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비트 페스토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틀:BEMANI 시리즈}}
{{틀:유비트 시리즈}}
= 개요 =
[[파일:jubeat_festo_main.jpg|썸네일]]
{{게임 정보
{{게임 정보
|게임이름 = 유비트 페스토
| 제목            = 유비트 페스토
|원어이름 = jubeat festo
| 원제목          = jubeat festo
|배경색  =
| 개발사          = [[코나미]]
|글자색  =  
| 발행사          = [[코나미]] 어뮤즈먼트
|그림    = [[파일:jubeat festo main.jpg|300px]]
| 배급사          = {{국기그림|일본}} [[코나미]] 어뮤즈먼트<br>{{국기그림|대한민국}} [[유니아나]]
|그림설명 =  
| 시리즈          = [[유비트 시리즈]]
|배급사  = [[코나미]] 어뮤즈먼트
| 버전            =  
|개발사  = [[코나미]]
| 아케이드 시스템 = Windows Embedded
|제작    =  
| 가동시기        = {{국기그림|일본}} 2018년 9월 5일 ~ <br>{{국기그림|대한민국}} 2018년 9월 10일 ~
|작가    =  
| 장르           = [[리듬 게임]]
|미술    =  
| 기획가          =  
|작곡가  =
| 작곡가          =  
|장르     = [[리듬 게임]]
| 이용가 등급     = {{국기그림|대한민국}} 전체 이용가
|출시일  =  
| 이전작         = [[유비트 클랜]]
|종료일  =
| 후속작         = 미정
|플랫폼  =  
| 웹사이트       = ㅁㄴㅇㄹ
|모드     =  
|언어    =
|엔진    =
|시리즈  = [[유비트 시리즈]]
|이전작   = [[유비트 클랜]]
|후속작   = 미정
|웹사이트 =  
|비고    =
}}
}}
  '''いつだって、ウェルカム!<br />언제라도, 환영합니다!'''
 
  '''いつだって、ウェルカム!<br>언제라도, 환영합니다!'''
{{Youtube|Hh8yMFR736M}}
{{Youtube|Hh8yMFR736M}}
[[코나미]] 어뮤즈먼트에서 [[2018년]] [[9월 5일]]에 출시한 [[유비트 시리즈]]의 10번째 작품이다. [[대한민국]]에서는 이날 심의를 통과하여<ref>https://www.grac.or.kr/Statistics/Popup/Pop_StatisticsDetails.aspx?d15841286a054cb63ca116d79b4a66c5a6c813a6a053e8e5ec12581d53453bb0</ref> 그로부터 5일 뒤인 [[2018년]] [[9월 10일]]부터 기존에 가동되고 있던 모든 기체들을 대상으로 온라인 업데이트를 통해 배포되기 시작했다.<br />
[[코나미]] 어뮤즈먼트에서 [[2018년]] [[9월 5일]]에 출시한 [[유비트 시리즈]]의 10번째 작품이다. [[대한민국]]에서는 이날 심의를 통과하여<ref>https://www.grac.or.kr/Statistics/Popup/Pop_StatisticsDetails.aspx?d15841286a054cb63ca116d79b4a66c5a6c813a6a053e8e5ec12581d53453bb0</ref> 그로부터 5일 뒤인 [[2018년]] [[9월 10일]]부터 기존에 가동되고 있던 모든 기체들을 대상으로 온라인 업데이트를 통해 배포되기 시작했다.<br>
<br />
<br>
 
== 개요 ==
'''festo'''라는 타이틀은 [[에스페란토]]로 '축하, 축제'라는 뜻을 가진 단어로, 본격적으로 [[유비트 시리즈]]의 '''10주년 기념작'''<ref>[[유비트 시리즈]]의 최초의 작품인 [[유비트]]는 [[2008년]] [[7월 24일]]에 출시되었으며, [[2018년]] [[7월 24일]]부로 10주년을 맞았다.</ref>을 표방하고 나온 작품이다. 이러한 타이틀과 컨셉에 맞춰 게임의 UI와 시스템 사운드도 남국풍의 축제를 연상시키는 밝은 분위기로 디자인되었다.
'''festo'''라는 타이틀은 [[에스페란토]]로 '축하, 축제'라는 뜻을 가진 단어로, 본격적으로 [[유비트 시리즈]]의 '''10주년 기념작'''<ref>[[유비트 시리즈]]의 최초의 작품인 [[유비트]]는 [[2008년]] [[7월 24일]]에 출시되었으며, [[2018년]] [[7월 24일]]부로 10주년을 맞았다.</ref>을 표방하고 나온 작품이다. 이러한 타이틀과 컨셉에 맞춰 게임의 UI와 시스템 사운드도 남국풍의 축제를 연상시키는 밝은 분위기로 디자인되었다.


[[분류:유비트 시리즈]]
[[분류:유비트 시리즈]]


== 새로운 요소 ==
= 업데이트 내용 =
=== 난이도 분류 체계 개선 ===
== 난이도 분류 체계 개선 ==
{| class="wikitable"  
{| class="wikitable"  
! colspan="10" | [[유비트]] ~ [[유비트 클랜]]까지의 난이도 체계
! colspan="10" | [[유비트]] ~ [[유비트 클랜]]까지의 난이도 체계
71번째 줄: 66번째 줄:
그래서 [[유비트 페스토]]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바로잡기 위해 레벨 분류 체계를 개선하였다. 레벨 1부터 8까지는 이전과 같은 방식으로 분류하지만, 레벨 9와 10에 대해서는 '''소숫점 한 자리'''까지 분류하도록 하여 체감 난이도를 자연스레 유추할 수 있게 함으로써 난이도 파편화로 일어나는 문제를 해결하였다.
그래서 [[유비트 페스토]]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바로잡기 위해 레벨 분류 체계를 개선하였다. 레벨 1부터 8까지는 이전과 같은 방식으로 분류하지만, 레벨 9와 10에 대해서는 '''소숫점 한 자리'''까지 분류하도록 하여 체감 난이도를 자연스레 유추할 수 있게 함으로써 난이도 파편화로 일어나는 문제를 해결하였다.


=== 유빌리티 시스템 개편 ===
== 유빌리티 시스템 개편 ==
기본적으로 [[유비트 클랜]]에서의 유빌리티와 시스템이 유사하지만<ref>곡마다 유빌리티 점수를 부여하여 기록 상위 30곡의 성적을 기준으로 유빌리티 수치를 산정하는 방식으로, 계산 방식의 특성상 유빌리티가 하락하는 경우는 존재하지 않는다.</ref> 총 유빌리티 수치를 표시하는 형식이 기준 점수제(0.00 ~ 14.00)에서 포인트제(0 ~ 9500+)로 개편되었다. 또한 유빌리티 산정 기준도 '''pick up'''<ref>[[유비트 페스토]]에서 수록된 곡</ref> 분류에 속하는 30곡과 '''common'''<ref>[[유비트 페스토]] 이전에 수록된 구곡</ref> 분류에 속하는 30곡을 대상으로 확대되었다는 변경점이 있다.
기본적으로 [[유비트 클랜]]에서의 유빌리티와 시스템이 유사하지만<ref>곡마다 유빌리티 점수를 부여하여 기록 상위 30곡의 성적을 기준으로 유빌리티 수치를 산정하는 방식으로, 계산 방식의 특성상 유빌리티가 하락하는 경우는 존재하지 않는다.</ref> 총 유빌리티 수치를 표시하는 형식이 기준 점수제(0.00 ~ 14.00)에서 포인트제(0 ~ 9500+)로 개편되었다. 또한 유빌리티 산정 기준도 '''pick up'''<ref>[[유비트 페스토]]에서 수록된 곡</ref> 분류에 속하는 30곡과 '''common'''<ref>[[유비트 페스토]] 이전에 수록된 구곡</ref> 분류에 속하는 30곡을 대상으로 확대되었다는 변경점이 있다.


{| class="wikitable"  
{| class="wikitable"  
! 등급
! | 등급 !! 충족 조건
! 충족 조건
|- align=center
|- align=center
| style="background: #c9a22b; color: white;" | '''Gold
| style="background: #c9a22b; color: white;" | '''Gold
109번째 줄: 103번째 줄:
|}
|}


=== emo와 T-emo ===
== emo와 T-emo ==
[[유비트 클랜]]의 OMIYAGE와 같이 [[유비트 페스토]]에서는 '''emo'''<ref>😊이모지(emoji)를 모티브로 하였다.</ref>라는 이름의 재화가 사용되며, 곡을 플레이할 때마다 emo를 적립받아<ref>카테고리의 '주간 추천곡' 범주에 있는 곡들을 플레이하면 emo를 평상시보다 약 '''3배'''에 가깝게 적립할 수 있다.</ref> SHOP에서 곡이나 기타 아이템을 구매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emo는 또 일반적인 '''emo'''와 '''T-emo'''<ref>'''Trend-emo'''의 준말.</ref>의 두 가지 종류로 나뉘는데, T-emo는 매달마다 한정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는 emo로 해당되는 달 안에만 적립 및 사용이 가능하다.<ref>미처 다 사용하지 못한 채 해당 달을 넘긴 T-emo는 그 다음 달부터 일반 emo로 전환된다.</ref>
[[유비트 클랜]]의 OMIYAGE와 같이 [[유비트 페스토]]에서는 '''emo'''<ref>😊이모지(emoji)를 모티브로 하였다.</ref>라는 이름의 재화가 사용되며, 곡을 플레이할 때마다 emo를 적립받아<ref>주간 추천곡을 플레이하면 emo를 평상시보다 약 '''3배'''에 가깝게 적립할 수 있다!</ref> SHOP에서 곡이나 기타 아이템을 구매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emo는 또 일반적인 '''emo'''와 '''T-emo'''<ref>'''Trend-emo'''의 줄임말.</ref>의 두 가지 종류로 나뉘는데, T-emo는 매달마다 한정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는 emo로 해당되는 달 안에만 적립 및 사용이 가능하다.<ref>미처 다 사용하지 못하고 개월을 넘긴 T-emo는 그 달부터 일반 emo로 전환된다.</ref>
 
=== TUNE RUN ===
[[비트매니아 IIDX 시리즈]]의 '단위인정'과 비슷한 성격의 컨텐츠로, 미리 지정되어 있는 3곡으로 이루어진 코스를 플레이하여 기준 점수 이상을 달성할 시 T-emo 적립이나 악곡 해금 등과 같은 보상을 얻을 수 있다.
 
== 진행된 이벤트 ==
=== jubeat 대회고전 ===
[[유비트 시리즈]]의 10주년을 맞아 그동안 나왔던 시리즈의 모든 작품들을 돌아보는 컨셉으로 [[2018년]] [[9월 13일]]부터 [[2018년]] [[12월 31일]]까지 진행된 이벤트이다. 본 이벤트를 통하여 총 10종의 신규 해금곡이 공개되었다.
 
{| class="wikitable"
! ROOM
! 개시 일자
! 버전
! 해금곡
|- align=center
| ROOM 1
| [[2018년]] [[9월 13일]]
| style=background:#08090e; align=center | {{색|white|유비트 소서 풀필|링크=true}}
| Dream drip macchiato
|- align=center
| ROOM 2
| [[2018년]] [[9월 20일]]
| style=background:#faca00; align=center | {{색|black|유비트 니트|링크=true}}
| 幸せが鳴る夜に
|- align=center
| ROOM 3
| [[2018년]] [[9월 27일]]
| style=background:#ffffff; align=center | [[유비트 프롭|{{색|#ff3a7d|유비트}} {{색|#00b2ee|프롭}}]]
| Pegasus
|- align=center
| ROOM 4
| [[2018년]] [[10월 4일]]
| style=background:#0e1431; align=center | {{색|white|유비트 코피어스|링크=true}}
| Welcome to the Mosh Pit
|- align=center
| ROOM 5
| [[2018년]] [[10월 11일]]
| style=background:#cdd5df; align=center | [[유비트 큐벨|{{색|#19212b|유비트 큐벨}}]]
| Gliter Cube
|- align=center
| ROOM 6
| [[2018년]] [[10월 18일]]
| style=background:#65bfb0; align=center | {{색|white|유비트 리플즈|링크=true}}
| 雨上がりの空に
|- align=center
| ROOM 7
| [[2018년]] [[10월 25일]]
| style=background:#f4f4f4; align=center | {{색|black|유비트 소서|링크=true}}
| Radius
|- align=center
| ROOM 8
| [[2018년]] [[11월 1일]]
| style=background:#2c2c2c; align=center | [[유비트 클랜|{{색|#FFFFFF|유}}{{색|#fb2558|비}}{{색|#b2d91e|트}} {{색|#5dcdcf|클}}{{색|#bf98ce|랜}}]]
| 少女、摩天楼へ
|- align=center
| ROOM 9
| [[2018년]] [[11월 8일]]
| style=background:#000e3b; align=center | {{색|white|유비트|링크=true}}
| ROCK ju
|- align=center
| ROOM 10
| [[2018년]] [[11월 8일]]
| style=background:#000000; align=center | {{색|#ffa300|유비트 프로토타입}}
| pedigree
|}
 
=== FLOOR INFECTION 제33회 ===
[[사운드 볼텍스 IV 헤븐리 헤이븐]]를 플레이하여 [[사운드 볼텍스 시리즈]]에서 [[유비트 시리즈]]로 이식된 FLOOR 악곡을 해금할 수 있던 이벤트로, [[2018년]] [[11월 15일]]부터 [[2018년]] [[12월 3일]]까지 진행되었다. 본 이벤트를 통하여 [[사운드 볼텍스 시리즈]]에서 총 3곡의 FLOOR 악곡이 이식 수록되었다.
 
{| class="wikitable"
! 곡명
! 작곡가
! BPM
! 홀드 마커
! BSC
! ADV
! EXT
|- align=center
| Apex of the World
| uma&hurirai feat.ましろ
| 169
| ×
| style="color: #008000;" | 3
| style="color: #FFA500;" | 6
| style="color: #FF1A40;" | 9.2
|- align=center
| 僕らの時間
| テヅカ feat. 大西あみみ
| 214
| ○
| style="color: #008000;" | 3
| style="color: #FFA500;" | 8
| style="color: #FF1A40;" | 10.0
|- align=center
| Beyond the BLUE
| Ayato × sak × 田島千種
| 132
| ○
| style="color: #008000;" | 2
| style="color: #FFA500;" | 6
| style="color: #FF1A40;" | 10.4
|}
 
=== PJ MATCH ===
[[유비트 클랜]]에서 진행되었던 '거리대항전'과 비슷한 성격을 가진 이벤트로, [[유비트 페스토]]를 플레이하는 모든 유저들을 무작위로 두 곳의 진영으로 나누어 팀 간 포인트 경쟁을 통해 승리한 진영에 속한 플레이어들에게 emo 등의 보상을 지급하는 이벤트이다.<br />
<br />
PJ MATCH 진행 기간 중에는 악곡을 플레이할수록 '''fav'''라는 이름의 포인트가 적립되고 자신이 속한 진영의 총 fav 보유 수가 올라가는데, 두 진영 간의 경쟁은 총 fav 보유 수를 기준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fav를 일정량만큼 적립하면 플레이어에게 악곡, 마커, 유비벨 등의 개인적인 보상을 지급했다.
==== 1회 - 고양이 vs 강아지 ====
{|class="wikitable"
! colspan="4" | PJ MATCH 제1회
|- align=center
| 진행 기간
| colspan="3" | [[2019년]] [[2월 28일]] ~ [[2019년]] [[3월 20일]]
|- align=center
| 진영
| style="color: #cf53b3;" | {{루비|ネコ|고양이}}
| vs
| style="color: #4cace2;" | {{루비|イヌ|강아지}}
|- align=center
| fav 총합
| '''6,924,613'''
|
| 6,653,040
|- align=center
| 결과
| '''승'''
|
| 패
|}
 
{|class="wikitable"
! 필요 fav
! 보상
|- align=center
| 10
| 칭호 「'''{{루비|イヌネコ|강아지와 고양이}}'''{{루비|派|파}}<ref>굵게 표시된 부분은 조합용 파츠</ref>」
|- align=center
| 100
| jbox 100 pieces
|- align=center
| 200
| 플레이 배경 「コタローとねんごろねこ」
|- align=center
| 300
| 보너스 튠 게이지 200 ten
|- align=center
| 400
| 악곡 「スノーホワイト」
|- align=center
| 500
| 유비벨 「ワンニャン」
|- align=center
| 9999
| 칭호 「{{루비|全ては|모든 것은}}'''{{루비|イヌネコ|강아지와 고양이}}'''{{루비|の為に|를 위해}}<ref>굵게 표시된 부분은 조합용 파츠</ref>」
|}
 
==== 2회 - 히나비타♪ vs 코코나츠 ====
{|class="wikitable"
! colspan="4" | PJ MATCH 제2회
|- align=center
| 진행 기간
| colspan="3" | [[2019년]] [[4월 15일]] ~ [[2019년]] [[5월 6일]]
|- align=center
| 진영
| style="color: #cf53b3;" | {{루비|日向美ビタースイーツ♪|히나비타}}
| vs
| style="color: #4cace2;" | {{루비|ここなつ|코코나츠}}
|- align=center
| fav 총합
| 11,694,828
|
| '''12,592,043'''
|- align=center
| 결과
| 패
|
| '''승'''
|}
 
{|class="wikitable"
! 필요 fav
! 보상
|- align=center
| 10
| 칭호 「{{루비|パジャマ|파자마}}'''{{루비|パーティ!|파티!}}'''<ref>굵게 표시된 부분은 조합용 파츠</ref>」
|- align=center
| 100
| jbox 100 pieces
|- align=center
| 200
| 플레이 배경 「ひなビタ♪」
|- align=center
| 400
| 악곡 「ヒカリユリイカ」
|- align=center
| 700
| 마커 「ひなビタ♪」
|- align=center
| 1000
| 악곡 「革命パッショネイト」
|- align=center
| 9999
| 칭호 「'''{{루비|ひなビタ♪|히나비타♪}}'''{{루비|は現実|는 현실}}<ref>굵게 표시된 부분은 조합용 파츠</ref>」
|}
 
=== 플래그 랠리 ===
일정 기간 동안 [[유비트 페스토]]를 플레이하여 애니메이션 라이센스 악곡을 해금할 수 있는 이벤트이다. 총 2회에 걸쳐 약 3주 간에 진행되었으며, 1회는 [[2019년]] [[3월 14일]]부터 [[3월 24일]]까지, 2회는 [[2019년]] [[3월 25일]]부터 [[4월 7일]]까지 진행되었다.<br />
{| class="wikitable"
! 이벤트 회차
! 곡명
! 작곡가
! BPM
! 홀드 마커
! BSC
! ADV
! EXT
|- align=center
| 1회
| ハム太郎とっとこうた(すーぱーとっとこみっくす)
| Remixed by BEMANI Sound Team "DJ TOTTO" feat.[[나나히라|ななひら]]
| 140
| ×
| style="color: #008000;" | 3
| style="color: #FFA500;" | 5
| style="color: #FF1A40;" | 8
|- align=center
| 2회
| 花ハ踊レヤいろはにほ(ハピネス mix)
| Remixed by BEMANI Sound Team "D.J.KOBINATA" feat.Kuroa*
| 174
| ×
| style="color: #008000;" | 3
| style="color: #FFA500;" | 7
| style="color: #FF1A40;" | 9.0
|}
 
=== 스미스와 석판의 수수께끼 ===
[[2019년]] [[7월 8일]]부터 [[9월 1일]]까지 게임 내에서 제시된 수수께끼의 내용을 따라 [[유비트 페스토]]를 플레이하여 오리지널 악곡 2개를 해금할 수 있는 이벤트이다. 이벤트 당시 제시되었던 수수께끼의 해석과 해금 대상 악곡은 다음과 같다.<br />
{| class="wikitable"
! 페이즈
! 수수께끼 해석
|- align=center
| rowspan="13" | 1
|-
| 일정 확률로 Loading 화면에서 표출되는 악곡
|-
| jubeat 대회고전의 [[유비트 소서 풀필]] ROOM에서 소개된 악곡
|-
| 유빌리티 수치가 집계된 pick up 악곡 수에 따른 보상으로 지급되는 악곡
|-
| ALL RANDOM SELECT를 선택하여 나오는 악곡
|-
| [[기타도라 시리즈]]에서 이식된 악곡
|-
| [[사운드 볼텍스 시리즈]]로 이식된 [[유비트 시리즈]]의 악곡
|-
| [[노스텔지어 시리즈]]와 [[유비트 시리즈]]에 동시 수록되어 있는 악곡
|-
| 악곡에 관계없이 [2] 보면
|-
| 공식 사이트에서 [[2018년]] [[9월 5일]]에 게시된 뉴스에서 언급된 악곡
|-
| Mutsuhiko Izumi 명의로 작곡된 악곡
|-
| [[유비트 니트]]에서 APPEND FESTIVAL을 통해 수록된 악곡
|-
| 임의로 선정된 EDIT 보면들의 원곡에 해당하는 악곡
|}


=== 이치카의 BEMANI 투표선발전 2019 ===
== TUNE RUN ==


{{유비트 시리즈}}
= 이벤트 =
== jubeat 대회고전 ==
== FLOOR INFECTION 제33탄 ==
== PJ MATCH ==
=== 1회 - 고양이 vs 강아지 ===
=== 2회 - 히나비타 vs 코코나츠 ===
== 플래그 랠리 ==
== 스미스와 석판의 수수께끼 ==
== 이치카의 BEMANI 투표선발전 2019 ==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는 다음의 숨은 분류 1개에 속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