》방송'''<ref>문장부호 및 띄어쓰기는 임의로 [[문화어]] 표기에 맞도록 하였다.</ref>은 '조선로동자총동맹'이라는 정체불명의 주체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북한]])의 [[인민]]들을 대상으로 송출하는 [[위키백과:해적방송|해적방송]] ([[위키백과:지하방송|지하방송]])이자 [[단파방송]]...이지만, [[위키백과:데 팍토|사실상]] [[대한민국]] (남한)의 [[국가정보원]]이 송출 주체인 [[대북방송]]이라는 건 공공연한 비밀이다.<ref>다른 의혹들은 다 집어치우고 일단 이 방송을 송출하는 시설부터가 남한 영토 안에 있다. ([https://www.cartogiraffe.com/%EB%8C%80%ED%95%9C%EB%AF%BC%EA%B5%AD/%EA%B2%BD%EA%B8%B0%EB%8F%84/%EA%B3%A0%EC%96%91%EC%8B%9C/%EB%8D%95%EC%96%91%EA%B5%AC/%EB%8C%80%EB%8D%95%EB%8F%99/%EB%8C%80%EB%B6%81%EB%B0%A9%EC%86%A1+%27%EC%9D%B8%EB%AF%BC%EC%9D%98+%EC%86%8C%EB%A6%AC%27+%EB%8B%A8%ED%8C%8C+%EC%86%A1%EC%8B%A0%EC%86%8C+++%EB%B0%A9%ED%95%B4%EC%A0%84%ED%8C%8C+%EC%A4%91%ED%8C%8C%ED%83%91/ #])(...) [[미국]]의 [[자유아시아방송]]도 비록 민간인의 발언을 인용하는 형식이긴 했어도 인민의 소리를 남한에서 송출하는 대북방송이라고 보도했다. ([https://www.rfa.org/korean/in_focus/nk_nuclear_talks-08152022165033.html #])</ref> 그러나 국가정보원이 공식적으로 긍정도 부정도 하지 않은 데다 해당 송출시설 및 주파수가 전파관리소에 정식으로 등록되었다는 자료가 없으므로 본 문서에서는 송출 주체에 대해 더 이상 직접적으로 언급하지 않는 것으로 한다.
'''《인민의 소리》방송'''<ref>문장부호 및 띄어쓰기는 임의로 [[문화어]] 표기에 맞도록 하였다.</ref>은 '조선로동자총동맹'이라는 정체불명의 주체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북한]])의 [[인민]]들을 대상으로 송출하는 [[위키백과:해적방송|해적방송]] ([[위키백과:지하방송|지하방송]])이자 [[단파방송]]...이지만, [[wikipedia:데 팍토|사실상]] [[대한민국]] (남한)의 [[국가정보원]]이 송출 주체인 [[대북방송]]이라는 건 공공연한 비밀이다.<ref>다른 의혹들은 다 집어치우고 일단 이 방송을 송출하는 시설부터가 남한 영토 안에 있다. ([https://www.cartogiraffe.com/%EB%8C%80%ED%95%9C%EB%AF%BC%EA%B5%AD/%EA%B2%BD%EA%B8%B0%EB%8F%84/%EA%B3%A0%EC%96%91%EC%8B%9C/%EB%8D%95%EC%96%91%EA%B5%AC/%EB%8C%80%EB%8D%95%EB%8F%99/%EB%8C%80%EB%B6%81%EB%B0%A9%EC%86%A1+%27%EC%9D%B8%EB%AF%BC%EC%9D%98+%EC%86%8C%EB%A6%AC%27+%EB%8B%A8%ED%8C%8C+%EC%86%A1%EC%8B%A0%EC%86%8C+++%EB%B0%A9%ED%95%B4%EC%A0%84%ED%8C%8C+%EC%A4%91%ED%8C%8C%ED%83%91/ #])(...) [[미국]]의 [[자유아시아방송]]도 비록 민간인의 발언을 인용하는 형식이긴 했어도 인민의 소리를 남한에서 송출하는 대북방송이라고 보도했다. ([https://www.rfa.org/korean/in_focus/nk_nuclear_talks-08152022165033.html #])</ref> 그러나 국가정보원이 공식적으로 긍정도 부정도 하지 않은 데다 해당 송출시설 및 주파수가 전파관리소에 정식으로 등록되었다는 자료가 없으므로 본 문서에서는 송출 주체에 대해 더 이상 직접적으로 언급하지 않는 것으로 한다.


{{라디오 채널 정보
{{라디오 채널 정보
24번째 줄: 24번째 줄:
다른 대북방송들과 달리 문화어를 대폭 적용한 조선말 (북한 한국어)<ref>문화어는 김씨 왕가 찬양과 정치·사회적으로 거친 표현 및 의미도 포함되는 개념인데, 이 방송의 '조선말'은 그것까지 반영하지는 않았다. 오히려 김씨 왕가 찬양과 정면으로 배치되는 '평양정권', '김가 (= 김씨) 세습' 등의 표현이 나오기도 한다.</ref>로 방송하며, 프로그램 내에서 북한을 '우리나라'라고 칭하고 북한 사람들을 '우리 인민'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잦다. 반대급부로 남한은 21세기 초까지만 해도 그냥 '남조선'이고 굳이 구분을 하거나 구어체로 표현할 때 '남측', '아랫동네' 정도로 표현했지만, 2020년대 들어서는 '한국', '남측 한국', '남한', '대한민국' 등의 표현도 제멋대로 섞여서 쓰인다. 이제는 하다하다 한반도도 '조선반도' 대신 '한반도'라고 부르고 북한도 '북한'이라고 부르는 경우마저 있다. <del>아놔 하나만 하라고!</del> 2023년 중순부터 이북에서 소위 '괴뢰'를 일컫을 때 '대한민국'이라는 정식 국호로 부르기 시작하자, 이 방송도 반대로 대놓고 북한을 '북한'으로 부르는 방향으로 개편되었다.
다른 대북방송들과 달리 문화어를 대폭 적용한 조선말 (북한 한국어)<ref>문화어는 김씨 왕가 찬양과 정치·사회적으로 거친 표현 및 의미도 포함되는 개념인데, 이 방송의 '조선말'은 그것까지 반영하지는 않았다. 오히려 김씨 왕가 찬양과 정면으로 배치되는 '평양정권', '김가 (= 김씨) 세습' 등의 표현이 나오기도 한다.</ref>로 방송하며, 프로그램 내에서 북한을 '우리나라'라고 칭하고 북한 사람들을 '우리 인민'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잦다. 반대급부로 남한은 21세기 초까지만 해도 그냥 '남조선'이고 굳이 구분을 하거나 구어체로 표현할 때 '남측', '아랫동네' 정도로 표현했지만, 2020년대 들어서는 '한국', '남측 한국', '남한', '대한민국' 등의 표현도 제멋대로 섞여서 쓰인다. 이제는 하다하다 한반도도 '조선반도' 대신 '한반도'라고 부르고 북한도 '북한'이라고 부르는 경우마저 있다. <del>아놔 하나만 하라고!</del> 2023년 중순부터 이북에서 소위 '괴뢰'를 일컫을 때 '대한민국'이라는 정식 국호로 부르기 시작하자, 이 방송도 반대로 대놓고 북한을 '북한'으로 부르는 방향으로 개편되었다.


방해전파가 강력한 데다 단파로만 방송하여 이북에서 일반 인민들이 듣기는 곤란하다. 오히려 중파나 초단파 FM으로 쏘는 대북방송, 혹은 심지어 KBS TV방송<ref>[[위키백과:PAL|PAL]] 방식 (색상 표현은 [[위키백과:SÉCAM|SÉCAM]]으로 한다는 주장도 있다) 아날로그 및 DVB 방식 디지털로 초강출력으로 송출하는데, 전파 혼신이 있는 것인지 아니면 대북방송의 성격 상 의도적인 것인지는 알 수 없으나 어쨌든 타 방송사의 프로그램도 무작위로 송출한다고 한다. 일단 황해남도 정도에서는 실제로 수신이 가능하다.</ref>을 수신하는 게 더 현실적일 정도라서, 단파라디오를 예전부터 소지해왔거나 장마당에서 구입한 뒤 지금까지 단속에 걸리지 않고 여전히 수신할 수 있는 극소수를 제외하면 이 방송을 들을 수 있는 실질적인 주 청취자는 북한의 정보기관 정도일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방해전파가 강력한 데다 단파로만 방송하여 이북에서 일반 인민들이 듣기는 곤란하다. 오히려 중파나 초단파 FM으로 쏘는 대북방송, 혹은 심지어 KBS TV방송<ref>[[wikipedia:ko:PAL|PAL]] 방식 (색상 표현은 [[wikipedia:ko:SÉCAM|SÉCAM]]으로 한다는 주장도 있다) 아날로그 및 DVB 방식 디지털로 초강출력으로 송출하는데, 전파 혼신이 있는 것인지 아니면 대북방송의 성격 상 의도적인 것인지는 알 수 없으나 어쨌든 타 방송사의 프로그램도 무작위로 송출한다고 한다. 일단 황해남도 정도에서는 실제로 수신이 가능하다.</ref>을 수신하는 게 더 현실적일 정도라서, 단파라디오를 예전부터 소지해왔거나 장마당에서 구입한 뒤 지금까지 단속에 걸리지 않고 여전히 수신할 수 있는 극소수를 제외하면 이 방송을 들을 수 있는 실질적인 주 청취자는 북한의 정보기관 정도일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 역사 ==
== 역사 ==
33번째 줄: 33번째 줄:
원래는 주파수를 3개씩 두 묶음으로 나눠서 따로 정파를 진행했었는데, 2010년대 후반부터는 24시간 방송체제로 바뀌었다. 그러나 정파는 여전히 일어나며, 별도의 시간 고지는 없는 대신 아직까지는 주파수별로 정파시간을 정해놓고 (반)자동으로 송출을 끄고 켜는 듯하다.
원래는 주파수를 3개씩 두 묶음으로 나눠서 따로 정파를 진행했었는데, 2010년대 후반부터는 24시간 방송체제로 바뀌었다. 그러나 정파는 여전히 일어나며, 별도의 시간 고지는 없는 대신 아직까지는 주파수별로 정파시간을 정해놓고 (반)자동으로 송출을 끄고 켜는 듯하다.


24시간 방송체제가 된 후에는 주파수 변동<ref>방해전파 회피 등을 목적으로 송출 주파수를 옮기는 행위. 보통 단파방송에서는 원래의 주파수에서 ±5kHz씩 옮기며, 인민의 소리 방송은 매주 월요일에 옮겼다.</ref> 및 국명고지를 전혀 하지 않았다. 자신들이 '조선로동자총동맹'인지, 송출중인 방송의 이름이 '인민의 소리'인지조차도 말하지 않으며 진행했기 때문에, 타 방송과의 구분을 위하여 편의상 당시 자칭했던 이름을 쓰는 것일 뿐이...었지만, 2023년 10월 둘째 주부터 매 프로그램 종료 시마다 진행자 또는 오프닝 담당<ref>2023년 10월 13일 기준으로 남4를 제외한 모두가 고지하는 것을 확인함.</ref>이 '''"《인민의 소리》방송입니다"'''라고 말하는 것으로 재차 변경됨으로써 여전히 이 이름이 사용됨을 알 수 있게 되었다. <del>드디어 국정원이 이 문서를 보고 피드백을 해주는 것인가!</del>
24시간 방송체제가 된 후에는 주파수 변동<ref>방해전파 회피 등을 목적으로 송출 주파수를 옮기는 행위. 보통 단파방송에서는 원래의 주파수에서 ±5kHz씩 옮기며, 인민의 소리 방송은 매주 월요일에 옮겼다.</ref> 및 국명고지를 전혀 하지 않았다. 자신들이 '조선로동자총동맹'인지, 송출중인 방송의 이름이 '인민의 소리'인지조차도 말하지 않으며 진행했기 때문에, 타 방송과의 구분을 위하여 편의상 당시 자칭했던 이름을 쓰는 것일 뿐이...었지만, 2023년 10월 둘째 주부터 매 프로그램 종료 시마다 진행자 또는 오프닝 담당<ref>2023년 10월 13일 기준으로 여1, 여2, 남2가 고지하는 것을 확인함.</ref>이 '''"《인민의 소리》방송입니다"'''라고 말하는 것으로 재차 변경됨으로써 여전히 이 이름이 사용됨을 알 수 있게 되었다. <del>드디어 국정원이 이 문서를 보고 피드백을 해주는 것인가!</del>


== 방송 편성 ==
== 방송 편성 ==
80번째 줄: 80번째 줄:


출연진 또한 알려진 바 없으므로, 편의를 위하여 임의로 기호를 붙여 호칭한다.
출연진 또한 알려진 바 없으므로, 편의를 위하여 임의로 기호를 붙여 호칭한다.
* '''남성 아나운서 1''' (이하 '''남1'''): 편집일 기준 메인 아나운서. 영감님 목소리에 특화되었다. <s>2023년 가을 개편부터는 보도를 진행하지 않고 목소리도 좀 힘을 빼며 슬슬 은퇴를 준비하는 듯?</s>
* '''남성 아나운서 1''' (이하 '''남1'''): 편집일 기준 메인 아나운서. 영감님 목소리에 특화되었다.
* '''남성 아나운서 2''' (이하 '''남2'''): 남1에 비해서는 젊은 음색이며 남3에 비해서는 덜 딱딱한 목소리. 이 인간이 "여러분 안녕하십니까"라고 말하는 걸 들으면 건달이 건방지게 말하는 투로 들린다...
* '''남성 아나운서 2''' (이하 '''남2'''): 남1에 비해서는 젊은 음색이며 남3에 비해서는 덜 딱딱한 목소리. 이 인간이 "여러분 안녕하십니까"라고 말하는 걸 들으면 건달이 건방지게 말하는 투로 들린다...
* '''남성 아나운서 3''' (이하 '''남3'''): 남1에 비해 젊고 높으며 약간 허스키한 음색이지만 발성이나 연기력이 남1보다 딸린다. 남1이 휴가를 나가면 대타로 진행하기도 한다.
* '''남성 아나운서 3''' (이하 '''남3'''): 남1에 비해 젊고 높으며 약간 허스키한 음색이지만 발성이나 연기력이 남1보다 딸린다. 남1이 휴가를 나가면 대타로 진행하기도 한다.
* '''남성 아나운서 4''' (이하 '''남4'''): 목소리가 제일 스윗했던 아나운서. 얼핏 들으면 남2가 1인2역을 하는 것인지, 아니면 별개의 인물인 것인지 알 수 없을 정도로 목소리가 흡사했었다. 이렇게 구분이 힘들었던 이유는 한동안 시사대담에 둘이 함께 나왔기 때문.
* '''남성 아나운서 4''' (이하 '''남4'''): 목소리가 제일 스윗한 아나운서. 얼핏 들으면 남2가 1인2역을 하는 것인지, 아니면 별개의 인물인 것인지 알 수 없을 정도로 목소리가 흡사하다. 이렇게 구분이 힘든 이유는 시사대담에 함께 나오기 때문.
* '''여성 아나운서 1''' (이하 '''여1'''): 편집일 기준 메인 아나운서. [[리춘히]]와 목소리가 어느 정도 비슷하지만 '협박성 멘트'의 위력은 리춘히의 털끝만큼도 따라잡지 못하는 부드러운 목소리로, 기백있게 말하는 역할, 단순 해설 역할, 재담에서 츳코미를 거는 아줌마 역할, 소년 역할 등을 다양하게 수행할 수 있다. 휴가가 잦은 모양이다.
* '''여성 아나운서 1''' (이하 '''여1'''): 편집일 기준 메인 아나운서. [[리춘히]]와 목소리가 어느 정도 비슷하지만 '협박성 멘트'의 위력은 리춘히의 털끝만큼도 따라잡지 못하는 부드러운 목소리로, 기백있게 말하는 역할, 단순 해설 역할, 재담에서 츳코미를 거는 아줌마 역할, 소년 역할 등을 다양하게 수행할 수 있다. 휴가가 잦은 모양이다.
* '''여성 아나운서 2''' (이하 '''여2'''): 여1에 비해 젊고 단조로운 음색의 아나운서. 여1을 리춘히라고 본다면 여2는 [[조선중앙텔레비죤]] 기상캐스터나 [[통일의 메아리]] 방송의 단독 진행자라고 볼 수 있겠는데, 단조로운 목소리 속 본래의 목소리가 들릴 때면 또 그렇게까지 젊지는 않은 것도 같다. 진행 시 타 아나운서들과 엮이지 않고 반드시 단독으로만 진행한다. 그러나 정작 여2 본인이 프로그램 시작 시 제목 (오프닝)을 읊는 것은 문화기행 (그나마도 자신이 진행하는 날에만) 하나뿐이다.<ref>이 경우를 제외하고 프로그램 오프닝은 남1과 여1만 읊는다.</ref>
* '''여성 아나운서 2''' (이하 '''여2'''): 여1에 비해 젊고 단조로운 음색의 아나운서. 여1을 리춘히라고 본다면 여2는 [[조선중앙텔레비죤]] 기상캐스터나 [[통일의 메아리]] 방송의 단독 진행자라고 볼 수 있겠는데, 단조로운 목소리 속 본래의 목소리가 들릴 때면 또 그렇게까지 젊지는 않은 것도 같다. 진행 시 타 아나운서들과 엮이지 않고 반드시 단독으로만 진행한다. 그러나 정작 여2 본인이 프로그램 시작 시 제목 (오프닝)을 읊지는 않는다. 큐사인이 들어간 후 지금 하는 프로그램 제목을 알려주고 끝날 때 이번 순서 프로그램은 여기까지라고만 말할 뿐.<ref>프로그램 오프닝은 남1과 여1만 읊는다.</ref>


후술할 각 프로그램의 '오프닝'과 '진행' 목록은 각각 해당 아나운서가 오프닝과 주 진행을 맡는다는 의미이다.
후술할 각 프로그램의 '오프닝'과 '진행' 목록은 각각 해당 아나운서가 오프닝과 주 진행을 맡는다는 의미이다.


=== 인터벌 시그널 ===
=== 인터벌 시그널 ===
{{인용문|자유의 소리, 진실의 소리를 전해드리는 《인민의 소리》방송입니다!|여성 아나운서 1|([[commons:File:Voice Of People Ident (2023-10).wav|#]] / [[commons:File:Voice Of People Ident (2023-10, Variaton 2).wav|##]])}}
{{인용문|자유의 소리, 진실의 소리를 전해드리는 《인민의 소리》방송입니다!|여성 아나운서 1|([[commons:File:Voice Of People Ident (2023-10).wav|#]])}}


2023년 둘째 주 개편으로 변경된 인터벌 시그널. 기존 매 시 정각 고지하던 것과 달리 3시간 단위 녹음의 개시 시에만 재생되는 것으로 바뀌었으며, 드디어 방송국 이름을 다시 부르게 되었다.
2023년 둘째 주 개편으로 변경된 인터벌 시그널. 기존 매 시 정각 고지하던 것과 달리 3시간 단위 녹음의 개시 시에만 재생되는 것으로 바뀌었으며, 드디어 방송국 이름을 다시 부르게 되었다.
105번째 줄: 105번째 줄:
=== 보도 ===
=== 보도 ===
* 오프닝: 남1
* 오프닝: 남1
* 진행: 남1, 여1 → 여1 단독
* 진행: 남1, 여1
남이나 북이나 흔히 볼 수 있는, 앵커들만 나와서 줄줄줄 읽고 끝나는 뉴스 보도. 오프닝 음악은 있지만 클로징 음악은 없다.
남이나 북이나 흔히 볼 수 있는, 앵커들만 나와서 줄줄줄 읽고 끝나는 뉴스 보도. 오프닝 음악은 있지만 클로징 음악은 없다.


125번째 줄: 125번째 줄:
2023년 2월 20일 DX시 처음으로 수신. 오프닝·엔딩 음악은 있지만 별도의 제목을 고지하지 않아서, 임의로 선전선동이라는 이름으로 기재하였다.
2023년 2월 20일 DX시 처음으로 수신. 오프닝·엔딩 음악은 있지만 별도의 제목을 고지하지 않아서, 임의로 선전선동이라는 이름으로 기재하였다.


전통적인 북한식 웅변을 그대로 뒤집어 남한 입장에서 말하는 코너. 물론 단어나 문장의 강도는 북한마냥 무식하게 호전적이거나 욕설을 섞는 수준은 아니고, 현대 한국식 격문 내지는 호소문 수준이다. 그래도 제일 유약했던 남3의 목소리가 여기서는 [[위키백과:전형규|전형규]] 못지않게 기백있는 목소리가 되어 물 만난 물고기가 된 모양새를 느낄 수 있다.
전통적인 북한식 웅변을 그대로 뒤집어 남한 입장에서 말하는 코너. 물론 단어나 문장의 강도는 북한마냥 무식하게 호전적이거나 욕설을 섞는 수준은 아니고, 현대 한국식 격문 내지는 호소문 수준이다. 그래도 제일 유약했던 남3의 목소리가 여기서는 [[wikipedia:ko:전형규|전형규]] 못지않게 기백있는 목소리가 되어 물 만난 물고기가 된 모양새를 느낄 수 있다.


  (팡파레가 재생된다)
  (팡파레가 재생된다)
150번째 줄: 150번째 줄:
==== 방송대학 ====
==== 방송대학 ====
* 오프닝: 여1
* 오프닝: 여1
* 진행: 남2 → 남2 또는 남1
* 진행: 남2
* 배치: 1부 (평일)
* 배치: 1부 (평일)
2022년 9월 넷째 주에 새로 시작한 프로그램.<ref>일단 DX를 통한 포착은 9월 23일 최초로 이루어졌다.</ref> 스스로 규정한 방송 주제의 범위가 좁아서 제목처럼 대학 수준의 전문적인 강의를 하지는 못하고, 결국 다른 프로그램들과 크게 다르지 않은 수준의 프로파간다 방송이다. <s>뭐 이것도 사실상 노예제처럼 꽉 막히게 굴러가는 이북 사회 기준에서는 낯설고 어려운 내용이라고 우긴다면 반박할 수는 없다</s>
2022년 9월 넷째 주에 새로 시작한 프로그램.<ref>일단 DX를 통한 포착은 9월 23일 최초로 이루어졌다.</ref> 스스로 규정한 방송 주제의 범위가 좁아서 제목처럼 대학 수준의 전문적인 강의를 하지는 못하고, 결국 다른 프로그램들과 크게 다르지 않은 수준의 프로파간다 방송이다. <s>뭐 이것도 사실상 노예제처럼 꽉 막히게 굴러가는 이북 사회 기준에서는 낯설고 어려운 내용이라고 우긴다면 반박할 수는 없다</s>
169번째 줄: 169번째 줄:
* 오프닝: 남1, 여1
* 오프닝: 남1, 여1
* 진행: 남1, 여1
* 진행: 남1, 여1
* 배치: 2부 (금토일) → 3부 (매일)
* 배치: 2부 (금토일)
클로징 시에는 '재담시간'이라고 부른다. '인민의 암행어사' 부분이 마치 재담 내 에피소드 제목같지만 실제로는 프로그램 자체의 제목이며, 에피소드의 제목은 매 에피소드마다 따로 붙는다.
클로징 시에는 '재담시간'이라고 부른다. '인민의 암행어사' 부분이 마치 재담 내 에피소드 제목같지만 실제로는 프로그램 자체의 제목이며, 에피소드의 제목은 매 에피소드마다 따로 붙는다.


액자식 구성의 프로그램으로, 남1 (남1이 곤란한 경우 남3, 과거에는 셋 모두가 진행함<ref>[http://www.chriskadlec.com/media/radio/audio/Seoul_AM_Voice_of_the_People_2.MP3 Seoul_AM_Voice_of_the_People_2.MP3], Chris Kadlec, [https://www.chriskadlec.com/radio/seoul Seoul AM Radio Listening Guide], 2023년 10월 9일 확인.</ref>)이 원래 진행하는 프로그램의 인터뷰어로, 여1이 원래 진행하는 프로그램의 인터뷰이인 '어사 동무'로 나오며, 둘이서 인민들의 생활 속을 들여다보러 가보자고 하면 <del>휘리릭 뾰로롱 하는 </del>효과음과 함께 남1 (혹은 남3)은 보케, 여1은 츳코미 역할을 맡으며 콩트가 진행된다. 콩트 종료 후에는 역으로 올라오는 효과음과 함께 다시 원래 프로그램으로 돌아와 주장하고자 하는 교훈을 설파한다.
액자식 구성의 프로그램으로, 남1 (남1이 곤란한 경우 남3, 과거에는 셋 모두가 진행함<ref name=a>[http://www.chriskadlec.com/media/radio/audio/Seoul_AM_Voice_of_the_People_1.MP3 Seoul_AM_Voice_of_the_People_1.MP3], Chris Kadlec, [https://www.chriskadlec.com/radio/seoul Seoul AM Radio Listening Guide], 2023년 10월 9일 확인.</ref>)이 원래 진행하는 프로그램의 인터뷰어로, 여1이 원래 진행하는 프로그램의 인터뷰이인 '어사 동무'로 나오며, 둘이서 인민들의 생활 속을 들여다보러 가보자고 하면 <del>휘리릭 뾰로롱 하는 </del>효과음과 함께 남1 (혹은 남3)은 보케, 여1은 츳코미 역할을 맡으며 콩트가 진행된다. 콩트 종료 후에는 역으로 올라오는 효과음과 함께 다시 원래 프로그램으로 돌아와 주장하고자 하는 교훈을 설파한다.


오프닝 음악은 흥겨운 삼바 카니발 풍의 타악기 합주이지만, 클로징 음악은 차분해지고 우울해지는 다장조의 피아노 연주이다. 재담의 결과가 항상 씁쓸하다는 점에서 더욱 우울해지는 BGM 선곡이라 할 수 있겠다. 암울한 결말과는 별개로 편집일 현재 노잼방송이 된 인민의 소리에서 그나마 유일하게 재미있는 프로그램.
오프닝 음악은 흥겨운 삼바 카니발 풍의 타악기 합주이지만, 클로징 음악은 차분해지고 우울해지는 다장조의 피아노 연주이다. 재담의 결과가 항상 씁쓸하다는 점에서 더욱 우울해지는 BGM 선곡이라 할 수 있겠다. 암울한 결말과는 별개로 편집일 현재 노잼방송이 된 인민의 소리에서 그나마 유일하게 재미있는 프로그램.
178번째 줄: 178번째 줄:
2022년 9월 23일 낮 DX시 그 주의 회차를 내보내지 않고 한 주 앞의 회차를 재방송하였다.
2022년 9월 23일 낮 DX시 그 주의 회차를 내보내지 않고 한 주 앞의 회차를 재방송하였다.


2023년 3월 5일 DX시 ('초코파이가 너무 그립구나' 편)에는 "'''개성지구''' 인민들 속으로 안테나를 돌려볼가요?"라는 대사가 사용되었고, 동년 10월 20일~21일 DX시에는 "'''어느 당일군 가족으로''' 안테나를 돌려볼가요?" ('간부지만 공급도 없고 뢰물에 의존할 수밖에' 편)와 "'''어느 한 외국인의 말을 들어볼가요?'''" ('보여주기식 현지지도를 왜 하는지 모르겠다' 편)라고 하는 등 원래의 포맷에서 벗어나는 대사도 종종 나온다.
2023년 3월 5일 DX시 ('초코파이가 너무 그립구나' 편)에는 "'''개성지구''' 인민들 속으로 안테나를 돌려볼까요?"라는 멘트가 사용되었다.


==== 세상 만리경 ====
==== 세상 만리경 ====
199번째 줄: 199번째 줄:
* 배치: 5부
* 배치: 5부
오프닝 음악은 [https://www.youtube.com/watch?v=ymTULwE8btQ <백두와 한나는 내조국>]의 전주 부분. 과거에는 남1이 인터뷰어 역이고 남2가 인터뷰이 역을 맡았으나, 2022년 9월 현재는 남2가 인터뷰어, 남3 또는 남4가 인터뷰이 역할을 행한다.
오프닝 음악은 [https://www.youtube.com/watch?v=ymTULwE8btQ <백두와 한나는 내조국>]의 전주 부분. 과거에는 남1이 인터뷰어 역이고 남2가 인터뷰이 역을 맡았으나, 2022년 9월 현재는 남2가 인터뷰어, 남3 또는 남4가 인터뷰이 역할을 행한다.
==== 각국의 위민정치 ====
* 오프닝: 여1
* 진행: 남2
* 배치: 홀수부 → 6부 (월화수)
선진국들 위주<ref>항상 선진국 또는 제1세계만 선정되지는 않는다.</ref>로 북한보다 나은 정책들 또는 그러한 정책들의 인물·역사 배경을 다루는 프로그램. 세상 만리경이나 인민의 지도자들과 포맷이 좀 겹치는 감이 든다.
==== 인민의 지도자들 ====
* 오프닝: 여1
* 진행: 남2, 남3, 남4 中 1인
* 배치: 홀수부 → 6부 (목금토일)
제목과 달리 실제 정치가가 아닌 사람도 다룬다. 그나마 2023년부터는 진짜 정치가 위주로 다루기는 하는데, [[오토 폰 비스마르크]]같이 일생 중 큰 논란이 있던 사람도 그것을 가감없이 설명하되 마치 업적인 양 뻔뻔한 어조로 이야기한다.


==== 종영한 프로그램 ====
==== 종영한 프로그램 ====
228번째 줄: 240번째 줄:
* 오프닝: 남4?
* 오프닝: 남4?
* 진행: 남4?
* 진행: 남4?
<ref name=a>[http://www.chriskadlec.com/media/radio/audio/Seoul_AM_Voice_of_the_People_1.MP3 Seoul_AM_Voice_of_the_People_1.MP3], Chris Kadlec, [https://www.chriskadlec.com/radio/seoul Seoul AM Radio Listening Guide], 2023년 10월 9일 확인.</ref>
<ref name=a />
===== <del>인민 고발장</del> =====
===== <del>인민 고발장</del> =====
* 오프닝: 여1
* 오프닝: 여1
242번째 줄: 254번째 줄:


한참 후에 '론평'이 후속작 역할을 맡게 되었다.
한참 후에 '론평'이 후속작 역할을 맡게 되었다.
==== <del>각국의 위민정치</del> ====
* 오프닝: 여1
* 진행: 남2
* 배치: 홀수부 → 6부 (월화수)
선진국들 위주<ref>항상 선진국 또는 제1세계만 선정되지는 않는다.</ref>로 북한보다 나은 정책들 또는 그러한 정책들의 인물·역사 배경을 다루는 프로그램. 세상 만리경이나 인민의 지도자들과 포맷이 좀 겹치는 감이 든다.
==== <del>인민의 지도자들</del> ====
* 오프닝: 여1
* 진행: 남2, 남3, 남4 中 1인
* 배치: 홀수부 → 6부 (목금토일)
제목과 달리 실제 정치가가 아닌 사람도 다룬다. 그나마 2023년부터는 진짜 정치가 위주로 다루기는 하는데, [[오토 폰 비스마르크]]같이 일생 중 큰 논란이 있던 사람도 그것을 가감없이 설명하되 마치 업적인 양 뻔뻔한 어조로 이야기했다. 남4가 정년퇴임이라도 한 건지 2023년 가을 종영.


=== 론평 ===
=== 론평 ===
* 오프닝: 없음
* 오프닝: 없음
* 진행: 남1 또는 남2 또는 남3
* 진행: 남2 또는 남3
* 배치: 2·4·6부 종료 후
* 배치: 2·4·6부 종료 후


337번째 줄: 337번째 줄:
* [[대북방송]]
* [[대북방송]]
** [[희망의 메아리]]: 단파 대역을 이용하는 비밀공작 방송.
** [[희망의 메아리]]: 단파 대역을 이용하는 비밀공작 방송.
** [[자유FM]]: 초단파 대역을 이용하는 FM 비밀공작 방송
** [[자유코리아방송]]: 중파 대역을 이용하는 비밀공작 방송.
** [[자유코리아방송]]: 중파 대역을 이용하는 비밀공작 방송.
** [[케이뉴스]]: 중파 대역을 이용하는 비밀공작 방송. [[위키백과:뉴스 선전|뉴스 선전]]에 특화.
* [[프로파간다]]
* [[프로파간다]]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는 다음의 숨은 분류 1개에 속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