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세계가 게임이란 사실은 나만이 알고 있다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책 정보
{{라이트 노벨
|책/만화이름  = 이 세계가 게임이란 사실은<br />나만이 알고 있다
|표지 = [[파일:이 세계가 게임이란 사실은 나만이 알고 있다 1권 한국어판 소설 표지.png]]
|원어이름    = この世界がゲームだと俺だけが知っている
|장르 = 판타지
|배경색      =  
|구분 =  
|글자색      =  
|현지국가 = 일본
|그림        = [[파일:이 세계가 게임이란 사실은 나만이 알고 있다 1권 한국어판 소설 표지.png|200px]]
|제목 = 이 세계가 게임이란 사실은<br>나만이 알고 있다
|그림설명    = 한국어판 제1권 표지
|제목/일어 = この世界がゲームだと俺だけが知っている
|지은이      = 우스바
|제목/원어 = この世界がゲームだと俺だけが知っている
|그린이      = 이치젠
|저자 = 우스바
|장르        = 판타지
|일러스트 = 이치젠
|나라        = {{나라|일본}}
|현지 출판사 = [[엔터브레인]]
|언어        = [[일본어]]
|현지 레이블 =  
|출판사       = [[엔터브레인]]
|일본 출판사 =
|연재처      = [[소설가가 되자]]
|일본 레이블 =  
|연재기간    = 2012년 4월 10일~2018년 4월 4일
|정발 출판사 = [[영상출판미디어]]㈜<ref>특정 브랜드를 붙여 출간되고 있지는 않으나, 노블엔진 공식 사이트에 있는 출간목록에 해당 작품의 이름이 실려 있다. [http://novelengine.com/shop/list.php?ca_id=10&it_name=%C0%CC%20%BC%BC%B0%E8%B0%A1%20%B0%D4%C0%D3%C0%CC%B6%F5%20%BB%E7%BD%C7%C0%BA%20%B3%AA%B8%B8%C0%CC%20%BE%CB%B0%ED%20%C0%D6%B4%D9&gb=1 도서목록 상품리스트 (노블엔진 공식 사이트)]</ref>  
|권수        = {{깃발|일본}} 전 9권<br />{{깃발|한국}} 전 9권
|정발 레이블 =
|화수        =
|번역 = [[김완]]
|시리즈      =  
|권수 = 8권 (발매 중)
|다음작품    =
|옮긴이      = [[김완]]
|번역출판사  = [[영상출판미디어]]
|번역연채처  =
|번역연재기간 =
|비고        =  
}}
}}
《'''이 세계가 게임이란 사실은 나만이 알고 있다'''》({{일본어|この世界がゲームだと俺だけが知っている|코노 세카이가 게무다토 오레다케가 싯테이루}})는 [[일본]]의 [[라이트 노벨]]이다. 작가는 우스바(ウスバー). 본래 일본의 소설 투고 사이트 [[소설가가 되자]]』에서 [[2012년]] [[4월 10일]]부터 투고되던 소설이었으나, [[엔터브레인]]을 통해 [[2013년]] [[4월 27일]] 제1권이 서적판으로 출간되었다. 서적판 삽화는 이치젠(イチゼン)이 맡았으며, 전 9권으로 완결되었다.
{{넘겨주기|묘이묘|고냥귀고냥|받침=예}}
《'''이 세계가 게임이란 사실은 나만이 알고 있다'''》({{llang|ja|この世界がゲームだと俺だけが知っている|코노 세카이가 게무다토 오레다케가 싯테이루}})는 [[일본]]의 [[라이트 노벨]]이다. 작가는 우스바(ウスバー). 본래 일본의 소설 투고 사이트 '[[소설가가 되자]]'에서 [[2012년]] [[4월 10일]]부터 투고되던 소설이었으나, [[엔터브레인]]을 통해 [[2013년]] [[4월 27일]] 제 1권이 단행본으로 출간되었다. 단행본의 삽화는 이치젠(イチゼン)이 맡았다. [[2016년]] [[10월 30일]] 기준으로 8권까지 발매 중이다.


[[대한민국]]에는 [[영상출판미디어]]를 통해 [[2014년]] [[1월 7일]]제1권이 단행본으로 출간되었으며, 번역은 [[김완]]이 맡았다. 이후 2019년 6월 20일에 제 9권이 출간, 완결되었다.
한국에서는 [[영상출판미디어]]를 통해 {{날짜/출력|2014-01-07}}제 1권이 단행본으로 출간되었으며, {{날짜/출력|2017-03-23}}에 제 7권이 발매되었다. [[김완]]이 번역하였다.


== 영상 ==
__TOC__
<br>
{{유튜브|UT_rnrOW1Gs}}
{{유튜브|UT_rnrOW1Gs}}


41번째 줄: 37번째 줄:
서술 트릭을 적극적으로 사용하는 것 또한 특징의 하나이다.
서술 트릭을 적극적으로 사용하는 것 또한 특징의 하나이다.


== 등장인물 ==
== 주요 등장인물 ==
;사가라 소마 (相良 操麻)
;사가라 소마 (相良 操麻)
:[[주인공]]. [[버그]]투성이라 컬트적인 인기를 얻은 가상현실 게임 『New Communicate Online』(통칭 고냥귀고냥)의 골수 플레이어로, 사촌동생 마키와의 말다툼 끝에 기묘한 일을 겪고 고냥귀고냥의 세계 속에 갇혀버렸다. 현실이 된 게임 세계에서 소마는 고냥귀고냥의 버그와 각종 비기를 이용해 난관을 타파하는데….
:[[주인공]]. [[버그]]투성이라 컬트적인 인기를 얻은 가상현실 게임 『New Communicate Online』(통칭 고냥귀고냥)의 골수 플레이어로, 사촌동생 마키와의 말다툼 끝에 기묘한 일을 겪고 고냥귀고냥의 세계 속에 갇혀버렸다. 현실이 된 게임 세계에서 소마는 고냥귀고냥의 버그와 각종 비기를 이용해 난관을 타파하는데….
51번째 줄: 47번째 줄:
:통칭 트레인 양(トレインちゃん). 원래 고냥귀고냥의 [[NPC]]로, [[몬스터]]를 끌어들이는 『트레인 모드』라는 능력이 있기 때문에 플레이어들 사이에서 그런 별명이 붙었다. 병든 홀어머니를 모시는 기특하고 명랑한 소녀지만 게임 시스템적인 문제 때문에 외톨이의 운명을 짊어지고 있다.
:통칭 트레인 양(トレインちゃん). 원래 고냥귀고냥의 [[NPC]]로, [[몬스터]]를 끌어들이는 『트레인 모드』라는 능력이 있기 때문에 플레이어들 사이에서 그런 별명이 붙었다. 병든 홀어머니를 모시는 기특하고 명랑한 소녀지만 게임 시스템적인 문제 때문에 외톨이의 운명을 짊어지고 있다.


;미츠키 히사메 (ミツキ・ヒサメ)
;미즈키 히사메 (ミツキ・ヒサメ)
:통칭 도우미 치타(お助けチーター). 그 외에도 '고냥귀고냥 최강의 여검사', '고냥귀고냥의 양심' 등 다양한 이명을 가지고 있다. 본래 고냥귀고냥의 NPC. 세계 각지를 떠돌며 가끔 변덕스럽게 곤란한 사람을 돕는다. 치타(チーター)란 육식동물인 치타(cheetah)와 치트 사용자인 치터(cheater)를 빗댄 더블미닝. 그 이름에 걸맞게 일반적인 사람의 3배의 스피드를 지닌다. 이런 당황스런 스펙의 소유자를 트레일 양이 소마와 적대적인 상태로 트레인해 오는 게 본 작품 초반의 중심 사건이다.
:통칭 도우미 치타(お助けチーター). 그 외에도 '고냥귀고냥 최강의 여검사', '고냥귀고냥의 양심' 등 다양한 이명을 가지고 있다. 본래 고냥귀고냥의 NPC. 세계 각지를 떠돌며 가끔 변덕스럽게 곤란한 사람을 돕는다. 치타(チーター)란 육식동물인 치타(cheetah)와 치트 사용자인 치터(cheater)를 빗댄 더블미닝. 그 이름에 걸맞게 일반적인 사람의 3배의 스피드를 지닌다. 이런 당황스런 스펙의 소유자를 트레일 양이 소마와 적대적인 상태로 트레인해 오는 게 본 작품 초반의 중심 사건이다.


75번째 줄: 71번째 줄:
:램릭의 치료원에서 일하는 NPC. 친절한 성품과, 그런 성품과는 달리 기괴한 형상의 장비를 좋아하는 취향이 트레이드마크. 웹 연재본에서는 그저 '플레이어로서의 소마'의 과거 일화에 얽힌 NPC일 뿐이었으나, 출판본에서는 전생의 기억(=예전에 플레이했던 리플레이 데이터)을 체험시켜 주는 '리플레이 오브'라는 아이템을 통해 문제의 과거 일화를 직접 추체험하여 일약 메인 캐릭터로 발돋움했다. 출판본에 추가된 외전의 태반은 그녀의 이야기이기도 하다.
:램릭의 치료원에서 일하는 NPC. 친절한 성품과, 그런 성품과는 달리 기괴한 형상의 장비를 좋아하는 취향이 트레이드마크. 웹 연재본에서는 그저 '플레이어로서의 소마'의 과거 일화에 얽힌 NPC일 뿐이었으나, 출판본에서는 전생의 기억(=예전에 플레이했던 리플레이 데이터)을 체험시켜 주는 '리플레이 오브'라는 아이템을 통해 문제의 과거 일화를 직접 추체험하여 일약 메인 캐릭터로 발돋움했다. 출판본에 추가된 외전의 태반은 그녀의 이야기이기도 하다.


== 서적 정보 ==
== 미디어믹스 ==
# {{깃발|일본}} 2013년 4월 27일 발매, {{ISBN|978-4047288157}}<br />{{깃발|한국}} 2014년 1월 1일 발매, {{ISBN|979-1156270225}}
=== 코미컬라이즈 ===
# {{깃발|일본}} 2013년 7월 31일 발매, {{ISBN|978-4047290419}}<br />{{깃발|한국}} 2014년 6월 26일 발매, {{ISBN|979-1156279648}}
본 작품의 일러스트레이터인 이치젠이 직접 만화판을 연재하고 있다. 일본의 웹 코믹 사이트 KADOKAWA Comic Worker에서 [[2014년]] [[7월 4일]]부터 월간 연재 중이며, [[2016년]] [[5월 20일]] 기준으로 제 18화까지 연재되었다.
# {{깃발|일본}} 2013년 11월 30일 발매, {{ISBN|978-4047292628}}<br />{{깃발|한국}} 2014년 12월 22일 발매, {{ISBN|979-1131902943}}
# {{깃발|일본}} 2014년 3월 31일 발매, {{ISBN|978-4047294929}}<br />{{깃발|한국}} 2015년 3월 3일 발매, {{ISBN|979-1131905128}}
# {{깃발|일본}} 2014년 11월 29일 발매, {{ISBN|978-4047299283}}<br />{{깃발|한국}} 2016년 1월 7일 발매, {{ISBN|979-1131937037}}
# {{깃발|일본}} 2015년 7월 31일 발매, {{ISBN|978-4047304765}}<br />{{깃발|한국}} 2016년 11월 29일 발매, {{ISBN|979-1131947272}}
# {{깃발|일본}} 2016년 1월 30일 발매, {{ISBN|978-4047309012}}<br />{{깃발|한국}} 2017년 3월 30일 발매, {{ISBN|979-1131954201}}
# {{깃발|일본}} 2016년 10월 31일 발매, {{ISBN|978-4047344082}}<br />{{깃발|한국}} 2018년 3월 20일 발매, {{ISBN|979-1131974223}}
# {{깃발|일본}} 2018년 4월 5일 발매, {{ISBN|978-4047350816}}<br />{{깃발|한국}} 2019년 6월 20일 발매, {{ISBN|979-1164661039}}


== 만화 ==
단행본은 [[2016년]] [[2월 15일]] 기준 3권까지 출간되어 있다.
[[파일:Kono Sekai ga Game dato Ore dake ga Shitteiru manga v01 jp.png|150px|섬네일|만화판 제1권 표지]]
본 작품의 일러스트레이터인 이치젠이 직접 만화판을 연재하고 있다. KADOKAWA의 웹코믹 사이트 [[ComicWalker]]에서 [[2014년]] [[7월 4일]]부터 연재를 시작했다. 당초에는 월간 연재였으나 부정기 연재로 바뀌었다.


단행본은 패미통 클리어 코믹스 레이블로 출간되었다.
== 그 외 ==
# 2014년 12월 15일 발매, {{ISBN|978-4047301528}}
본 작품은 일반적인 라이트 노벨보다 커다란 판형인 B6 사이즈로 제본되어 있다. 한국 정식발매판도 같은 판형을 채택하였다.
# 2015년 6월 15일 발매, {{ISBN|978-4047304758}}
# 2016년 2월 15일 발매, {{ISBN|978-4047309241}}
# 2016년 7월 15일 발매, {{ISBN|978-4047342248}}
# 2017년 4월 15일 발매, {{ISBN|978-4047345942}}
# 2017년 11월 15일 발매, {{ISBN|978-4047348622}}
# 2019년 7월 13일 발매, {{ISBN|978-4047352476}}
# 2020년 11월 13일 발매, {{ISBN|978-4047364103}}


== 기타 ==
한국 정식발매판의 경우 번역 중 몬스터의 명칭이나 등장인물의 이명 등의 고유명사가 권마다, 심할 경우에는 권내에서도 오락가락하는 경우가 있다. 그 외 전반적인 번역의 질은 평이한 편이나, 약간 직역투의 번역이 되어 있다. 대신 작품 내 패러디, 오마주가 된 부분에 대한 각주는 비교적 충실한 편이다.
* 본 작품은 일반적인 라이트 노벨보다 커다란 판형인 B6 사이즈로 제본되어 있다. 한국 정식발매판도 같은 판형을 채택하였다.
* 한국 정식발매판의 경우 번역 중 몬스터의 명칭이나 등장인물의 이명 등의 고유명사가 권마다, 심할 경우에는 권내에서도 오락가락하는 경우가 있다. 번역에 대한 편집부의 검수가 없었던 게 아닌가 의심되는 오역도 존재한다. 그 외 번역이 된 문장의 질은 평이한 편이나, 약간 직역투의 번역이 되어 있다. 그나마 작품 내 패러디, 오마주가 된 부분에 대한 각주는 비교적 충실한 편이다.
* 팬덤에서 본 작품을 가리킬 때 사용하는 애칭은 작품 내에 등장하는 게임 「New Communicate Online」의 애칭인 「네코미미네코({{루비|猫耳猫|ねこみみねこ}})」이며, 한국에서는 일본 애칭에 쓰이는 한자를 그대로 한국식으로 읽은 「묘이묘」, 혹은 한국 정식발매판에서 네코미미네코를 번역할 때 사용한 조어인 「고냥귀고냥」을 주로 사용한다.
* 서브컬처 전반(특히 게임)에 걸친 패러디 및 오마주가 자주 등장하는 작품이기도 하다.
* 본 작품의 연재 장소에서는 매년 [[4월 1일]]([[만우절]])마다 만우절 특집 가짜 연재가 투고되는 것으로 유명하다.
* [[2016년]] [[11월 12일]], 웹 연재처에서 제 229장으로 본 작품의 중심 스토리가 마무리되었다. 작가의 말에 따르면 '일단 완결까지 앞으로 3화 정도를 생각하고 있습니다(一応終わりまであと三話程度を考えています)'라고 한다. 이후 제231장 + 에필로그 2개로 웹 연재가 완전히 완결되었다.


== 관련 사이트 ==
팬덤에서 본 작품을 가리킬 때 사용하는 애칭은 작품 내에 등장하는 게임 「New Communicate Online」의 애칭인 「네코미미네코({{루비|猫耳猫|ねこみみねこ}})」이며, 한국에서는 일본 애칭에 쓰이는 한자를 그대로 한국식으로 읽은 「묘이묘」, 혹은 한국 정식발매판에서 네코미미네코를 번역할 때 사용한 조어인 「고냥귀고냥」을 주로 사용한다.
* {{언어링크|ja}} [http://ncode.syosetu.com/n9078bd/ 연재 장소] - 소설가가 되자
 
* {{언어링크|ja}} [http://comic-walker.com/contents/detail/KDCW_EB00000006010000_68/ 만화판 연재 장소 - ComicWalker]
서브컬처 전반(특히 게임)에 걸친 패러디 및 오마주가 자주 등장하는 작품이기도 하다.
* {{언어링크|ja}} [http://ichizengogo.blog.fc2.com/ 단행본 일러스트레이터의 블로그]
 
본 작품의 연재 장소에서는 매년 [[4월 1일]]([[만우절]])마다 만우절 특집 가짜 연재가 투고되는 것으로 유명하다.
 
{{날짜/출력|2016-11-12}}, 웹 연재처에서 제 229장으로 본 작품의 중심 스토리가 마무리되었다. 작가의 말에 따르면 '일단 완결까지 앞으로 3화 정도를 생각하고 있습니다(一応終わりまであと三話程度を考えています)'라고 하며, 웹 연재의 완결이 멀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단행본은 기존 연재본의 전개와는 조금 다른 내용을 담은 채 발매 중이므로 별개)
 
== 바깥 고리 ==
* {{글자크기|-1|(일본어)}} [http://ncode.syosetu.com/n9078bd/ 연재 장소 (소설가가 되자)]
* {{글자크기|-1|(일본어)}} [http://comic-walker.com/contents/detail/KDCW_EB00000006010000_68/ 만화판 연재 장소 (Comic Worker)]
* {{글자크기|-1|(일본어)}} [http://ichizengogo.blog.fc2.com/ 단행본 일러스트레이터의 블로그]


{{각주}}
{{각주}}
[[분류:소설가가 되자]]
[[분류:라이트 노벨]]
[[분류:라이트 노벨]]
[[분류:판타지 소설]]
[[분류:판타지 소설]]
[[분류:코미디 소설]]
[[분류:소설]]
[[분류:2012년 소설]]
[[분류:일본의 만화]]
[[분류:일본의 만화]]
[[분류:2014년 만화]]
[[분류:판타지 만화]]
[[분류:코미디 만화]]
[[분류:코믹워커]]
[[분류:소재별 작품/가상현실]]
[[분류:소재별 작품/게임]]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는 다음의 숨은 분류 2개에 속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