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진성지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32번째 줄: 32번째 줄:
지형상 마을 남쪽과 북쪽 양측에 언덕이 자리하고 있는 전형적인 마안봉형(말 안장 모양)의 형세이며 성의 모습은 이러한 지형을 최대한 활용하여 남쪽과 북쪽방향을 장축으로 하는 타원형의 성곽으로 전형적인 외축내탁법에 의해 쌓은 성이다.
지형상 마을 남쪽과 북쪽 양측에 언덕이 자리하고 있는 전형적인 마안봉형(말 안장 모양)의 형세이며 성의 모습은 이러한 지형을 최대한 활용하여 남쪽과 북쪽방향을 장축으로 하는 타원형의 성곽으로 전형적인 외축내탁법에 의해 쌓은 성이다.


현재 남아있는 성벽의 길이는 940m로 원래 총 연장은 2.5km에 달하는 꽤 큰 성이었다. 성문의 터는 후대에 도로 개설 등으로 훼손되기는 했지만 남문과 서문의 자리는 현재도 도로로 사용되고 있어 흔적을 찾기는 어렵지 않은 편이다. 특히 서문이 있던 자리는 문을 달았던 기초석 2개와 길이 34m의 옹성과 수구 등이 그대로 남아있는 등 보존 상태는 어느 정도 괜찮은 편이다.
현재 남아있는 성벽의 길이는 940 m로 원래 총 연장은 2.5 km에 달하는 꽤 큰 성이었다. 성문의 터는 후대에 도로 개설 등으로 훼손되기는 했지만 남문과 서문의 자리는 현재도 도로로 사용되고 있어 흔적을 찾기는 어렵지 않은 편이다. 특히 서문이 있던 자리는 문을 달았던 기초석 2개와 길이 34 m의 옹성과 수구 등이 그대로 남아있는 등 보존 상태는 어느 정도 괜찮은 편이다.


==이진진 관련 기록{{ㅈ|조선시대 수군진조사-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학술총서 제24집-전라우수영편 이진진 중}}==
==이진진 관련 기록{{ㅈ|조선시대 수군진조사-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학술총서 제24집-전라우수영편 이진진 중}}==
41번째 줄: 41번째 줄:
해남읍지에는 전선 1척,병선 1척,사후성 2척과 대변군관 12명,진리 18명, 사령 6명,군뢰(軍年) 2명, 방군 2기명이 배치되어 있었다.
해남읍지에는 전선 1척,병선 1척,사후성 2척과 대변군관 12명,진리 18명, 사령 6명,군뢰(軍年) 2명, 방군 2기명이 배치되어 있었다.


문화유적총람 에는 둘레 2.5km의 성지로 1648년(인조 26)에 만호(각 진에 배치한 종4품의 무관직)를 두어 성을 세웠고,성 주위로 바다 호수를 만들어 왜군이 침입을 막았다고 한다.
문화유적총람 에는 둘레 2.5 km의 성지로 1648년(인조 26)에 만호(각 진에 배치한 종4품의 무관직)를 두어 성을 세웠고,성 주위로 바다 호수를 만들어 왜군이 침입을 막았다고 한다.


이진진은 1895년 수군이 폐진될 당시 폐진되었다.
이진진은 1895년 수군이 폐진될 당시 폐진되었다.
47번째 줄: 47번째 줄:
==기타==
==기타==
*[[칠천량 해전]]에서 [[원균]]이 조선수군을 시원하게 말아먹고 다시 삼도수군통제사에 복직하게 된 [[충무공 이순신]] 장군이 남해안 각지를 돌면서 무기와 군량을 모으면서 조선수군을 재건하던 당시 진도 벽파진으로 향하던 도중 토사곽란으로 이 곳 이진성에 머물면서(1597년 8월 20~24일) 성 안의 새물을 마시면서 몸을 치료하였다는 기록이 있다. 현재에도 이진성지 내부에는 북문과 남문 인근에 2개의 우물이 있으며 그 중 남문터 인근에 있는 우물에는 장군샘이라는 이름이 붙어있는데 바로 이 우물이 이순신 장군이 사용하였다는 우물이다.
*[[칠천량 해전]]에서 [[원균]]이 조선수군을 시원하게 말아먹고 다시 삼도수군통제사에 복직하게 된 [[충무공 이순신]] 장군이 남해안 각지를 돌면서 무기와 군량을 모으면서 조선수군을 재건하던 당시 진도 벽파진으로 향하던 도중 토사곽란으로 이 곳 이진성에 머물면서(1597년 8월 20~24일) 성 안의 새물을 마시면서 몸을 치료하였다는 기록이 있다. 현재에도 이진성지 내부에는 북문과 남문 인근에 2개의 우물이 있으며 그 중 남문터 인근에 있는 우물에는 장군샘이라는 이름이 붙어있는데 바로 이 우물이 이순신 장군이 사용하였다는 우물이다.
*이진은 조선시대 당시 제주도로 가는 항로를 통제하던 항구이기도 했다. 이진성 북동쪽 약 1km지점인 창성(倉城)인 [[달량진성]]이 있는데 제주도로 가는 곡물은 이곳 달량진을 통해서 제주도로 나갔으며 반대로 제주도에서 육지로 오는 말은 이진성을 통해 들어왔다.
*이진은 조선시대 당시 제주도로 가는 항로를 통제하던 항구이기도 했다. 이진성 북동쪽 약 1 km지점인 창성(倉城)인 [[달량진성]]이 있는데 제주도로 가는 곡물은 이곳 달량진을 통해서 제주도로 나갔으며 반대로 제주도에서 육지로 오는 말은 이진성을 통해 들어왔다.
*이 곳의 형상이 배(선박) 모양이라 하여 배진이라고 불리던 것을 한자로 적는 과정에서 배를 음차한 "梨"자를 사용하면서 이진이라는 명칭이 붙게 된 것이다.
*이 곳의 형상이 배(선박) 모양이라 하여 배진이라고 불리던 것을 한자로 적는 과정에서 배를 음차한 "梨"자를 사용하면서 이진이라는 명칭이 붙게 된 것이다.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