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니목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분류:철도 차량]]
{{다른 뜻|메르세데스-벤츠 유니목|철도 차량|메르세데스-벤츠의 상용차량}}
{{다른 뜻|메르세데스-벤츠 유니목|철도 차량|메르세데스-벤츠의 상용차량}}
[[파일:Volvo-Zweiwegefahrzeug.jpg|thumb]]
{{youtube|kY-m6W0Lhsw|||center|참고 영상}}
'''유니목'''(Unimog)은 선로와 도로를 자유롭게 오갈 수 있는 특수 차량의 통칭이다. 정식 명칭은 도로-철로 병용 차량 쯤 되지만 벤츠 유니목이 보선 차량에 도입되면서 업계에서 일반 명사화 되었다. 일본에서는 '''궤륙차'''(軌陸車,きりくしゃ)라고 부르며, 미국에서는 Road–rail vehicle이나 HY-RAIL(등록상표)이라 부른다.
==개요==
선로와 도로를 자유롭게 오갈 수 있는 특수 차량. 정식 명칭은 도로-철로 병용 차량 쯤 되지만 벤츠 유니목이 보선 차량에 도입되면서 업계에서 일반 명사화 되었다.


꼭 트럭일 필요는 없어서, 용도에 따라 [[크레인]], 포크레인, 지게차 같은 건설장비를 개조해서 만들기도 한다. [[탑기어]]에서는 카라반 트레일러를 유니목으로 개조해서 [https://www.youtube.com/watch?v=PMWBPrFVwLk 속도 경쟁]을 펼쳤다.
[[파일:JR-홋카이도-유니목.jpg|thumb|DMV]]
[[JR 홋카이도]]에서는 이걸 여객 수송에 접목시킨 DMV(Dual Mode Vehicle)을 개발하고 있지만, 자금 부족으로 난항을 겪고 있다. 상용화되면 로컬선 폐선에 대응할 수 있으며, 재해·사고로 선로 폐쇄가 발생할 경우 해당 구간의 대체 수송을 DMV의 우회로 해결할 수 있다.
{{-}}
== 용도 ==
주로 보선차량에서 볼 수 있다. 운행 종료 후 차량기지에서 보선 위치까지 이동해야 하는 기존 차량과는 달리 작업 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도로 [[건널목]]을 통해 즉시 투입할 수 있고, 도로에서도 자유로운 운행이 가능해 공장에서 자재를 받고 바로 투입할 수 있어서 따로 옮겨 싣을 필요가 없다. 단순 보선 작업에서는 월등히 효율이 좋은 셈이다.


== 용도 ==
=== [[보선]] 차량 ===
{{youtube|sPN4MOzFmlQ|||center|유니목 입환 영상}}
[[파일:KTX-유니목.jpg|thumb|코레일 고속선 긴급출동 유니목]]
[[파일:KTX-유니목.jpg|thumb|코레일 고속선 긴급출동 유니목]]
주로 [[모터카]]로 활동한다. 운행 종료 후 차량기지에서 보선 위치까지 이동해야 하는 기존 차량과는 달리 작업 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도로 [[건널목]]을 통해 즉시 투입할 수 있고, 도로에서도 자유로운 운행이 가능해 공장에서 자재를 받고 바로 투입할 수 있어서 따로 옮겨 싣을 필요가 없다. 단순 보선 작업에서는 월등히 효율이 좋은 셈이다.
단전 사고에도 빠른 대응이 가능하다. 일반 보선 차량을 투입할 경우 차량기지에서 사고 지점 사이에 움직일 수 없는 열차 편성이 하나라도 있다면 운행이 어렵지만, 유니목은 건널목을 통해 진입할 수 있으며 설령 도로와 접점이 없는 고속선이라도 크레인으로 차량을 선로에 올려놓을 수 있다.
 
힘이 좋은 차량들은 [[입환기]]로도 활약한다. 특히 차량공장에서는 [[지게차]]를 개조한 것으로 차량을 이동시킨다. 엄밀히 따지면 기관차가 끄는 입환이 아니기에 [[인력입환]]으로 분류된다.
 
비상복구용 차량으로도 유용하게 사용된다. 탈선 및 단전 사고에도 [[재크키트]]와 같은 주요 장비와 공구를 적재하고 즉각 출동이 가능하여, 빠른 대응이 가능하다. 일반 보선 차량을 투입할 경우 차량기지에서 사고 지점 사이에 움직일 수 없는 열차 편성이 하나라도 있다면 운행이 어렵지만, 유니목은 [[건널목]] 내지 비상용 출입시설을 통해 진입할 수 있다. 설령 도로와 접점이 없는 고속선이라 하더라도 보통 교량 접속부, 터널 갱구 등 지형적으로 접근성이 확보되는 곳 또는 아예 터널중간으로 이어지는 출입용 사갱 등 접근용 시설물을 만들어 붙여두어서 이들 유니목 차량이 접근할 수 있게 만들어둔다.
 
=== 레일 버스 ===
[[파일:JR Hokkaido DMV 911 001.JPG|thumb|DMV]]
원래 [[레일 버스]]라 함은 일반 승합 차량을 철도 전용으로 개조한 차량을 뜻하지만, 유니목과 레일 버스를 섞으면 철도와 도로를 자유롭게 오갈 있는 여객 차량이 된다.
 
일본에서는 국토교통성 주도로 DMV(Dual Mode Vehicle)을 개발하고 있다. 처음엔 [[JR 홋카이도]]가 진행했으나 회사 사정이 어려워지면서 연구를 포기했다. 2017년 현재 [[아사토선]]에서 상용화 절차를 밟고 있다.<ref>CASSIOPEIA, [http://jtinside.tistory.com/8262 아사카이간철도: DMV 선로로 전환하나? 칸노우라역도 크게 바꾼다], CASSIOPEIA의 철도이야기, 2017.03.10.</ref> 코레일에서도 [[정선선]] 등의 벽지 노선을 위해 개발한다고 밝혔으나<ref>[http://news.joins.com/article/21825992  철도, 도로 모두 달리는 ‘레일버스’ 개발한다는데...안전성 논란], 중앙일보, 2017.08.08.</ref> 개발을 주도하던 경영진이 와해되면서 사실상 개발이 취소되었다.
 
상용화되면 로컬선의 수요를 모으는 데 도움이 되며, 재해·사고로 선로 폐쇄가 발생할 경우 해당 구간의 대체 수송을 DMV의 우회로 해결할 수 있다. 다만 기관사가 차량 면허를 소지하거나 [[철도 기관사]]와 [[운전 기사]] 2명을 고용해야 하고, JR 홋카이도 개발 기간 중에 [[궤도 회로]] 미점유 문제가 불거져 신호 시스템을 전면 개량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힘이 좋은 차량들은 [[입환기]]로도 활약한다. 엄밀히 따지면 기관차가 끄는 입환이 아니기에 [[인력입환]]으로 분류된다.
== 방식 ==
== 방식 ==
궤도 차륜에 동력이 연결되는 방식과, [[메르세데스-벤츠 유니목]]처럼 궤도 차륜은 가이드 역할만 하고 지면이나 궤도와 접하는 고무 타이어의 동력으로 움직이는 방식이 있다. 전자의 경우 구조가 복잡하지만 신호 보안 장치의 작동을 어느 정도 보장할 수 있다. 후자는 간단한 구조로 개조가 쉽지만 신호 보안 장치의 오작동을 일으킬 수 있다.
동력은 동력축과 궤도 차륜이 직결되어 전달방식과, [[메르세데스-벤츠 유니목]]처럼 궤도 차륜은 가이드 역할만 하고 지면이나 궤도와 접하는 고무 타이어의 동력으로 움직이는 방식이 있다. 전자의 경우 구조가 복잡하지만 신호 보안 장치의 작동을 어느 정도 보장할 수 있다. 후자는 간단한 구조로 개조가 쉽지만 신호 보안 장치의 오작동을 일으킬 수 있다.


[[파일:기아-세레스-유니목.jpg|thumb|(...){{*|합성이나 장난같지만, 실제로 코레일에서 사용하던 차량이다. 경의선 공사 당시 사고가 난 차량도 다름 아닌 [[기아 세레스]] 개조차량.}}]]
[[파일:기아-세레스-유니목.jpg|thumb|(...)]]
일반 트럭의 타이어를 철도 차륜으로 개조한 차량도 유니목이라고 부르지만, 불법 개조일 뿐더러 타이어가 없으니 도로에 나갈 수 없다. 그리고 2012년 [[경의선]]-[[용산선]] 복선전철 공사 현장에서 이렇게 개조된 차량을 사용하다가 제동 미숙으로 1명이 사망하고 8명이 다치는 사고가 일어나<ref>[http://media.daum.net/society/others/newsview?newsid=20120820052104218 경의선 전철 공사현장 사고...9명 사상], YTN, 2012.08.20</ref> 한국철도공사·국가철도공단의 관리감독이 엄격해져서 일반 노선에서 이런 형태의 차량은 볼 수 없게 되었다.
일반 트럭의 타이어를 철도 차륜으로 개조한 차량도 유니목이라고 부르지만, 타이어가 없으니 도로에 나갈 수 없다.
{{각주}}
[[분류:동력차]]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이 문서는 다음의 숨은 분류 1개에 속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