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국종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인물 정보
{{인물 정보
|인물이름 = 이국종
|인물이름 = 이국종
|원어이름 = 李國鍾
|원어이름 =  
|배경색  =  
|배경색  =  
|글자색  =  
|글자색  =  
9번째 줄: 9번째 줄:
|다른이름 = 블라시오(세례명)
|다른이름 = 블라시오(세례명)
|출생일  = {{출생일과 나이|1969|4|22}}
|출생일  = {{출생일과 나이|1969|4|22}}
|출생지  = [[서울특별시]] [[강서구]]
|출생지  =  
|사망일  = <!-- {{사망일과 나이|YYYY|MM|DD|YYYY|MM|DD}} -->
|사망일  = <!-- {{사망일과 나이|YYYY|MM|DD|YYYY|MM|DD}} -->
|사망지  =  
|사망지  =  
|국적    = {{나라|대한민국}}
|국적    = {{나라|대한민국}}
|학력    = [[명덕고등학교]]<br/ >[[아주대학교]] 의학 학사 (1995)<br />아주대학교 대학원 의학 석사 (1999)<br />아주대학교 대학원 외과학 박사 (2002)
|학력    = [[아주대학교]] 의학 학사 (1995)<br />아주대학교 대학원 의학 석사 (1999)<br />아주대학교 대학원 외과학 박사 (2002)
|직업    = [[의사]], 대학 교수
|직업    = [[의사]], 대학 교수
|종교    = [[가톨릭]]
|종교    = [[가톨릭]]
28번째 줄: 28번째 줄:
'''이국종'''(1969년 4월 22일~ )은 [[대한민국]]의 [[의사]]이자 [[교수]]다. [[아주대학교]] 의과대학을 졸업했으며, 현재 [[아주대학교병원]] 권역외상센터 소장 및 아주대학교병원 외상외과장을 역임하고 있다.<ref>{{웹 인용 |url=http://hosp.ajoumc.or.kr/Center/DoctorIntroduce.aspx?DC=5V%2FIgAoqam3CMxRQyzkRKw%3D%3D |제목=의료진 상세 |저자=아주대학교병원 |날짜= |웹사이트=아주대학교병원 홈페이지 |출판사= |확인날짜=2017-11-16 }}</ref> 한국의 중증외상분야에서는 최고 권위자로, 대중에게는 2011년의 [[아덴만 여명 작전]]의 일화로 유명해졌다.
'''이국종'''(1969년 4월 22일~ )은 [[대한민국]]의 [[의사]]이자 [[교수]]다. [[아주대학교]] 의과대학을 졸업했으며, 현재 [[아주대학교병원]] 권역외상센터 소장 및 아주대학교병원 외상외과장을 역임하고 있다.<ref>{{웹 인용 |url=http://hosp.ajoumc.or.kr/Center/DoctorIntroduce.aspx?DC=5V%2FIgAoqam3CMxRQyzkRKw%3D%3D |제목=의료진 상세 |저자=아주대학교병원 |날짜= |웹사이트=아주대학교병원 홈페이지 |출판사= |확인날짜=2017-11-16 }}</ref> 한국의 중증외상분야에서는 최고 권위자로, 대중에게는 2011년의 [[아덴만 여명 작전]]의 일화로 유명해졌다.


또한 국방부의 의무자문관으로도 활동중에 있다. 대한민국 해군 명예 중령이기도 하다. [[아주대학교]]에서 2020년에 해군으로 파견되었는데 2022년 8월에 국방부의무자문관이 되었고 2023년에는 해군작전사령부의 발전위원에 위촉되기도 했다.
또한 국방부의 의무자문관으로도 활동중에 있다. 대한민국 해군 명예 중령이기도 하다. 아주대학교에서 2020년에 해군으로 파견되었는데 2022년 8월에 국방부의무자문관이 되었고 2023년에는 해군작전사령부의 발전위원에 위촉되기도 했다.


== 생애 ==
== 생애 ==
46번째 줄: 46번째 줄:
그리고 열악한 대한민국의 응급의료체계와 중증외상환자를 적시에 치료할 수 있도록 물질적ㆍ제도적 지원을 피력하였고, 정치권에서 논의된 끝에 이른바 이국종법으로 불리는 응급의료법 개정안이 통과되기도 하였다. 이러한 노력 덕분에 그나마 권역별로 중증외상센터를 개설하는 토대를 마련할 수 있었으며, 그간 소홀하게 여겼던 응급의료체계에 대한 경각심을 환기시키는데 큰 역할을 하였다.
그리고 열악한 대한민국의 응급의료체계와 중증외상환자를 적시에 치료할 수 있도록 물질적ㆍ제도적 지원을 피력하였고, 정치권에서 논의된 끝에 이른바 이국종법으로 불리는 응급의료법 개정안이 통과되기도 하였다. 이러한 노력 덕분에 그나마 권역별로 중증외상센터를 개설하는 토대를 마련할 수 있었으며, 그간 소홀하게 여겼던 응급의료체계에 대한 경각심을 환기시키는데 큰 역할을 하였다.


그러나 법안이 개정되고, [[권역외상센터|권역별 중증외상센터]]가 설립된 이후로도 상황은 크게 나아지지 않았다고 한다. 여전히 고된 외상외과에 지원하려는 [[의사]]들은 손에 꼽히는 수준으로 적고, 여전히 의사나 환자들에 대한 처우개선은 미흡한 상태라고.<ref>인터뷰에서 밝히길, 자신의 후배 의사는 1년 중 집에 들어간 시간이 단지 4일에 불과한 경우도 있었다고 한다.</ref>
그러나 법안이 개정되고, [[권역외상센터|권역별 중증외상센터]]가 설립된 이후로도 상황은 크게 나아지지 않았다고 한다. 여전히 고된 외상외과에 지원하려는 [[의사]]들은 손에 꼽히는 수준으로 적고, 여전히 의사나 환자들에 대한 처우개선은 미흡한 상태라고.<ref>인터뷰에서 밝히길 자신의 후배 의사는 1년 중 집에 들어간 시간이 단지 4일에 불과한 경우도 있었다고 한다.</ref>


그렇다고 능력이 떨어지는 의사는 전혀 아니다. 경력쪽에서도 보았듯 총상을 입은 환자를 모두 살려내기도 했으며<ref>심지어 석해균 선장의 경우 본인이 현지에선 불가하다 판단하고 대한민국으로 와서 수술을 집도했다.</ref> 일반적인 총상이 아닌 경우에는 대부분 이국종 교수가 집도하고 있었다. 이에 대한 일화가 하나 있는데, 한참 전문의로 일하던 와중 [[미국]]에서 총상 치료법을 배워오겠다고 했으나 주변 사람들이 말렸다고 한다. 그러나 끝끝내 미국에서 치료법을 배워왔고, 이 치료법을 토대로 석해균 선장과 귀순자를 치료하기에 이르렀다.
그렇다고 능력이 떨어지는 의사는 전혀 아니다. 경력쪽에서도 보았듯 총상을 입은 환자를 모두 살려내기도 했으며<ref>심지어 석해균 선장의 경우 본인이 현지에선 불가하다 판단하고 대한민국으로 와서 수술을 집도했다.</ref> 일반적인 총상이 아닌 경우에는 대부분 이국종 교수가 집도하고 있었다. 이에 대한 일화가 하나 있는데, 한참 전문의로 일하던 와중 [[미국]]에서 총상 치료법을 배워오겠다고 했으나 주변 사람들이 말렸다고 한다. 그러나 끝끝내 미국에서 치료법을 배워왔고, 이 치료법을 토대로 석해균 선장과 귀순자를 치료하기에 이르렀다.


게다가 이 시점에 배운 기술 중 하나인 ‘손상 통제 수술’이라는 개념을 국내에 도입하고 이를 기반으로 만든 의사이기도 하다. 이 개념은 생명에 위험을 줄 수 있는 부위를 응급수술로 처치한 뒤 환자의 상태가 호전되기까지 기다린 후 수술을 진행하는 방법을 일컫는다. 당시 외상환자는 끽해야 5%의 확률로 살아날 수 있었는데<ref>쉽게 말하면 ‘외상 환자 = 살아날 가능성이 없는 환자’와 같았다.</ref> 이 방법을 통하여 약 40%까지 환자의 생존율을 높일 수 있게 되었다. 하지만 당시엔 이러한 수술 방식을 외과 의사들은 이해하지 못했고, 오히려 불만과 난색을 표하기도 했었다. 이러한 방식을 사용해서 치료했던 사람이 바로 [[2017년 공동경비구역 북한군 귀순 사건]]의 귀순 병사이다.
게다가 이 시점에 배운 기술 중 하나인 '손상 통제 수술'이라는 개념을 국내에 도입하고 이를 기반으로 만든 의사이기도 하다. 이 개념은 생명에 위험을 줄 수 있는 부위를 응급수술로 처치한 뒤 환자의 상태가 호전되기까지 기다린 후 수술을 진행하는 방법을 일컫는다. 당시 외상환자는 끽해야 5%의 확률로 살아날 수 있었는데<ref>쉽게 말하면 "외상 환자 = 살아날 가능성이 없는 환자" 와 같았다.</ref> 이 방법을 통하여 약 40%까지 환자의 생존율을 높일 수 있게 되었다. 하지만 당시엔 이러한 수술 방식을 외과 의사들은 이해하지 못했고 오히려 불만과 난색을 표하기도 했었다. 이러한 방식을 사용해서 치료했던 사람이 바로 [[2017년 공동경비구역 북한군 귀순 사건]]의 귀순 병사이다.


이 사건 및 그동안의 통계를 계기로 대한외과학회에서는 ‘손상 통제 수술’은 필수적으로 공부하는 내용이 되었으며, 그 내용을 ‘전부’ 이국종 교수가 집필했다.
이 사건 및 그동안의 통계를 계기로 대한외과학회에서는 '손상 통제 수술'을 필수적으로 공부하는 내용이 되었으며, 그 내용을 '전부' 이국종 교수가 집필했다.


== 기타 ==
== 기타 ==
* MBC의 의학 드라마 방송 《[[골든 타임 (드라마)|골든 타임]]》의 등장인물 최인혁의 모델이다. 사실 골든 타임이라는 용어는 와전된 용어이며, 이국종 교수 자신은 골든 아워라는 표현이 정확한 용어라고 말했다.
* MBC의 의학 드라마 방송 《[[골든 타임 (드라마)|골든 타임]]》의 등장인물 최인혁의 모델이다. 사실 골든 타임이라는 용어는 와전된 용어이며, 이국종 교수 자신은 골든 아워라는 표현이 정확한 용어라고 말했다.
* 상당히 무표정한 모습으로 언론에 자주 등장하는데, ‘음악’ 이야기에는 화색이 돋는다고 한다. 줄곧 수술을 하고 나서 쉬는 시간에도 음악을 들으며 쉰다고 한다. 특히 록 음악을 좋아하며, 가장 좋아하는 곡은 린킨파크의 <New Divide>라고 한다.
* 상당히 무표정한 모습으로 언론에 자주 등장하는데 '음악' 이야기에는 화색이 돋는다고 한다. 줄곧 수술을 하고 나서 쉬는 시간에도 음악을 들으며 쉰다고 한다. 특히 록 음악을 좋아하며 가장 좋아하는 곡이 린킨파크의 'New Divide' 라고 한다.
* 상당한 과로로 인해 왼쪽 눈의 시력을 완전히 잃었다고 한다. [[그것이 알고 싶다]]에서 밝히길, 오른쪽 눈도 얼마 남지 않았다고 한다.
* 상당한 과로로 인해 왼쪽 눈의 시력을 완전히 잃었다고 한다. [[그것이 알고 싶다]]에서 밝히길, 오른쪽 눈도 얼마 남지 않았다고 한다.
* 과로로 인해 사고가 난 적이 있는데, 그 때 왼쪽 얼굴이 마비되었다고 한다.
* 과로로 인해 사고가 난 적이 있는데, 그 때 왼쪽 얼굴이 마비되었다고 한다.
* 인터뷰에서 “죽는 날 관 속에 가지고 갈 것은, 그동안 치료한 환자의 명부”라고 밝힌 적이 있다.
* 인터뷰에서 '죽는 날 관 속에 가지고 갈 것은 그동안 치료한 환자의 명부'라고 밝힌 적이 있다.
* 소아정신과 의사로 유명한 [[오은영]]의 제자라고 볼 수 있다. [https://www.youtube.com/watch?v=yukamtB3Wz8 대화의 희열]에 [[오은영]]이 출연하여 “내가 교수로 재직하고 있을때 이국종이 제자로 있었다”고 밝혔다.
* 소아정신과 의사로 유명한 [[오은영]]의 제자라고 볼 수 있다. [https://www.youtube.com/watch?v=yukamtB3Wz8 대화의 희열]에 [[오은영]]이 나와 '자신이 교수로 재직하고 있을때 이국종이 제자로 있었다'고 밝혔다.


{{각주}}
{{각주}}
[[분류:대한민국의 의사]]
[[분류:대한민국의 의사]]
[[분류:대한민국의 교수]]
[[분류:대한민국의 교수]]
[[분류:전주 이씨]]
[[분류:아주대학교 동문]]
[[분류:서울 강서구 출신]]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는 다음의 숨은 분류 1개에 속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