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라시아 왕조 (어스 2150)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 개요 ==
게임 [[어스 2150]]에 등장하는 유라시아 왕조(ED) 진영에 관한 소개.
게임 [[어스 2150]]에 등장하는 유라시아 왕조(ED) 진영에 관한 소개.


38번째 줄: 39번째 줄:
* 정제소: 광산에서 채취한 광물을 정제하여 자금으로 변환한다.
* 정제소: 광산에서 채취한 광물을 정제하여 자금으로 변환한다.


* 광물 수송기지: 본편 캠페인 전용 건물. 광산에서 채취한 광물을 적재하며 2000 크레딧 단위마다 자원 수송기가 날아와 본진의 우주선 선착장으로 광물을 운송한다. 임의로 수송기를 호출하여 광물을 본진으로 보내는 것 또한 가능.
* 광물 수송기지: 캠페인 전용 건물. 광산에서 채취한 광물을 적재하며 2000 크레딧 단위마다 자원 수송기가 날아와 본진의 우주선 선착장으로 광물을 운송한다. 임의로 수송기를 호출하여 광물을 본진으로 보내는 것 또한 가능.


=== 방어시설(D) ===
=== 방어시설(D) ===
63번째 줄: 64번째 줄:
** 사일로: 탄도 미사일을 발사하는 격납고.
** 사일로: 탄도 미사일을 발사하는 격납고.


* SDI<sup>EXP</sup>: 확장팩에 추가된 건물로 UCS의 SDI와 외형이 흡사하다. 같은 ED 진영의 탄도 미사일을 요격한다. 확장팩 버전업 패치 이후로 UCS의 플라즈마 블래스트도 막을 수 있게 되었다.
* SDI<sup>EXP</sup>: 확장팩에 추가된 건물. 같은 ED 진영의 탄도 미사일을 요격한다. 확장팩 버전업 패치 이후로 UCS의 플라즈마 블래스트도 막을 수 있게 되었다.


=== 기타 지원건물(O) ===
=== 기타 지원건물(O) ===
75번째 줄: 76번째 줄:
* 재활용 시설<sup>EXP</sup>: 확장팩에 추가된 건물. 유닛을 매각하여 자금으로 변환한다.
* 재활용 시설<sup>EXP</sup>: 확장팩에 추가된 건물. 유닛을 매각하여 자금으로 변환한다.


* 지하터널 입구: 지하로 들어가는 통로를 제공한다. 재래식 승강기를 통해 유닛이 이동하는 방식이라 다른 두 진영의 지하터널 입구에 비해 유닛들이 지상과 지하를 오고가는 속도가 조금 느리다.
* 지하터널 입구: 지하로 들어가는 통로를 제공한다.


* 착륙장: 캠페인 전용 건물. 수송기의 착륙지점을 제공하며 이 건물이 있어야 수송기를 통해 본진과 미션 지역 간의 왕래가 가능하다.
* 착륙장: 캠페인 전용 건물. 수송기의 착륙지점을 제공하며 이 건물이 있어야 수송기를 통해 본진과 미션 지역 간의 왕래가 가능하다.


=== 그 외 ===
== 그 외 ==
* 우주선 선착장: 본편 캠페인 전용 건물. 본진에 존재하며 이곳에 100만 크레딧의 광물을 보내 이민선 제작을 완료하는 것이 본편 캠페인의 최종 목표이다. 각 미션에서 건설한 광물 수송기지에서 이곳으로 광물을 보낼 수 있으며 플레이어가 보유 중인 자금을 선착장에 제공하는 것도 가능. 1만 크레딧 단위마다 우주로 자원을 올려보낸다.
* 우주선 선착장: 캠페인 전용 건물. 본진에 존재하며 이곳에 100만 크레딧의 광물을 보내 이민선 제작을 완료하는 것이 본편 캠페인의 최종 목표이다. 각 미션에서 건설한 광물 수송기지에서 이곳으로 광물을 보낼 수 있으며 플레이어가 보유 중인 자금을 선착장에 제공하는 것도 가능. 1만 크레딧 단위마다 우주로 자원을 올려보낸다.


== 차체 ==
== 차체 ==
89번째 줄: 90번째 줄:


* ZK 타이가: 다목적 차체로 작업용 장비와 무기를 모두 장착 가능하다.
* ZK 타이가: 다목적 차체로 작업용 장비와 무기를 모두 장착 가능하다.
* ZK 타이가 2<sup>EXP</sup>: 확장팩 초기 버전에 등장하며 기존 타이가에서 속도 +2.<ref>본편 및 확장팩 초기 버전 데이터 기준으로는 속도 +1.</ref> 확장팩 버전업 패치 이후 관련 연구가 삭제되었으며 스커미시 및 멀티플레이의 Tech War 모드에서만 활용할 수 있다. 다만 다른 게임 모드에서도 유닛 소환 코드로 따로 불러오는 것은 가능.
* ZK 타이가 2<sup>EXP</sup>: 확장팩 초기 버전에 등장하며 기존 타이가에서 속도 +2.<ref>본편 및 확장팩 초기 버전 데이터 기준으로는 속도 +1.</ref> 확장팩 버전업 패치 이후 관련 연구가 삭제되었으며 스커미시 및 멀티플레이의 Tech War 모드에서만 활용할 수 있다.
** 무기: 20mm 체인건, 로켓 발사기, 레이저 캐논, 이온 캐논
** 무기: 20mm 체인건, 로켓 발사기, 레이저 캐논, 이온 캐논
** 장비: 광물 캐리어, 야전 수리장비, 건물 점령장비<sup>EXP</sup>, 노이즈 제너레이터, 배너
** 장비: 광물 캐리어, 야전 수리장비, 건물 점령장비<sup>EXP</sup>, 노이즈 제너레이터, 배너
98번째 줄: 99번째 줄:
* TT120 파미르: 체력 +30. 버전업 이후 확장팩에서는 전용 쉴드 제너레이터(용량 120 PSU) 장착 가능.
* TT120 파미르: 체력 +30. 버전업 이후 확장팩에서는 전용 쉴드 제너레이터(용량 120 PSU) 장착 가능.
** 무기: 105mm 활강포, 로켓 발사기, 대공기관포<sup>EXP</sup>
** 무기: 105mm 활강포, 로켓 발사기, 대공기관포<sup>EXP</sup>
** 쉴드 장착한도: TT120 전용(120 PSU)<sup>EXP</sup><ref>본편 및 확장팩 초기 버전에서는 쉴드 장착불가.</ref>
** 쉴드 장착한도: TT120 전용(120 PSU)<sup>EXP</sup>


* ZT100 시베리아: ZK 타이가를 개량한 중형 전투차체. 다만 방어력은 파미르보다 낮다.
* ZT100 시베리아: ZK 타이가를 개량한 중형 전투차체. 다만 방어력은 파미르보다 낮다.
108번째 줄: 109번째 줄:


* ZT200 마인레이어: 지뢰매설차량. 적이 매설한 지뢰의 해체 또한 가능하다. 본편 및 확장팩 초기 버전에서는 대형 쉴드까지 장착 가능했으나, 확장팩 버전업 패치 이후 소형 쉴드까지 장착할 수 있는 것으로 수정되었다.
* ZT200 마인레이어: 지뢰매설차량. 적이 매설한 지뢰의 해체 또한 가능하다. 본편 및 확장팩 초기 버전에서는 대형 쉴드까지 장착 가능했으나, 확장팩 버전업 패치 이후 소형 쉴드까지 장착할 수 있는 것으로 수정되었다.
* ZT210 마인레이어: 속도 +1, 체력 +150.<ref>본편 및 확장팩 초기 버전에서는 속도 +1, 체력 +75, 방어력 +25%. 최종 체력과 방어력은 본편이나 확장팩이나 675/50%로 동일하다.</ref> 매설 가능한 지뢰 탑재량 10에서 20으로 증가. 본편 및 확장팩 초기 버전에서는 소형 쉴드까지 장착 가능했으나,<ref>중형 이상의 쉴드 장착 상태의 ZT200을 야전 수리장비로 차체 업그레이드시 쉴드가 감소하지 않고 유지된다.</ref> 확장팩 버전업 패치 이후 중형 쉴드까지 장착할 수 있게 되었다.
* ZT210 마인레이어: 체력 +150.<ref>본편 및 확장팩 초기 버전에서는 체력 +75, 방어력 +25%. 최종 체력과 방어력은 본편이나 확장팩이나 675/50%로 동일하다.</ref> 본편 및 확장팩 초기 버전에서는 소형 쉴드까지 장착 가능했으나, 확장팩 버전업 패치 이후 중형 쉴드까지 장착할 수 있게 되었다.
** 무기: 20mm 체인건, 로켓 발사기, 레이저 캐논, 이온 캐논
** 무기: 20mm 체인건, 로켓 발사기, 레이저 캐논, 이온 캐논
** 장비: 노이즈 제너레이터, 배너
** 장비: 노이즈 제너레이터, 배너
** 쉴드 장착한도: 소형(600 PSU) - 차체 업그레이드 전 / 중형(1200 PSU) - 차체 업그레이드 후<ref>본편 및 확장팩 초기 버전에서는 차체 업그레이드 전후로 각각 대형/소형 쉴드 장착 가능.</ref>
** 쉴드 장착한도: 소형(600 PSU) - 차체 업그레이드 전 / 중형(1200 PSU) - 차체 업그레이드 후


* TK100 카스피안: 소형 수륙양용 차체. 속도가 파미르와 동급이며 육상과 수상을 모두 오갈 수 있다.
* TK100 카스피안: 소형 수륙양용 차체. 속도가 파미르와 동급이며 육상과 수상을 모두 오갈 수 있다.
120번째 줄: 121번째 줄:
** 쉴드 장착한도: 소형(600 PSU)
** 쉴드 장착한도: 소형(600 PSU)


* 스텔스<sup>EXP</sup>: UCS의 섀도우 기술을 적용한 확장팩 신규등장 차체. 헤드라이트를 켜거나 보급기의 보급을 받으면 은폐 상태가 풀리며, 각종 디텍터 장비의 감지 범위 내로 들어가도 발각된다. 카스피안 차체 연구를 끝까지 완료하면 해당 차체가 해금되며 이를 완료한 후 생산할 수 있다. 단 카스피안과 달리 수륙양용은 아니다.
* 스텔스<sup>EXP</sup>: UCS의 섀도우 기술을 적용한 확장팩 신규등장 차체. 헤드라이트를 켜거나 보급기의 보급을 받으면 은폐 상태가 풀린다. 카스피안 차체 연구를 끝까지 완료하면 해당 차체가 해금되며 이를 완료한 후 생산할 수 있다. 단 카스피안과 달리 수륙양용은 아니다.
** 무기: 20mm 체인건, 로켓 발사기, 레이저 캐논, 이온 캐논
** 무기: 20mm 체인건, 로켓 발사기, 레이저 캐논, 이온 캐논
** 장비: 노이즈 제너레이터, 배너
** 장비: 노이즈 제너레이터, 배너
141번째 줄: 142번째 줄:
* HT900 우랄: 체력 +150.<ref>본편 및 확장팩 초기 버전에서는 속도 +1, 체력 +150</ref>
* HT900 우랄: 체력 +150.<ref>본편 및 확장팩 초기 버전에서는 속도 +1, 체력 +150</ref>
** 무기 및 장비 1: 120mm 활강포, 이동식 곡사포<sup>EXP</sup>, 헤비 로켓 발사기, 탄도 로켓 발사기, 헤비 레이저 캐논, 헤비 이온 캐논, 지진파 발생기<sup>EXP</sup>, 배너
** 무기 및 장비 1: 120mm 활강포, 이동식 곡사포<sup>EXP</sup>, 헤비 로켓 발사기, 탄도 로켓 발사기, 헤비 레이저 캐논, 헤비 이온 캐논, 지진파 발생기<sup>EXP</sup>, 배너
*** 보조무기 및 장비<ref name="ref2" />: 20mm 체인건, 로켓 발사기, 레이저 캐논, 이온 캐논, 배너, 노이즈 제너레이터, 안티미사일<sup>EXP</sup>
*** 보조무기 및 장비 1<ref name="ref2" />: 20mm 체인건, 로켓 발사기, 레이저 캐논, 이온 캐논, 배너, 노이즈 제너레이터, 안티미사일<sup>EXP</sup>
** 무기 및 장비 2: 120mm 활강포, 이동식 곡사포<sup>EXP</sup>, 헤비 로켓 발사기, 탄도 로켓 발사기, 헤비 레이저 캐논, 헤비 이온 캐논, 지진파 발생기<sup>EXP</sup>, 배너
** 무기 및 장비 2: 120mm 활강포, 이동식 곡사포<sup>EXP</sup>, 헤비 로켓 발사기, 탄도 로켓 발사기, 헤비 레이저 캐논, 헤비 이온 캐논, 지진파 발생기<sup>EXP</sup>, 배너
*** 보조무기 및 장비<ref name="ref2" />: 20mm 체인건, 로켓 발사기, 레이저 캐논, 이온 캐논, 배너, 노이즈 제너레이터, 안티미사일<sup>EXP</sup>
*** 보조무기 및 장비 2<ref name="ref2" />: 20mm 체인건, 로켓 발사기, 레이저 캐논, 이온 캐논, 배너, 노이즈 제너레이터, 안티미사일<sup>EXP</sup>
** 쉴드 장착한도: 대형(1800 PSU)<ref>본편 및 확장팩 초기 버전에서는 중형 쉴드까지 장착 가능</ref>
** 쉴드 장착한도: 대형(1800 PSU)<ref>본편 및 확장팩 초기 버전에서는 중형 쉴드까지 장착 가능</ref>


* 모조 TT/ZT/HT: 눈속임용 가짜 유닛. 외형은 초기형 파미르/시베리아/크루쉬체프와 같다. 눈속임 용도 이외에 다른 특별한 기능은 없다. 체력은 모두 60으로 동일하며 속도만 각각 19/18/17로 차이가 난다. 쉴드는 장착할 수 없다.
* 모조 TT/ZT/HT: 눈속임용 가짜 유닛. 외형은 초기형 파미르/시베리아/크루쉬체프와 같다. 눈속임 용도 이외에 다른 특별한 기능은 없다.


=== 해상 ===
=== 해상 ===
168번째 줄: 169번째 줄:
* 키예프 I<sup>EXP</sup>: 확장팩에 추가된 핵잠수함으로 매뉴얼상 명칭은 DSU 키예프. 사거리가 긴 전용 탄도탄을 발사한다. 쉴드는 장착할 수 없다.
* 키예프 I<sup>EXP</sup>: 확장팩에 추가된 핵잠수함으로 매뉴얼상 명칭은 DSU 키예프. 사거리가 긴 전용 탄도탄을 발사한다. 쉴드는 장착할 수 없다.
* 키예프 II<sup>EXP</sup>: 속도 +1, 체력 +100. 쉴드는 장착할 수 없다.
* 키예프 II<sup>EXP</sup>: 속도 +1, 체력 +100. 쉴드는 장착할 수 없다.
** 무기: 잠수함 핵탄두 발사기<sup>EXP</sup><ref>선체 업그레이드시 무기도 같이 업그레이드 적용</ref>
** 무기: 핵탄두 발사기<ref>선체 업그레이드시 무기도 같이 업그레이드 적용</ref>


=== 공중 ===
=== 공중 ===
180번째 줄: 181번째 줄:
** 쉴드 장착한도: 소형(600 PSU) - 기체 업그레이드 전 / 대형(1800 PSU) - 기체 업그레이드 후
** 쉴드 장착한도: 소형(600 PSU) - 기체 업그레이드 전 / 대형(1800 PSU) - 기체 업그레이드 후


* 유닛 트랜스포터<sup>EXP</sup>: 확장팩에 추가된 신형 작업유닛으로 매뉴얼상 명칭은 GR40 유닛 트랜스포터. 광물 컨테이너 후크 장착시 자원 수송기로, 유닛 운송용 후크 장착시 1번에 1기씩의 지상차량을 수송하는 용도로 활용할 수 있다. 적의 차량도 후크로 들어올릴 수 있으며 이를 공중에서 떨어뜨려 파괴하는 것도 가능하다.
* 유닛 트랜스포터<sup>EXP</sup>: 확장팩에 추가된 신형 작업유닛으로 매뉴얼상 명칭은 GR40 유닛 트랜스포터. 광물 컨테이너 후크 장착시 자원 수송기로, 유닛 운송용 후크시 1번에 1기씩의 지상차량을 수송하는 용도로 활용할 수 있다. 적의 차량도 후크로 들어올릴 수 있으며 이를 공중에서 떨어뜨려 파괴하는 것도 가능하다.
** 장비: 광물 컨테이너 후크, 유닛 운송용 후크<sup>EXP</sup>
** 장비: 광물 컨테이너 후크, 유닛 운송용 후크
** 쉴드 장착한도: 대형(1800 PSU)
** 쉴드 장착한도: 대형(1800 PSU)


199번째 줄: 200번째 줄:
** 쉴드 장착한도: 중형(1200 PSU)<ref>본편 및 확장팩 초기 버전에서는 대형 쉴드까지 장착 가능</ref>
** 쉴드 장착한도: 중형(1200 PSU)<ref>본편 및 확장팩 초기 버전에서는 대형 쉴드까지 장착 가능</ref>


* MI200 한: 폭격기 포지션의 대형 전투 헬리콥터. 토르와 속도가 같으면서 체력과 방어력은 더 우월하다.
* MI200 한: 대형 전투 헬리콥터. 토르와 속도가 같으면서 체력과 방어력은 더 우월하다.
* MI210 한: 체력 +150.
* MI210 한: 체력 +150.
** 무기: 헬리콥터 헤비 로켓 발사기, 폭탄창
** 무기: 헬리콥터 헤비 로켓 발사기, 폭탄창
220번째 줄: 221번째 줄:


* 레닌: 본편 캠페인에서만 등장하는 광물 수송기. 광물 수송기지에 적재된 광물을 우주선 선착장으로 실어나른다. 따로 명령을 내리거나 선택할 수는 없다. 3세력의 광물 수송기 중 유일하게 본편 패키지 매뉴얼에 이름이 명시되어 있다.
* 레닌: 본편 캠페인에서만 등장하는 광물 수송기. 광물 수송기지에 적재된 광물을 우주선 선착장으로 실어나른다. 따로 명령을 내리거나 선택할 수는 없다. 3세력의 광물 수송기 중 유일하게 본편 패키지 매뉴얼에 이름이 명시되어 있다.
=== 차체 스탯 일람표 ===
* 생산단가 및 제작시간은 무기, 장비, 쉴드 미장착 상태의 순수 차체 데이터 수치를 서술
* →: 1차 차체 업그레이드 / ⇒:2차 차체 업그레이드
{| class="wikitable"
|+ 본편 및 버전업 이전 확장팩
|-
!
! 체력
! 방어력
! 속도
! 쉴드한도
! 생산단가
! 제작시간
|-
! 그루즈
| 1800
| 0%
| 19
| 600PSU
| 800CR
| 50s
|-
! 타이가
| 450
| 0%
| 18→19
| 1800PSU
| 400CR
| 30s
|-
! 파미르
| 180→210⇒240
| 75%
| 21→25
| -
| 300CR
| 30s
|-
! 시베리아
| 600→675⇒750
| 0%
| 18→19
| 1800PSU
| 500CR
| 40s
|-
! 마인레이어
| 600→675
| 25%→50%
| 18→19
| 1800PSU→600PSU
| 500CR→570CR
| 30s
|-
! 카스피안
| 450→600⇒750
| 0%
| 21→25
| 600PSU
| 500CR
| 40s
|-
! 스텔스
| 450
| 25%
| 21
| 600PSU
| 700CR
| 60s
|-
! 볼가
| 900→1050
| 25%
| 18
| 1800PSU
| 800CR
| 60s
|-
! 크루쉬체프
| 900→1050⇒1200
| 75%
| 16→17
| 1200PSU
| 1200CR
| 60s
|-
! 우랄
| 600→750
| 25%
| 16→17
| 1200PSU
| 1200CR
| 60s
|-
! 모조 TT/ZT/HT
| 60
| 0%
| 19/18/17
| -
| 50CR
| 30s
|-
! 이르쿠츠크
| 300→375⇒450
| 25%⇒50%
| 21→25⇒28
| 600PSU
| 300CR
| 30s
|-
! 리바이어던
| 900→1050
| 75%
| 17→18
| 1800PSU
| 1000CR
| 100s
|-
! 키예프
| 450→550
| 50%
| 17→18
| -
| 1200CR
| 60s
|-
! 보야르
| 900
| 0%
| 36
| 1800PSU
| 400CR
| 15s
|-
! 유닛 트랜스포터
| 550
| 50%
| 36
| 1800PSU
| 1000CR
| 60s
|-
! 코사크
| 240→300
| 0%
| 36
| -
| 350CR
| 30s
|-
! 그로즈니
| 300→375
| 25%
| 36
| 600PSU→1200PSU
| 450CR
| 40s
|-
! 토르
| 375→450
| 25%
| 25
| 1800PSU
| 1000CR
| 60s
|-
! 한
| 600→750
| 50%
| 25
| 1200PSU
| 1300CR
| 60s
|}
{| class="wikitable"
|+ 버전업 이후 확장팩
|-
!
! 체력
! 방어력
! 속도
! 쉴드한도
! 생산단가
! 제작시간
|-
! 그루즈
| 1800
| 25%
| 19
| 600PSU
| 800CR
| 50s
|-
! 타이가
| 450
| 0%
| 17→19
| 600PSU
| 400CR
| 30s
|-
! 파미르
| 180→210⇒240
| 75%
| 21→25
| N/A⇒120PSU
| 300CR
| 30s
|-
! 시베리아
| 600→675⇒750
| 0%
| 18→19
| 1800PSU
| 450CR
| 35s
|-
! 마인레이어
| 525→675
| 50%
| 18→19
| 600PSU→1200PSU
| 600CR→800CR
| 30s
|-
! 카스피안
| 450→600⇒750
| 25%
| 21→25
| 600PSU
| 400CR
| 40s
|-
! 스텔스
| 600
| 25%
| 21
| 600PSU
| 700CR
| 60s
|-
! 볼가
| 1050→1200
| 75%
| 18
| 1800PSU
| 1500CR
| 70s
|-
! 크루쉬체프
| 900→1050⇒1200
| 75%
| 16→17⇒19
| 1800PSU
| 1200CR
| 60s
|-
! 우랄
| 1350→1500
| 75%
| 14
| 1200PSU
| 1200CR
| 75s
|-
! 모조 TT/ZT/HT
| 60
| 0%
| 19/18/17
| -
| 50CR
| 30s
|-
! 이르쿠츠크
| 450→560⇒675
| 50%
| 21→25⇒28
| 600PSU
| 300CR
| 20s
|-
! 리바이어던
| 1400→1600
| 75%
| 17→18
| 1800PSU
| 700CR
| 60s
|-
! 키예프
| 450→550
| 50%
| 17→18
| -
| 1200CR
| 60s
|-
! 보야르
| 1000
| 25%
| 32
| 1800PSU
| 800CR
| 15s
|-
! 스카웃
| 150→400
| 25%→50%
| 28
| 600PSU→1800PSU
| 500CR→800CR
| 10s→20s
|-
! 유닛 트랜스포터
| 550
| 50%
| 36
| 1800PSU
| 1000CR
| 60s
|-
! 코사크
| 240→300
| 0%
| 36
| -
| 350CR
| 30s
|-
! 그로즈니
| 300→375
| 25%
| 36
| 600PSU→1200PSU
| 450CR
| 40s
|-
! 토르
| 375→450
| 25%
| 25
| 1200PSU
| 1000CR
| 60s
|-
! 한
| 600→750
| 50%
| 25
| 1200PSU
| 1300CR
| 60s
|}


== 무기 ==
== 무기 ==
* 20mm 체인건 1: 연사력이 좋은 기관총. 히트스캔 판정이며 지상과 공중에 모두 대응 가능하다. 단 중장갑 유닛에는 큰 피해를 주지 못한다.
* 20mm 체인건 1
** 20mm 체인건 2: 총신이 2개로 늘어난다. 공격력 및 장탄수 증가.
* 20mm 체인건 2


* 헬리콥터 체인건 1: 헬리콥터 전용 체인건. 코사크와 그로즈니에 장착 가능하다. 일반 체인건보다 사거리가 조금 더 길다.
* 헬리콥터 체인건 1: 코사크와 그로즈니에 장착 가능.
** 헬리콥터 체인건 2: 총신이 2개로 늘어난다. 공격력 및 장탄수 증가.
* 헬리콥터 체인건 2: 코사크와 그로즈니에 장착 가능.


* 대공기관포<sup>EXP</sup>: 확장팩에 추가된 대공화기. 연사력이 매우 빠르고 항공기에 큰 피해를 입힌다. 사거리가 약간 짧은 편이나 다른 두 진영의 대공화기와 달리 히트스캔 판정이라는 것이 장점. 유닛 중 파미르와 이르쿠츠크가 장비 가능하다.
* 대공기관포<sup>EXP</sup>:


* 105mm 활강포 1: 파미르의 기본 무장으로 히트스캔 판정이며 초반에 등장하는 소형 화기 가운데서는 화력이 강력한 편이다. 단 중장갑 유닛에는 큰 피해를 주지 못한다.
* 105mm 활강포 1
** 105mm 활강포 2: 포신이 2개로 늘어난다. 공격력 및 장탄수 증가.
* 105mm 활강포 2


* 120mm 활강포 1: 중전차와 전함에 장착 가능한 대형 활강포. 105mm 활강포보다 월등히 강력한 화력을 지니고 있으며 역시 히트스캔 판정이다. 차량이나 전함에 장착할 경우 부포탑에 보조무기 또는 장비를 추가로 부착할 수 있다.
* 120mm 활강포 1
** 120mm 활강포 2: 포신이 2개로 늘어난다. 공격력 및 장탄수 증가.
* 120mm 활강포 2


* 이동식 곡사포<sup>EXP</sup>: 확장팩에 추가된 곡사포. 사거리가 매우 길어 방어탑의 사거리 밖에서 포격을 가할 수 있다. 유닛 중 볼가와 크루쉬체프, 우랄, 리바이어던에 장착 가능.
* 이동식 곡사포<sup>EXP</sup>


* 로켓 발사기 1: 지상과 공중에 모두 대응 가능한 로켓 발사기. 로켓 탄약 업그레이드시 유도 기능이 붙는다. 단 안티미사일에 요격될 수 있다.
* 로켓 발사기 1
** 로켓 발사기 2: 공격력 및 장탄수 증가.
* 로켓 발사기 2
** 로켓 발사기 3: 공격력 및 장탄수 추가로 증가.
* 로켓 발사기 3


* 헬리콥터 로켓 발사기 1: 헬리콥터 전용 로켓 발사기. 코사크와 그로즈니에 장착 가능하다. 성능은 일반 로켓 발사기와 같으나 장탄수가 적다.
* 헬리콥터 로켓 발사기 1: 코사크와 그로즈니에 장착 가능.
** 헬리콥터 로켓 발사기 2: 공격력 및 장탄수 증가.
* 헬리콥터 로켓 발사기 2: 코사크와 그로즈니에 장착 가능.


* 헤비 로켓 발사기 1: 일반 로켓보다 크고 강력한 위력의 로켓을 발사한다. 일반 로켓보다 대미지가 훨씬 강력하다. 역시 지상과 공중에 모두 대응 가능하며 헤비 로켓 탄약 업그레이드시 유도 기능이 붙는다. 단 안티미사일에 요격될 수 있다.
* 헤비 로켓 발사기 1
** 헤비 로켓 발사기 2: 공격력 및 장탄수 증가.
* 헤비 로켓 발사기 2
** 헤비 로켓 발사기 3: 공격력 및 장탄수 증가.
* 헤비 로켓 발사기 3


* 헬리콥터 헤비 로켓 발사기 1: 중형 헬리콥터 전용 헤비 로켓 발사기. 토르와 한에 장착 가능하다. 성능은 일반 헤비 로켓 발사기와 같으나 장탄수가 약간 더 많다.
* 헬리콥터 헤비 로켓 발사기 1: 토르와 한에 장착 가능.
** 헬리콥터 헤비 로켓 발사기 2: 공격력 및 장탄수 증가.
* 헬리콥터 헤비 로켓 발사기 2: 토르와 한에 장착 가능.


* 탄도 로켓 발사기: 사거리가 긴 탄도 로켓을 발사하며 탄도 로켓 최종 업그레이드시 핵탄두를 탑재한 탄도탄을 발사한다. 단 SDI에 요격될 수 있다. 발사 후 재장전시 추가 비용이 발생하며 재장전 비용은 탄도 로켓 업그레이드 레벨에 따라 각각 500/1000/2000/5000 크레딧.
* 탄도 로켓 발사기


* 잠수함 핵탄두 발사기 1<sup>EXP</sup>: 키예프 전용 무기로 키예프 선체 연구 달성시 자동으로 따라와 유닛 조합 메뉴에서 선택 가능. 해당 선체 업그레이드시 무기의 성능도 같이 향상된다. 단 탄도 로켓 발사기나 탄도 미사일 컨트롤 센터의 사일로에서 발사되는 핵미사일보다는 위력이 약하다.
* 잠수함 핵탄두 발사기: 키예프 전용 무기. 해당 선체 업그레이드시 무기의 성능도 같이 향상된다.
** 잠수함 핵탄두 발사기 2<sup>EXP</sup>: 공격력 및 사거리 증가.


* 폭탄창 1: 중형 헬리콥터 전용 무기. 지상에 폭격을 가하는 무기로 폭탄 최종 업그레이드시 전술핵폭탄을 투하한다. 토르와 한에 장착 가능. 폭탄 재보급시마다 추가 비용이 발생하며 재장전 비용은 폭탄 1발당 20/30/100/200 크레딧.
* 폭탄창 1: 토르와 한에 장착 가능.
** 폭탄창 2: 장탄수 증가.
* 폭탄창 2: 토르와 한에 장착 가능.


* 레이저 캐논 1: 고온의 레이저 광선을 발사해 적 유닛의 내부 엔진을 과열시켜 폭발을 일으킨다. 쉴드가 없는 유닛에게 매우 강력하지만 건물에는 큰 피해를 주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다. 에너지 무기라 쉴드에 1차적으로 막히지만 탄약 재보급이 필요없다는 것은 장점이다.
* 레이저 캐논 1
** 레이저 캐논 2: 공격력 증가.
* 레이저 캐논 2
** 레이저 캐논 3: 공격력 추가 증가.
* 레이저 캐논 3


* 헤비 레이저 캐논 1: 레이저 캐논의 대형화 버전. 공격력이 매우 강력하지만 여전히 건물에는 큰 피해를 입히지 못한다. 에너지 무기라 쉴드에 1차적으로 막히지만 탄약 재보급이 필요없다는 것은 장점이다. 부포탑에 보조무기 또는 장비를 추가로 부착할 수 있다.
* 헤비 레이저 캐논 1
** 헤비 레이저 캐논 2: 공격력 증가.
* 헤비 레이저 캐논 2
** 헤비 레이저 캐논 3: 공격력 증가.
* 헤비 레이저 캐논 3


* 이온 캐논 1: 적 차량과 건물의 기능을 마비시켜 작동 불능 상태로 만든다. 작동 불능 상태가 된 적 유닛과 건물은 야전 수리장비를 통해 탈취할 수 있다. 에너지 무기라 쉴드에 1차적으로 막히지만 탄약 재보급이 필요없다는 것은 장점이다.
* 이온 캐논 1
** 이온 캐논 2: 재충전 시간 감소.
* 이온 캐논 2


* 헤비 이온 캐논 1: 이온 캐논의 대형화 버전. 무기의 작동 원리는 기존 이온 캐논과 같으나 쉴드에 훨씬 큰 피해를 입힌다. 에너지 무기라 쉴드에 1차적으로 막히지만 탄약 재보급이 필요없다는 것은 장점이다.
* 헤비 이온 캐논 1
** 헤비 이온 캐논 2: 재충전 시간 감소.
* 헤비 이온 캐논 2


* 지진파 발생기 1<sup>EXP</sup>: 확장팩에 추가된 대형 에너지 무기. 지진을 일으켜 적의 건물에 피해를 입히며 지하에서 지상의 건물을 공격하는 것도 가능하다. 단 유닛에게는 피해를 입히지 못한다. 대미지 자체는 높지 않으나 지진을 통해 피해를 주는 방식이라 건물의 쉴드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에너지 무기라 탄약 재보급이 필요없다.
* 지진파 발생기 1<sup>EXP</sup>
** 지진파 발생기 2<sup>EXP</sup>: 공격력 증가 및 재충전 시간 감소.
* 지진파 발생기 2<sup>EXP</sup>


== 탄약 ==
== 탄약 ==
* 20mm 탄환: 20mm 체인건용 총탄.
* 20mm 탄환
** 1차 업그레이드시: 공격력 증가.
** 1차 업그레이드시:
** 2차 업그레이드시: 공격력 및 사거리 증가.
** 2차 업그레이드시:
** 3차 업그레이드시: 공격력 증가.
** 3차 업그레이드시:


* 105mm 포탄: 105mm 활강포탄.
* 105mm 포탄
** 1차 업그레이드시: 공격력 및 사거리 증가.
** 1차 업그레이드시:
** 2차 업그레이드시: 공격력 증가.
** 2차 업그레이드시:
** 3차 업그레이드시: 공격력 및 사거리 증가.
** 3차 업그레이드시:


* 120mm 포탄: 120mm 활강포탄.
* 120mm 포탄
** 1차 업그레이드시: 공격력 및 사거리 증가.
** 1차 업그레이드시:
** 2차 업그레이드시: 공격력 및 사거리 증가.
** 2차 업그레이드시:
** 3차 업그레이드시: 공격력 및 사거리 증가.
** 3차 업그레이드시:


* 로켓: 로켓 발사기용 로켓 탄환.
* 로켓
** 1차 업그레이드시: 공격력 증가. 유도 성능 25%.
** 1차 업그레이드시:
** 2차 업그레이드시: 공격력 및 사거리 증가. 유도 성능 50%.
** 2차 업그레이드시:
** 3차 업그레이드시: 공격력 증가. 유도 성능 100%.
** 3차 업그레이드시:


* 헤비 로켓: 헤비 로켓 발사기용 로켓 탄환.
* 헤비 로켓
** 1차 업그레이드시: 공격력 및 사거리 증가. 유도 성능 25%.
** 1차 업그레이드시:
** 2차 업그레이드시: 공격력 증가. 유도 성능 50%.
** 2차 업그레이드시:
** 3차 업그레이드시: 공격력 및 사거리 증가. 유도 성능 100%.
** 3차 업그레이드시:


* 탄도 로켓: 탄도 로켓 발사기에 장전하는 탄도탄.
* 탄도 로켓
** 1차 업그레이드시: 공격력 및 사거리 증가.
** 1차 업그레이드시:
** 2차 업그레이드시: 공격력 및 사거리 증가.
** 2차 업그레이드시:
** 3차 업그레이드시: 공격력 및 사거리 증가. 핵탄두 장착.
** 3차 업그레이드시:


* 폭탄: 폭격기에 탑재하는 폭탄.
* 폭탄
** 1차 업그레이드시: 공격력 증가.
** 1차 업그레이드시:
** 2차 업그레이드시: 공격력 증가.
** 2차 업그레이드시:
** 3차 업그레이드시: 공격력 증가. 전술핵폭탄.
** 3차 업그레이드시:
   
   
== 장비 ==
== 장비 ==
678번째 줄: 323번째 줄:


* 노이즈 제너레이터 1: 전작의 스크리머에 해당하는 장비로 UCS의 섀도우나 같은 ED의 스텔스 등 은폐 상태의 적을 감지하는 한편 주파수 교란을 통해 적 유닛을 명령 인식불능 상태로 만든다(자체적인 대응사격 등의 반응은 가능).
* 노이즈 제너레이터 1: 전작의 스크리머에 해당하는 장비로 UCS의 섀도우나 같은 ED의 스텔스 등 은폐 상태의 적을 감지하는 한편 주파수 교란을 통해 적 유닛을 명령 인식불능 상태로 만든다(자체적인 대응사격 등의 반응은 가능).
** 노이즈 제너레이터 2: 감지 및 교란 범위 향상.
* 노이즈 제너레이터 2: 감지 및 교란 범위 향상.
** 노이즈 제너레이터 3: 감지 및 교란 범위 추가 향상.
* 노이즈 제너레이터 3: 감지 및 교란 범위 추가 향상.


* 야전 수리장비 1: 대미지를 입은 아군 유닛을 수리할 수 있는 장비. ED로 플레이할 경우 이온 캐논으로 무력화한 적 건물과 차량을 수리장비로 점령하는 것이 가능하다. 타이가와 이르쿠츠크(확장팩)에 장착시킬 수 있다.
* 야전 수리장비 1: 대미지를 입은 아군 유닛을 수리할 수 있는 장비. ED로 플레이할 경우 이온 캐논으로 무력화한 적 건물과 차량을 수리장비로 점령하는 것이 가능하다. 타이가와 이르쿠츠크(확장팩)에 장착시킬 수 있다.
** 야전 수리장비 2: 수리 속도 증가. 아군 유닛이 장착한 무기 및 장비의 업그레이드 기능 추가.
* 야전 수리장비 2: 수리 속도 증가. 아군 유닛이 장착한 무기 및 장비의 업그레이드 기능 추가.


* 건물 점령장비<sup>EXP</sup>: 확장팩 추가 장비. 이름 그대로 적의 건물을 점령한다. 야전 수리장비 업그레이드 연구 완료시 장비 연구가 해금된다.
* 건물 점령장비<sup>EXP</sup>: 확장팩 추가 장비. 이름 그대로 적의 건물을 점령한다. 야전 수리장비 업그레이드 연구 완료시 장비 연구가 해금된다.
689번째 줄: 334번째 줄:


* 쉴드 제너레이터 1: 600 PSU의 소형 쉴드 제공. 버전업 패치 이후 확장팩에서는 TT120 파미르 전용으로 용량 120 PSU의 소형 쉴드 제너레이터가 존재한다.
* 쉴드 제너레이터 1: 600 PSU의 소형 쉴드 제공. 버전업 패치 이후 확장팩에서는 TT120 파미르 전용으로 용량 120 PSU의 소형 쉴드 제너레이터가 존재한다.
** 쉴드 제너레이터 2: 1200 PSU의 중형 쉴드 제공.
* 쉴드 제너레이터 2: 1200 PSU의 중형 쉴드 제공.
** 쉴드 제너레이터 3: 1800 PSU의 대형 쉴드 제공.
* 쉴드 제너레이터 3: 1800 PSU의 대형 쉴드 제공.


== 관련 문서 ==
== 관련 문서 ==
* [[어스 2150]]
* [[어스 2150]]
* [[문명합중국 (어스 2150)]]
* [[루나 코퍼레이션 (어스 2150)]]
{{각주}}
{{각주}}
[[분류:탑웨어 어스 시리즈]]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