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성씨)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이'''(李, 異, 伊)씨는 [[중국]]과 [[한국]]을 비롯한 [[동아시아]]의 [[성씨]]. 이/리(李)씨는 세계에서 가장 많은 성씨이며 [[대한민국]]에서 두 번째로 인구가 많은 성씨이다. 그 외에 다를 이(異), 저 이(伊)를 사용하는 이씨도 소수가 있다.
'''이'''(李, 異, 伊)씨는 [[동아시아]]의 [[성씨]]이다. 이/리(李)씨는 세계에서 가장 많은 성씨이며 [[대한민국]]에서 두 번째로 인구가 많은 성씨이다. 그 외에 다를 이(異), 저 이(伊)를 사용하는 이씨도 소수가 있다.


== 개요 ==
== 개요 ==
리(李)씨는 대한민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중화인민공화국]], [[중화민국]], [[베트남]] 등에 분포하는 [[성씨]]로 '''리'''라고 발음한다. (일본 발음 포함) 대한민국에서는 [[두음법칙]]을 적용하여 '이'라고 표기한다. 북한은 두음법칙을 적용시키지 않아 '이'씨를 '리'씨 라고 쓴다. 이외에도 이(異)씨와 이(伊)씨가 있는데, 인구는 이(리, 李)씨에 비해 상당히 적다. 異, 伊씨는 두음법칙과 관계없이 본음이 '이'씨이다.
리(李)씨는 대한민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중화인민공화국]], [[중화민국]], [[베트남]] 등에 분포하는 [[성씨]]로 '''리'''라고 발음한다. (일본 발음 포함) 대한민국에서는 [[두음법칙]]을 적용하여 '이'라고 표기한다. 북한은 두음법칙을 적용시키지 않아 '이'씨를 '리'씨 라고 쓴다. 이외에도 이(異)씨와 이(伊)씨가 있는데, 인구는 이(리, 李)씨에 비해 상당히 적다. 異, 伊씨는 두음법칙과 관계없이 본음이 '이'씨이다.


== <span id="李"/> 오얏나무 리 李 ==
== 오얏나무 리 李 ==
이(李)씨는 2000년 [[대한민국 통계청]] 인구 조사에서 276개 본관에 인구는 6,794,636명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대한민국에서 두 번째로 인구가 많은 성씨이다.
이(李)씨는 2000년 [[대한민국 통계청]] 인구 조사에서 276개 본관에 인구는 6,794,636명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대한민국에서 두 번째로 인구가 많은 성씨이다.


다음은 이(李)씨의 본관별 시조이다. 순서는 가나다 순이다.
다음은 이(李)씨의 본관별 시조이다. 순서는 가나다 순이다.


한자 李를 사용하는 성은 한국 뿐 아니라 중국, 베트남에도 있다. 중국에서는 리(Lee/Li)라고 읽는다.
{{숨기기|
이씨 본관
|


너무 길어서 분리. [[/李|목록]] 참고.
=== 경주 이씨 ===
[[경주 이씨]](慶州 李氏)는 [[신라]] 알천양산촌(閼川楊山村)의 촌장 '''이알평'''(李謁平)을 시조로 한다. 중시조는 신라 후기 소판(蘇判)을 지낸 '''이거명'''(李居明)이다.
 
인물로는 [[이총섬]](李寵暹, ?~998)이 [[고려]] [[목종 (고려)|목종]](980~1009) 때 문하시중으로 오묘와 사직을 건립하였고, 국자감 시험제도를 청원하여, 과거제도를 설립하였다. [[이제현]](李齊賢. 1287~1367)은 고려 시대 외교가, 문장가이다. [[이시영 (1868년)|이시영]]은 한국의 독립운동가이다. [[이하영]]은 [[일제 강점기]] 귀족 작위를 받았다.
 
=== 고부 이씨 ===
[[고부 이씨]](古阜 李氏)의 시조는 '''이경조'''(李敬祖)는 [[고려]][[문종]](재위 1046~1083)때 [[최충]]이 설립한 사학의 효시인 [[구재학당]] 출신으로 [[한림학사]]를 거쳐 [[문하평장사]]에 올랐다. 1071년(문종25) 김제와 함께 [[서장관]]으로 [[송나라]]에 다녀왔으며 [[고려 문종|문종]]에서 [[고려 숙종|숙종]]조에 이르기까지 5대를 섬긴 공으로[[추충보정공신]](推忠輔靖功臣)에 녹훈되어 [[여산]][[군 (작위)|군]](礪山君)에 봉해지고 벼슬이 [[검교좌정승]]에 이르렀다.
 
=== 고성 이씨 ===
[[고성 이씨]](固城 李氏)의 상조는 [[한나라]] [[한무제|무제]] 때 중서사인(中書舍人) '''이반'''(李槃)이다. 중시조는 이반의 24세손인 이황(李璜)으로, 고려 때 밀직부사를 역임하고 1033년 [[거란]]이 침입했을 때 공을 세워 고려 [[고려 문종|문종]](재위, 1019~1083) 때 호부상서에 올라 철령군에 봉해져, 후손들은 그를 1세조로 하고 본관을 고성으로 하였다.
 
=== 공주 이씨 ===
[[공주 이씨]](公州 李氏)의 시조 '''이천일'''(李天一)은 신라 초기 호족이다. '''이저'''(李苧)는 고려(高麗)에서 대제학을 역임하고 화성부원군(花城府院君)에 봉해졌다.
 
=== 광산 이씨 ===
[[광산 이씨]](光山 李氏)는 '''이정'''(李靖)이 시조이다. 1856년 조선 [[철종 (조선)|철종]] 7년 광주 증심사 선당에서 《병진대동보》([[족보]])를 발간하였는데 이 책은 상서공 순백, 한림공 숙백, 제학공 승백 삼조(三祖)의 후손을 모두 등재한 광산이씨 유일의 대동보이다. 여기에서 시조가 이정(李靖)으로 정해졌다. 상서공의 후손인 이선제(李先齊)는 《[[태종실록]]》 편찬에 참여했고 《[[고려사]]》(考慮史) 개찬(改撰)을 관장했다.
 
=== 광주 이씨 ===
[[광주 이씨]](廣州 李氏)의 시조는 '''이당'''(李唐)이다. 아들 '''[[이집]]'''(李集)은 [[신돈]](辛旽)과 대립하여 영천으로 피신하였다가 [[신돈]](辛旽)이 주살된 후 판전교시사가 되었다. [[이덕형]](李德馨)의 《한음문고》를 저술하였다.
 
=== 녕천 이씨 ===
[[녕천 이씨]](寧川 李氏)의 시조 '''이능간'''(李凌幹)은 호(號)가 송헌(松軒)으로, 1320년([[충숙왕]] 7년)에 반전별감(盤纏別監)으로서 [[원나라]]가 상왕(上王)인 [[충선왕]]을 [[토번]] 지역에 유배시킬 때 호종하였으며, 뒤에 상왕이 훙(薨)하자 재궁(梓宮)을 모시고 고려로 돌아왔다. 1326년(충숙왕 13년)에 원나라가 고려에 성(省)을 두려고 하는 일이 일어나자 지밀직사(知密直司)로 원황제에게 중지할 것을 주청하여 그것이 받아들여졌다. 그 공으로 1등 공신에 책록되었고, 사람들로부터 면좌당(免左堂)이라는 액호(額號)를 받았다. 1332년([[충혜왕]] 2년)에는 문하시중(門下侍中)으로 있으면서 조적(曺頔)의 난을 평정하는 데에 공을 세워 공신이 되고 녕천부원군(寧川府院君)에 봉해졌다. 녕천은 현재 [[전라북도]] [[임실군]] [[지사면]] 영천리 일대이다.
 
=== 농서 이씨 ===
[[농서 이씨]](隴西 李氏)는 [[당나라]] 왕족과 '''[[이태백]]'''의 본관이다. 농서 이씨는 4세기 유목 민족과 통혼하여, 북족적(北族的) 요소를 계승하였다. [[당고조]] 이연(李淵)의 가문은 [[선비족]] [[북주]](北周)의 우문씨(宇文氏), [[수나라]](隋)의 양씨(楊氏)와 인척 관계로, 수나라 말기 권력의 핵심부에 있다가 당나라를 건국하였다. [[당태조]] 이호, [[당세조]] 이병, 당고조 이연, [[당태종]] 이세민으로 이어진다.
 
=== 단양 이씨 ===
[[단양 이씨]](丹陽 李氏)의 시조는 [[고려]] [[고려 태조|태조]](재위, 918∼943) 때 삼중대광 문하시중에 역임한 '''이배환'''(李盃煥)이다. 15세손 이무(李茂)가 참찬문하부사로서 [[조선]] 제1차 [[왕자의 난]]에 [[이방원]](李芳遠)을 도와, 단산부원군(丹山府院君, 단양의 고호)에 봉해졌다.
 
=== 덕수 이씨 ===
[[덕수 이씨]](德水 李氏)는 충무공 [[이순신]], 율곡 [[이이]], [[이행 (조선)|이행]] 등을 배출하였다. 충무공 이순신(李舜臣)의 세보에는 '''이추밀'''(李陽俊)을 시조라고 하였다. 율곡 이이(李珥)의 세보에는 시조가 '''이돈수'''(李敦守)라고 하였다.
 
=== 벽진 이씨 ===
[[벽진 이씨]](碧珍 李氏)의 시조는 [[신라]] 말 [[고려]] 초기의 호족 이총언(李忩言)이다. 그는 신라 [[헌안왕]](재위, 857∼860) 2년에 태어나 벽진군(碧珍郡, 성주의 고호)의 치안에 담당하였다.
 
=== 상주 이씨 ===
[[상주 이씨]](尙州 李氏)의 시조는 중국 [[허베이 성]](하북성) 출신 '''이민도'''(李敏道)이다. 그는 [[원나라]] 한림학사로 있다가 자국의 난을 피해, 고려 공민왕 때 귀화하였다. 이민도는 본래 중국의 농서 이씨였는데, 태조는 그를 총애하여 직헌(直憲)이라는 시호를 내렸으며, 조선인으로 동화시키기 위해 왕명으로 본관을 농서 이씨에서 상주 이씨로 개칭하게 하였다.
 
=== 서림(서천) 이씨 ===
[[서림 이씨]](西林 李氏)는 이익존(李益存)을 시조로 하고 이언충(李彦忠)을 1세로 하고 있다. 이익존(李益存)은 시호가 문충(文忠)으로, 고려 시대에 익찬선위정원공신(翊贊宣威定遠功臣) 흥록대부(興祿大夫) 호부상서(戶部尙書)에 올랐다.일반적으로 이익존의 18세손 효사공(孝思公) 이세공(李世公)이 고려의 공신이 되어서 서림군(西林君)에 봉해졌고, 20세손 이언충(李彦忠)이 또 서주군(西州君)에 봉해졌다
 
=== 성산 이씨 ===
[[성산 이씨]](星山 李氏)의 시조는 [[신라]] 말기의 호족 '''이능일'''(李能一)이다. [[고려]] 건국에 수훈을 세웠으며, [[고려 태조]](918∼943)의 딸과 결혼하여 [[부마]]가 되고 벼슬은 사공(司空)에 이르렀고, 후에 성산군에 추봉되었다.
 
=== 성주 이씨 ===
[[성주 이씨]](星州 李氏)는 시조는 '''이순유'''(李純由)이다. 그는 본래 [[경주 이씨]]였으나, [[신라]]가 [[고려]]에 항복하자 충절을 지켜 고려 초기, 나라에 관적하지 않고, 지금의 성주읍 경산동(京山洞)에 옮겨 정착하였다.
 
=== 수안 이씨 ===
[[수안 이씨]](遂安 李氏)의 시조는 [[고려 태조]](918∼943)를 따라 [[견훤]](甄萱)을 토평하여 벽상공신에 오른 '''이견웅'''(李堅雄)이다. 13세손 이연송(李連松)이 수안군에 봉해졌다.
 
=== 아산 이씨 ===
[[아산 이씨]](牙山 李氏)의 시조는 '''이주좌'''(李周佐)이다. [[경주 이씨]] 이승훈(李承訓)은 고려 시대 평장사를 지냈고, 차자는 이주좌(李周佐)는 아산 이씨로 분적하였다. [[이봉수]]는 신일기업(주) 회장이다. [[이광수]]는 대한모방(주) 대표이사이다.
 
=== 안남 이씨 ===
[[안남 이씨]](安南 李氏)는 [[정선 이씨]]의 시조 이양혼(李陽焜, 리 즈엉 꼰), [[화산 이씨]]의 시조 이용상(李龍祥)의 후손들의 고려 때 본관이다. 이양혼(李陽焜)은 [[베트남]]의 [[안남국]] [[리 왕조]] 출신으로 처음에는 [[경주]]에 정착하였다. 9세손 이우원(李遇元)은 [[강원도]] [[정선군|정선]]으로 이거하였다.
 
=== 안악 이씨 ===
[[안악 이씨]](安岳 李氏)의 시조 '''이견'''(李堅)은 [[고려]] [[공민왕]] 때 검교(檢校) 문하대승(門下大丞) 상장군(上將軍)을 지냈다. 이견의 아들 이정림(李挺林)이 [[황해도]] [[안악군]]에 정착하였다.
 
=== 양성 이씨 ===
[[양성 이씨]](陽城 李氏)의 시조는 [[송나라]](宋) 사람 '''이수광'''(李秀匡)으로, 1,040년 송나라에서 금오위대장군 상주국의 작위를 받았고, 고려에 들어와 [[문종 (고려)|문종]](1046~1083) 때 삼중대광보국(三重大匡輔國)에 이르렀으며, 거란과의 외교와 난을 평정하는데 공을 세워 양성을 식읍으로 받았다. [[이순지]](李純之)는 조선의 천문학자이다.
 
=== 여주 이씨 ===
[[여주 이씨]](驪州李氏)는 시조가 다른 3파가 있다. '''이인덕'''(李仁德)을 시조로 받드는 교위공파(校尉公派), '''이은백'''(李殷伯)을 시조로 하고 [[이규보]](李奎報)를 중시조로 모시는 문순공파(文順公派), '''이세정'''(李世貞)을 시조로 하는 경주파(慶州派)이다.
 
=== 연안 이씨 ===
[[연안 이씨]](延安 李氏)의 시조는 [[당나라]] 장군 '''이무'''(李茂)이다. 그는 [[660년]] 나당(羅唐) 연합군의 중랑장(中郞將)으로 [[소정방]](蘇定方)을 따라왔다가 [[백제]]를 평정한 뒤 [[황해도]] 연안후(延安候)에 봉해지고 신라에 정착하였다.
 
=== 영천 이씨 ===
[[영천 이씨]](永川 李氏)의 시조는 고려의 평장사 '''이문한'''(李文漢)이며, 그의 후손인 신호위대장군 이대영(李大榮), 봉승랑(奉承郞) 겸 관농방어사(觀農防禦使) 이중영(李仲榮), 문하시중평장사 이수춘(李守椿)을 각각 중시조로 하는 파가 있다.
 
=== 용천 이씨 ===
[[용천 이씨]](龍川 李氏)의 시조는 '''[[이밀]]'''(李密)이다. 그는 고려 초기에 도등고(都登庫) 판관(判官)을 역임했다고 한다. [[용천군|룡천]](龍川, 龙川)은 [[평안북도]] 북서부에 속한 지명으로 중국 단둥 맞은편 국경 지역이다.
=== 우계 이씨 ===
[[우계 이씨]](羽溪 李氏)의 시조는 '''이양식'''(李陽植)이다. 그는 고려 [[인종]](재위, 1122년 ~ 1146) 때 중서사인좌복야를 지냈는데, 만년에 낙향하여 강릉(江陵) 우계현에 정착하였다.
 
===우봉 이씨===
[[우봉 이씨]](牛峰 李氏)의 선계는 '''이두창'''(李頭昌)이며, 시조는 '''이공정'''(李公靖)이다. 그는 [[고려 명종]](재위, 1170년~1197) 때 잠성부원군(岑城府院君, 우봉의 별칭)에 녹훈되었다. 인물로는 '''[[이완용 (1872년)|이완용]]'''(李完鎔)이 있다.
 
=== 울산 이씨===
[[울산 이씨]](蔚山李氏)의 시조 '''이철'''(李哲)은 [[고려 고종]](高宗) 때 삼중대광(三重大匡)으로, 문하시중(門下侍中) 판전리사사(判典理司事)에 올랐으며 [[거란]]의 침입을 격퇴한 공을 세워 학성군(鶴城君)에 봉해졌다. 이철은 [[경주 이씨]] 중시조 이거명의 15세손이다.
 
=== 원주 이씨 (구) ===
[[원주 이씨]](原州 李氏)의 시조는 [[신라]] 때 문하시중(門下侍中)을 지낸 '''이진민'''(李眞民)이며, 중시조는 [[고려 인종]](1122~1146)과 의종 때 병부상서를 지낸 이춘계(李椿桂)이다. 원주 이씨의 선계(先系)는 중국 [[절서성]]에서 병난(兵亂)을 피하여, 원주(原州)에 정착하였다고 한다.
 
=== 원주 이씨 (신) ===
신 [[원주 이씨]](原州 李氏)의 시조는 [[신라]] 개국공신 [[이알평]]의 47대손인 '''이신우'''(李申佑)이며, 중시조는 고려 말, 조선 초기의 문신인 이반계이다. 이신우가 원주백에 봉작된 이유로 경주 이씨에서 분관하여 원주 이씨로 하였다.
 
=== 익산 이씨 ===
[[익산 이씨]](益山 李氏)의 시조 '''이문진'''(李文眞)은 [[고구려]] [[영양왕]](재위, 590∼618) 때 고구려에서 태학박사(太學博士), 문부전서(文部典書), 오경박사(五經博士)를 역임하고, [[백제]] 공주와 결혼하여 익주(益州, [[익산시]])을 식읍으로 받았다. 이후 세보가 실전되어 고려 태조 때 '''이의'''(李誼)를 중시조로 하고 있다.
 
=== 인천 이씨 ===
[[인천 이씨]](仁川 李氏)의 시조는 '''이허겸'''이다. [[고려 현종]](재위, 1009∼1031) 때 상서좌복야를 지냈다. 고려 현종의 장인인 [[김은부]]는 이허겸의 사위였으며, 손자인 [[이자연]]의 딸이 [[고려 문종]]의 후궁이 되면서 이후 4대에 걸쳐 왕비와 후궁을 배출하였다. 인물로는 고려조 난을 일으킨 [[이자의]](李資義)과 [[이자겸]](李資謙), [[일제 강점기]] 군인 [[이두황]]이 있다. '경원 이씨' 혹은 '인주 이씨'라고도 한다.
 
=== 임천 이씨 ===
[[임천 이씨]](林川 李氏)시조 '''이현'''(李玄)은 본래 [[위구르족]]으로, [[홍건적의 난]]을 피하여 [[고려]]에 들어와 정착하였다. 그의 고향은 [[몽골]]과 [[러시아]] 국경 지역에 있는 [[설련하]](셀렝가)라고 한다. 이현(李玄)은 고려 [[공양왕]] 때 [[명나라]] [[남경]](南京)을 다녀온 공으로 임천을 슥읍으로 받았다. 다른 [[위구르]] 귀화 성본으로는 '''설손'''(偰遜)을 시조로 하는 [[경주 설씨]]와 '''장순룡'''(張舜龍)을 시조로 하는 [[덕수 장씨]]가 있다.
 
=== 장수 이씨 ===
[[장수 이씨]]의 시조 '''이임간'''은 [[경주 이씨]]의 시조 [[알평]]의 51세손이며 중시조 [[이거명]]의 16세손이다. 그는 고려 때 장천부원군에 봉해졌고, 손자 이을진이 장천부원군에 추증, 습봉함으로서 본관을 장수로 하여 분관하였다.
 
=== 재령 이씨 ===
[[재령 이씨]](載寧 李氏)는 시조는 '''이우칭'''(李禹偁)이다. 그는 [[경주 이씨]]의 시조 [[알평]]의 후손으로 고려 때 보조공신(補祚功臣)에 녹훈되고 문하시중을 역임하고, 재령군에 봉해졌다.
 
=== 전의 이씨 ===
[[전의 이씨]](全義 李氏)의 시조는 '''이도'''(李棹)이다. 그는 고려 태조(918∼943)가 [[후백제]]를 정벌할 때 [[금강]]이 범람되어, 진군을 멈추게 되자 도강책(渡江策)을 지휘하는 공을 세워 전산후(全山侯, 전의의 고호)에 봉해졌다. 후손들이 전의(全義)를 본관으로 하였다.
 
=== 전주 이씨 ===
[[전주 이씨]](全州 李氏)는 [[전주시|전주]](全州)에 토착해 온 집안이다. 시조 '''이한'''(李翰)은 [[신라]] [[문성왕]] 때 사공(司空)을 지냈다. 16세손 [[이의방]]은 [[무신정권]]의 수립자이다. 18세손 [[목조]](穆祖) '''이안사'''(李安社)는 [[전주시|전주]]에서 [[삼척]]으로 이주하였다고 하고, 19세손 [[익조]](翼祖) 이행리(李行里), 20세손 [[도조]](度祖) 이춘(李椿), 21세손 [[환조]](桓祖) 이자춘(李子春)을 거쳐, 22세손 [[조선 태조|태조]](太祖) [[이성계]](李成桂)가 [[조선]]을 개국하였다. [[조선 세종|세종대왕]]의 본명은 '''이도'''(李裪)이다.
 
전주 이씨는 크게 조선 태조의 고조부인 [[조선 목조|목조 이안사]]의 이전 세대에서 분파한 선원선파와 목조 이안사의 후손에서 분파한 선원세계를 합해 모두 123파이다.
 
=== 정선 이씨 ===
[[정선 이씨]](旌善 李氏)의 시조는 '''이양혼'''(李陽焜, 리 즈엉 꼰)이다. 그는 [[베트남]] [[안남국]] [[리 왕조]] 인종(이건덕, 李乾徳, 1072~1128)의 세째 아들이자, 5대 임금 신종(이양환, 李陽煥, 1128~1138) 의 아우로 왕위를 다투다가 북송으로 망명하였고, 금나라와 공격으로 북송이 쇠하자 고려로 들아와 경주에 정착하였다. 2세손 이시두(李君郁)는 [[고려 인종]](재위, 1122년~1146년)에 《예의판서》(족보)에 올랐고, 6세손 '''[[이의민]]'''(李義旼)은 [[무신정권]]을 수립, 종형 [[이희민]](李羲旼)은 문하시중이 되었다. 9세손 [[이우원]](李遇元)는 정선에 정착하여 본관을 정선으로 하였다. [[고려]] 말 [[윤이-이초의 옥사]]에 희생된 [[이초]]는 이우원의 증손자였다.
 
=== 태안 이씨 ===
[[태안 이씨]](泰安 李氏)의 시조는 '''이기'''(李奇)이다. 그는 중국 [[당나라]] 때 인물 '''이승남'''(李昇南)의 후손으로, [[고려 광종]](재위, 949∼975) 때 난을 피해 동래하여, 태안에 정착하였다. 이기(李奇)의 7세손 이천(李?)이 태안부원군에 봉해져, 태안을 관향으로 하였다. [[이회 (고려)|이회]](李薈)는 《역대제왕혼일강리도》를 증수(增修)하여 《팔도도》(八道圖)를 그렸다.
 
=== 태원 이씨 ===
[[태원 이씨]](太原 李氏)의 시조 '''이귀지'''(李貴芝)는 [[송나라]] 때 중국 [[산서성]] 태원(太原)사람이다. 고려 [[충렬왕]] 때 난을 피해 귀화하였다. 손자 '''이방무'''(李芳茂)는 낭장(郞將)을 지내고 조선 개국에 공을 세웠다. 그 후 북청으로 이주하여 조상들의 고향인 중국 태원을 본관으로 하였다.
 
=== 평산 이씨 ===
[[평산 이씨]](平山 李氏)의 선조는 중국 [[당나라]](唐) '''설인귀'''(薛仁貴)가 보낸 8명의 부하 가운데 한 사람으로 평산에서 사람들에게 예법을 가르쳤는데, 이름은 전하지 않는다. 중시조는 고려 때 밀직부사(密直府使)를 지낸 '''이자용'''(李子庸)이다.
 
=== 평창 이씨 ===
[[평창 이씨]](平昌 李氏)의 시조는 '''이광'''(李匡)이다. 그는 1126년, [[고려 의종]] 때 광록대부 태사에 이르렀고, 백조군(白鳥君, 평창의 고호)에 봉해졌다. 8세손 '''이천기'''(李天驥)가 [[공민왕]](재위, 1351~1374) 때 공훈을 세워 평창군에 봉해졌다.
 
=== 하빈 이씨 ===
[[하빈 이씨]](河濱 李氏)의 시조는 '''이거'''(李琚)이다. 그는 1174년, [[고려 명종]](1170∼1197) 4년에 [[조위총]](趙位寵)이 거병하여 [[정중부]](鄭仲夫)와 [[이의방]](李義方) 등의 난을 평정할 때 최균(崔均)을 따라, 공을 세우고 하빈군(경북 달성)에 봉해졌다.
 
=== 한산 이씨 ===
[[한산 이씨]](韓山 李氏)의 시조는 둘로 나뉘며 호장공계의 '''이윤경'''(李允卿) 권지공계의 '''이윤우'''(李允佑)가 있다. 이윤경은 고려 [[충숙왕]] 때 원나라에 가서 과거에 급제, 한림 국사원검열을 지내다 [[충목왕]] 때 돌아와 정당문학과 도첨의찬성사에 올라 한산군에 봉해진 '''이곡'''의 5대조이다. 이윤우는 [[충렬왕]] 때 광정대부 도첨의 참리상호군 검교대장군에 오르고 역시 한산군에 봉해진 '''이무'''의 3대조이다.
=== 합천 이씨 ===
[[합천 이씨]](陜川 李氏)의 시조는 '''이개'''(李開)이다. 그는 [[최치원]]의 문인으로 공부하면서 벼슬하여 강양군(江陽君, 합천의 옛 이름)에 봉해졌다. 이개(李開)는 고려가 건국되자 절의를 지켜 고려 태조(918∼943)의 부름을 거절하여 가수현장(嘉樹縣長)으로 강등, 합천호장을 관적하였다.
 
===해남 이씨===
[[해남 이씨]](海南 李氏)의 시조 '''이지형'''(李之亨)은 고려 때 태자소경(太子少卿)을 지냈다. 후손들이 해남에 정착하여 세거하면서 본관을 해남(海南)으로 하였다.
 
=== 청주 이씨 ===
[[청주 이씨]](清州 李氏)의 시조는 [[고려 태조]](918∼943) 때 공신으로, 벽상삼한삼중대광태사에 오른 '''이능희'''(李能希)이다. '''이백강'''(李伯剛)은 [[조선 태종]] 때 대장군이 되어 대광보국숭록대부에 올랐다.
 
=== 청해 이씨 ===
[[청해 이씨]](青海 李氏)는 시조는 [[여진족]] 출신인 [[이지란]](李之蘭)이다. 본명은 쿠란투란티무르(古倫豆蘭帖木兒)이다. 이지란은 [[함경도]]에 거주하면서 [[이성계]]와 친밀하게 지내다가 이()씨 성을 득성하고 [[조선]] 개국에 공을 세워 개국 공신이 되었다.
 
=== 함평 이씨 ===
[[함평 이씨]](咸平 李氏)의 시조는 [[고려 광종]](949~975) 때의 신무위대장군(神武衛大將軍)을 지내고 후에 함풍군(咸豊君)에 봉해진 '''이언'''(李彦)이다. 《정묘보》(丁卯譜) 세록(世錄)편에 의하면 시조공(始祖公) 이언이 함풍군에 봉해져 자손들이 크게 번성하여 성향(姓鄕)이 되었다고 하였다.그 뒤 4세손 이순지(李順之)는 고려조에서 검교(檢校) 흥위위대장군(興威衛大將軍)을 지냈고, 이어 그의 큰 아들 이림(李琳)은 문과에 급제하여 상의원직장동정(尙衣院直長同正)을 지냈다. 그 후 후손들이 크게 번성하여 함평 이씨의 대종(大宗)을 형성하였다.이순지의 둘째 아들 이광봉(李光逢)은 충숙왕 때 삼한벽상(三韓壁上) 삼중대광(三重大匡) 보국숭록대부(輔國崇祿大夫) 좌명공신(佐命功臣)에 녹훈되고 함풍부원군(咸豊府院君)에 봉해졌다. 이후 조선시대에 함풍(咸豊)과 모평(牟平) 두 현을 합하여 함평(咸平)으로 고쳤는데, 그 후손들이 함평을 관향으로 삼아 일파를 이루고 있다.
 
=== 홍주 이씨 ===
[[홍주 이씨]](洪州 李氏)의 시조는 [[고려]] 시대의 무인 [[이유성]](李維城, ? ~ 1215년)이다. 후손들의 본관이 '안평 이씨'(安平 李氏)로도 잘못 불렸으나, 현재는 대부분 홍주 이씨로 고쳐진 상태이다. 본관인 [[홍주부|홍주]]는 [[충청남도]] [[홍성군|홍성]]의 옛 이름이다.
 
=== 화산 이씨 ===
[[화산 이씨]](花山 李氏)의 시조는 '''이용상'''(李龍祥)이다. 그는 [[베트남]]의 [[안남국]] [[리 왕조]](1009년~1225년)의 6대왕 영종 [[이천조]](李天祚, 재위, 1138~1175)의 아들이다. 안남국 리 왕조 고종(1175~1210) 때 리씨 왕조에서 반란이 일어나자 배를 타고 [[황해도]] 화산으로 피신하였다.
}}


== 다를 이 異  ==
== 다를 이 異  ==
23번째 줄: 178번째 줄:
[[태원 이씨]]의 시조는 '''이단취'''(伊丹取)로 전해지나 시대나 사적(事蹟)은 알 수 없다.
[[태원 이씨]]의 시조는 '''이단취'''(伊丹取)로 전해지나 시대나 사적(事蹟)은 알 수 없다.


== 인물 ==
== 외국에서의 이씨 ==
{{참고|이 (성씨)/인물}}
한자 李를 사용하는 성은 한국 뿐 아니라 중국, 베트남에도 있다. 중국에서는 리(Lee/Li)라고 읽는다.  
이씨 성을 가진 인물이 너무 많아 다른 문서로 분리한다.


{{각주}}
{{각주}}
{{한국인의 성씨}}
{{한국의 성씨}}
{{퍼온문서|이 (성씨)|15566308|일부}}
{{퍼온문서|이 (성씨)|15566308|일부}}
[[분류:성씨]]
[[분류:성씨]]
[[분류:한국인의 성씨]]
[[분류:한국인의 성씨]]
[[분류:중국의 성씨]]
[[분류:이씨| ]]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이 문서는 다음의 숨은 분류 1개에 속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