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목왕후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5번째 줄: 15번째 줄:
|학력    =
|학력    =
|직업    = 조선의 [[왕비]] → 대비 → 대왕대비
|직업    = 조선의 [[왕비]] → 대비 → 대왕대비
|종교    = [[유교]], [[불교]]
|종교    = [[유교]]
|정당    =  
|정당    =  
|신체    =  
|신체    =  
47번째 줄: 47번째 줄:
아직 어렸던 [[정명공주]]와 [[영창대군]] 남매도, 법으로 규정된 기준보다 더 많은 재산과 시종들을 소유했다. 인목왕후는 동궁전([[광해군]])의 시종들을 빼내어 공주와 대군의 처소에 배치하기도 했다. 또한 그녀는 영창대군의 의복을 세자처럼 입히기도 했고, 중궁전 소속 시종들이 자신의 위세를 믿고 동궁전 시종들을 방자하게 대해도 제대로 다스리지 않았다. 그러나 선조가 죽고 광해군이 즉위하면서, 인목왕후와 연안 김씨 가문에도 위기가 다가오기 시작한다.
아직 어렸던 [[정명공주]]와 [[영창대군]] 남매도, 법으로 규정된 기준보다 더 많은 재산과 시종들을 소유했다. 인목왕후는 동궁전([[광해군]])의 시종들을 빼내어 공주와 대군의 처소에 배치하기도 했다. 또한 그녀는 영창대군의 의복을 세자처럼 입히기도 했고, 중궁전 소속 시종들이 자신의 위세를 믿고 동궁전 시종들을 방자하게 대해도 제대로 다스리지 않았다. 그러나 선조가 죽고 광해군이 즉위하면서, 인목왕후와 연안 김씨 가문에도 위기가 다가오기 시작한다.


광해군이 즉위하고 5년이 지난 1613년, 계축옥사(癸丑獄事)가 일어났다. 연안 김씨 일가는 ‘왕(광해군)을 몰아내고 영창대군을 옹립하려 했다’는 혐의와 ‘의인왕후의 묘와 공빈 김씨의 묘에서 광해군을 저주하는 주술 행위를 했다’는 혐의를 받았다. 김제남과 그의 아들들과 큰사위 심정세(沈挺世)는 처형되었고, 부인 노씨는 유배되었다. 하루아침에 친정이 몰락하여 인목왕후는 큰 충격과 슬픔에 빠졌지만, 불행은 여기서 끝나지 않았다. 아들 영창대군이 [[강화도]]로 유배되어, 이듬해 세상을 떠난 것이다. 그때 영창대군은 고작 8살이었다. 인목왕후와 [[정명공주]]도 대비와 [[공주]]의 지위를 잃고 서궁(西宮){{ㅈ|오늘날의 [[덕수궁]].}}에 유폐되었으며, 그곳에서 모녀는 오랫동안 감시 속에서 불안하며 곤궁한 생활을 했다.  
광해군이 즉위하고 5년이 지난 1613년, 계축옥사(癸丑獄事)가 일어났다. 김제남과 그의 아들 3명은 ‘왕(광해군)을 몰아내고 영창대군을 옹립하려 했다’는 혐의로 처형되었다. 하루아침에 아버지, 오빠, 남동생들을 모두 잃은 인목왕후는 큰 충격에 빠졌지만, 불행은 여기서 끝나지 않았다. 영창대군이 [[강화도]]로 유배되어, 이듬해 세상을 떠난 것이다. 그때 영창대군은 고작 8살이었다. 인목왕후와 [[정명공주]]도 대비와 [[공주]]의 지위를 잃고 서궁(西宮){{ㅈ|오늘날의 [[덕수궁]].}}에 유폐되었으며, 그곳에서 모녀는 오랫동안 감시 속에서 불안하며 곤궁한 생활을 했다.  


== 인조반정 ==
== 인조반정 ==
1623년 인조반정이 일어나면서, 인목왕후와 [[정명공주]]의 인생도 다시 빛을 보게 되었다. [[광해군]]을 반대하는 무리들이 반정을 일으켜, 광해군과 그 일가를 폐위하고 능양군(綾陽君)을 새 국왕으로 추대했다. 1595년에 태어난 능양군은, 선조와 인빈 김씨(仁嬪金氏)의 5남인 정원군(定遠君){{ㅈ|훗날 ‘원종(元宗)’으로 추숭됨.}}의 장남이다. 즉 인목왕후와는 할머니-손자, 정명공주와는 고모-조카 관계가 된다. 또한 인목왕후의 형부 심정세는 능양군의 이종사촌 형이다.
1623년 인조반정이 일어나면서, 인목왕후와 정명공주의 인생도 다시 빛을 보게 되었다. [[광해군]]을 반대하는 무리들이 반정을 일으켜, 광해군과 그 일가를 폐위하고 능양군(綾陽君)을 새 국왕으로 추대했다. 1595년에 태어난 능양군은, 선조와 인빈 김씨(仁嬪金氏)의 5남인 정원군(定遠君){{ㅈ|훗날 ‘원종(元宗)’으로 추숭됨.}}의 장남이다. 즉 인목왕후와는 할머니-손자, 정명공주와는 고모-조카 관계가 된다. 또한 인목왕후의 형부 심정세(沈挺世)는 능양군의 이종사촌 형이다.


반정세력이 서궁(덕수궁)을 찾아오자 처음에 인목왕후는 믿지 못했지만, 곧 사태를 파악하고 안도하는 한편 광해군에 대한 분노를 표출했다. 반정세력은 왕실의 최고 어른인 인목왕후에게 “[[광해군]]을 폐위하는 교서(敎書)를 써달라”고 요청했으나, 그녀는 “광해와 세자를 이리로 끌고 오라. 내가 직접 그들 부자(父子)의 머리를 잘라 (아버지, 오빠, 남동생들, 아들에게) 제사를 지내겠다. 그들의 살점을 씹기 전에는 교서를 쓸 수 없다.”며 분노를 그치지 않았다.
반정세력이 서궁(덕수궁)을 찾아오자 처음에 인목왕후는 믿지 못했지만, 곧 사태를 파악하고 안도하는 한편 광해군에 대한 분노를 표출했다. 반정세력은 왕실의 최고 어른인 인목왕후에게 “광해군을 폐위하는 교서(敎書)를 써달라”고 요청했으나, 그녀는 “광해와 세자를 이리로 끌고 오라. 내가 직접 그들 부자(父子)의 머리를 잘라 (아버지, 오빠, 남동생들, 아들에게) 제사를 지내겠다. 그들의 살점을 씹기 전에는 교서를 쓸 수 없다.”며 분노를 그치지 않았다.


광해군은 반정세력에 의해 서궁의 석어당(昔御堂)으로 끌려왔고, 그곳에서 인목왕후는 광해군을 폐위하는 사유를 구구절절 열거하여 작성한 교서를 읽었다. 폐위된 광해군은 [[제주도]]로 유배되었고, 능양군이 새 국왕([[조선 인조|인조]])로 즉위했고, 인목왕후는 대왕대비가 되어 궁중에 복귀했다.
광해군은 반정세력에 의해 서궁의 석어당(昔御堂)으로 끌려왔고, 그곳에서 인목왕후는 광해군을 폐위하는 사유를 구구절절 열거하여 작성한 교서를 읽었다. 폐위된 광해군은 [[제주도]]로 유배되었고, 능양군이 새 국왕([[조선 인조|인조]])로 즉위했고, 인목왕후는 대왕대비가 되어 궁중에 복귀했다.


한편 어머니와 함께 서궁에 유폐되어 혼기를 놓쳤던 정명공주는 3살 연하의 홍주원(洪柱元)에게 하가(下嫁){{ㅈ|신분이 높은 여자가, 자신보다 신분이 낮은 남자에게 시집가는 것.}}했다. 인목왕후는 어렵게 얻은 사위를 총애하여, 사위에게 어구마(御廏馬){{ㅈ|왕만 탈 수 있는 말}}까지 하사하여 논란을 일으키기도 했다. 정명공주는 홍주원과의 사이에서 7남 1녀를 낳고 82세까지 장수했으며, 그녀의 후손으로는 정조의 어머니 혜경궁 홍씨(惠慶宮洪氏)와 정조의 신하 홍국영(洪國榮) 등이 있다.
한편 어머니와 함께 서궁에 유폐되어 혼기를 놓쳤던 정명공주는 3살 연하의 홍주원(洪柱元)에게 하가(下嫁){{ㅈ|신분이 높은 여자가, 자신보다 신분이 낮은 남자에게 시집가는 것.}}했으며, 7남 1녀를 낳고 82세까지 장수했다. 정명공주의 후손으로는 정조의 어머니 혜경궁 홍씨(惠慶宮洪氏)와 정조의 신하 홍국영(洪國榮) 등이 있다.
== 대왕대비 시절과 죽음 ==
== 대왕대비 시절과 죽음 ==
인목왕후는 이후 전국의 명산대찰을 돌아다니며 부처님께 아들과 아버지와 형제들의 명복을 빌었다. [[경기도]] [[안성시|안성]]의 칠장사(七長寺)를 김제남과 [[영창대군]]의 원찰(願刹){{ㅈ|시주자의 소원을 빌거나 죽은 사람의 화상이나 위패를 모셔 놓고 명복을 비는 법당 또는 사찰.}}로 삼았으며, [[금강산]]의 여러 사찰에 아들과 아버지의 위패를 모셔 그들의 명복을 빌었다.
인목왕후는 이후 전국의 명산대찰을 돌아다니며 부처님께 아들과 아버지와 형제들의 명복을 빌었다. [[경기도]] [[안성시|안성]]의 칠장사(七長寺)를 김제남과 [[영창대군]]의 원찰(願刹){{ㅈ|시주자의 소원을 빌거나 죽은 사람의 화상이나 위패를 모셔 놓고 명복을 비는 법당 또는 사찰.}}로 삼았으며, [[금강산]]의 여러 사찰에 아들과 아버지의 위패를 모셔 그들의 명복을 빌었다.


또한 오랫동안 유폐 생활을 했던 그녀는 자신의 존재감을 드러내기 위하여 [[정치]]에도 종종 관심을 보였고, [[한글]]로 자신의 의견을 표현한 교서를 써서 발표하기도 했다. 반정을 일으켜 즉위한 [[조선 인조|인조]]는, 자신의 즉위 명분인 할머니 인목왕후와 고모 [[정명공주]]를 각별히 받들었다. (그러나 인목왕후가 사망한 후로, 인조는 이용가치가 떨어진 정명공주를 경계하기 시작한다.)
또한 오랫동안 유폐 생활을 했던 그녀는 자신의 존재감을 드러내기 위하여 [[정치]]에도 종종 관심을 보였고, [[한글]]로 교서를 써서 내리기도 했다. 반정을 일으켜 즉위한 [[조선 인조|인조]]는, 자신의 즉위 명분인 할머니 인목왕후와 고모 [[정명공주]]를 각별히 받들었다.


1632년, 인목왕후는 향년 48세로 세상을 떠났다. [[조선왕조실록]] 등에 기록된 그녀의 증상들로 보면, [[갑상선]] 질환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평생의 경쟁자이자 원수였던 [[광해군]]을 폐위시켜 [[제주도]]로 유배를 보내어 나름대로 통쾌한 복수를 했지만, 정작 병을 얻어 앓다가 광해군보다 먼저 사망했다. 광해군은 제주도에서 천수를 누리다가 1641년에 세상을 떠났다.
1632년, 인목왕후는 향년 48세로 세상을 떠났다. [[조선왕조실록]] 등에 기록된 그녀의 증상들로 보면, [[갑상선]] 질환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평생의 경쟁자이자 원수였던 [[광해군]]을 폐위시켜 [[제주도]]로 유배를 보내어 나름대로 통쾌한 복수를 했지만, 정작 병을 얻어 앓다가 광해군보다 먼저 사망했다. 광해군은 제주도에서 천수를 누리다가 1641년에 세상을 떠났다.


인목왕후의 묘지는 [[경기도]] [[구리시]] 인창동에 있는 목릉(穆陵)이다. 인근에는 선조와 의인왕후의 묘지도 있으며, 조선왕조의 여러 왕과 왕비들의 무덤들이 많다. 이 일대를 동구릉(東九陵)이라고 하며, 사적193호로 지정되어 있다.
인목왕후의 묘지는 [[경기도]] [[구리시]] 인창동에 있는 목릉(穆陵)이다. 인근에는 선조와 의인왕후의 묘지도 있으며, 조선왕조의 여러 왕과 왕비들의 무덤들이 많다. 이 일대를 동구릉(東九陵)이라고 하며, 사적193호로 지정되어 있다.
인목왕후는 생전에 자신과 친정 연안 김씨 가문이 겪었던 수난들이 두고두고 한이 맺혀, 친정에 “다시는 왕실과 혼인하지 말라”는 당부를 남겼다. 그러나 1893년, 연안 김씨 가문의 딸 김덕수(金德修){{ㅈ|김제남의 11대손}}가 [[대한제국 고종|고종]]의 차남인 의친왕(義親王)의 비(妃)로 간택되었다. 김덕수의 아버지 김사준(金思濬)은 가문의 역사 때문에 왕실의 청혼을 거절했지만, 김덕수가 마음에 들었던 왕실에서 거듭 청하여 결국 혼인이 이루어졌다. 의친왕은 밖으로 나돌며 여러 여자들에게서 많은 자녀를 보았고, 의친왕과의 사이에서 아이가 없었던 김덕수는 남편의 서자녀들을 모두 거두어 보살폈다고 한다.


== 서예 ==
== 서예 ==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