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로 트럭 시뮬레이터 2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분류:유로 트럭 시뮬레이터 2| ]]
[[분류:2012년 비디오 게임]]
{{게임 정보
{{게임 정보
|게임이름 = 유로 트럭 시뮬레이터 2
|게임이름 = 유로 트럭 시뮬레이터 2
6번째 줄: 4번째 줄:
|배경색  =  
|배경색  =  
|글자색  =  
|글자색  =  
|그림    = [[파일:Euro truck simulator 2.png|400픽셀]]
|그림    = [[파일:Euro truck simulator 2.png|200픽셀]]
|그림설명 =  
|그림설명 =  
|배급사  = SCS 소프트웨어
|배급사  = SCS 소프트웨어
14번째 줄: 12번째 줄:
|미술    =  
|미술    =  
|작곡가  =  
|작곡가  =  
|장르    = 드라이빙 시뮬레이터, 오픈 월드, 경영 시뮬레이터
|장르    = 시뮬레이터
|출시일  = 2012년 10월 19일
|출시일  =  
|종료일  =  
|종료일  =  
|플랫폼  = [[Windows]], [[macOS]], [[리눅스]]
|플랫폼  = [[Windows]], [[Mac OS X]], [[리눅스]]
|모드    = 싱글플레이, 멀티플레이<ref>콘보이라는 이름으로 1.41 업데이트로 공식적으로 지원한다.</ref>
|모드    = 싱글플레이
|언어    = 한국어 포함 다국어
|언어    = 한국어 지원
|엔진    = Prism3D
|엔진    =  
|시리즈  = SCS 트럭 시뮬레이터 시리즈
|시리즈  = 유로 트럭 시뮬레이터 시리즈
|이전작  = [[유로 트럭 시뮬레이터]]
|이전작  = [[유로 트럭 시뮬레이터]]
|후속작  = [[아메리칸 트럭 시뮬레이터]]
|후속작  = [[아메리칸 트럭 시뮬레이터]]
|웹사이트 = [https://eurotrucksimulator2.com]
|웹사이트 = [[https://eurotrucksimulator2.com]]
|비고    =  
|비고    =  
}}
}}
《'''유로 트럭 시뮬레이터 2'''》({{영어|Euro Truck Simulator 2}})는, [[체코]]의 SCS 소프트웨어에서 [[2012년]] 10월 19일에 출시한 PC용 [[트럭]] 운전 [[시뮬레이션]] 게임이다. [[Windows]], [[macOS]], [[리눅스]] 세 플랫폼을 지원한다.
《'''유로 트럭 시뮬레이터 2'''》({{영어|Euro Truck Simulator 2}})는, [[체코]]의 SCS 소프트웨어에서 [[2012년]]에 만든 PC용 [[트럭]] 운전 [[시뮬레이션]] 게임이다. [[윈도우]], [[OS X]], [[리눅스]] 세 플랫폼을 지원한다.


== 특징 ==
== 특징 ==
운송 및 경영 시뮬레이션 게임이다. 다른 운전 게임과는 달리 절대로 '''[[레이싱 게임]]이 아니다!''' 목표 지점까지 짐을 손상없이 안전하게 실어야 하는 게임이다. 과속을 하거나 신호 위반등의 행위들을 하면 벌금을 물게 되며 충돌하면 트럭 및 트레일러 내구도뿐 아니라 심하면 짐까지 손상되고, 짐이 손상되면 임무를 완료했을 때 받을 수 있는 돈이 감소되므로 최대한 안전하게 짐을 운전하는 것이 이 게임의 핵심.
운송 및 경영 시뮬레이션 게임이다. 다른 운전 게임과는 달리 절대로 '''[[레이싱 게임]]이 아니다!''' 목표 지점까지 짐을 손상없이 안전하게 실어야 하는 게임이다. 과속을 하거나 신호 위반등의 행위들을 하면 벌금을 물며 충돌하면 트럭 및 트레일러 내구도뿐 아니라 잘못하면 짐까지 손상되고, 짐이 손상되면 임무를 완료했을 때 받는 돈이 감소되므로 최대한 안전하게 짐을 운전하는 것이 이 게임의 핵심.


== 입문 ==
== 입문 ==
처음 시작 시 플레이어는 프로필을 만들고, 로딩 후 자신의 회사를 어디에 설립할 것인지를 결정하게 된다. 운송회사를 설립했다 하더라도 바로 본인의 차량을 소유할 수 없고 아르바이트(빠른 작업)를 통해 자금을 마련한 뒤 차고를 늘리고 새 트럭 및 기사들을 고용하는 방식으로 사업을 확장해 나가야 한다.
처음 시작 시 플레이어는 프로필을 만들고, 이후 자신의 회사를 어디에 설립할 것인지를 결정하게 된다. 운송회사를 설립했다 하더라도 바로 본인의 차량을 소유할 수 없고 아르바이트(빠른 작업)를 통해 자금을 마련한 뒤 차고를 늘리고 새 트럭 및 기사들을 고용하는 방식으로 사업을 확장해 나가야 한다.
* 컨트롤러
* 컨트롤러
*: 차량의 가감속과 핸들 조정을 무엇으로 할 것이냐에 따라 컨트롤러가 결정된다. 가장 좋은 것은 레이싱휠이지만, 기존에 레이싱휠이 있었던 것이 아닌 이상 고가의 컨트롤러인 휠을 선뜻 권하기는 어렵다. 조이스틱도 사용할 수 있으며, 아날로그 스틱이 있는 경우 엑셀과 브레이크를 할당해두면 선형적인 입력을 줄 수 있다.
*: 차량의 가감속과 핸들 조정을 무엇으로 할 것이냐에 따라 컨트롤러가 결정된다. 가장 좋은 것은 레이싱휠이지만, 기존에 레이싱휠이 있었던 것이 아닌 이상 고가의 컨트롤러인 휠을 선뜻 권하기는 어렵다. 조이스틱도 사용할 수 있으며, 아날로그 스틱이 있는 경우 엑셀과 브레이크를 할당해두면 선형적인 입력을 줄 수 있다.
57번째 줄: 55번째 줄:
*: 2개 도시가 있는 데, 옆동네 룩셈부르크와 비교하면 1개 도시 규모를 2개로 쪼개놨다는 느낌을 지울 수 없다.
*: 2개 도시가 있는 데, 옆동네 룩셈부르크와 비교하면 1개 도시 규모를 2개로 쪼개놨다는 느낌을 지울 수 없다.
* {{나라|스위스}}
* {{나라|스위스}}
*: 톨게이트는 없지만 이탈리아로 향하는 알프스 산맥을 넘는 건 고역 그 자체. 알프스 산맥을 통과하지 않는 우회 구간을 찾는 것을 추천한다. 1.44 업데이트로 전 지역이 리빌딩되었다.
*: 톨게이트는 없지만 이탈리아로 향하는 알프스 산맥을 넘는 건 고역 그 자체. 알프스 산맥을 통과하지 않는 우회 구간을 찾는 것을 추천한다. 1.44 업데이트로 전 지역이 리빌딩될 예정이다.
* {{나라|오스트리아}}
* {{나라|오스트리아}}
*: 톨게이트는 없지만 독일보다는 길이 조금 열악한 편. 독일에서 넘어갈 때 국도로 넘어가면 높은 산을 하나 넘게 된다.
*: 톨게이트는 없지만 독일보다는 길이 조금 열악한 편. 독일에서 넘어갈 때 국도로 넘어가면 높은 산을 하나 넘게 된다.
112번째 줄: 110번째 줄:
* {{나라|불가리아}}
* {{나라|불가리아}}
*: 러시아에 이어 표지판에 키릴 문자를 사용하는 두번째 국가로, 러시아와 상당히 유사한 환경을 지니고 있는 것이 특징.  
*: 러시아에 이어 표지판에 키릴 문자를 사용하는 두번째 국가로, 러시아와 상당히 유사한 환경을 지니고 있는 것이 특징.  
* {{나라|튀르키예}}
* {{나라|터키}}
*: 동트라키아 지역만 구현되었으며, 큰 특징으로는 [[아메리칸 트럭 시뮬레이터]]에서 먼저 선보였던 과적 검문소가 톨게이트 곳곳에 있다는 점. 다른 국가들과는 다르게 터키에서의 [[갓길]] 주행은 불법으로 간주하고 벌금을 물기에 운전에 주의할 것.
*: 동트라키아 지역만 구현되었으며, 큰 특징으로는 [[아메리칸 트럭 시뮬레이터]]에서 먼저 선보였던 과적 검문소가 톨게이트 곳곳에 있다는 점. 다른 국가들과는 다르게 터키에서의 갓길 주행은 불법으로 간주하고 벌금을 물기에 운전에 주의할 것.


=== Iberia DLC ===
=== Iberia DLC ===
121번째 줄: 119번째 줄:
* {{나라|스페인}}
* {{나라|스페인}}
*: 도시 구현도가 역대 최고 수준으로, 도로망도 잘 갖춰진 국가이다.
*: 도시 구현도가 역대 최고 수준으로, 도로망도 잘 갖춰진 국가이다.
=== West Balkans DLC ===
발칸 서부를 다루는 DLC로 다음은 West Balkans DLC에서 다루는 국가들이다. 아쉽게도 {{나라|그리스}}는 해당 계획에서 빠지게 되었다.<ref>그리스는 발칸 서부에 해당되지 않기 때문으로 보이며, 추후 다른 DLC로 나올 가능성이 존재한다.</ref>
* {{나라|코소보}}
*: 미승인국 관련 문제로 인해 DLC에서 짤릴 줄 알았으나, 출시 이전부터 해당 영토가 점선으로 그려져 있었고 이후 의외로 정식으로 추가될 예정인 '''ETS2 최초의 미승인국'''. 하지만 정작 러시아 DLC 출시는 미루면서도 미승인국인 코소보를 왜 추가하냐는 평가가 주를 이루고 있으며<ref>유명한 맵 확장 모드인 [[ProMods]]마저도 미승인국이라는 문제로 인해 해당 국가는 구현을 하지 않았다.</ref>, 진작에 그럴꺼면 러시아 DLC도 무기한 연기 없이 예정대로 출시되었어야 한다는 평이 대다수이다.
* {{나라|크로아티아}}
* {{나라|몬테네그로}}
* {{나라|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
* {{나라|북마케도니아}}
* {{나라|알바니아}}
* {{나라|세르비아}}
* {{나라|슬로베니아}}


== 화물 ==
== 화물 ==
154번째 줄: 139번째 줄:
*: 스칸디나비아 3국의 몇몇 굴절 트레일러 화물이나 Heavy Cargo Pack을 구매하면 개방된다. 25톤 이상의 화물들이 중량물로 분류된다. 5~600마력에 6×4 정도는 되어야 수월하다. 깡마력에 4×2여도 견인 자체는 가능한데, 채석장이나 농장의 흙길에서 바퀴가 헛돌면서 문제가 될 수 있다.
*: 스칸디나비아 3국의 몇몇 굴절 트레일러 화물이나 Heavy Cargo Pack을 구매하면 개방된다. 25톤 이상의 화물들이 중량물로 분류된다. 5~600마력에 6×4 정도는 되어야 수월하다. 깡마력에 4×2여도 견인 자체는 가능한데, 채석장이나 농장의 흙길에서 바퀴가 헛돌면서 문제가 될 수 있다.
* 오버사이즈 <small>(DLC)</small>
* 오버사이즈 <small>(DLC)</small>
*: Special Transport DLC를 구매하면 개방된다. 목록에서 적-백 줄무늬가 붙어있는 화물. 일반적인 중량물의 2배에 육박하는 무게는 둘째치고 화물의 좌우폭이 매우 넓어 도로변의 장애물에 주의하면서 운송해야 한다. 호송 차량에 의해 저속(60km/h 이하)으로 운행하며, 운송 차량의 우선 통과를 위한 도로 통제를 한다. 이동 경로를 플레이어가 임의로 변경할 수 없으며, 주유나 휴식을 위해 휴게소에 들어가는 것도 경로 이탈로 간주하기 때문에 자차로 들어가면 자동 연결 및 피로도 리셋과 주유를 같이 진행한다. 호송 차량과 충돌하거나 경로를 이탈할 경우 미션에 실패하며 체크포인트에서 다시 시작해야 한다.
*: Special Transport DLC를 구매하면 개방된다. 목록에서 적-백 줄무늬가 붙어있는 화물. 일반적인 중량물의 2배에 육박하는 무게는 둘째치고 화물의 좌우폭이 매우 넓어 도로변의 장애물에 주의하면서 운송해야 한다. 호송 차량에 의해 저속(60km/h 이하)으로 운행하며, 운송 차량의 우선 통과를 위한 도로 통제를 한다. 이동 경로를 플레이어가 임의로 변경할 수 없으며, 주유나 휴식을 위해 휴게소에 들어가는 것도 경로 이탈로 간주하기 때문에 자차로 들어가면 자동 연결 및 피로도 리셋과 주유를 같이 진행한다.


==차량 ==
==차량 ==
=== 제조사 ===
=== 제조사 ===
==== DAF ====
* DAF
[[네덜란드]]의 상용차 제작 회사. 출시 당시에는 라이선스를 취득하지 못해 임시로 DAV라는 명칭을 사용하였다.
*: [[네덜란드]]의 회사. EURO6 모델이 초기 마력이 좋지만 후반에는 다른 차보다 마력이 낮아서 오래 탈 차는 아니다. 이 회사의 차들은 발차속도는 괜찮으나 브레이크가 별로 쓸만하지 않아 감속시 신경을 좀 써야 한다. 1.40 업데이트로 DAF XG/XG+ 모델이 추가되었다.
* 르노 트럭
* DAF XF105
*: 브레이킹이 조금 좋다는 걸 제외하면 차 성능도 특별하지 않기 때문에 유저들에게 외면받는 브랜드. 14년까지만 해도 샤시가 4x2만 존재했으나 1.17패치 이후 다른 회사와 마찬가지로 6x2, 6x2/4, 6x4와 같은 모든 종류의 샤시가 등장. 차 종류는 프리미엄과 매그넘 두 종류가 있으며 매그넘 기준 엔진 최고마력이 520이다.
*: 다른 차량에 비해 와이퍼가 무려 3개나 달려있으며 토크 대신 마력이 높기 때문에 차체 움직임이 가벼운 점이 특징.
* MAN
* DAF XF
*: XXL루프의 경우 시야가 제일 넓다. 최고마력이 볼보, 스카니아 다음으로 3위다. 코너링도 괜찮고 스카니아보다 최고마력 도달렙이 낮기 때문에(MAN 최고마력 도달레벨이 된 순간엔 스카니아보다 고마력 엔진 사용가능) MAN 트럭 유저도 꽤 있는 편.
*: XF105와는 달리 유로6 모델이며, 360마력 트림이 삭제된 대신 435트림이 추가되었다. 이외에도 브레이크 성능이 개선되었으며 시야가 더 넓어졌다. 회전반경이 적어진 점도 특징.
* 메르세데스-벤츠
* DAF 2021
*: 구형 Actros의 경우 코너링이 안정적이긴 하지만 마력이 조금 모자라는 편이고 결정적으로 6x2, 6x4 샤시에서 연료통이 제일 작다. 또한 고급형 인테리어도 네비게이션이 없다. 1.18에서 추가된 신형(New Actros)은 초반 마력이 420으로 볼보 다음으로 높아서 초반용 트럭으로 적합해졌으며 네비게이션도 있어서 MAN과 함께 밸런스형 트럭으로 추천.
*: 기존 베이스 파일에 추가되는 형식이 아닌 최초로 DLC 형식으로 1.40 버전에 추가된 모델. ETS2 역사상 최초로 미러캠과 디지털 클러스터가 탑재된 트럭이기도 하다. 전체적으로 장거리 운송에 더 최적화되어있다.
* IVECO
 
*: 코너링은 가장 안정적이지만 '''힘이 제일 약하다.''' 또한 구형 Stralis의 경우 6x2와 6x4에서 최악의 연료통을 자랑한다. 신형 Stralis HI-WAY는 6x2와 6x4의 연료통이 살짝 늘어났으나 대신 4x2 연료통이 줄었다.
==== IVECO ====
* 스카니아
[[이탈리아]]의 상용차 제조사. 전체적으로 코너링과 등판력은 최고의 성능을 가지고 있지만 다른 트럭들과 바교했을때 힘이 제일 약하다. 전체적으로 연료통이 매우 적어 호불호가 갈리는 제조사이기도 하다. 라이선스 취득 이전에는 IVEDO라는 명칭을 사용하였다.
*: 최고마력은 볼보 다음이지만 최고마력까지 가는 레벨이 제일 늦다는 게 단점. 코너링은 당연히 볼보보다는 좋다. 전체적으로 밸런스형.
 
* 볼보 트럭
* IVECO Stralis
*: 처음부터 끝까지 마력은 제일 높지만 그대신 코너링은 가장 불안하다. 브레이크 성능도 별로 안좋아서 신나게 밟다가 신호대기나 제한속도 줄어드는 구간에서 앞차를 받을 위험이 크므로 주의.
*: 엔진의 최대 출력은 560마력. 고가형 모델은 다른 차량에 비해 매우 비싸다. 6x2와 6x4 섀시의 경우 겨우 400리터밖에 안되는 적은 연료탱크 용량을 가지고 있다. 특이하게도 방향지시등 속도가 다른 트럭에 비해 느리다.
* IVECO Stralis Hi-Way
*: IVECO Stralis와 비교했을때 전체적으로 스펙이 개선되었다. 6x2, 6x4 섀시를 사용했을때 400리터밖에 안되던 Stralis와는 달리 580리터로 크게 상향되었다. 사실상 Stralis의 상위호환 모델.
 
=== MAN ===
XXL루프의 경우 시야가 제일 넓다. 최고마력이 볼보, 스카니아 다음으로 3위다. 코너링도 괜찮고 스카니아보다 최고마력 도달렙이 낮기 때문에(MAN 최고마력 도달레벨이 된 순간엔 스카니아보다 고마력 엔진 사용가능) MAN 트럭 유저도 꽤 있는 편.
 
=== 메르세데스-벤츠 ===
구형 Actros의 경우 코너링이 안정적이긴 하지만 마력이 조금 모자라는 편이고 결정적으로 6x2, 6x4 샤시에서 연료통이 제일 작다. 또한 고급형 인테리어도 네비게이션이 없다. 1.18에서 추가된 신형(New Actros)은 초반 마력이 420으로 볼보 다음으로 높아서 초반용 트럭으로 적합해졌으며 네비게이션도 있어서 MAN과 함께 밸런스형 트럭으로 추천.
 
=== 르노트럭 ===
브레이킹이 조금 좋다는 걸 제외하면 차 성능도 특별하지 않기 때문에 유저들에게 외면받는 브랜드. 14년까지만 해도 샤시가 4x2만 존재했으나 1.17패치 이후 다른 회사와 마찬가지로 6x2, 6x2/4, 6x4와 같은 모든 종류의 샤시가 등장. 차 종류는 프리미엄과 매그넘 두 종류가 있으며 매그넘 기준 엔진 최고마력이 520이다.
 
=== 스카니아 ===
최고마력은 볼보 다음이지만 최고마력까지 가는 레벨이 제일 늦다는 게 단점. 코너링은 당연히 볼보보다는 좋다. 전체적으로 밸런스형.
 
=== 볼보 ===
처음부터 끝까지 마력은 제일 높지만 그대신 코너링은 가장 불안하다. 브레이크 성능도 별로 안좋아서 신나게 밟다가 신호대기나 제한속도 줄어드는 구간에서 앞차를 받을 위험이 크므로 주의.


=== 트레일러 ===
=== 트레일러 ===
231번째 줄: 198번째 줄:
*: 북유럽, 동유럽, 이탈리아, 프랑스에는 유료도로 요금소가 있다. 이탈리아와 프랑스 요금소의 ETCS는 주황색 화살표를 따라가야 하며, 60km/h 이상으로 통과할 경우 차단기에 가로막혀서 데미지가 박힐 수 있다. 북유럽의 ETCS는 차단기가 없어 고속 통과가 가능하나, 덴마크 지역에서는 과속카메라가 단속 중이다. 동유럽은 ETCS가 없다.
*: 북유럽, 동유럽, 이탈리아, 프랑스에는 유료도로 요금소가 있다. 이탈리아와 프랑스 요금소의 ETCS는 주황색 화살표를 따라가야 하며, 60km/h 이상으로 통과할 경우 차단기에 가로막혀서 데미지가 박힐 수 있다. 북유럽의 ETCS는 차단기가 없어 고속 통과가 가능하나, 덴마크 지역에서는 과속카메라가 단속 중이다. 동유럽은 ETCS가 없다.
* 철도 건널목
* 철도 건널목
*: 지도 상에 표시되지 않는 장애물이므로 통과시 주의. 적색등이 교차로 깜빡이고 있다면 차단기가 내려와있다는 신호이므로 감속해야 한다.<ref>심지어 차단기 신호가 뜰때 안보이는 투명 벽에 박을 수 있고 데미지가 그대로 들어오기 때문에 차단기가 보이면 무조건 감속해야 한다.</ref> 동유럽, 프랑스에서 볼 수 있으며 특히 프랑스는 시내에 건널목이 박혀있을 때도 있다.
*: 지도 상에 표시되지 않는 장애물이므로 통과시 주의. 적색등이 교차로 깜빡이고 있다면 차단기가 내려와있다는 신호이므로 감속해야 한다. 동유럽, 프랑스에서 볼 수 있으며 특히 프랑스는 시내에 건널목이 박혀있을 때도 있다.
* 항구 및 채널 터널
* 항구 및 채널 터널
*: 북유럽, 영국을 오갈 때 페리를 사용할 수 있다. 영국은 선택 사항이 아니라 필수이긴 하지만(...). 영국의 Dover와 프랑스의 Calais는 유로트럭 초대작부터 내려오는 유서깊은 곳이라 그래픽에 힘을 좀 줬는 데, 고저차가 심해 지상고가 낮은 볼보 트럭이나 로우베드 트레일러는 지나가다가 바닥을 긁고 데미지를 먹을 수 있다.
*: 북유럽, 영국을 오갈 때 페리를 사용할 수 있다. 영국은 선택 사항이 아니라 필수이긴 하지만(...). 영국의 Dover와 프랑스의 Calais는 유로트럭 초대작부터 내려오는 유서깊은 곳이라 그래픽에 힘을 좀 줬는 데, 고저차가 심해 지상고가 낮은 볼보 트럭이나 로우베드 트레일러는 지나가다가 바닥을 긁고 데미지를 먹을 수 있다.
238번째 줄: 205번째 줄:
*: 차량을 정비할 수 있는 정비소와 트럭을 살 수 있는 딜러샵은 일반적으로 한 부지에 모여있으나,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다. 정비소는 24시간 운영되지만 딜러샵은 주간에만 운영하므로 방문 구입을 한다면 주의해야 한다. 온라인으로 딜러샵에 주문하는 건 트럭 소유를 5대 이상 했을 때부터 가능하다.
*: 차량을 정비할 수 있는 정비소와 트럭을 살 수 있는 딜러샵은 일반적으로 한 부지에 모여있으나,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다. 정비소는 24시간 운영되지만 딜러샵은 주간에만 운영하므로 방문 구입을 한다면 주의해야 한다. 온라인으로 딜러샵에 주문하는 건 트럭 소유를 5대 이상 했을 때부터 가능하다.
*: 정비소에서는 트럭의 수리, 업그레이드, 트레일러의 업그레이드가 가능하다. 트럭의 수리는 대미지 1% 당 1,000 유로가 나간다고 생각하면 된다. 푼돈 버는 초기에는 10% 정도의 대미지를 입으면 한탕 친거 다 날렸다고 생각하면 된다.
*: 정비소에서는 트럭의 수리, 업그레이드, 트레일러의 업그레이드가 가능하다. 트럭의 수리는 대미지 1% 당 1,000 유로가 나간다고 생각하면 된다. 푼돈 버는 초기에는 10% 정도의 대미지를 입으면 한탕 친거 다 날렸다고 생각하면 된다.
* 국경 검문소
*: Road to the Black Sea DLC에서 추가된 시설물로, 솅겐 조약에 가입되지 않은 국가를 방문할 시 무조건 거쳐야 하는 장소. 간혹 특정 화물의 경우 내비게이션에서 지시를 내릴때가 있는데, 지시를 반드시 따라야 하며 잘못하면 2,000유로의 벌금을 물게 되니 주의.


=== 교통 법규 ===
=== 교통 법규 ===
263번째 줄: 228번째 줄:
*파손 차량 운용
*파손 차량 운용
*:벌금 €500.-. 터키에 과적 검문소에서 차량 또는 트레일러의 데미지가 5% 이상일때는 검문소에서 경고를 하며 벌금은 없지만, 10% 이상의 데미지가 누적될 경우 과적 검문 시 벌금을 물게 된다.
*:벌금 €500.-. 터키에 과적 검문소에서 차량 또는 트레일러의 데미지가 5% 이상일때는 검문소에서 경고를 하며 벌금은 없지만, 10% 이상의 데미지가 누적될 경우 과적 검문 시 벌금을 물게 된다.
*[[갓길]] 주행
*갓길 주행
*:벌금 €160.-. Road to the Black Sea DLC의 터키 지역 한정으로, 갓길 주행시 벌금을 물기에 갓길 주행은 되도록 피하자.
*:벌금 €160.-. Road to the Black Sea DLC의 터키 지역 한정으로, 갓길 주행시 벌금을 물기에 갓길 주행은 되도록 피하자.


315번째 줄: 280번째 줄:
** Iberia : 이베리아 반도(스페인, 포르투갈) 추가
** Iberia : 이베리아 반도(스페인, 포르투갈) 추가
** {{ㅊ|Heart of Russia}}<small>([[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무기한 연기]])</small> : 러시아 서부 일부 추가  
** {{ㅊ|Heart of Russia}}<small>([[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무기한 연기]])</small> : 러시아 서부 일부 추가  
** West Balkans<small>(제작 )</small> : 발칸 서부 지역 추가
** {{ㅊ|이름 미정의 서부 발칸 반도 DLC}}<small>(제작 예정)</small>
* 화물 추가
* 화물 추가
** 트레일러팩 : 트레일러 제작사와 제휴한 추가 트레일러 팩
** 트레일러팩 : 트레일러 제작사와 제휴한 추가 트레일러 팩
416번째 줄: 381번째 줄:


{{각주}}
{{각주}}
[[분류:윈도우 게임]]
[[분류:리눅스 게임]]
[[분류:2012년 비디오 게임]]
[[분류:시뮬레이션 게임]]
[[분류:소재별 작품/자동차]]
[[분류:오픈 월드]]
[[분류:유로 트럭 시뮬레이터 2]]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이 문서는 다음의 숨은 분류 1개에 속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