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벨 블라트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만화 정보
{{만화 정보
|책/만화이름  = 위벨 블라트
|제목 = 위벨 블라트
|원어이름    = ユーベルブラット
|원제 = ユーベルブラット<br>Übel Blatt
|배경색      =
|사진 = Ubel Blatt v00 jp.png
|글자색      =  
|사진설명 = 일본어판 0권 표지
|그림        = [[파일:Ubel Blatt v00 jp.png|150px]]
|작가 = [[시오노 에토로지]]
|그림설명    = 일본어판 0권 표지
|=  
|지은이      = [[시오노 에토로지]]
|그림 =  
|그린이      = [[시오노 에토로지]]
|연재처 = 간간 YG → 영 간간 → 증간 영 간간 빅 → 월간 빅 간간
|장르        = 다크 판타지, 액션
|연재처국적 = 일본
|나라        = {{나라|일본}}
|정발 = 대원씨아이
|언어        = [[일본어]]
|형태 =  
|연작제목    =
|장르 = 다크 판타지, 액션
|발행일      =
|연령 =  
|출판사      =
|연재시작 = 2004년
|ISBN        =  
|연재종료 = 2019년
|연재처       = 간간 YG → 영 간간 → 증간 영 간간 빅 → 월간 빅 간간
|연재주기 = 계간 → 월간
|연재기간    = 2004년 ~ 2019년 (계간 → 격주간 → 월간)
|과금 =  
|권수        = 24권
|미디어화 =  
|화수        =  
|링크 =  
|시리즈      =  
|이전작품    =  
|다음작품    =  
|팬픽원작    =  
|웹사이트    =
|옮긴이      =
|번역발행일  =
|번역출판사  = [[대원씨아이]]
|번역ISBN    =  
|번역연채처  =  
|번역연재기간 =  
|비고        =  
}}
}}
《'''위벨 블라트'''》(ユーベルブラット)는 [[시오노 에토로지]]가 그린 [[일본]]의 [[만화]]다. 2004년에 [[스퀘어 에닉스]]의 계간 잡지 [[간간 YG]]에서 연재를 시작하고, [[영 간간]]으로 이적했다가 장기간 휴재했다. 최종적으로는 [[월간 빅 간간]] 2019년 Vol.04에서 단행본 24권 분량으로 완결했다.
《'''위벨 블라트'''》(ユーベルブラット)는 [[시오노 에토로지]]가 그린 [[일본]]의 [[만화]]다. 2004년에 [[스퀘어 에닉스]]의 계간 잡지 [[간간 YG]]에서 연재를 시작하고, [[영 간간]]으로 이적했다가 장기간 휴재했다. 최종적으로는 [[월간 빅 간간]] 2019년 Vol.04에서 단행본 24권 분량으로 완결했다.


제목인 위벨 블라트(Übel Blatt)는 독일어로 '사악한 칼날'을 뜻한다. 주인공 케인첼의 복수극을 그린 다크 판타지 작품.
제목의 위벨 블라트(Übel Blatt)는 독일어로 '사악한 칼날'을 뜻한다. 주인공 케인첼의 복수극을 그린 다크 판타지 작품.


== 줄거리 ==
== 줄거리 ==
{{인용문2|
{{빈 문단}}
20년 전 어둠의 군세를 봉인하는 때였다. 동료를 배신하고 학살해 훈장을 빼앗은 자들… 그들은 "칠영웅"이라고 불리며 제국 백성의 존경을 모아 영화로운 자리로 올라갔다. 한편, 찬탈 끝에 학살당한 자들 중 한 명, 청년 검사 아셰리트는 요정의 혈육을 먹으며 살아남았다. 그리고 용모를 소년으로, 이름을 케인첼로 바꾸어 20년의 시간을 거쳐 칠영웅에게 복수하고자 여행을 떠났다. 복수의 여로에서 케인첼을 기다리는 것이란? 장대한 스케일로 보내드리는 다크 판타지!|작품 소개문}}


== 등장인물 ==
== 등장인물 ==
;케인첼 (ケインツェル) / Köinzell
;케인첼 (ケインツェル)
:주인공. 한쪽 눈 주변에 흉터가 있는 금발의 아인종 소년으로, 달빛 아래라면 '검은 검'을 꺼낼 수 있는 기묘한 힘을 가지고 있다. 그 정체는 배신의 창이라는 오명을 뒤집어쓴 블라트 마이스터 아셰리트로, 칠영웅에게 복수하기 위해 20년 만에 제국으로 귀환했다.
:주인공.


;아트 (アト)
;아트 (アト)
:크샤룬드의 제3왕녀. 보이시한 외모라 케인첼은 당초 소년으로 오인했다. 흑익검군의 반란 중에 오빠 크라트의 목숨을 앗아간 케인첼에게 복수를 맹세한다.
:


;글렌 (グレン) / Glenn
;글렌 (グレン) / Glenn
:칠영웅 중 한 명이자 리더격. 예블을 다스리는 후작으로, 현 황제 라르고르 3세의 친아들이기도 하다.
:


;슈템뵐레히 (シュテムヴェレヒ) / Schtemwölch
;슈템뵐레히 (シュテムヴェレヒ) / Schtemwölch
:칠영웅 중 한 명. 제국의 가장 외곽인 모란을 다스리는 방백(方伯)이다. 원래는 산적 출신.
:


;바레스타 (バレスター) / Barestar
;바레스타 (バレスター) / Barestar
:칠영웅 중 한 명. 렘다를 다스리는 포대백(砲台伯)이다. 원래는 상인 집안 출신.
:


;레벨론트 (レベロント) / Lebellond
;레벨론트 (レベロント) / Lebellond
:칠영웅 중 한 명. 크로첸을 다스리는 후작으로, 글렌에게 대항 의식을 가지고 있다.
:


;이슈딘 (イシューディーン) / Ischüdien
;이슈딘 (イシューディーン) / Ischüdien
:칠영웅 중 한 명. 대비룡군단을 거느린 용백(竜伯)이며 글렌의 보좌격이다.
:


;니르겐펠레트 (ニルゲンフェレト) / Nirgenfeled
;니르겐페레트 (ニルゲンフェレト) / Nirgenfeled
:칠영웅 중 한 명. 츠이크히트를 다스리는 성백(城伯)이다.
:


;귈렌구르프 (ギュレングルフ) / Güllengurv
;귈렌구르프 (ギュレングルフ) / Güllengurv
:칠영웅 중 한 명. 로고를 다스리는 월독백(월 読伯)이다.
:


;엘사리아 라한크레이브 (エルサリア・ラハンクレーブ)
;엘사리아 라한크레이브 (エルサリア・ラハンクレーブ)
:선제후 라한크레이브의 딸이자 칠창기사단에 속한 기사.
:


== 용어 ==
== 용어 ==
;{{루비|어둠의 이방|비슈테히}} ({{루비|闇の異邦|ヴィシュテヒ}})
;{{루비|어둠의 이방|비슈테히}} ({{루비|闇の異邦|ヴィシュテヒ}})
:제국을 침략하던 어둠의 군세. 성스러운 창을 든 14명의 용사들이 죽음의 숲에 있는 문을 봉인함으로써 그 침략은 저지되었으나, 생존자가 제국 변경에 아직 남아있다.
:


;{{루비|인장|블라트 마이스터}} ({{루비|刃匠|ブラットマイスター}})
;{{루비|인장|블라트 마이스터}} ({{루비|刃匠|ブラットマイスター}})
:제국에서 당대 최강의 검사에게 주어지는 칭호. 최후의 블라트 마이스터 아셰리트가 배신의 창으로서 처단당한 이후, 오래도록 공석이 되었다.
:


;칠영웅 (七英雄)
;칠영웅 (七英雄)
:비슈테히를 봉인하러 떠난 14명의 용사들 가운데 생환한 일곱 명의 영웅, 글렌·슈템뵐레히·바레스타·레벨론트·이슈딘·니르겐펠레트·귈렌구르프를 가리킨다.
:


;배신의 창 (裏切りの槍)
;배신의 창 (裏切りの槍)
:비슈테히를 봉인하러 떠난 14명의 용사들 가운데 적에게로 돌아선 네 명, 아셰리트·크퍼·귀스타프·크렌텔을 가리킨다. 칠영웅의 손으로 처단당했다.
:


;숭고한 미귀환자 (尊き未帰還者)
;숭고한 미귀환자 (尊き未帰還者)
:비슈테히를 봉인하러 떠난 14명의 용사들 가운데 여행 도중 숨진 세 명, 에르그나흐·에디엠·란바르트를 가리킨다. 세간에는 칠영웅의 시종 같은 취급을 받고 있다.
:


== 서적 정보 ==
== 서적 정보 ==
단행본은 영 간간 코믹스로 출간되었다. 단행본의 번호는 제0권부터 시작한다.
단행본은 영 간간 코믹스로 출간되었다. 단행본의 번호는 제0권부터 시작한다.
* 제0권, 2005년 7월 25일 발매, {{ISBN|978-4-7575-1479-9}}
 
# 2005년 7월 25일 발매, {{ISBN|978-4-7575-1480-5}}
* 제0권, 2005년 7월 25일 발매, {{ISBN|978-4757514799}}
# 2005년 11월 25일 발매, {{ISBN|978-4-7575-1575-8}}
# 2005년 7월 25일 발매, {{ISBN|978-4757514805}}
# 2006년 3월 25일 발매, {{ISBN|978-4-7575-1643-4}}
# 2005년 11월 25일 발매, {{ISBN|978-4757515758}}
# 2006년 9월 25일 발매, {{ISBN|978-4-7575-1780-6}}
# 2007년 4월 25일 발매, {{ISBN|978-4-7575-1970-1}}
# 2007년 10월 25일 발매, {{ISBN|978-4-7575-2121-6}}
# 2008년 3월 25일 발매, {{ISBN|978-4-7575-2242-8}}
# 2008년 9월 25일 발매, {{ISBN|978-4-7575-2386-9}}
# 2009년 3월 25일 발매, {{ISBN|978-4-7575-2514-6}}
# 2009년 9월 25일 발매, {{ISBN|978-4-7575-2685-3}}
# 2012년 2월 9일 발매, {{ISBN|978-4-7575-3004-1}}
# 2012년 9월 25일 발매, {{ISBN|978-4-7575-3740-8}}
# 2013년 3월 25일 발매, {{ISBN|978-4-7575-3910-5}}
# 2013년 10월 25일 발매, {{ISBN|978-4-7575-4100-9}}
# 2014년 4월 25일 발매, {{ISBN|978-4-7575-4258-7}}
# 2014년 11월 25일 발매, {{ISBN|978-4-7575-4478-9}}
# 2015년 5월 25일 발매, {{ISBN|978-4-7575-4648-6}}
# 2016년 5월 25일 발매, {{ISBN|978-4-7575-4989-0}}
# 2016년 12월 24일 발매, {{ISBN|978-4-7575-5192-3}}
# 2017년 7월 24일 발매, {{ISBN|978-4-7575-5420-7}}
# 2018년 2월 24일 발매, {{ISBN|978-4-7575-5635-5}}
# 2018년 9월 24일 발매, {{ISBN|978-4-7575-5857-1}}
# 2019년 6월 25일 발매, {{ISBN|978-4-7575-6171-7}}


== 관련 사이트 ==
== 관련 사이트 ==
* {{언어링크|ja}} [https://magazine.jp.square-enix.com/biggangan/introduction/ubel_blatt/ 위벨 블라트 | 빅 간간 | SQUARE ENIX]
* <small>'''(일본어)'''</small> [https://magazine.jp.square-enix.com/biggangan/introduction/ubel_blatt/ 위벨 블라트 | 빅 간간 | SQUARE ENIX]


{{각주}}
{{각주}}
[[분류:일본의 만화]]
[[분류:일본의 만화]]
[[분류:2004년 만화]]
[[분류:판타지 만화]]
[[분류:판타지 만화]]
[[분류:액션 만화]]
[[분류:액션 만화]]
[[분류:영 간간]]
[[분류:영 간간]]
[[분류:월간 빅 간간]]
[[분류:월간 빅 간간]]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