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슬람 공포증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이슬람 공포증'''({{영어|Islamophobia}})는 [[이슬람교]]에 대해 배척적이거나 혐오적인 반응을 보이는 것을 말한다.
{{넘겨주기|이슬라모포비아|이슬람포비아}}
 
'''이슬람 공포증'''(이슬라모포비아, 영어:Islamophobia)는 [[이슬람교]]에 대해 배척적이거나 혐오적인 반응을 보이는 것을 말한다.


== 발생 원인 ==
== 발생 원인 ==
19세기 [[산업혁명]] 이후 [[서유럽]]의 강국들이 [[제국주의]]로 무장하면서 [[중동]]의 이슬람 국가를 침략하기 시작하면서 이슬람 세계에서는 [[기독교]] 국가에 대한 반감이 늘어나면서 [[와히비즘]] 같이 좀 더 [[근본주의]]적인 성향이 득세하게 되었다. 중동 지역의 이슬람교의 이런 성향은 20세기가 지나면서도 사라지지 않았고, 중동 지역에 있던 사람들이 [[유럽]] 등 각종 지역을 이민가면서도 현지 문화에 동화되지 않고 이슬람교인들 특유의 문화를 유지하면서 갈등을 일으켰다. 이러한 이슬람 교인들의 특성에 반발해서 이슬람에 대한 혐오 정서가 증가하는 원인이 되었다.<ref>이에 대해 [[극좌]]단체인 [[노동자연대]]의 반박이 있다. 이슬람공포증은 무슬림때문이 아니라 서양제국주의자들이 냉전 이후로 새로운 적을 이슬람으로 설정했고 [[테러와의 전쟁]]으로 이어졌다. 이런 전쟁을 정당화하기 위해 이슬람공포증을 조장했다는 것이 노동자연대의 설명이다.</ref>
19세기 [[산업 혁명]] 이후 [[서유럽]]의 강국들이 제국주의로 무장하면서 [[중동]][[이슬람]] 국가를 침략하기 시작하면서 이슬람 세계에서는 [[기독교]] 국가에 대한 반감이 늘어나면서 [[와히비즘]]같이 좀 더 [[근본주의]]적인 성향이 득세하게 되었다. 중동 지역의 이슬람교의 이런 성향은 20세기가 지나면서도 사라지지 않았고, 중동 지역에 있던 사람들이 [[유럽]] 등 각종 지역을 이민가면서도 현지 문화에 동화되지 않고 이슬람교인들 특유의 문화를 유지하면서 갈등을 일으켰다. 이러한 이슬람 교인들의 특성에 반발해서 이슬람에 대한 혐오 정서가 증가하는 원인이 되었다.


[[9.11 테러]] 등 이슬람 근본주의자들의 잇단 테러로 인해 이슬람교를 신봉하는 테러리스트들의 과격한 면이 드러났고, 이 때문에 이슬람교를 믿는 사람들 자체를 경계하는 움직임이 강화된 측면이 있다.<ref>Miles, Robert & Brown, Malcolm (2003). Racism.</ref><ref>[http://news.bbc.co.uk/2/hi/uk_news/3768327.stm Casciani, Dominic. "Islamophobia pervades UK – report"], BBC News, 2004년 6월 2일</ref>서구의 언론들은 [[알카에다]]나 [[이라크 레반트 이슬람국가|IS]] 같은 이슬람 극단주의 세력이 저지르는 테러 등을 우선적으로 보도하면서 서구 사람들 사이에서는 이러한 테러리스트들이 저지르는 살상사건만 접하게 되면서 무슬림=[[테러]] 집단이라는 [[성급한 일반화의 오류]]가 뿌리내리기 시작했다. 그렇기 때문에 서구 사람들과 서구 언론이 전하는 그 나라 뉴스를 보고 자란 한국사람들 입장에서는 이슬람이 [[악마]]처럼 보일 수밖에 없게 된 것이고<ref>[http://archive.is/JUPbM 이슬람과 서구는 왜 갈등하는가?], 이희수, 또다른 세상, 2015.03.23</ref>, 이슬람 테러 세력 역시 이러한 [[모순]]을 뒤엎기 위해 서구 언론에 물들여져 있는 사람들을 지속적으로 납치하거나 이들이 만든 것들을 전면 부정하고 이슬람적인 가치만을 일방적으로 강요하면서 [[분노]]를 표출하고 있는 것이다.<ref>허나 안타까운 것은 그놈의 진영논리 때문에 집단주의적 사고가 강한 국내에서는 극우적인 이슬람 혐오 반대하는 사람들이 더 극우적인 [[반유대주의]]적 성향을 보이기도 한다는 것이다. (소위 깨시민들이 이러한 오류를 범하는 경우가 많다. 허나 그들도 정작 이슬람 난민 이슈에서는 반이슬람적 시각을 드러낸다.)</ref>
또한 [[9.11 테러]] 등 이슬람 근본주의자들의 잇단 테러로 인해 이슬람교를 신봉하는 테러리스트들의 과격한 면이 드러났고, 이 때문에 이슬람교를 믿는 사람들 자체를 경계하는 움직임이 강화된 측면이 있다.
 
그리고 서구의 언론들은 [[알카에다]]나 [[이라크 레반트 이슬람국가|IS]] 같은 이슬람 극단주의 세력이 저지르는 테러 등을 우선적으로 보도하면서 서구 사람들 사이에서는 이러한 테러리스트들이 저지르는 살상사건만 접하게 되면서 무슬림=[[테러]] 집단이라는 [[성급한 일반화의 오류]]가 뿌리내리기 시작했고, 거기에 세계 여론을 좌지우지하는 [[뉴욕 타임즈]], [[워싱턴 포스트]]를 중심으로, AP통신, 로이터통신, UPI, 그리고 전세계적인 뉴스 채널인 [[CNN]] 등 유대계 자본이 [[미국]] 언론 분야를 잠식하면서 이슬람 국가들에게 둘러싸인 [[이스라엘]]을 옹호하는 보도를 주로 내면서 이슬람권에 대한 편협한 시각을 덧씌우기 시작하였다. 그렇기 때문에 서구 사람들과 서구 언론이 전하는 그 나라 뉴스를 보고 자란 [[동아시아]] 사람들 입장에서는 이슬람이 [[악마]]처럼 보일 수 밖에 없게 된 것이고<ref>[http://archive.is/JUPbM 이슬람과 서구는 왜 갈등하는가?], 이희수, 또다른 세상, 2015.03.23</ref>, 이슬람 테러 세력 역시 이러한 [[모순]]을 뒤엎기 위해 서구 언론에 물들여져 있는 사람들을 지속적으로 납치하거나 이들이 만든 것들을 전면 부정하고 이슬람적인 가치만을 일방적으로 강요하면서 [[분노]]를 표출하고 있는 것이다.


== 사건ㆍ사고 ==
== 사건ㆍ사고 ==
*{{ㅊ|[[십자군 원정]]}}
추가예정.
*[[2002년 구자라트 학살]]
*[[2005년 파리 소요 사태]]
*[[아네르스 베링 브레이빅]]
*[[무슬림의 순진함]]
*[[2016년 쾰른 집단 성폭행 사건]]
*[[2018년 제주 난민 사태]]
<!-- 그 외 추가예정. -->


== 레퍼토릭 ==
== 비판 ==
* 무슬림들은 잠재적 테러리스트이자 성범죄자이다.
가장 큰 문제점은 [[이슬람교]] 자체를 악으로 취급하면서 이슬람교를 믿는 사람에 대해 부당한 폭력을 가하는 데에 있다. 또한 이슬람교에 대한 오해를 부추기는 점도 문제로 꼽힌다.
* 테러의 대부분은 무슬림이 자행한다.
* 무슬림들은 대부분 살라피즘에 빠져있다.
* 무슬림들은 명예살인, 여성할례를 기본으로 한다.
* 무슬림들은 세계정복을 원한다.
* 무슬림들은 현지 문화를 이해하려는 능력이 없다.
* 무슬림들은 타종교인을 혐오한다.
* 이슬람은 폭력을 바탕으로 둔다.
* 이슬람은 개혁이 불가능하다.
* 무슬림들 중에 개혁주의자가 없다.
* 무슬림의 인구는 급증하고 있다.<ref>이 문장이 이슬람혐오 레퍼토릭이 되는 이유는 이 문장에서 말하는 무슬림의 정의가 협소하기 때문이다. 요르단에서 선교활동하고 있는 [[김동문]] 목사는 이슬람 세계에서 통용되는 무슬림의 정의는 혈연적이기 때문에 신을 회의하거나 불신해도 부모가 무슬림이면 그도 무슬림으로 정의될 정도라고 했다. 게다가 수니파의 5가지 의무를 다 지키는 것도 아니라고 했다.</ref>
* 무슬림 여성은 히잡와 부르키니를 고집하고 무슬림은 히잡을 안 쓴 여성을 창녀라고 생각한다.


== 비판 ==
== 참조자료 ==
가장 큰 문제점은 [[이슬람교]] 자체를 악으로 취급하면서 이슬람교를 믿는 사람에 대해 부당한 폭력을 가하는 데에 있다. [[이슬람교]]와 [[이슬람주의]]를 구분하지 못하는 경우가 다반사이며, 무슬림이 개인적으로 저지른 반율법적인 범죄를 이슬람교의 모습이라고 매도하기도 한다. 반이슬람주의에 있어 무슬림 개인에게 책임을 따지는 것은 범주화에 기반한 [[혐오발언]]이다.
* [[개신교/개신교발 루머/이슬람교]]


서양의 주류 극우파들은 이슬람 공포증을 조장하면서 정작 이슬람 근본주의와 테러리즘의 원흉이자 직간접적 후원자인 [[사우디아라비아]]는 공식적으로 친서방이라 까지 않는 이중잣대를 보이고 있다.<ref>오히려 서양극우파들은 현재 [[헤즈볼라]]밖에 지원안하는 시아파 [[이란]]을 집중적으로 때리며 이슬람 테러리즘의 원흉이라는 [[허수아비 때리기]]를 한다. 이슬람 테러리스트 대다수는 와하비즘에 영향 받은 수니파다.</ref>{{출처}}
== 외부 참조자료 ==
* [[위키백과:이슬람 공포증]]
* {{나무위키|이슬람공포증}}


== 같이 보기 ==
[[분류:이슬람교]]
* [[개신교발 루머/이슬람교]]
[[분류:사상]]
* [[이슬람 극단주의]]
* [[이란 혁명]]
* [[그랜드 모스크 점거사건]]
* [[크리스티아노포비아]]
* [[리처드 도킨스]]


{{각주}}
{{각주}}
[[분류:이슬람교]]
[[분류:차별]]
[[분류:공포증]]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이 문서는 다음의 숨은 분류 1개에 속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