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수역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새 철도역 정보
{{새 철도역 정보
|이름    = 총신대입구(이수)
|배경색 =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서울교통}}
|원어이름 =
|글자색 = white
|배경색   =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서울}}
|상단 =
|글자색   = white
|역명 = 서울교통공사 이수역
|그림     = 432 Chongshin Univ.jpg
|그림 = [[파일:432 Chongshin Univ.jpg]]
|그림설명 =  
|역번호 = {{역번호/한국|432|수도권|4}} · {{역번호/한국|736|수도권|7}}
|그림alt  =  
|역코드 =  
|주소     = [[서울특별시]] [[동작구]] [[동작대로]] 지하 117 (4호선)<br />[[서울특별시]] [[동작구]] [[사당로]] 지하 310 (7호선)
|주소 = [[서울특별시]] [[동작구]] [[동작대로]] 지하 117 (4호선)<br >[[서울특별시]] [[동작구]] [[사당로]] 지하 310 (7호선)
|번호    = {{역번호/한국|432|수도권|4}} {{역번호/한국|736|수도권|7}}
|개업일 = 1985년 10월 18일
|노선     = [[서울 지하철 4호선]] <small>28.4 km</small><br />[[서울 지하철 7호선]] <small>30.0 km</small>
|폐지일 =
|관할    = [[서울교통공사]]
|관할 = [[서울교통공사]]
|개업일  = [[1985년]] [[10월 18일]]
|승강장 = 2면 2선
|폐지일  =
|운임구역 =
|코드    =
|이용객 =
|승강장  = 2면 2선 (4·7호선)
|노선 = <nowiki />
|관련역  =
* [[서울 지하철 4호선]] <small>28.4 km</small>
|참고    =
* [[서울 지하철 7호선]] <small>30.0 km</small>
|비고    =
|하위 틀  =
}}
}}
 
{{+1|이수역}}<br />梨水驛 Isu Station
== 개요 ==
[[서울특별시]] [[동작구]] [[동작대로]] 지하 117과 [[서울특별시]] [[동작구]] [[사당로]] 지하 310에 위치한 지하역 및 환승역이다. 부역명인 [[총신대학교]]로 갈려면 남성역으로 가는게 더 가깝다.
[[서울특별시]] [[동작구]] [[동작대로]] 지하 117과 [[서울특별시]] [[동작구]] [[사당로]] 지하 310에 위치한 지하역 및 환승역이다. 부역명인 [[총신대학교]]로 갈려면 남성역으로 가는게 더 가깝다.


대한민국에서 도시철도간 환승역 중 유일하게 주역명이 다른 역으로, 역 이름이 서로 달라 혼란을 주는 역이다.(해외에서는 이런 역이 어느 정도 존재한다.) '''총신대입구(이수)역'''은 4호선, '''이수역'''은 7호선의 역명이다.
== 역 구조 ==
 
== 역사 ==
* 1983년 9월 13일: 역명을 '''이수'''로 결정<ref>서울특별시고시 제475호</ref>
* 1985년 10월 18일: 4호선 [[한성대입구역|삼선교]]~[[사당역|사당]] 구간 개통과 함께 개업
* 1985년 10월 24일: 역명을 '''총신대입구'''로 변경<ref>서울특별시고시 제698호</ref>
* 1992년 11월 6일: 7호선 역명을 '''이수(총신대)'''로 결정<ref>[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92110700239121010&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92-11-07&officeId=00023&pageNo=21&printNo=22162&publishType=00010 지하철(6-7호선)驛名(역명) 확정], 조선일보</ref>
* 1997년 3월 26일: 역명을 총신대입구(이수)에서 '''이수'''로 변경<ref>[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97032700329124005&editNo=45&printCount=1&publishDate=1997-03-27&officeId=00032&pageNo=24&printNo=16061&publishType=00010 광희문역→청구역,총신대입구→이수 지하철역·도로 13곳"改名(개명)"], 경향신문</ref>
* 2000년 8월 1일: 7호선 [[건대입구역|건대입구]]~[[신풍역|신풍]] 구간 개통, 4호선 역명도 이때 변경
* [[2001년]] [[2월 1일]]: 4호선 역명을 '''총신대입구(이수)'''로 환원<ref>[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0050032?sid=102 4호선 이수역, 총신대입구역으로 환원], 연합뉴스</ref>
 
== 시설 ==
두 노선 모두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이며,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두 노선 모두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이며,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 4호선 ===
=== 4호선(총신대입구역) ===
<div>
{{철도승강장|구조=
{{철도승강장|구조=
{{철도승강장/승강장|바탕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4}} |승강장 번호=상행|승강장 정보='''4호선''' [[서울역|서울역]] · [[창동역|창동]] · [[당고개역|당고개]] 방면
{{철도승강장/승강장|바탕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4}}|왼쪽 승강장=상행 승강장|승강장 정보='''4호선''' [[서울역|서울역]] · [[창동역|창동]] · [[당고개역|당고개]] 방면
}}
}}
  {{철도승강장/선로|왼쪽 선로 정보= ← [[서울 지하철 4호선]] [[동작역|동작]]
  {{철도승강장/선로|왼쪽 선로 정보= ← [[서울 지하철 4호선]] [[동작역|동작]] 방면
}}
}}
  {{철도승강장/선로|오른쪽 선로 정보= [[서울 지하철 4호선]] [[사당역|사당]] →
  {{철도승강장/선로|오른쪽 선로 정보= [[서울 지하철 4호선]] [[사당역|사당]] 방면
}}
}}
{{철도승강장/승강장|바탕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4}} |승강장 번호=하행|승강장 정보='''4호선'''  [[사당역|사당]] · [[금정역|금정]] · [[오이도역|오이도]] 방면
{{철도승강장/승강장|바탕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4}}|오른쪽 승강장=하행 승강장|승강장 정보='''4호선'''  [[사당역|사당]] · [[금정역|금정]] · [[오이도역|오이도]] 방면 | '''하행 승강장'''
}}
}}
}}
}}
 
</div>
=== 7호선(이수역) ===
{{-}}
=== 7호선 ===
<div>
{{철도승강장|구조=
{{철도승강장|구조=
{{철도승강장/승강장|바탕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7}} |승강장 번호=상행|승강장 정보='''7호선''' [[고속터미널역|고속터미널]] · [[군자역|군자]] · [[장암역|장암]] 방면
{{철도승강장/승강장|바탕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7}}|왼쪽 승강장=상행 승강장|승강장 정보='''7호선''' [[고속터미널역|고속터미널]] · [[군자역|군자]] · [[장암역|장암]] 방면
}}
}}
  {{철도승강장/선로|왼쪽 선로 정보= ← [[서울 지하철 7호선]] [[내방역|내방]]
  {{철도승강장/선로|왼쪽 선로 정보= ← [[서울 지하철 7호선]] [[내방역|내방]] 방면
}}
{{철도승강장/선로|오른쪽 선로 정보= [[서울 지하철 7호선]] [[남성역|남성]] →
}}
{{철도승강장/승강장|바탕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7}} |승강장 번호=상행|승강장 정보='''7호선''' [[대림역|대림]] · [[온수역|온수]] · [[석남역|석남]] 방면
}}
}}
}}
{{철도승강장/선로|오른쪽 선로 정보= [[서울 지하철 7호선]] [[남성역|남성]] 방면 →
}}
{{철도승강장/승강장|바탕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7}}|왼쪽 승강장=상행 승강장|승강장 정보='''7호선''' [[대림역|대림]] · [[온수역|온수]] · [[부평구청역|부평구청]] 방면 | '''하행 승강장'''
}}
}}
</div>
{{-}}


=== 환승 정보 ===
=== 환승 정보 ===
75번째 줄: 67번째 줄:
| style="background-color: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4}}; color: white;" | 오이도<br />방면
| style="background-color: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4}}; color: white;" | 오이도<br />방면
| style="background-color: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7}}; color: white;" | 장암<br />방면
| style="background-color: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7}}; color: white;" | 장암<br />방면
| style="background-color: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7}}; color: white;" | 석남<br />방면
| style="background-color: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7}}; color: white;" | 부평구청<br />방면
|-
|-
! rowspan="4" | 출발지
! rowspan="4" | 출발지
94번째 줄: 86번째 줄:
| 2-2
| 2-2
|-
|-
| style="background-color: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7}}; color: white;" | 석남 방면
| style="background-color: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7}}; color: white;" | 부평구청 방면
| colspan="3" | 8-4
| colspan="3" | 8-4
| -
| -
104번째 줄: 96번째 줄:


[[총신대학교]]는 이 역보다 7호선 [[남성역]]이 더 가깝다. 주변에 있는 것은 [[태평백화점]](13번 출구와 연결), [[이마트 메트로]] 이수점(9번 출구와 연결)및 남성시장 정도.
[[총신대학교]]는 이 역보다 7호선 [[남성역]]이 더 가깝다. 주변에 있는 것은 [[태평백화점]](13번 출구와 연결), [[이마트 메트로]] 이수점(9번 출구와 연결)및 남성시장 정도.
== 역명 논란 ==
7호선이 개통하여 [[총신대학교]]에 보다 가까운 역이 생기면서 역명에 대 한 논란이 일었다. 참고로 본 문서의 명칭이 이수역인 이유는 역명에 모두 '이수'가 들어가기 때문이다.
=== 역명이 달라지게 된 과정 ===
==== 4호선 건설 당시 ====
4호선 건설당시에는 역 이름이 이수역이었지만, [[총신대학교]]에서 건설 비용의 일부를 지원하는 대가로 역명을 '''총신대입구(이수)역'''으로 바꾸어 개통했다. 이와 같이 대학 측에서 건설 비용의 일부를 지원하는 대가로 역명을 바꾼 사례로는 [[숙대입구역|숙대입구(갈월)역]], [[한성대입구역|한성대입구(삼선교)역]], [[성신여대입구역|성신여대입구(돈암)역]]이 있다.
==== 7호선 건설, 그리고 이수역과 남성(총신대입구)역 ====
하지만, 7호선을 건설하면서 [[남성역]]이 이수역보다 총신대와 가까워지게 되었다.(0.5km) '''그것도 남성역과 총신대입구역 사이에 총신대가 있는 것도 아니고, 대놓고 남성역에서 더 가깝다.'''
1기 지하철 건설 당시 무분별하게 대학역명을 사용하여 "대학과 가깝지도 않으면서 대학역명을 붙였다"라는 비판이 일자, 2기 지하철서에는 대학 역명의 사용을 제한했는데, 일정한 조건을 충족하면 대학역명을 주었다. (예: [[고려대역]], [[공릉역|공릉(서울과학기술대)역]])  1997년 3월, 서울시 지명위원회에서 4·7호선의 역명을 '''이수역'''으로 통일하고, 7호선 남성역은 '''남성(총신대입구)역'''으로 결정하며 총신대 측에 이 사실을 통보했다.<ref>{{뉴스 인용|제목=
광희문역→청구역,총신대입구→이수 지하철역·도로 13곳"改名(개명)"|url=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7032700329124005&editNo=45&printCount=1&publishDate=1997-03-27&officeId=00032&pageNo=24&printNo=16061&publishType=00010|저자=안호기 기자|출판사=경향신문|날짜=1997-03-27}}</ref> 그리하여 4·7호선의 총신대입구(이수)역은 이수역으로 바뀌고, 남성역은 남성(총신대입구)역으로 개통했다.
==== 총신대학교의 반발 ====
서울시 지명위원회에서 역명 변경을 통보하자 총신대학교가 반발했다. 이 상황에서 총신대가 최소한의 상식을 갖추고 있었다면, 누가 봐도 남성역을 '''총신대입구(남성)역'''이라고 바꿔달라고 했어야 정상이었다. 즉, '''바꾸고자 하는 역이 문제였다.'''
7호선 개통 며칠 전, 총신대학교가 [[2000년]] [[7월 22일]] 서울지방법원(현 서울중앙지방법원)에 15년간 사용된 역명을 한순간에 바꾸었다는 이유로 서울특별시와 서울특별시 지하철공사(현 서울교통공사)에 소송을 제기했지만 패소했다.<ref>소송 기사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38&aid=0000014526 <br />패소 기사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1&aid=0000025457</ref>
하지만 총신대학교는 이에 계속 반발하였고, 결국 [[2001년]] [[2월 1일]] 4호선은 총신대입구(이수)역, 7호선은 이수역, 통합 역명은 총신대입구(이수)역으로 바뀌게 되었다.
==== 당시 총신대가 주장했던 내용들 ====
; 15년 동안 써온 이름을 상의도 없이 바꾸면 안 된다.
{{인용문2|15년 동안 사용해왔고 전국에 유통되는 교통지도에까지 표시된 이름을 바꾼다는 것은 탁상행정의 대표적인 사례입니다. <ref name="인터뷰">{{뉴스 인용|제목=<nowiki>[인터뷰]</nowiki> 지하철역명 지키기 총신대 유준기부총장|url=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11&oid=005&aid=0000014482|저자=김규원 기자|출판사=국민일보|날짜=2000-07-30}}</ref>}}
:지도는 그냥 바꾸면 되는 것. 또한, [[내비게이션]]을 비롯한 각종 전자지도가 보급되면서 지명 변경 문제 자체는 아무것도 아니게 되었다. 거기다 이 사건 이후 인근 봉천동 일부가 행운동으로 행정동명 변경을 하거나 [[가거도]]나 [[당사도]]의 사례처럼 지명변경을 한 경우는 얼마든지 찾을 수 있다.
; 80년대 초 도로확장공사 때 서울시에 토지 1,200평을 무상으로 기증했다.
{{인용문2|지난 80년초 도로확장공사 때 1200평을 서울시에 무상기증했습니다. <ref name="인터뷰" />}}
:총신대만 무상기증 한 것으로 착각할 수 있는데 언덕 너머 숭실대도 마찬가지로 땅을 무상기증했다. 심지어 숭실대는 당시 관통 도로가 학교 부지를 완전히 가로질러가서 못쓰게 된 건너편 땅을 헐값에 처분했다는 카더라가 있다. 그리고 땅을 기부채납한 것이 역명사용의 근거가 될 수는 없다.
; [[서울대입구역]]도 역명 변경 없이 그대로 있다.
{{인용문2|그리고 역에서 학교까지의 거리가 2.4㎞인 서울대입구역은 왜 그대로 둡니까. <ref name="인터뷰" />}}
:저기보다 서울대학교 정문에 더 가까운 역이 생기고 서울대입구역 이름을 그대로 둔다면 가능한 논리. 자기네 학교에 더 가까운 역이 생겨서 부역명까지 달아준다고 한 첫 사례인데 그걸 걷어찬 것이다.
; 다른 대학과의 형평성 문제가 있다.
{{인용문2|신설된 숭실대입구역과 고려대입구역 등은 또 무엇을 의미합니까. <ref name="인터뷰" />}}
:고려대입구는 가 보면 알겠지만 바로 앞이 고대로 들어갈 수 있다. 숭실대도 마찬가지로 본래 200여미터를 걸어야 정문이었으나 역 개통 이후 1년 남짓한 시간만에 정문을 지하철 역 바로 앞으로 옮겨버렸다. 그 정도 거리를 만들 수 있으면 인정가능한 논리.
; 주민들과 구청, 교통방송 아나운서들이 총신대입구역을 원한다.
{{인용문2|주민들과 해당 구청,교통방송 아나운서까지 역명 보존을 요구하고 있다. <ref name="인터뷰" />}}
:실제 원하는지 설문조사 결과가 있는지 의문. 그낭 자기들만의 주장이다.
; 이수교와 혼동될 수 있다.
{{인용문2|사실 이수는 통상 이수교를 지칭하는 것으로 총신대입구역에서 북쪽으로 2km나 떨어져 있어 개명한 역명은 오히려 시민들을 혼란에 빠뜨릴 수 있다. <ref name="인터뷰" />}}
:뒷이야기지만 재건축으로 이수사거리에 들어선 자이아파트 등 고층 주상복합 건물의 명칭에는 어김없이 이수가 붙어있다. 심지어 온라인 지도 등에서 "이수"로 검색하여 해당 지명을 사용하고 있는 분포를 살펴보면 이수교 주변보다 이수역 사거리 주변에 더 높은 밀집도를 보여준다. 사람들이 많이 사용하는 관습에 따라 지명 자체가 이동할 수 있다는 점을 보여준 것. {{ㅊ|여담으로 총신대로 동일 지점을 검색하면 총신대역 딱 1개가 나온다}}
=== 기타 ===
철덕들은 이 때문에 총신대를 까고 있다. 일례로 [[나무위키]]에서는 [https://namu.wiki/w/%EC%9D%B4%EC%88%98%EC%97%AD/%EC%97%AD%EB%AA%85%20%EB%85%BC%EB%9E%80 이수역/역명 논란]이라는 항목을 만들어서 이 문제를 집중적으로 다루고 있으며, [https://namu.wiki/w/%EC%9D%B4%EC%88%98%EC%97%AD 이수역] 항목에서는 대놓고 이수역을 강조하고 총신대입구라는 표기를 자그맣게 적어놓아 총신대입구가 부역명인것처럼 처리한 뒤 총신대입구가 강조된 현판 사진을 [[혐짤]] 취급하고 있다.


== 경유 열차 ==
== 경유 열차 ==
=== 수도권 전철 ===
{{경유 계통/열기}}
{{경유 계통/열기}}
{{경유 계통/계통|배경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4}}|글자색=white|계통=[[수도권 전철 4호선|4호선]]}}
{{경유 계통/계통|배경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4}}|글자색=white|계통=수도권 전철 4호선}}
{{경유 계통|전방면=[[당고개역|당고개]] 방면|전역={{역번호/한국|431|수도권|4}} [[동작역|동작]]|전거리=1.8 km
{{경유 계통|전방면=[[당고개역|당고개]] 방면|전역={{역번호/한국|431|수도권|4}} [[동작역|동작]]|전거리=1.8 km
|당역={{역번호/한국|432|수도권|4}} '''총신대입구(이수)'''
|당역={{역번호/한국|432|수도권|4}} '''총신대입구'''
|후방면=[[오이도역|오이도]] 방면|후역={{역번호/한국|433|수도권|4}} [[사당역|사당]]|후거리=1.1 km}}
|후방면=[[오이도역|오이도]] 방면|후역={{역번호/한국|433|수도권|4}} [[사당역|사당]]|후거리=1.1 km}}
{{경유 계통/계통|배경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7}}|글자색=white|계통=[[서울 지하철 7호선|7호선]]}}
{{경유 계통/계통|배경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7}}|글자색=white|계통=서울 지하철 7호선}}
{{경유 계통|전방면=[[장암역|장암]] 방면|전역={{역번호/한국|735|수도권|7}} [[내방역|내방]]|전거리=1.0 km
{{경유 계통|전방면=[[장암역|장암]] 방면|전역={{역번호/한국|735|수도권|7}} [[내방역|내방]]|전거리=1.0 km
|당역={{역번호/한국|736|수도권|7}} '''이수(총신대입구)'''
|당역={{역번호/한국|736|수도권|7}} '''이수'''
|후방면=[[석남역|석남]] 방면|후역={{역번호/한국|737|수도권|7}} [[남성역|남성]]|후거리=1.0 km}}
|후방면=[[부평구청역|부평구청]] 방면|후역={{역번호/한국|737|수도권|7}} [[남성역|남성]]|후거리=1.0 km}}
{{경유 계통/닫기}}
{{경유 계통/닫기}}


{{각주}}
{{각주}}


[[분류:서울 도시철도 4호선]][[분류:서울 도시철도 7호선]]
[[분류:서울 지하철 4호선]][[분류:서울 지하철 7호선]]
[[분류:서울특별시에 있는 철도역]]
[[분류:수도권 전철 4호선]]
 
[[분류:서울 동작구의 철도역]]
{{리브레 맵스 마커|37.485298791541325|126.98208332061768|16|이수역}}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는 다음의 숨은 분류 2개에 속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