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군전술지휘정보체계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지상전술 C4I체계.jpg|thumb]]
<big>Amry Tactical Command Infomation System(ATCIS)</big>
'''지상전술C4I체계'''(Amry Tactical Command Infomation System;ATCIS)또는 '''육군전술지휘정보체계'''는 [[대한민국 육군]] 군단급 부대에서 운용하는 [[C4I]] 체계로 2008년 전력화되었다.
 
== 개요 ==
== 개요 ==
{|style="width:100%;"
[[대한민국 육군]]에서 사용하는 전자 전술 지원 시스템.
| {{youtube|ZlkyCzSSuJ0|400||center}}
| {{youtube|cmeZAmjX8XE|400||center}}
|}
최고 관리 제대는 [[군단]]급이다. [[야전군]] 사령부는 한국군 합동지휘통제체계([[KJCCS]])를 주력으로 사용하며 ATCIS가 KJCCS에 연동되는 형태이다. 말단 관리 제대는 [[연대]]·[[여단]]이며 최하위 사용자는 [[대대]]급 지휘관 및 참모들이다. 중대급 PDA인 [[위치보고접속장치]](PRE)부터 [[대포병레이더]]까지 이것저것 많이 연동하지만, 대대급 이하 시스템에 공백이 있어 [[B2CS]]를 개발하고 있다.


1군과 3군에만 적용되어 있다가 2작사 지역에는 ATCIS-R이라는 예산 절감형 시스템이 들어갔다. 기본적인 건 동일하나 [[전술통신체계]]나 [[전술정보통신체계]]를 사용하는 전방 지역과 달리 상용망을 대여하여 사용하는 국방망을 공용하여 네트워크 구축 비용을 절감하였다.
최고 관리 제대는 [[군단]]급이다. [[야전군]] 사령부는 한국군 합동지휘통제체계([[KJCCS]])를 주력으로 사용하며 ATCIS가 KJCCS에 연동되는 형태이다. 말단 관리 제대는 [[연대]]·[[여단]]이며 최종 사용자는 [[대대]]급 지휘관 및 참모들이다. 넓게 보는 경우 중대급 PDA인 [[위치정보보고접속기]](PRE)를 본 체계에 포함한다.
 
1군과 3군에만 적용되어 있다가 2작사 지역에는 ATCIS-R이라는 예산 절감형 시스템이 들어갔다. 기본적인 건 동일하나 네트워크 형태가 달라 직접 연동이 힘들다.


== 구성 요소 ==
== 구성 요소 ==
*클라이언트 단
*클라이언트 단
** 단말기 본체  
** 단말기 본체 : 주로 IBM/Lenovo [[ThinkPad]]나 도시바 터프북이 보급되어 있다. 내용물은 [[Windows XP]]. 센트리노 시절 물건이 많기 때문에 노후화가 심각하다.<ref>[http://the300.mt.co.kr/newsView.html?no=2016092517477632856 軍 5조원대 차기전술통신망 '깡통'될 가능성 있어], 매일경제, 2016.09.26</ref>
**: 주로 IBM/Lenovo [[ThinkPad]]나 도시바 터프북이 보급되었다. 상용 장비 중에서 나름 내구성이 있는 물건들을 골라온 것이지만 실사용 환경에서는 나름 구르는지라 충격에 의한 액정 파손이나 하드디스크 고장이 자주 발생한다.<ref>김혜진, 이상훈, <육군전술지휘정보체계(ATCIS) 장애요인분석>, 2014 한국정보과학회 제41회 정기총회 및 동계학술발표회, 2014.12, 108-110</ref> 소프트웨어 고장은 상급부대가서 잘 포맷해보면 된다지만 하드웨어 파손은...
** 암호모듈 : ATCIS에 접속하기 위해 인증하는 장비이다. 고장나거나 보호가 걸리면 정보통신대대에서 처리해야 한다. [[작전병]]과 [[암호병]]을 동시에 고통받게 하는 물건.
**: 최초 전력화는 90년대~00년대에 걸처 이뤄졌기 때문에 내용물은 [[Windows XP]]. 센트리노 시절 물건이 많기 때문에 노후화가 심각하다.<ref>[http://the300.mt.co.kr/newsView.html?no=2016092517477632856 軍 5조원대 차기전술통신망 '깡통'될 가능성 있어], 매일경제, 2016.09.26</ref> 윈도우를 마개조하여 올려놔서 버그가 상당히 심했다. 2차 성능개량에서 Windows 10을 도입했고, 전용 소프트웨어를 웹 기반의 인터페이스로 전향, 차후 도입될 개방형 OS에 대한 호환성을 강화했다.
* 네트워크 연결장비 : 아날로그 장비와 디지털 장비가 있다. 둘 다 종단간 암호화를 한다.  
** 암호모듈 : ATCIS에 접속하기 위해 인증하는 장비이다. 고장나거나 보호가 걸리면 정보통신대대에서 처리해야 한다. [[작전병]]과 [[암호병]]을 동시에 고통받게 하는 물건. PC 부팅 시 PC 잠금과는 별도로 암호모듈의 키를 풀어야 하는데 이게 몇번 이상 틀리면 암호모듈이 잠겨버린다. {{ㅊ|그리고 갈굼파티 시작}}
** 아날로그 장비 : 그냥 전화[[모뎀]]이라서 속도도 극악이고 날씨가 궂으면 회선이 불안정해진다. 일단은 전화기이기 때문에 음성통화가 가능하다.
 
** 디지털 장비 : 랜 케이블로 접속한다. [[DSL]] 기술을 사용하는 것 같다.<ref>[http://www.korea.kr/policy/pressReleaseView.do?newsId=155907518 성능개량 육군 대대급 전술통신체계(SPIDER) 전력화 시작], 정책브리핑, 2013.07.15</ref>
* 네트워크 연결장비
*: 연대급 이상 제대간에는 매우 좋은 전용 네트워크가 짜여져 있으나, 대대급에서 체계에 접속하려면 전술망을 거쳐 상위제대 서버에 접속해야 한다.
** [[DSMT]] : 그냥 전화[[모뎀]]이라서 속도가 극악이고 날씨가 궂으면 회선이 불안정해진다. 일단은 전화기이기 때문에 음성통화가 가능하다. PC 연결 인터페이스는 시리얼/페러럴 포트라 신형 클라이언트 연결이 골아프다.
** 데이터분배장치 : 아날로그 장비와 같은 회선을 이용하지만 빠르고 안정적이다. 영내 네트워크를 LAN으로 꾸리기 때문에 다수 클라이언트를 연결하기 쉽다. [[DSL]] 기술을 사용하는 것 같다.<ref>[http://www.korea.kr/policy/pressReleaseView.do?newsId=155907518 성능개량 육군 대대급 전술통신체계(SPIDER) 전력화 시작], 정책브리핑, 2013.07.15</ref>
 
*서버 단
*서버 단
** 집선기: DSMT 통신시 예하 부대의 신호를 모으는 역할을 한다.
** 쉘터 차량 : 유사시 빠른 이동을 위해 서버를 쉘터에서 운용하며, 건물 내에서는 원격으로 따서 사용한다. 발전기 트레일러가 부속으로 따라 붙는다.
** 쉘터 차량 : 유사시 빠른 이동을 위해 서버를 쉘터에서 운용하며, 건물 내에서는 원격으로 따서 사용한다. 구형 쉘터는 [[두돈반]]에 발전기 트레일러가 부속으로 따라 붙어 크고 거추장스러웠으나, 2차 성능개량 쉘터는 소형전술차량에 발전기가 내장되어 컴팩트하다.
** 서버 본체 : 주/예비 2대로 운용되며, 실시간 [[백업]]을 통해 운용 안정성을 유지한다. 서버 기능 유지를 위해 주기적으로 주/예비를 교체하여 사용한다.
** 서버 본체 : 주/예비 2대로 운용되며, 실시간 [[백업]]을 통해 운용 안정성을 유지한다. 서버 기능 유지를 위해 주기적으로 주/예비를 교체하여 사용한다.


30번째 줄: 22번째 줄:
단말기 덩어리가 암호자재나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원칙적으로 간부가 만져야 하지만 작전병이나 상황[[근무]]서는 병사에게 맡겨지는 경우가 많다. {{--|그리고 주말에 암호 모듈 잠겨서 사단 간다}}
단말기 덩어리가 암호자재나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원칙적으로 간부가 만져야 하지만 작전병이나 상황[[근무]]서는 병사에게 맡겨지는 경우가 많다. {{--|그리고 주말에 암호 모듈 잠겨서 사단 간다}}


서버 운용은 별도의 주특기가 나오며, [[기술행정병]]으로도 모집한다. 시스템 구조 상 못해도 연대급 위로 배치되는 괜찮은 보직이지만, 예하 부대 단말 트러블 처리와 서버 관리를 같이 해야 한다. 대대급에는 ATCIS 운용 특기병이 없고,{{ㅈ|위에서 말했듯이 ATCIS 사용자는 각 제대별 참모부 명의로 되어 있고, 병사는 서버 운용 보조를 하는 주특기이므로 대대에 T/O가 날 이유가 없다. }} 뭘 좀 해보려면 연대 서버 권한이 필요하기 때문에 예하 부대 지휘통제실에서 ATCIS가 안 되면 상급 부대 운용병을 찾는 데, 컴퓨터에 무지한 사람 붙잡고 설명하는 게 정말 어렵다. 밤낮가리지 않고 운용병을 찾기 때문에 고달픈 편.{{ㅊ|포맷해달라고 들고가면 얼타는 건 어딜가도 똑같다}}
서버 운용은 별도의 주특기가 나오며, [[기술행정병]]으로도 모집한다. 예하 부대 단말 트러블 처리와 서버 관리를 같이 해야 한다. 대대급에는 ATCIS 운용 특기병이 없고, 뭘 좀 해보려면 연대 서버 권한이 필요하기 때문에 예하 부대 지휘통제실에서 ATCIS가 안 되면 상급 부대 운용병을 찾는 데, 컴퓨터에 무지한 사람 붙잡고 설명하는 게 정말 어렵다. 밤낮가리지 않고 운용병을 찾기 때문에 고달픈 편.
 
{{각주}}
{{각주}}
[[분류:대한민국 육군]]
[[분류:대한민국 육군]]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이 문서는 다음의 숨은 분류 1개에 속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