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리어 플랫폼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분류:대한민국 육군]]
[[분류:대한민국 육군]]
<big>Warrior Platform</big>
<big>Warrior Platform</big>
워리어 플랫폼은 개인 전투원의 전투력을 최고도로 발휘하기 위해 착용하는 전투복, 장구류 등의 장비가 통합된 전투체계를 의미한다. 저출산으로 인한 징집자원 감소에 대응하기 위해 육군과 해병대는 워리어 플랫폼 사업을 시행됐다.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 [[파일:The Warrior Platform seminar.jpeg]]<br /><sup>사진 촬영: 국방일보 나경원 기자</sup>
| [[파일:The_Warrior_Platform_seminar.jpeg]]<br /><sup>사진 촬영: 국방일보 나경원 기자</sup>
|-
|-
! 김용우(맨 앞줄, 왼쪽에서 3번째) 육군 참모총장과 국회 국방위 간사 김중로(맨 앞줄, 오른쪽에서 세번째) 의원이 워리어 플랫폼 세미나에 전시된 장비를 살펴보고 있는 모습.
! 김용우(맨 앞줄, 왼쪽에서 3번째) 육군 참모총장과 국회 국방위 간사 김중로(맨 앞줄, 오른쪽에서 세번째) 의원이 워리어 플랫폼 세미나에 전시된 장비를 살펴보고 있는 모습.
|}
|}
워리어 플랫폼은 개인 전투원의 전투력을 최고도로 발휘하기 위해 착용하는 전투복, 장구류 등의 장비가 통합된 전투체계를 의미한다.
병력 감축에 따른 전력공백을 보완하기 위함이다.


워리어 플랫폼은 육군과 해병대 공통으로 사용한다. 해병대는 상륙작전 위주의 병력이라는 특성에 따라 일부 장비는 육군과 차별화된 장비를 운용할 것이다.
워리어 플랫폼은 육군과 해병대 공통으로 사용한다. 해병대는 상륙작전 위주의 병력이라는 특성에 따라 일부 장비는 육군과 차별화된 장비를 운용할 것이다.
19번째 줄: 19번째 줄:




첫번째 워리어 플랫폼 체계다. 한국군의 낙후된 보병 장구류를 선진국 군대 수준과 비슷한 수준으로 끌어올리기 위해 신형 전투장비를 보급하는 계획이다.
첫번째 워리어 플랫폼 체계다. 한국군의 낙후된 보병 장구류를 선진국 군대 수준과 비슷한 수준으로 끌어올리는 것이 목표다. 이를 위해서 2022년까지 전투피복 14개, 전투장구류 12개 그리고 전투장비 9개가 개선될 예정이다.


<ref name=Weekly_terms_investigation-Warrior_Platform_2>[https://youtu.be/BcwOQ49B8Kk 18.03.28 주간 용어 돋보기 - 워리어 플랫폼2]</ref>
<ref name=Weekly_terms_investigation-Warrior_Platform_2>[https://youtu.be/BcwOQ49B8Kk 18.03.28 주간 용어 돋보기 - 워리어 플랫폼2]</ref>


=== 대략적인 초기 보급 계획 ===
=== 대략적인 초기 보급 계획 ===
[[파일:Distribution plan for Warrior Platform(2019~2023).png]]
[[파일:Distribution_plan_for_Warrior Platform(2019~2023).png]]


국방중기계획에서 나온 워리어 플랫폼 계획이다. 특이하게도 해병대의 워리어 플랫폼(가칭) 보급 계획까지 서술되어 있다.
워리어 플랫폼의 대략적인 초기 보급 계획이 공개됐다. 전력지원체계 품목은 장구, 피복, 장비로 분류되는데 장구와 피복에 속하는 방탄복이나 방탄헬멧, 응급처치키트 같은 품목은 36만 5천세트의 장비가 보급 예정이다. 육군 내 전투부대라면 거의 대부분 수령할 수 있을 수량이다. 하지만 장비 품목에 속하는 조준경, 확대경, 원거리 조준경, 소음기와 같은 장비는 4만 4천여 세트 장비만 보급이다. 4만 4천여 세트면 육군 특수전사령부나 특공대, 수색대와 같은 일부 부대를 제외하고는 많은 보급이 어려운 수량이다. 장비류에 속하는 물자의 경우 예산 증액이 이루어지지 않는 이상 완전 보급하는데는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보인다. <ref>[http://bemil.chosun.com/nbrd/bbs/view.html?b_bbs_id=10067&pn=1&num=1164 워리어 플랫폼 1단계 사업 추진경과 및 방향 / 김중로의원실 제공]</ref>
 
워리어 플랫폼의 대략적인 초기 보급 계획이 공개됐다. 전력지원체계 품목은 장구, 피복, 장비로 분류되는데 장구와 피복에 속하는 방탄복이나 방탄헬멧, 응급처치키트 같은 품목은 36만 5천세트의 장비가 보급 예정이다. 육군 내 전투부대라면 거의 대부분 수령할 수 있을 수량이다. 하지만 장비 품목에 속하는 조준경, 확대경, 원거리 조준경, 소음기와 같은 장비는 4만 4천여 세트 장비만 보급이다. 4만 4천여 세트면 육군 특수전사령부나 특공대, 수색대와 같은 일부 부대를 제외하고는 많은 보급이 어려운 수량이다. <ref>[http://bemil.chosun.com/nbrd/bbs/view.html?b_bbs_id=10067&pn=1&num=1164 워리어 플랫폼 1단계 사업 추진경과 및 방향 / 김중로의원실 제공]</ref>


2020년도 예산안에선 2019년도 예산안과 비교해볼 때(특수작전용 칼 도입사업 제외) 최소 5배에서 최대 10배까지 예산이 증액됐다.
2020년도 예산안에선 2019년도 예산안과 비교해볼 때(특수작전용 칼 도입사업 제외) 최소 5배에서 최대 10배까지 예산이 증액됐다.
[[파일:W.P. (Ver.1.1).png]]
최근 알게 된 육군의 워리어 플랫폼 보급 계획을 재구성 했다. 다만 알게 된 시기만 최근이고, 제작시기는 불명인데다가, 단순히 계획이니만큼 실제 보급과 다를 수 있다.


=== 지급 예정 품목 (구성품) ===
=== 지급 예정 품목 (구성품) ===
47번째 줄: 41번째 줄:
[http://bemil.chosun.com/nbrd/bbs/view.html?b_bbs_id=10067&pn=1&num=1164 워리어 플랫폼 1단계 사업 추진경과 및 방향 / 김중로의원실 제공]
[http://bemil.chosun.com/nbrd/bbs/view.html?b_bbs_id=10067&pn=1&num=1164 워리어 플랫폼 1단계 사업 추진경과 및 방향 / 김중로의원실 제공]
</ref>
</ref>
참고로 연구중인 장비라고 적힌 것은 말 그대로 연구중인 장비지 실제로 보급 예정인 장비가 아니다.


==== 전투피복 10종 ====
==== 전투피복 10종 ====
52번째 줄: 48번째 줄:
|제목1 = 전투복
|제목1 = 전투복
|내용1 =  
|내용1 =  
'''Combat Shirts''' (상의)<br />
'''Combat Pants''' (하의)
상의는 열피로 감소를 위해서 컴뱃셔츠 형태로 보급할 것이다. 컴뱃셔츠는 전투중 방탄복을 기본 착용하고 있다고 상정한 피복이며 때문에 방탄복에 가려지는 몸통 부분은 가볍고 통기성과 흡습성이 좋은 원단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설계는 전투원의 열피로를 줄여준다.
상의는 열피로 감소를 위해서 컴뱃셔츠 형태로 보급할 것이다. 컴뱃셔츠는 전투중 방탄복을 기본 착용하고 있다고 상정한 피복이며 때문에 방탄복에 가려지는 몸통 부분은 가볍고 통기성과 흡습성이 좋은 원단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설계는 전투원의 열피로를 줄여준다.


하의의 경우 활동성 강화를 위한 입체패턴이 적용되었고 허벅지 쓸림 방지 처리, 외부적 요인에 의한 전투복 손상 방지 처리나 하네스 착용이 가능한 벨트 고리 부착이 언급되었다. 참고로 전투복 하의에는 무릎 보호대(니패드)도 기본 포함되어 있는데, 전투복 하의에 내장되어 있는 형태로 공개되었으며 해당 설계 형태는 활동중 무릎 보호대가 흘러내리는걸 방지해준다.
하의의 경우 활동성 강화를 위한 입체패턴이 적용되었고 허벅지 쓸림 방지 처리, 외부적 요인에 의한 전투복 손상 방지 처리나 하네스 착용이 가능한 벨트 고리 부착이 언급되었다. 참고로 전투복 하의에는 무릎 보호대(니패드)도 기본 포함되어 있는데, 전투복 하의에 내장되어 있는 형태로 공개되었으며 해당 설계 형태는 활동중 무릎 보호대가 흘러내리는걸 방지해준다.


{{youtube|2oSI0raKyAA|||center}}
{{youtube|https://youtu.be/2oSI0raKyAA|||center}}


기타 사항으로 아직 확정된 내용은 아니지만 국군에서 사용중인 화강암 패턴을 대체할 차기 전투복 위장무늬로 호랑이, 강인한 돌, 태극 위장무늬로 3종류가 있다. 호랑이 위장무늬는 호랑이의 얼룩무늬를 모티브로 한 위장무늬이며, 강인한 돌 위장무늬는 단단한 돌을 모티브로 했고, 태극 위장무늬는 태극 문양을 모티브로 했다. 해당 위장무늬 3종은 위 영상 초반부에 나온다.
기타 사항으로 아직 확정된 내용은 아니지만 국군에서 사용중인 화강암 패턴을 대체할 차기 전투복 위장무늬가 3종류 있다. 호랑이, 강인한 돌, 태극 위장무늬인데 호랑이 위장무늬는 호랑이의 얼룩무늬를 모티브로 한 위장무늬이며 강인한 돌 위장무늬는 단단한 돌을 모티브로 하였고 태극 위장무늬는 태극 문양을 모티브로 하였다. 해당 위장무늬 3종은 위 영상 초반부에 나온다.


|제목2 = 전투화
|제목2 = 전투화
|내용2 =  
|내용2 =  
{{{!}} class{{=}}wikitable
{{{!}} class{{=}}wikitable
{{!}} [[파일:51708267 3106557582703088 6905385261014712320 o.jpg]]
{{!}} [[파일:51708267_3106557582703088_6905385261014712320_o.jpg]]
{{!}}-
{{!}}-
!2019년 2월 4일 대전보훈병원에서 투병 중인 참전용사들을 위문하고 있는 김용우 육군참모총장의 모습.
!2019년 2월 4일 대전보훈병원에서 투병 중인 참전용사들을 위문하고 있는 김용우 육군참모총장의 모습.
73번째 줄: 66번째 줄:
육군에서 기존에 사용하던 흑색 전투화 대신 미군이나 한국 해병대에서 사용하는 것과 비슷하게 생긴 탄색 전투화가 될 예정이다.
육군에서 기존에 사용하던 흑색 전투화 대신 미군이나 한국 해병대에서 사용하는 것과 비슷하게 생긴 탄색 전투화가 될 예정이다.


사업에 참가한 장비 중 식별이 가능한 장비는 유니칸(Unikhan)사의 WOLF-G6 전투화가 있다.
현재 연구중인 장비로는 유니칸(Unikhan)사의 WOLF-G6 전투화로 보인다.


|제목3 = 방상<br />내·외피
|제목3 = 방상<br/>내·외피
|내용3 =  
|내용3 =  
{{{!}} class{{=}}wikitable
{{{!}} class{{=}}wikitable
83번째 줄: 76번째 줄:
{{!}}}
{{!}}}


방상내·외피는 경량패딩, 플리스 자켓, 바람막이로 대체한다. 김용우 육군참모총장이 제3공수특전여단 훈련 참관 당시 입고왔었던 재킷이 저 세 품목중 하나다. 하지만 신형 자켓의 보급이 무산될 위기에 놓였는데 기존 장비보다 2배 가량 비싸기 때문이다. <ref>[http://www.ichannela.com/news/main/news_detailPage.do?publishId{{=}}000000145942 <nowiki>[단독]</nowiki>‘군 신형 자켓’ 무산 위기…‘깔깔이’ 계속 입어야]</ref>
방상내·외피는 경량패딩, 플리스 자켓, 바람막이로 대체한다. 김용우 육군참모총장이 제3공수특전여단 훈련 참관 당시 입고왔었던 재킷이 저 세 품목중 하나이다. 하지만 신형 자켓의 보급이 무산될 위기에 놓였는데 기존 장비보다 2배 가량 비싸기 때문이다. <ref>[http://www.ichannela.com/news/main/news_detailPage.do?publishId{{=}}000000145942 <nowiki>[단독]</nowiki>‘군 신형 자켓’ 무산 위기…‘깔깔이’ 계속 입어야]</ref>


|제목4 = 전투우의
|제목4 = 전투우의
97번째 줄: 90번째 줄:
|내용7 =  
|내용7 =  


|제목8 = 기능성<br />방한복
|제목8 = 기능성<br/>방한복
|내용8 =  
|내용8 =  
현재 군은 기능성 방한복 내피 상하의와 기능성 방한복 외피 상하의를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보온성이 뛰어나지 않기 때문에 전자의 경우 상하의 방한 패딩을, 후자는 방수 및 방풍이 가능한 기능성 방한복 상하의를 지급하기로 하였다.
현재 군은 기능성 방한복 내피 상하의와 기능성 방한복 외피 상하의를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보온성이 뛰어나지 않기 때문에 전자의 경우 상하의 방한 패딩을, 후자는 방수 및 방풍이 가능한 기능성 방한복 상하의를 지급하기로 하였다.


|제목9 = 동계<br />작전모
|제목9 = 동계<br/>작전모
|내용9 =  
|내용9 =  


114번째 줄: 107번째 줄:
{{youtube|Twc-QkzHPKk|||center|워리어 플랫폼 체계의 일부인 신형 방탄복과 방탄헬멧에 대해 다루는 동영상.}}<br />
{{youtube|Twc-QkzHPKk|||center|워리어 플랫폼 체계의 일부인 신형 방탄복과 방탄헬멧에 대해 다루는 동영상.}}<br />


워리어 플랫폼 관련 자료에 따르면 방탄복을 3가지 종류로 분류한다. I형은 기존에 사용하던 다목적 방탄복이고, II형과 III형은 새로 개발하는 플레이트 캐리어형 방탄복이다. 한국군의 다목적 방탄복이나 미군의 IOTV와 같은 형태의 방탄복의 경우 방호면적이 넓지만, 중량이 무겁고, 부피가 크기 때문에 병사들의 피로도에 영향을 끼치거나, 견착이 제한되는 등의 단점이 있다. 따라서 II, III형 방탄복은 인체의 주요 장기를 보호하는 형태인 플레이트 캐리어로 개발 및 보급하게 됐다.<br />
워리어 플랫폼 관련 자료에 따르면 방탄복을 3가지 종류로 분류한다. 간단히 말하자면 I형은 기존에 사용하던 다목적 방탄복이고 II형과 III형은 새로 개발하는 플레이트 캐리어형 방탄복이다. 이미 여러 부대에서 보급된 다목적 방탄복과 같은 형태의 방탄복의 경우 방호면적은 넓지만 중량이 너무 무겁기 때문에 병사들의 피로도에 영향을 끼친다거나 견착사격이 제한된다는 등의 단점이 있다. 따라서 II, III형 방탄복은 인체의 주요 장기를 보호하는 형태인 플레이트 캐리어로 개발하게 된다.<br />


II, III형은 I형과 마찬가지로 MOLLE (Modular Lightweight Load-carrying Equipment, 모듈식 경량 하중 운반 장비) 시스템이 적용되어 있어서 사용자의 편의와 부여된 임무 수행에 맞게 파우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그 뿐만 아니라 Quick Release (신속해체) 기능이 있는데 물에 빠진 상황이나 부상자 후송같은 상황에서의 빠른 방탄복 탈의가 가능하다.
II, III형은 I형과 마찬가지로 MOLLE (Modular Lightweight Load-carrying Equipment, 모듈식 경량 하중 운반 장비) 시스템이 적용되어 있어서 사용자의 편의와 부여된 임무 수행에 맞게 파우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그 뿐만 아니라 Quick Release (신속해체) 기능이 있는데 물에 빠진 상황이나 부상자 후송같은 상황에서의 빠른 방탄복 탈의가 가능하다.
* I형은 플레이트 캐리어와 같은 형태의 신형 방탄복이 아닌 기존에 사용하던 다목적 방탄복이다. [https://milidom.net/freeboard/927170 인터넷에 올라온 워리어 플랫폼 세미나 후기글]에 따르면 기존의 IOTV형 방탄복(다목적 방탄복)은 포병과 같은 부대에 지급하는데 포병같은 부대는 대화력전중 [[대포병 사격]]으로 인한 파편상의 위험이 크기 때문이라고 하였다. 하지만 2019년 1월 30일에 있었던 워리어 플랫폼 세미나에서는 일반 부대에 I형 방탄복을 지급할 것이라고 한다. 이는 추가 정보가 더 공개되어야지 확실한 판단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 I형은 플레이트 캐리어와 같은 형태의 신형 방탄복이 아닌 기존에 사용하던 다목적 방탄복이다. [https://milidom.net/freeboard/927170 인터넷에 올라온 워리어 플랫폼 세미나 후기글]에 따르면 기존의 IOTV형 방탄복(다목적 방탄복)은 포병과 같은 부대에 지급하는데 포병같은 부대는 대화력전중 [[대포병 사격]]으로 인한 파편상의 위험이 크기 때문이라고 하였다. 하지만 2019년 1월 30일에 있었던 워리어 플랫폼 세미나에서는 일반 부대에 I형 방탄복을 지급할 것이라고 한다. 이는 추가 정보가 더 공개되어야지 확실한 판단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 II형은 CPC와 유사한 형태의 방탄복으로 위의 워리어 플랫폼 세미나 후기글에선 특공대, 수색대 등의 특임보병 부대 뿐 아니라 보병부대에도 보급될 방탄복이며 [http://img.bemil.chosun.com/nbrd/data/10067/upfile/201808/2018081309271449531.jpg 육군에서 배포한 자료]에 따르면 이와 비슷한 내용이 있다. 하지만 2019년 1월 30일에 있었던 워리어 플랫폼 세미나에선 특공, 수색과 같이 일반 보병부대 내에서 특수한 임무를 수행하는 부대에 지급할 것이라고 한다. 자세한 사항은 추가적인 정보 공개가 있어야 정확한 판단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https://milidom.net/photo/906891 보병용 플레이트 캐리어]


* 마지막으로 III형은 특전사 등에 보급될 방탄복인데 AVS와 유사한 형태이며 보병형 보다는 방호면적이 작지만 그만큼 더 가볍다. 현장에 있던 군 관계자에게 직접 문의하자 해당 관계자는 특전용 플레이트 캐리어가 JPC를 추종한 형태라는 것을 부인하였으며 오히려 확장성과 같은 문제로 AVS에 더 가깝다고 하였다. [https://milidom.net/photo/906883 워리어 플랫폼 TF에서 연구했던 특전용 플레이트 캐리어의 모습.] 현재 ㅇ사에서 개발한 III형 플레이트 캐리어가 보급됐다.
* II형은 CPC와 유사한 형태의 방탄복으로 위의 워리어 플랫폼 세미나 후기글에선 특공대, 수색대와 같은 부대를 포함한 보병부대에 보급될 방탄복이며 [http://img.bemil.chosun.com/nbrd/data/10067/upfile/201808/2018081309271449531.jpg 육군에서 배포한 자료]에 따르면 이와 비슷한 내용이 있다. 하지만 2019년 1월 30일에 있었던 워리어 플랫폼 세미나에선 특공, 수색과 같이 일반 보병부대 내에서 특수한 임무를 수행하는 부대에 지급할 것이라고 한다. 자세한 사항은 추가적인 정보 공개가 있어야 정확한 판단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https://milidom.net/photo/906891 보병용]
 
* 마지막으로 III형은 특전사 등에 보급될 방탄복인데 AVS와 유사한 형태이며 보병형 보다는 방호면적이 작지만 그만큼 더 가볍다. 현장에 있던 군 관계자에게 직접 문의하자 해당 관계자는 특전용 플레이트 캐리어가 JPC를 추종한 형태라는 것을 부인하였으며 오히려 확장성과 같은 문제로 AVS에 더 가깝다고 하였다. [https://milidom.net/photo/906883 특전용]


링크에 나온 II형 및 III형 방탄복은 실제 보급 예정인 물건이 아니며, 18년도에 테스트를 거친 다음 19년에 보급 예정이다. III형 방탄복은 국내 업체인 ㅇ사의 제품이 선정, 현재 보급 중이다.
방탄복 II형과 III형은 18년도에 테스트를 거친 다음 19년도에 보급 예정이다. 해당 보병용과 특전용 방탄복은 실제 보급 예정인 물건이 아니며 테스트 후 변경점이 더 생길 수 있다.


<ref>보병용 방탄복 Ⅱ 연구개발계획요구서</ref>
<ref>보병용 방탄복 Ⅱ 연구개발계획요구서</ref>
139번째 줄: 134번째 줄:
|제목4 = 응급처치킷
|제목4 = 응급처치킷
|내용4 =  
|내용4 =  
'''IFAK(Individual First Aid Kit)'''<br />
'''IFAK(Individual First Aid Kit)'''<br>
'''개인용 응급처치킷'''
'''개인용 응급처치킷'''


149번째 줄: 144번째 줄:
|제목6 = 전투용 안경
|제목6 = 전투용 안경
|내용6 =  
|내용6 =  
전투시 발생하는 파편, 비산물 등으로부터 사용자의 시력을 보호하는 강화 플라스틱 재질의 전투용 안경이다. 파편 방호 뿐 아니라 자외선 방호 기능은 물론 레이저 방호 기능까지 있다. 또한 임무나 사용자의 기호에 맞게 렌즈도 투명, 검정 등의 색상으로 교체가 가능하다.
전투시 발생하는 파편, 비산물 등등으로부터 사용자의 시력을 보호하는 전투용 안경이다. 강화 플라스틱 재질이라서 파편 방호가 가능하며 자외선 방호 기능은 물론 레이저 방호 기능까지 있다. 또한 부여된 임무나 사용자의 기호에 맞게 렌즈도 투명이나 검정 등의 색상으로 신속한 교체가 가능한 것도 장점이다.


|제목7 = 카멜백
|제목7 = 카멜백
155번째 줄: 150번째 줄:
'''Hydration carrier'''
'''Hydration carrier'''


[[카멜백]]이라는 별명으로 불리는 Hydration carrier는 가방형태의 식수 저장 장비다. Reserver라는 이름의 물 주머니를 몰리 시스템에 결속한 가방에 넣고 휴대하는 형태다. 공개된 자료에선 3 리터의 식수를 휴대할 수 있다고 하는데 수통보다 더 많은 양의 식수를 휴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관리하기가 수통보다 더 까다롭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군에서는 Reserver를 주기적으로 교체할 것이라고 한다.
[[카멜백]]이라는 별명으로 불리는 Hydration carrier는 가방형태의 식수 저장 장비이다. Reserver라는 이름의 물 주머니를 몰리 시스템에 결속한 가방에 넣고 휴대하는 형태이다. 공개된 자료에선 3 리터의 식수를 휴대할 수 있다고 하는데 수통보다 더 많은 양의 식수를 휴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관리하기가 수통보다 더 까다롭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군에서는 Reserver를 주기적으로 교체할 것이라고 한다.


|제목8 = 개인천막
|제목8 = 개인천막
173번째 줄: 168번째 줄:
|제목1 = 청력보호 헤드셋
|제목1 = 청력보호 헤드셋
|내용1 =  
|내용1 =  
개인 통신장비와 연동이 가능한 것은 물론 총성이나 폭음과 같은 전장 소음을 일상적인 대화 수준(30 데시벨)으로 감소시키면서도 대화 소리는 키워주기 때문에 [[청력]] 보호 기능은 물론이고 전투시 상호 의사소통에 용이하다. 현재 청력보호 헤드셋은 I형과 II형으로 나뉜다. I형은 우리가 흔히 보던 헤드셋 형태이고 II형은 이어폰과 같은 형태이다.
개인 통신장비와 연동이 가능한 것은 물론 총성이나 폭음과 같은 전장 소음을 일상적인 대화 수준(30 데시벨)으로 감소시키면서도 대화 소리는 키워주기 때문에 청력 보호 기능은 물론이고 전투시 상호 의사소통에 용이하다. 현재 청력보호 헤드셋은 I형과 II형으로 나뉜다. I형은 우리가 흔히 보던 헤드셋 형태이고 II형은 이어폰과 같은 형태이다.


사업에 참가한 장비는 여러종이 있지만 식별 가능한 장비는 헤드셋 형태는 MSA의 Sordin 하고 3M의 Peltor ComTac XPI 헤드셋이, 이어폰 형태는 3M제 제품이 하나 존재한다.
연구중인 장비는 여러종이 있지만 식별 가능한 것 중에서 헤드셋 형태는 MSA의 Sordin 하고 3M의 Peltor ComTac XPI 헤드셋이, 이어폰 형태는 3M제 제품이 하나 존재한다.


|제목2 = 피아식별 IR
|제목2 = 피아식별 IR
|내용2 =  
|내용2 =  
주로 헬멧의 정수리 부분에 부착하는 개인 피아식별 장비로, 가시 및 비가시 조명을 발광하여 주야간 피아 식별을 용이하게 해준다. 비가시 조명은 적외선을 사용해서 인간의 맨눈으로는 관측이 불가능하고 야간투시경과 같은 장비로만 관측이 가능하다. 사업에 참가한 장비로는 S&S Precision의 Manta strobe와 유사하게 생긴 피아식별기가 있다.
주로 헬멧의 정수리 부분에 부착하는 개인 피아식별 장비로, 가시 및 비가시 조명을 발광하여 주야간 피아 식별을 용이하게 해준다. 비가시 조명은 적외선을 사용해서 인간의 맨눈으로는 관측이 불가능하고 야간투시경과 같은 장비로만 관측이 가능하다. 연구중인 장비로는 S&S Precision의 Manta strobe와 유사하게 생긴 피아식별기가 있다.


|제목3 = 대검
|제목3 = 대검
|내용3 =  
|내용3 =  
현재 연구중인 장비다.


|제목4 = 탄알집
|제목4 = 탄알집
|내용4 =  
|내용4 =  
연구중인 모습은 폴리머, 플라스틱 재질의 탄알집이다.
연구중인 모습은 폴리머, 플라스틱 재질의 탄알집이다. Patro사의 탄알집하고 KCI제 탄알집이 있는데 KCI제의 경우 탄알집의 후면 혹은 측면에 잔탄 확인용 창이 있는 모습이다. 다음은 해당 탄알집의 군사요구도이다.


{{{!}} class{{=}}"wikitable" style{{=}}"margin:auto;"
{{{!}} class{{=}}"wikitable" style{{=}}"margin:auto;"
209번째 줄: 203번째 줄:
<ref>개인전투체계(워리어플랫폼) 장비획득 공개 사업설명회 계획;기동화력장비과 (2018년 7월 23일)</ref>
<ref>개인전투체계(워리어플랫폼) 장비획득 공개 사업설명회 계획;기동화력장비과 (2018년 7월 23일)</ref>


기타 사항으로 현재 사업에 참가한 장비는 P사, K사, M사(해외)탄알집이 있는데, 현재
기타 사항으로 현재까지 연구중인 장비는 Patro 하고 KCI(2종류 존재), Magpul(1~2종류 존재)사의 탄알집이 있다.


|제목5 = 표적지시기
|제목5 = 표적지시기
220번째 줄: 214번째 줄:
{{!}}-
{{!}}-
{{!}} rowspan="4" {{!}} 출력
{{!}} rowspan="4" {{!}} 출력
{{!}} rowspan="2" {{!}} 가시광선<br />(mW)
{{!}} rowspan="2" {{!}} 가시광선<br/>(mW)
{{!}} 저출력
{{!}} 저출력
{{!}} 5 이하
{{!}} 5 이하
{{!}} rowspan="4" {{!}} 3R 등급 이상<br />(KS C IEC 60825)
{{!}} rowspan="4" {{!}} 3R 등급 이상<br/>(KS C IEC 60825)
{{!}}-
{{!}}-
{{!}} 고출력
{{!}} 고출력
{{!}} 25 이하
{{!}} 25 이하
{{!}}-
{{!}}-
{{!}} rowspan="2" {{!}} 적외선<br />(IR, mW)
{{!}} rowspan="2" {{!}} 적외선<br/>(IR, mW)
{{!}} 저출력
{{!}} 저출력
{{!}} 0.7 이하
{{!}} 0.7 이하
257번째 줄: 251번째 줄:
<ref>개인전투체계(워리어플랫폼) 장비획득 공개 사업설명회 계획;기동화력장비과 (2018년 7월 23일)</ref>
<ref>개인전투체계(워리어플랫폼) 장비획득 공개 사업설명회 계획;기동화력장비과 (2018년 7월 23일)</ref>


사업에 참가한 장비는 여러종이 있지만 식별 가능한 장비는 Holosun의 LS321, LE221하고 동인광학의 MLAD-2, DILAD02가 있다.
현재 연구중인 장비는 여러종이 있지만 식별 가능한 장비는 Holosun의 LS321, LE221하고 동인광학의 MLAD-2, DILAD02가 있다.


|제목6 = 조준경
|제목6 = 조준경
|내용6 =  
|내용6 =  
'''개인화기주야간조준경(Ⅲ)'''
개인화기 주야조준경과(5만시간 이상의 수명) 주야간 표적지시기를 새로 개발 및 보급한다.  
'''Red dot sight'''
 
개인화기 주야조준경과(5만시간 이상의 수명) 주야간 표적지시기를 새로 개발 및 보급한다.


해당 조준경은 기존에 사용하던 [[PVS-11K|개인화기주야조준경(Ⅱ)]]의 후속 장비로 개인화기주야조준경(Ⅲ) 이라는 이름으로 도입될 조준경이다. 작동시간이 48시간에 불과한 PVS-11K와는 달리 3v 리튬 배터리 1개를 사용하여 5만시간 이상의 작동시간을 보유, 중량은 210g을 목표로 하고있는 조준경이다. 또한 개인의 취향에 맞게 조준점 형태(Reticle)도 선택이 가능하다. 18년 6월에서 19년중까지 시범사업 및 추친계획을 수립한 후 19년에 특전사 전력화, 21년부터 보병부대에 보급될 예정이다. 이와 관련해서 개인화기주야조준경(Ⅲ)의 대략적인 군사요구도가 공개되었는데 다음과 같다.
해당 조준경은 기존에 사용하던 [[PVS-11K|개인화기주야조준경(Ⅱ)]]의 후속 장비로 개인화기주야조준경(Ⅲ) 이라는 이름으로 도입될 조준경이다. 작동시간이 48시간에 불과한 PVS-11K와는 달리 3v 리튬 배터리 1개를 사용하여 5만시간 이상의 작동시간을 보유, 중량은 210g을 목표로 하고있는 조준경이다. 또한 개인의 취향에 맞게 조준점 형태(Reticle)도 선택이 가능하다. 18년 6월에서 19년중까지 시범사업 및 추친계획을 수립한 후 19년에 특전사 전력화, 21년부터 보병부대에 보급될 예정이다. 이와 관련해서 개인화기주야조준경(Ⅲ)의 대략적인 군사요구도가 공개되었는데 다음과 같다.
290번째 줄: 281번째 줄:
<ref>개인전투체계(워리어플랫폼) 장비획득 공개 사업설명회 계획;기동화력장비과 (2018년 7월 23일)</ref>
<ref>개인전투체계(워리어플랫폼) 장비획득 공개 사업설명회 계획;기동화력장비과 (2018년 7월 23일)</ref>


2018년 4분기 기준 시험중인 개인화기 주야조준경은 Aimpoint의 Aimpoint COMP M4S, 미국 시그자우어의 SIG ROMEO4T, 홀로선의 HS515GM, 뉴콘의 NC1X21, 동인광학의 DCL23, <ref>[http://www.metroseoul.co.kr/news/newsview?newscd=2018101800033 조준경 선정규격 올바르나, 워리어플랫폼 숨고르기 필요]</ref>IPEC의 MPRS 2520<ref>[https://www.facebook.com/IpecCorp/posts/1643349922463892 IPEC사의 페이스북 주소]</ref>가 있다.
2018년 4분기 기준 시험중인 개인화기 주야조준경은 Aimpoint의 Aimpoint COMP M4S, 미국 시그자우어의 SIG ROMEO4T, 홀로선의 HS515GM, 뉴콘의 NC1X21, 동인광학의 DCL23, <ref>[http://www.metroseoul.co.kr/news/newsview?newscd=2018101800033&pc=y 조준경 선정규격 올바르나, 워리어플랫폼 숨고르기 필요]</ref>IPEC의 MPRS 2520<ref>[https://www.facebook.com/IpecCorp/posts/1643349922463892 IPEC사의 페이스북 주소]</ref>가 있다.


기타 사항으로 소총용 조준경 말고 권총용 조준경도 연구중이다.
기타 사항으로 소총용 조준경 말고 권총용 조준경도 연구중이다.
296번째 줄: 287번째 줄:
|제목7 = 확대경
|제목7 = 확대경
|내용7 =  
|내용7 =  
'''Magnifier'''
개인화기주야조준경 뒤에 붙이는 3배율 확대경으로 장거리 교전시 조준경과 함께 사용하고 근거리 교전시에는 옆으로 치워서 도트사이트만 사용할 수 있는 장비다. 현재 연구중인 장비는 Vortex Optics의 VMX 3T하고 동인광학의 DCL3X가 있다.
 
개인화기주야조준경 뒤에 붙이는 3배율 확대경이다. 장거리 교전시 무배율 조준경과 함께 사용하고 근거리 교전시에는 옆으로 치워서 도트사이트만 사용할 수 있는 장비다. 사업에 참가한 장비는 Vortex Optics의 VMX 3T하고 동인광학의 DCL3X가 있다.


다음에 나오는 표는 확대경의 군사요구도이다.
다음에 나오는 표는 확대경의 군사요구도이다.
322번째 줄: 311번째 줄:
|제목8 = 소음·소염기
|제목8 = 소음·소염기
|내용8 =  
|내용8 =  
{{youtube|229XpyhHSaA|||center|워리어 플랫폼 소음기 관련 영상}}<br />
{{youtube|229XpyhHSaA|||center|워리어 플랫폼 소음기 관련 영상}}<br>


소염기는 개방형 소염기가 적용되었기 때문에 야간사격시 총구 섬광을 99% 가량 감소시켜주며, 사진에서와 같이 나사산이 적용되어 있기 때문에 소음기 장착이 가능하다. 소음기는 발사시 발생하는 가스의 방출을 억제함으로서 총성을 감소시켜준다. 소음기의 경우 K1A 기관단총 기준 150 데시벨에서 120 데시벨로 감소시켜준다. 소음기의 경우 OSS의 HX-QD 556K 소음기와 Surefire의 SOCOM556, FA556 소음기이다.
소염기는 개방형 소염기가 적용되었기 때문에 야간사격시 총구 섬광을 99% 가량 감소시켜주며, 사진에서와 같이 나사산이 적용되어 있기 때문에 소음기 장착이 가능하다. 소음기는 발사시 발생하는 가스의 방출을 억제함으로서 총성을 감소시켜준다. 소음기의 경우 K1A 기관단총 기준 150 데시벨에서 120 데시벨로 감소시켜준다. 소음기의 경우 OSS의 HX-QD 556K 소음기와 Surefire의 SOCOM556, FA556 소음기이다.
328번째 줄: 317번째 줄:
|제목9 = 원거리 조준경
|제목9 = 원거리 조준경
|내용9 =  
|내용9 =  
{{youtube|OFan1ybrP-E|||center}}<br />
{{youtube|https://youtu.be/OFan1ybrP-E|||center}}<br>
K2C1에 부착할 DMR용 가변배율 조준경이다. 배율은 1-4 배율하고, 1-6 배율이 있다.<br />
K2C1에 부착할 DMR용 가변배율 조준경이다. 배율은 1-4 배율하고, 1-6 배율이 있다.<br />


350번째 줄: 339번째 줄:
|제목1 = 개인화기
|제목1 = 개인화기
|내용1 =  
|내용1 =  
{{youtube|R4wwNa50XXM|||center}}<br />
{{youtube|https://youtu.be/R4wwNa50XXM|||center}}<br>


K1A, K2C1과 같은 현용 보급화기이다. 육군이 공개한 관련 자료 중에선 총열교체를 해서 사거리를 연장한다고 적혀있는데 위의 영상에서 나온 것과 같이 K1A 기관단총에서 K100탄을 정상적으로 운용할 수 있도록 총열을 교체하는 개량으로 보인다.
K1A, K2C1과 같은 현용 보급화기이다. 육군이 공개한 관련 자료 중에선 총열교체를 해서 사거리를 연장한다고 적혀있는데 위의 영상에서 나온 것과 같이 K1A 기관단총에서 K100탄을 정상적으로 운용할 수 있도록 총열을 교체하는 개량으로 보인다.
356번째 줄: 345번째 줄:
|제목2 = 아간투시경
|제목2 = 아간투시경
|내용2 =  
|내용2 =  
이오시스템에서 개발한 단안형 야간투시경인 [[PVS-04K]]이다. 현재 군에선 이와 관련해 미국제 Gen 3 WP I^2 튜브를 연구중이었고, 실제로 영상증폭관 교체를 하려고 했으나... 할많하않...
이오시스템에서 개발한 단안형 야간투시경인 [[PVS-04K]]이다. 현재 군에선 이와 관련해 미국제 Gen 3 WP I2 튜브를 연구중이다.


|제목3 = 방독면
|제목3 = 방독면
367번째 줄: 356번째 줄:
}}
}}


==== 기타 장비 ====
==== 기타 연구중인 장비 ====
육군에서 배포한 33종의 워리어 플랫폼 체계 자료에도 언급되지 않았지만 워리어 플랫폼과 관련해 연구중이거나, 관련 전시회에 등장 장비들이다.
육군에서 배포한 33종의 워리어 플랫폼 체계 자료에도 언급되지 않았지만 워리어 플랫폼 관련해 연구중인 장비들이다.
 
* 개머리판 장착대(Stock adapter): K1A 기관단총 등에 개머리판을 붙일 수 있게 만드는 장착대다. K1A, K7의 철사식 개머리판을 폴리머 혹은 플라스틱 재질의 신축형 개머리판으로 교체할 수 있다. 참가 업체는 S&T 모티브, 다산기공, DEVGRU가 있다.
 
* 개머리판(Butt stock): 'K1A용 개선형 개머리판'이라는 사업명으로 도입하는 장비다.해당 장비는 폴리머 혹은 플라스틱 재질의 신축식 개머리판이다. K1A 기관단총이나 K7 소음기관단총에서 사용하는 철사식 개머리판보다 더 부피가 크고 무겁다. 하지만 안정성이나 견고성 면에선 기존 철사식 개머리판보다 더 우수하다. 현재 연구중인 장비 중 식별 가능한 것은 LE 스톡, Magpul CTR이 있으며, 워리어 플랫폼과 관련이 있는지는 불명이지만 육군 특수전사령부 13 특수임무여단에선 K2C1의 개머리판을 장착해서 사용한다.
 
* 개머리판 뺨받이(Cheek pad): 개머리판의 높이를 조절해 뺨이 닿는 위치를 조정하는 장비다. 도트사이트를 부착하면 가늠자, 가늠쇠 조준선보다 조준 위치가 높아진다. K2C1 소총은 가늠자, 가늠쇠 사격을 전제로 했기 때문에 개머리판 축선이 낮다. 가늠자, 가늠쇠를 사용하면 뺨 부분에 갖다대고 조준할 수 있다. 하지만 도트사이트를 장착하면 조준선 상승으로 인해 턱 부분을 갖다대고 조준해야 한다. 이로 인해 사격시 제한사항이 될 수 있기 때문에 개머리판 뺨받이를 부착하는 것이다. Magpul CTR과 LE 스톡 이 두 개머리판에 장착할 수 있는 개머리판 뺨받이가 연구중이다.


* 개머리판 장착대(Stock adapter): K1A, K7 기관단총 등에 폴리머, 플라스틱 개머리판을 붙일 수 있는 장착대다. 현재 3개 업체가 참가했다.
* 개머리판(Butt stock): 'K1A용 개선형 개머리판'이라는 사업명으로 도입하는 장비다.해당 장비는 폴리머 혹은 플라스틱 재질의 신축식 개머리판이다. K1A 기관단총이나 K7 소음기관단총에서 사용하는 철사식 개머리판보다 더 부피가 크고 무겁지만 안정성이나 견고성 면에선 기존 철사식 개머리판보다 더 우수하다.
* 개머리판 뺨받이(Cheek pad): 개머리판의 높이를 조절해 뺨이 닿는 위치를 조정하는 장비다. 도트사이트를 부착하면 가늠자, 가늠쇠 조준선보다 조준 위치가 높아진다. K2C1 소총은 가늠자, 가늠쇠 사격을 전제로 했기 때문에 개머리판 축선이 낮다. 가늠자, 가늠쇠를 사용하면 뺨 부분에 갖다대고 조준할 수 있다. 하지만 도트사이트를 장착하면 조준선 상승으로 인해 턱 부분을 갖다대고 조준해야 한다. 이로 인해 사격시 제한사항이 될 수 있기 때문에 개머리판 뺨받이를 부착하는 것이다. Magpul CTR과 LE 스톡에 장착할 수 있는 개머리판 뺨받이가 연구중이다.
* K-15 경기관총 조준경 (PAS-18K): [[PVS-05K]] 기관총 조준경의 후속 장비이다. K-3 경기관총의 대체 경기관총인 K-15 신형 경기관총에 기본 포함되는 장비이다. 한화 시스템에서 개발한 열영상 조준경으로 사격시 발생하는 진동을 예측하여 조준오차를 최소하 화며 탄도계산을 하여 거리별 정밀 조준을 가능케 한다. 열영상 조준경 본체 위에 소형 도트사이트도 포함되어 있는데 근거리 교전과 같은 상황에서 사용한다. <ref>[http://bemil.chosun.com/nbrd/bbs/view.html?b_bbs_id=10158&num=5611 작성자: 안승범, 「K-15 경기관총 개발완료」, 2019년 7월 5일, 유용원의 군사세계]</ref>
* K-15 경기관총 조준경 (PAS-18K): [[PVS-05K]] 기관총 조준경의 후속 장비이다. K-3 경기관총의 대체 경기관총인 K-15 신형 경기관총에 기본 포함되는 장비이다. 한화 시스템에서 개발한 열영상 조준경으로 사격시 발생하는 진동을 예측하여 조준오차를 최소하 화며 탄도계산을 하여 거리별 정밀 조준을 가능케 한다. 열영상 조준경 본체 위에 소형 도트사이트도 포함되어 있는데 근거리 교전과 같은 상황에서 사용한다. <ref>[http://bemil.chosun.com/nbrd/bbs/view.html?b_bbs_id=10158&num=5611 작성자: 안승범, 「K-15 경기관총 개발완료」, 2019년 7월 5일, 유용원의 군사세계]</ref>


* GPS Grip Pod: 이 장비는 접이식 양각대가 내장되어 있는 수직손잡이다. 양각대를 펴려면 수직손잡이 뒷쪽에 있는 버튼을 누르면 되고 접으려면 손으로 양각대를 안으로 밀어올리면 된다. 양각대 겸용 수직손잡이의 장점은 양각대와 수직손잡이를 동시에 장착하지 않아도 되고 필요시 양각대를 펴서 의탁 사격을 하거나 양각대를 접어서 수직손잡이와 같이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총기를 지면에 내려놔야 할 때에 약실과 같은 총기의 중요 부위에 직접 닿지 않게 할 수 있어서 유사시 신뢰성 있는 총기 사용이 가능하다. 하지만 단점도 있는데 첫번째로 수직손잡이의 길이가 매우 길며 Magpul RVG 같이 짧고 가벼운 장비를 좋아하는 사람에게는 큰 단점이다. 두번째로 저격소총 등에 쓰이는 일반적인 양각대와는 달리 옆으로 기울어지거나 하지 않기 때문에 굴곡진 지형에서는 사용이 어렵다. 해당 장비는 워리어 플랫폼 사업 관련 전시회에서 자주 등장하였다.
* GPS Grip Pod: 이 장비는 접이식 양각대가 내장되어 있는 수직손잡이다. 양각대를 펴려면 수직손잡이 뒷쪽에 있는 버튼을 누르면 되고 접으려면 손으로 양각대를 안으로 밀어올리면 된다. 양각대 겸용 수직손잡이의 장점은 양각대와 수직손잡이를 동시에 장착하지 않아도 되고 필요시 양각대를 펴서 의탁 사격을 하거나 양각대를 접어서 수직손잡이와 같이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총기를 지면에 내려놔야 할 때에 약실과 같은 총기의 중요 부위에 직접 닿지 않게 할 수 있어서 유사시 신뢰성 있는 총기 사용이 가능하다. 하지만 단점도 있는데 첫번째로 수직손잡이의 길이가 매우 길며 Magpul RVG 같이 짧고 가벼운 장비를 좋아하는 사람에게는 큰 단점이다. 두번째로 저격소총 등에 쓰이는 일반적인 양각대와는 달리 옆으로 기울어지거나 하지 않기 때문에 굴곡진 지형에서는 사용이 어렵다. 해당 장비는 워리어 플랫폼 사업 관련 전시회에서 자주 등장하였다.
* 양안형(Dual tube) 야간투시경: [[AN/PVS-15 BNVS]]나 [[AN/PVS-5]]와 같은 Dual tube 야간투시경이다. 특수임무여단에서 '양안형 야간투시경'이라고 도입된 GPNVG-18(Quad tube)은 워리어 플랫폼과는 별개의 사업으로 도입되었으며 해당 장비와 관계 없다. 2019년에 양안형 야간투시경 도입 관련한 문건이 공개됐는데, 어쩌면 특전사에서 사용하는 모습을 볼 수 있을것이다.
 
* 양안형(Dual tube) 야간투시경: [[AN/PVS-15 BNVS]]나 [[AN/PVS-5]]와 같은 Dual tube 야간투시경이다. 특수임무여단에서 '양안형 야간투시경'이라고 도입된 GPNVG-18(Quad tube)은 워리어 플랫폼과는 별개의 사업으로 도입되었으며 해당 장비와 관계 없다. 2019년에 양안형 야간투시경 도입 관련한 문건이 공개됐는데 몇년뒤면 특전사에서 사용하는 모습을 볼 수 있을것이다.
 
* 모듈형 방탄장비: 3가지로 나뉘는데 첫번째로 모듈형 헬멧 증가장갑, 두번째로 헬멧 안면 보호대, 세번째로 미군의 SPS(Soldier Protection System, 전투원 방호 체계)와 비슷한 방탄장비 체계다.
* 모듈형 방탄장비: 3가지로 나뉘는데 첫번째로 모듈형 헬멧 증가장갑, 두번째로 헬멧 안면 보호대, 세번째로 미군의 SPS(Soldier Protection System, 전투원 방호 체계)와 비슷한 방탄장비 체계다.
* Clip-On 방식의 열영상 장비: L사의 열영상 장비다.
* Clip-On 방식의 열영상 장비: L사의 열영상 장비다.
* AN/PVS-14 MNVD: 미군에서 사용하는 PVS-14 야간투시경이다. 미국제 Gen 3 WP I2 튜브가 장착되어 있는데 PVS-04K 장착용 영상증폭관 관련해서 연구중인 것으로 추측된다.
* AN/PVS-14 MNVD: 미군에서 사용하는 PVS-14 야간투시경이다. 미국제 Gen 3 WP I2 튜브가 장착되어 있는데 PVS-04K 장착용 영상증폭관 관련해서 연구중인 것으로 추측된다.
* 그 밖의 다양한 장비들: 워리어 플랫폼 장비로 연구중이나 여러 가지 이유로 지금 당장 설명하지 못하는 장비들이다. 공식적으로 공개되거나 시간이 지나면 약간씩 설명하겠다.


=== 관련 장비 군사요구도 ===
=== 관련 장비 군사요구도 ===
==== III형 방탄복 ====
==== III형 방탄복 ====
특전용 방탄복인 3형 방탄복은 4가지 종류로 생산될 예정인데 멀티캠, 4도색 디지털 특전무늬, 국방색, 검은색으로 생산될 것이다. 미래에는 멀티캠 혹은 미군의 OCP와 같은 멀티캠 변형 위장무늬를 채택할 것으로 보인다.
특전용 방탄복인 3형 방탄복은 4가지 종류로 생산될 예정인데 멀티캠, 4도색 디지털 특전무늬, 국방색, 검정색으로 생산될 것이다. 미래에는 멀티캠 혹은 미군의 OCP와 같은 멀티캠 변형 위장무늬를 채택할 것으로 보인다.


===== 필수 구성품 목록 =====
===== 필수 구성품 목록 =====
440번째 줄: 438번째 줄:
|}
|}


현재 어느 모 국내 회사의 물건으로 보급됐는데... 할많하않...
기타 사항으로 원문에서 탄알집 파우치의 경우 한글로는 5.56 × 45 mm NATO 탄알집만 언급되었으나 영어로는 7.62 mm 탄약도 언급되었다.


=== 실제 보급 전 공개된 모습과 관련 정보 ===
=== 실제 보급 전 공개된 모습과 관련 정보 ===
==== 2018년도 ====
==== 워리어 플랫폼 사업의 공개와 여의도에서의 첫 전시회 ====
===== 워리어 플랫폼 사업의 공개와 여의도에서의 첫 전시회 =====
2017년 10월 육군본부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워리어 플랫폼 계획이 [[5대 게임체인저 ]] 계획의 일부로 발표되었다. 그 이후 여의도 국회의사당에서 첫 워리어 플랫폼 전시회가 열렸다. 이 문서 맨 위에 있는 사진이 당시 찍힌 사진이다. 해당 전시회에는 1단계 워리어 플랫폼에 대한 대략적인 정보들이 공개되었다.
2017년 10월 육군본부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워리어 플랫폼 계획이 [[5대 게임체인저 ]] 계획의 일부로 발표되었다. 그 이후 여의도 국회의사당에서 첫 워리어 플랫폼 전시회가 열렸다. 이 문서 맨 위에 있는 사진이 당시 찍힌 사진이다. 해당 전시회에는 1단계 워리어 플랫폼에 대한 대략적인 정보들이 공개되었다.


===== 워리어 플랫폼 1단계의 첫 시범 운영 (아크부대 14진) =====
==== 워리어 플랫폼 1단계의 첫 시범 운영 (아크부대 14진) ====
[[파일:워리어플랫폼.png]]<br />
[[파일:워리어플랫폼.png]]<br />
<sup>(출처: 미디어 HIM)<sub>
<sup>(출처: 미디어 HIM)<sub>
455번째 줄: 452번째 줄:
워리어 플랫폼 1단계의 일부가 공개되었다. 2018년 6월 25일, 육군에선 워리어 플랫폼 체계를 착용하고 훈련하는 아크부대 14진 대원들의 모습을 공개했는데 33개 품목중 18개 품목이 지급되었다.
워리어 플랫폼 1단계의 일부가 공개되었다. 2018년 6월 25일, 육군에선 워리어 플랫폼 체계를 착용하고 훈련하는 아크부대 14진 대원들의 모습을 공개했는데 33개 품목중 18개 품목이 지급되었다.


[[파일:The explaining material about the Warrior Platform.JPG]]<br />
[[파일:The_explaining_material_about_the_Warrior_Platform.JPG]]<br />
워리어 플랫폼 체계중 일부를 착용한 아크부대 14진 대원의 모습과 해당 장비들의 설명이다.
워리어 플랫폼 체계중 일부를 착용한 아크부대 14진 대원의 모습과 해당 장비들의 설명이다.
특이하게도 좌, 우 설명들에 첨부되어 있는 사진들중 일부는 실제 보급품이 아니라 이해를 돕기 위한 유사장비들인데 예를 들자면 10번의 개인화기, 권총 홀스터 파트의 첨부된 사진을 잘 보면 실총이 아니라 에어소프트건이 사진으로 첨부되어있음을 알 수 있다.
특이하게도 좌, 우 설명들에 첨부되어 있는 사진들중 일부는 실제 보급품이 아니라 이해를 돕기 위한 유사장비들인데 예를 들자면 10번의 개인화기, 권총 홀스터 파트의 첨부된 사진을 잘 보면 실총이 아니라 에어소프트건이 사진으로 첨부되어있음을 알 수 있다.
461번째 줄: 458번째 줄:
<ref>[http://kookbang.dema.mil.kr/kookbangWeb/view.do?ntt_writ_date=20180626&parent_no=8&bbs_id=BBSMSTR_000000000004 내 몸처럼 하나 돼… ‘전투력 극대화’ 뒷받침]</ref>
<ref>[http://kookbang.dema.mil.kr/kookbangWeb/view.do?ntt_writ_date=20180626&parent_no=8&bbs_id=BBSMSTR_000000000004 내 몸처럼 하나 돼… ‘전투력 극대화’ 뒷받침]</ref>


===== 1단계 시제품 첫 공개 =====
==== 1단계 시제품 첫 공개 ====
{|class=wikitable style=margin:auto;
{|class=wikitable style=margin:auto;
| {{youtube|ZltA5hTt6Ck|400||center|국방뉴스의 워리어 플랫폼 1단계 시제품 공개영상}}
| {{youtube|ZltA5hTt6Ck|400||center|국방뉴스의 워리어 플랫폼 1단계 시제품 공개영상}}
469번째 줄: 466번째 줄:
8월 7일, 계룡대에선 가시 및 비가시 레이저 표적지시기와 전술조명이 통합된 장비, 신축형 개머리판, 소음기가 새롭게 공개되었다. 아크부대 14진 환송식때와 비교했을때 차이점이라면 워리어 플랫폼을 민간에서도 체험할 수 있도록 했으며, 차이점이 극명하다는 사실을 증명했다.<ref>[http://kookbang.dema.mil.kr/kookbangWeb/view.do?ntt_writ_date=20180813&parent_no=1&bbs_id=BBSMSTR_000000000004 육군 워리어플랫폼 시제품 공개 "3~4배 이상 전투력 향상 효과 기대"]</ref>
8월 7일, 계룡대에선 가시 및 비가시 레이저 표적지시기와 전술조명이 통합된 장비, 신축형 개머리판, 소음기가 새롭게 공개되었다. 아크부대 14진 환송식때와 비교했을때 차이점이라면 워리어 플랫폼을 민간에서도 체험할 수 있도록 했으며, 차이점이 극명하다는 사실을 증명했다.<ref>[http://kookbang.dema.mil.kr/kookbangWeb/view.do?ntt_writ_date=20180813&parent_no=1&bbs_id=BBSMSTR_000000000004 육군 워리어플랫폼 시제품 공개 "3~4배 이상 전투력 향상 효과 기대"]</ref>


===== DX Korea 2018에서 공개된 모습 =====
==== DX Korea 2018에서 공개된 모습 ====
{|class=wikitable style=margin:auto;
{|class=wikitable style=margin:auto;
|{{youtube|YV0IArzFb8c|400||center|국방뉴스의 DX Korea 2018 관련 보도자료.<br />1분 57초 쯤에 잠깐 모습이 나온다.}}
|{{youtube|YV0IArzFb8c|400||center|국방뉴스의 DX Korea 2018 관련 보도자료.<br/>1분 57초 쯤에 잠깐 모습이 나온다.}}
|{{youtube|5s69dW4bMjM|400||center|DX Korea 2018 탐방 영상.<br />17분 25초에서 시작한다.}}
|{{youtube|5s69dW4bMjM|400||center|DX Korea 2018 탐방 영상.<br/>17분 25초에서 시작한다.}}
|}
|}


479번째 줄: 476번째 줄:
기타 사항으로 해당 위장무늬들 중 최소한 태극패턴과 호랑이 패턴은 상명대학교 산학협력단의 권지은 교수가 설계했다. <ref>[http://www.prism.go.kr/homepage/origin/retrieveOriginDetail.do;jsessionid=6DFC78EB9FDEE43A5F825F7F018CE6DC.node02?cond_research_name=&cond_research_start_date=&cond_research_end_date=&cond_organ_id=1290000&research_id=1290000-201900013&pageIndex=3&leftMenuLevel=120 전투복 위장무늬, 디자인 및 적용소재에 관한 연구]</ref> 권지은 교수가 수행한 용역명은 육군 전력체계지원사업단의 '전투복의 위장무늬 디자인 및 적용소재에 관한 연구' 이며 2200여만원의 규모이다. <ref>상명대학교산학협력단 결산서 (2017 회계연도)</ref>  용역 내용에선 한국군의 전투복 운용실태 분석 및 개선 방향 제시, 외국군 사례 연구를 통한 발전추세 및 전망 분석 등이 있다. <ref>"전투복의 위장무늬, 디자인 및 적용소재에 관한 연구” 정책연구 용역사업 (제안요청서)</ref>
기타 사항으로 해당 위장무늬들 중 최소한 태극패턴과 호랑이 패턴은 상명대학교 산학협력단의 권지은 교수가 설계했다. <ref>[http://www.prism.go.kr/homepage/origin/retrieveOriginDetail.do;jsessionid=6DFC78EB9FDEE43A5F825F7F018CE6DC.node02?cond_research_name=&cond_research_start_date=&cond_research_end_date=&cond_organ_id=1290000&research_id=1290000-201900013&pageIndex=3&leftMenuLevel=120 전투복 위장무늬, 디자인 및 적용소재에 관한 연구]</ref> 권지은 교수가 수행한 용역명은 육군 전력체계지원사업단의 '전투복의 위장무늬 디자인 및 적용소재에 관한 연구' 이며 2200여만원의 규모이다. <ref>상명대학교산학협력단 결산서 (2017 회계연도)</ref>  용역 내용에선 한국군의 전투복 운용실태 분석 및 개선 방향 제시, 외국군 사례 연구를 통한 발전추세 및 전망 분석 등이 있다. <ref>"전투복의 위장무늬, 디자인 및 적용소재에 관한 연구” 정책연구 용역사업 (제안요청서)</ref>


===== 제70주년 국군의 날 행사에서 공개된 워리어 플랫폼 =====
==== 제70주년 국군의 날 행사에서 공개된 워리어 플랫폼 ====
{{youtube|enVRKnF1ZQU|||center|국방뉴스 행사 영상}}
{{youtube|enVRKnF1ZQU|||center|국방뉴스 행사 영상}}
<gallery mode="packed" heights=180px>
<gallery mode="packed" heights=180px>
490번째 줄: 487번째 줄:
71주년 국군의 날 행사에서는 공군 창설 70주년을 기념하여 공군이 이 행사의 주인공으로 참가하게 되었는데, 이 때문인지 해당 행사에선 워리어 플랫폼이 등장하지 않았다.
71주년 국군의 날 행사에서는 공군 창설 70주년을 기념하여 공군이 이 행사의 주인공으로 참가하게 되었는데, 이 때문인지 해당 행사에선 워리어 플랫폼이 등장하지 않았다.


===== 동명부대에서의 워리어 플랫폼 =====
==== 동명부대에서의 워리어 플랫폼 ====
[[파일:The Dong-Myung Unit with Warrior Platform.jpg]]<br /><sup>사진 촬영: 국방일보 조용학 기자</sup>
[[파일:The_Dong-Myung_Unit_with_Warrior_Platform.jpg]]<br /><sup>사진 촬영: 국방일보 조용학 기자</sup>


{| class="wikitable"
{| class="wikitable"
512번째 줄: 509번째 줄:
소형전술차량에 탑승한 동명부대 대원.
소형전술차량에 탑승한 동명부대 대원.


동명부대에서도 워리어 플랫폼을 사용하는 모습이 2018년 11월 14일에 공개되었다. 해당 부대는 18종의 장비를 운용하는 아크부대와는 달리 15종의 워리어 플랫폼 장비를 운용한다고 한다. <ref>[http://kookbang.dema.mil.kr/newsWeb/20181106/12/BBSMSTR_000000010026/view.do 동명부대, UNIFIL FCR 핀란드부대와 연합훈련]</ref> 워리어 플랫폼을 대대적으로 홍보한 아크부대와는 달리 동명부대에선 워리어 플랫폼을 사용하는 모습이 보이지 않는 편이다.
동명부대에서도 워리어 플랫폼을 사용하는 모습이 2018년 11월 14일에 공개되었다. 해당 부대는 18종의 장비를 운용하는 아크부대와는 달리 15종의 워리어 플랫폼 장비를 운용한다고 한다. <ref>[http://kookbang.dema.mil.kr/newsWeb/20181106/12/BBSMSTR_000000010026/view.do 동명부대, UNIFIL FCR 핀란드부대와 연합훈련]</ref> 워리어 플랫폼을 대대적으로 홍보한 아크부대와는 달리 동명부대에선 워리어 플랫폼을 사용하는 모습이 거의 보이지 않는다.


===== 해병대의 워리어 플랫폼 =====
==== 해병대의 워리어 플랫폼 ====
해병대에서도 워리어 플랫폼을 지급할 것이라고 한다. 2019년 내에 해병수색대와 특경대, 신속기동부대에 우선 지급하며 일부 특수임무를 맡은 부대에는 조금 다른 장비가 지급될 것이라고 한다.
해병대에서도 워리어 플랫폼을 지급할 것이라고 한다. 2019년 내에 해병수색대와 특경대, 신속기동부대에 우선 지급하며 일부 특수임무를 맡은 부대에는 조금 다른 장비가 지급될 것이라고 한다.


<ref>[https://www.sedaily.com/NewsView/1S7AUUAXAA <nowiki>[권홍우 선임기자의 무기이야기]</nowiki> 해병대도 첨단 방탄 헬멧·조끼 무장...신속기동부대로 거듭난다]</ref>
<ref>[https://www.sedaily.com/NewsView/1S7AUUAXAA <nowiki>[권홍우 선임기자의 무기이야기]</nowiki> 해병대도 첨단 방탄 헬멧·조끼 무장...신속기동부대로 거듭난다]</ref>


===== OOO 특공대의 장비 테스트 =====
==== OOO 특공대의 사용 ====
<gallery mode="slideshow" style="max-width: 500px; margin: auto;">
<gallery mode="slideshow" style="width: 500px; margin: auto;">
파일:OOO_Commando_Unit_with_Warrior_Platform_Systems-1.jpg|출처: 자주국방네트워크
파일:OOO_Commando_Unit_with_Warrior_Platform_Systems-1.jpg|출처: 자주국방네트워크
파일:OOO_Commando_Unit_with_Warrior_Platform_Systems-2.jpg|출처: 자주국방네트워크
파일:OOO_Commando_Unit_with_Warrior_Platform_Systems-2.jpg|출처: 자주국방네트워크
527번째 줄: 524번째 줄:
파일:OOO_Commando_Unit_with_Warrior_Platform_Systems-5.jpg|출처: 자주국방네트워크
파일:OOO_Commando_Unit_with_Warrior_Platform_Systems-5.jpg|출처: 자주국방네트워크
</gallery>
</gallery>
2018년 11월 자주국방네트워크에서 공개한 육군 OOO 특공대의 워리어 플랫폼 체계 테스트다. 제70주년 국군의 날 행사에서 공개된 보병형 워리어 플랫폼체계와 크게 다르지 않은 모습이며 전투복을 여러종 혼용하는 것으로 보아 시험 목적이 분명해 보인다.
2018년 11월달에 자주국방네트워크에서 공개된 육군 OOO 특공대의 워리어 플랫폼 체계 사용 모습이다. 제70주년 국군의 날 행사에서 공개된 보병형 워리어 플랫폼체계와 크게 다르지 않은 모습이며 전투복을 여러종 혼용하는 것으로 보아 시험 목적으로 보인다.


자주국방네트워크에선 보안 문제인지 OOO 특공대라고 하였지만 실제 테스트 부대는 706 특공연대로 보인다. <ref>[https://www.instagram.com/p/BpWpHqRAglR/?utm_source=ig_web_button_share_sheet 개인 인스타그램 주소]</ref>
자주국방네트워크에선 보안 문제인지 OOO 특공대라고 하였지만 실제 테스트 부대는 706 특공연대로 보인다. <ref>[https://www.instagram.com/p/BpWpHqRAglR/?utm_source=ig_web_button_share_sheet 개인 인스타그램 주소]</ref>


===== 육군 특수전사령부 제3공수특전여단 혹한기 훈련 =====
==== 육군 특수전사령부 제3공수특전여단 혹한기 훈련 ====
{{youtube|cgURWYCdioo|||center}}
{{youtube|cgURWYCdioo|||center}}
{{숨기기|<나는 대한민국 군인이다> 27, 28회 본편 영상|<br />
{{숨기기|<나는 대한민국 군인이다> 27, 28회 본편 영상|<br />
537번째 줄: 534번째 줄:
{{youtube|r2Kv1Ob3GXM|||center}}<br />
{{youtube|r2Kv1Ob3GXM|||center}}<br />
}}
}}
<gallery mode="slideshow" style="max-width: 500px; margin: auto;">
<gallery mode="slideshow" style="width: 500px; margin: auto;">
파일:Members of 3rd Special Forces Brigade's winter training(1).jpg|<sup>사진 촬영: 국방일보 한재호 기자</sup>
파일:Members of 3rd Special Forces Brigade's winter training(1).jpg|<sup>사진 촬영: 국방일보 한재호 기자</sup>
파일:Members of 3rd Special Forces Brigade's winter training(2).jpg|<sup>사진 촬영: 국방일보 한재호 기자</sup>
파일:Members of 3rd Special Forces Brigade's winter training(2).jpg|<sup>사진 촬영: 국방일보 한재호 기자</sup>
파일:Members of 3rd Special Forces Brigade's winter training(3).jpg|<sup>사진 촬영: 국방일보 한재호 기자</sup>
파일:Members of 3rd Special Forces Brigade's winter training(3).jpg|<sup>사진 촬영: 국방일보 한재호 기자</sup>
파일:Members of 3rd Special Forces Brigade's winter training(4).jpg|<sup>사진 촬영: 국방일보 한재호 기자</sup>
파일:Members of 3rd Special Forces Brigade's winter training(4).jpg|<sup>사진 촬영: 국방일보 한재호 기자</sup>
파일: The_ROK_Army_general_Kim Yong-Woo_visits_training_area.jpg|<sup>사진 촬영: 국방일보 한재호 기자</sup><br />김용우 육군참모총장이(맨 앞줄, 중간) 훈련현장을 방문하였는데 호랑이 패턴이 적용된 신형 전투복 하의가 인상적이다.
파일: The_ROK_Army_general_Kim Yong-Woo_visits_training_area.jpg|<sup>사진 촬영: 국방일보 한재호 기자</sup><br/>김용우 육군참모총장이(맨 앞줄, 중간) 훈련현장을 방문하였는데 호랑이 패턴이 적용된 신형 전투복 하의가 인상적이다.
</gallery>
</gallery>
2019년 1월에는 특전사 제3공수특전여단의 훈련에서 워리어 플랫폼 체계가 사용되었다. 이 훈련은 전군 최초로 워리어 플랫폼 체계를 사용한 혹한기 훈련이라는점이 특징이다.
2019년 1월에는 특전사 제3공수특전여단의 훈련에서 워리어 플랫폼 체계가 사용되었다. 이 훈련은 전군 최초로 워리어 플랫폼 체계를 사용한 혹한기 훈련이라는점이 특징이다.
556번째 줄: 553번째 줄:
다만 안타깝게도 후자의 문제를 해결할만한 구체적인 계획은 아직까지 한국군에게는 없는 상황이다. 희망이라면 K-11 복합소총의 전력화 지연에 따른 공백을 메우기 위해 신형 유탄발사기를 도입할 것이라고 하며 <ref>[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oid=011&aid=0003549119&sid1=001&lfrom=twitter <nowiki>[권홍우 선임기자의 무기이야기]</nowiki> 고성능 소총, 국내 개발로 유턴···기관총·유탄발사기도 바꾼다]</ref> S&T에서 STG-40라는 레일 장착형 유탄발사기를 만들었다는 것이다.
다만 안타깝게도 후자의 문제를 해결할만한 구체적인 계획은 아직까지 한국군에게는 없는 상황이다. 희망이라면 K-11 복합소총의 전력화 지연에 따른 공백을 메우기 위해 신형 유탄발사기를 도입할 것이라고 하며 <ref>[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oid=011&aid=0003549119&sid1=001&lfrom=twitter <nowiki>[권홍우 선임기자의 무기이야기]</nowiki> 고성능 소총, 국내 개발로 유턴···기관총·유탄발사기도 바꾼다]</ref> S&T에서 STG-40라는 레일 장착형 유탄발사기를 만들었다는 것이다.


===== 27사단 백호대대의 워리어 플랫폼 시범 적용 =====
==== 27사단 백호대대의 워리어 플랫폼 시범 적용 ====
{{숨기기|2019년 1월 30일에 업로드 된 관련 뉴스 영상|<br />
{{숨기기|2019년 1월 30일에 업로드 된 관련 뉴스 영상|<br />
{{youtube|IIMB4zbGcug|||center}}<br />
{{youtube|IIMB4zbGcug|||center}}<br />
562번째 줄: 559번째 줄:
}}
}}


[[파일:The 27th division Baekho Battalion's first drill with Warrior Platform Systems.jpeg]]<br />
[[파일:The_27th_division_Baekho_Battalion's_first_drill_with_Warrior_Platform_Systems.jpeg]]<br />
<small>출처: 국방일보 조용학 기자</small>
<small>출처: 국방일보 조용학 기자</small>


워리어 플랫폼 장비를 이용한 사격훈련중인 백호대대 장병의 모습.
워리어 플랫폼 장비를 이용한 사격훈련중인 백호대대 장병의 모습.


[[파일:K2C1 rifle with Warrior Platform Systems.png]]<br />
[[파일:K2C1_rifle_with_Warrior_Platform_Systems.png]]<br />


당시 사용되었던 K2C1 소총의 모습.
당시 사용되었던 K2C1 소총의 모습.
581번째 줄: 578번째 줄:
<ref>[http://kookbang.dema.mil.kr/newsWeb/20190130/13/BBSMSTR_000000010023/view.do ‘워리어 플랫폼’ 착용, 400m 표적도 명중]</ref>
<ref>[http://kookbang.dema.mil.kr/newsWeb/20190130/13/BBSMSTR_000000010023/view.do ‘워리어 플랫폼’ 착용, 400m 표적도 명중]</ref>


===== 워리어 플랫폼 세미나 (개인전투체계, 미래기술을 만나다.) =====
==== 워리어 플랫폼 세미나 (개인전투체계, 미래기술을 만나다.) ====
{{youtube|MYobw-LZ9m0|||center}}
{{youtube|MYobw-LZ9m0|||center}}


590번째 줄: 587번째 줄:
<ref>[http://www.newsworks.co.kr/news/articleView.html?idxno=333014 육군, 2026년까지 일체형 개인무기체계 완성]</ref>
<ref>[http://www.newsworks.co.kr/news/articleView.html?idxno=333014 육군, 2026년까지 일체형 개인무기체계 완성]</ref>


===== AASAM 예행연습과 대회에서 공개된 워리어 플랫폼 =====
==== AASAM 예행연습과 대회에서 공개된 워리어 플랫폼 ====
{{youtube|crgbopWftXM|||center}}
{{youtube|crgbopWftXM|||center}}


596번째 줄: 593번째 줄:


{{숨기기|페이스북 AASAM Australian Army Skill at Arms Meet에 올려진 관련 사진들|<br />
{{숨기기|페이스북 AASAM Australian Army Skill at Arms Meet에 올려진 관련 사진들|<br />
[[파일:ROKA-SWC in AASAM(1).jpg]]
[[파일:ROKA-SWC_in_AASAM(1).jpg]]


[[파일:ROKA-SWC in AASAM(2).jpg]]
[[파일:ROKA-SWC_in_AASAM(2).jpg]]


AASAM 대회에 참가한 한국 대원들.
AASAM 대회에 참가한 한국 대원들.


[[파일:ROKA-SWC in AASAM(3).jpg]]
 
[[파일:ROKA-SWC_in_AASAM(3).jpg]]


특이하게도 가늠쇠를 절단, 국내 업체의 K2C1 개머리판용 뺨받이가 장착된 K2C1 소총이 대회에서 사용되었다. K2C1 소총의 개머리판은 가늠자, 가늠쇠 사용만을 전제하고 있어서 조준경을 사용하고 견착시 불편하고 K2C1의 가늠쇠는 접이식이 아니기 때문에 배율 조준경 사용시 지장이 있으므로 이러한 개조를 한 것으로 보인다.
특이하게도 가늠쇠를 절단, 국내 업체의 K2C1 개머리판용 뺨받이가 장착된 K2C1 소총이 대회에서 사용되었다. K2C1 소총의 개머리판은 가늠자, 가늠쇠 사용만을 전제하고 있어서 조준경을 사용하고 견착시 불편하고 K2C1의 가늠쇠는 접이식이 아니기 때문에 배율 조준경 사용시 지장이 있으므로 이러한 개조를 한 것으로 보인다.
}}
}}


===== 2019년 4월 11일에 공개된 영상과 기타 정보 =====
==== 2019년 4월 11일에 공개된 영상과 기타 정보 ====
{{youtube|FyEB4NKM1Uk|||center}}
{{youtube|FyEB4NKM1Uk|||center}}


614번째 줄: 612번째 줄:
기타 사항으로 영상 내에서 동인광학제 레일에다가 [[PVS-11K]] 도트사이트를 부착한 K1A를 사격할때 몸이 밀리는 것을 볼 수 있다. 총도 많이 쏴본 사람일텐데 저렇게 몸이 밀린다는 건 연기로밖에 볼 수 없다.
기타 사항으로 영상 내에서 동인광학제 레일에다가 [[PVS-11K]] 도트사이트를 부착한 K1A를 사격할때 몸이 밀리는 것을 볼 수 있다. 총도 많이 쏴본 사람일텐데 저렇게 몸이 밀린다는 건 연기로밖에 볼 수 없다.


===== 국민체험단의 군 과학화전투훈련 체험 =====
==== 국민체험단의 군 과학화전투훈련 체험 ====
{{youtube|nYAGQpvCS3A|||center}}
{{youtube|nYAGQpvCS3A|||center}}


30여명으로 구성된 국민체험단이 워리어 플랫폼 장비 체험을 하였다. 육군참모총장이 김용우에서 서욱으로 바뀐 이래 민간에 처음으로 공개된 워리어 플랫폼 체험이다.
30여명으로 구성된 국민체험단이 워리어 플랫폼 장비 체험을 하였다. 육군참모총장이 김용우에서 서욱으로 바뀐 이래 민간에 처음으로 공개된 워리어 플랫폼 체험이다.


===== 한빛부대 11진 파병준비단의 훈련 =====
==== 한빛부대 11진 파병준비단의 훈련 ====
{{youtube|AbM02ENiuFM|||center}}
{{youtube|AbM02ENiuFM|||center}}
<gallery mode="slideshow" style="max-width: 500px; margin: auto;">
<gallery mode="slideshow" style="width: 500px; margin: auto;">
파일:64473707_2685395421535588_8253927579468169216_o.jpg|<sup>사진 촬영: 월간 플래툰지</sup>
파일:64473707_2685395421535588_8253927579468169216_o.jpg|<sup>사진 촬영: 월간 플래툰지</sup>
파일:64977768_2685396011535529_9065792027521712128_o.jpg|<sup>사진 촬영: 월간 플래툰지</sup>
파일:64977768_2685396011535529_9065792027521712128_o.jpg|<sup>사진 촬영: 월간 플래툰지</sup>
629번째 줄: 627번째 줄:
워리어 플랫폼 장비 전시와 워리어 플랫폼 체계를 착용한 한빛부대 11진 파병준비단 대원들의 기동 실사격 훈련이 6월 20일 공개되었다. 기존 사례와 다른 점이라면 이번에는 파병 후가 아닌 파병 준비단계에서부터 워리어 플랫폼이 지급된다는 것이다. 한빛부대 11진은 남수단 현지에서 여러 임무를 수행하면서 장비의 성능을 시험할 것이다.<ref>[http://kookbang.dema.mil.kr/newsWeb/20190621/12/BBSMSTR_000000010023/view.do 글=김상윤/사진=양동욱 기자,『활동성.방호력.명중률 모두 ‘엄지척’』, 2019년 6월 20일, 국방일보 종합 1, 2면]</ref>
워리어 플랫폼 장비 전시와 워리어 플랫폼 체계를 착용한 한빛부대 11진 파병준비단 대원들의 기동 실사격 훈련이 6월 20일 공개되었다. 기존 사례와 다른 점이라면 이번에는 파병 후가 아닌 파병 준비단계에서부터 워리어 플랫폼이 지급된다는 것이다. 한빛부대 11진은 남수단 현지에서 여러 임무를 수행하면서 장비의 성능을 시험할 것이다.<ref>[http://kookbang.dema.mil.kr/newsWeb/20190621/12/BBSMSTR_000000010023/view.do 글=김상윤/사진=양동욱 기자,『활동성.방호력.명중률 모두 ‘엄지척’』, 2019년 6월 20일, 국방일보 종합 1, 2면]</ref>


===== 2019 지상군 페스티벌에서 공개된 워리어 플랫폼 =====
==== 2019 지상군 페스티벌에서 공개된 워리어 플랫폼 ====
C자형으로 생긴 작은 부스에서 다양한 장비들이 공개됐다. 대부분은 보안상의 이유로 사진 촬영이 금지됐었다. 부스 중앙에선 워리어 플랫폼이 장착된 소총하고 방탄복, 방탄헬멧을 체험해볼 수 있었는데, 방탄복과 방탄헬멧을 착용한 다음 워리어 플랫폼 장비가 장착된 소총을 들고있는 모습을 사진으로 남길 수 있었다.
다양한 장비들이 공개되었는데 대부분은 보안상의 이유로 사진 촬영이 금지되어 있었다. C자형으로 생긴 작은 부스에서 공개되었다. 부스 중앙에선 워리어 플랫폼이 장착된 소총하고 방탄복, 방탄헬멧을 체험해볼 수 있었는데, 방탄복과 방탄헬멧을 착용한 다음 워리어 플랫폼 장비가 장착된 소총을 들고있는 모습을 사진으로 남길 수 있었다. 이곳에서 만큼은 사진 촬영이 가능했다.


사진 촬영이 금지된 곳에서 진열된 장비의 대부분은 기존에 공개된 것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장비들이지만 잘 공개되지 않았거나 처음 공개된 장비들도 일부 포함되어 있었다.
사진 촬영이 금지된 곳에서 진열된 장비의 대부분은 기존에 공개된 것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장비들이지만 잘 공개되지 않았거나 처음 공개된 장비들도 일부 포함되어 있었다. 그 중에서 가장 놀랐던 것은...


진열된 장비들은 육군에서 어떠한 것들을 연구하고 있는지를 대략적으로 보여주는 역할이라고 보면 된다. 워리어 플랫폼 체험관 옆에는 작은 암실이 하나 있었는데 야간투시경과 표적지시기 체험을 할 수 있었다.
진열된 장비들은 육군에서 어떠한 것들을 연구하고 있는지를 대략적으로 보여주는 역할이라고 보면 된다. 워리어 플랫폼 체험관 옆에는 작은 암실이 하나 있었는데 야간투시경과 표적지시기 체험을 할 수 있었다.


===== 2019 ADEX에서 공개된 워리어 플랫폼 =====
==== 2019 ADEX에서 공개된 워리어 플랫폼 ====
아덱스에서도 워리어 플랫폼이 공개되었는데 두곳에서 공개되었다.
아덱스에서도 워리어 플랫폼이 공개되었는데 두곳에서 공개되었다.


643번째 줄: 641번째 줄:
S&T 모티브 부스에선 워리어 플랫폼 장비를 장착한 K1A 기관단총이 공개되었는데 ACTUS CORE-1 도트사이트가 장착되었다.
S&T 모티브 부스에선 워리어 플랫폼 장비를 장착한 K1A 기관단총이 공개되었는데 ACTUS CORE-1 도트사이트가 장착되었다.


===== 제72주년 국군의 날 기념행사에서 공개된 워리어 플랫폼 =====
==== 제72주년 국군의 날 기념행사에서 공개된 워리어 플랫폼 ====
{{youtube|QjkyaACEdC0|||center|국군의 날 기념행사 영상}}<br />
{{youtube|https://youtu.be/QjkyaACEdC0|||center|국군의 날 기념행사 영상}}<br />


{| class="wikitable"
{| class="wikitable"
650번째 줄: 648번째 줄:
! 특수전 부대 !! 새로 공개된 장비들(워리어 플랫폼 외 장비 포함)
! 특수전 부대 !! 새로 공개된 장비들(워리어 플랫폼 외 장비 포함)
|-
|-
| 육군 특수전사령부 제3공수특전여단 특수임무대 및 육군 707 특수임무단 || 없음
| 육군 특수전사령부 || 없음
|-
| 해군 특수전전단 특수임무대 || Elcan Specter DR, PVS-31K
|-
|-
| 공군 제259특임대대(CCT) || MINI/N SEAS
| 해군 특수전전단 || Elcan Specter DR, PVS-31K
|-
|-
| 공군 제6탐색구조비행전대(SART) || KAN/AVS-9
| 공군 공정통제사 || KAN/AVS-9, 기타 양안형(dual-tube) 야간투시경
|-
|-
| 해병대 특수수색대 || GPNVG-18
| 해병대 특수수색대 || GPNVG-18
|}
|}


특수전 부대를 주제로 한 제72주년 국군의 날 행사에선 워리어 플랫폼 장비가 일부 등장했다. 육군 특수전사령부 대원들이 보여준 워리어 플랫폼 장비들은 기존에 등장했던 장비와 비교했을 때 크게 다르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특수전 부대를 주제로 한 제72주년 국군의 날 행사에선 워리어 플랫폼 장비가 등장했다. 하지만 육군 특수전사령부 대원들이 보여준 워리어 플랫폼 장비들은 기존에 등장했던 장비와 비교했을 때 크게 다르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특이 사항으로는 육군 특수전사령부 뿐 아니라 해병대 특수수색대에서도 GPNVG-18을 사용한다는 점, 공군 제259특임대대(공정통제사) 및 제6탐색구조비행전대(SART)에선 각각 식별되지 않은 양안형 야간투시경과 KAN/AVS-9을 사용한다는 점, 해군 특수전전단에서 PVS-31K 양안형 야간투시경과 Elcan Specter DR을 도입했다는 점이 있다.
 
===== 2020년도 DX Korea에서 공개된 워리어 플랫폼 =====
이번 DX Korea는 방산업체나 연구소, 군경 등의 관계자만 관람이 가능했다. 육군관과 전력지원체계관에서 워리어 플랫폼 장비가 공개됐는데, 보급 예정인 품목과 어떤 품목을 연구중인지 공개됐다.


===== 육군의 워리어 플랫폼 보급 개시 =====
특이한 점으로는 육군 특수전사령부 뿐만 아니라 해병대 특수수색대에서도 GPNVG-18을 사용한다는 점, 공군 공정통제사에선 KAN/AVS-9을 사용하고, 그 외 확인되지 않은 양안형 야간투시경(PVS-04K에 브릿지 마운트를 장착한 것으로 추정됨)을 운용한다는 점, 해군 특수전전단에는 PVS-31K 양안형 야간투시경과 Elcan Specter DR을 사용한다는 점이 있다.
지난 연말부터 워리어 플랫폼 장비가 육군 특전사, 특공대 등의 부대에 보급되고 있다. 특전사는 9개, 보병부대는 6개의 장비가 보급되고 있다. <ref>[https://kookbang.dema.mil.kr/newsWeb/20210414/10/BBSMSTR_000000010023/view.do <nowiki>[‘The 강한·좋은 육군’ 혁신에서 길을 찾다]</nowiki> 전투원을 하나의 첨단무기체계로 ‘워리어플랫폼’ 진화는 계속된다]</ref>


{{youtube|YTNN9Nn951E}}<br />
==== 2020년 DX Korea에서 공개된 워리어 플랫폼 ====
{{youtube|pYHnzqaqCAU}}
이번 DX Korea는 방산업체나 연구소, 군경 등의 관계자만 관람이 가능했다. 육군관과 전력지원체계관에서 워리어 플랫폼 장비가 공개됐는데, 보급 예정인 품목이 주로 공개됐다.
 
21년 5월 8일에는 육군의 웹 드라마인 '용쟁호투'에선 28사단 수색대의 워리어 플랫폼 장비가 공개됐는데, 영상에선 개인화기주야간조준경(Ⅲ)과 3배율 확대경, 표적지시기, 피아식별기, 통신 기능을 포함한 차음 헤드셋이 보급됐음을 알 수 있다.
 
===== 해병대의 워리어 플랫폼 =====
정보 공개가 극히 드물었던 해병대에도 7월 30일자 국방일보의 기사를 통해서 워리어 플랫폼이 보급됐음을 알 수 있다. 총기 부착물은 육군이 19년도에 도입한 워리어 플랫폼 장비와 동일한데, 최근에도 변함이 없는 걸 봐서 육군처럼 년마다 새로운 장비를 도입하는 방식이 아님을 알 수 있다.
 
<ref>[https://kookbang.dema.mil.kr/newsWeb/20210802/1/BBSMSTR_000000010024/view.do <nowiki>[해병대1사단]</nowiki> ‘육·해·공’ 가장 먼저 들어간다…고난도 임무 숙달]</ref>


== 2단계: 통합형 전투체계 (Block 1) ==
== 2단계: 통합형 전투체계 (Block 1) ==
{{youtube|Y8a4D2nVPw4|||center|LIG 넥스원의 미래보병체계 홍보영상}}<br />
{{youtube|https://youtu.be/Y8a4D2nVPw4|||center|LIG 넥스원의 미래보병체계 홍보영상}}<br />


2025년까지 완료 예정인 통합형 전투체계다. 무기체계와 전력지원체계를 통합한 게 특징이다.<ref name=Warrior_Platform_Seminar(Bemil)_(1)>[http://bemil.chosun.com/nbrd/bbs/view.html?b_bbs_id=10067&pn=1&num=1076 워리어 플랫폼기반 드론봇 연계 발전 방안 / 워리어 플랫폼 세미나 (1)]</ref> <ref name=Weekly_terms_investigation-Warrior_Platform_2></ref> <ref>[http://bemil.chosun.com/nbrd/bbs/view.html?b_bbs_id=10067&num=1074&newboardarea 육군 워리어 플랫폼<nowiki>[개인전투체계]</nowiki> 무엇이 달라지는가? 워리어 플랫폼 세미나 자료]</ref>
2025년까지 완료 예정인 통합형 전투체계이다. 무기체계와 전력지원체계를 통합하였다.<ref name=Warrior_Platform_Seminar(Bemil)_(1)>[http://bemil.chosun.com/nbrd/bbs/view.html?b_bbs_id=10067&pn=1&num=1076 워리어 플랫폼기반 드론봇 연계 발전 방안 / 워리어 플랫폼 세미나 (1)]</ref> <ref name=Weekly_terms_investigation-Warrior_Platform_2></ref> <ref>[http://bemil.chosun.com/nbrd/bbs/view.html?b_bbs_id=10067&num=1074&newboardarea 육군 워리어 플랫폼<nowiki>[개인전투체계]</nowiki> 무엇이 달라지는가? 워리어 플랫폼 세미나 자료]</ref>
현재 넥스원과 한화시스템에서 업체 제시안을 내놓았다. <ref>2019 아덱스 당시 얻은 정보</ref>
LIG 넥스원 하고 한화시스템에서 업체 제시안을 내놓았다. <ref>2019 아덱스 당시 얻은 정보</ref>


== 3단계: 일체형 전투체계 (Block 2) ==
== 3단계: 일체형 전투체계 (Block 2) ==
3단계에서는 최첨단 기술이 집약된 '''일체 지능형 개인 전투체계가''' 2026년 이후 개발할 예정이다.
3단계에서는 최첨단 기술이 집약된 '''일체 지능형 개인 전투체계가''' 2026년 이후 개발할 예정이다.
* 일체형 헬멧
* 일체형 헬멧
* 지능형 전투복
* 지능형 전투복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이 문서는 다음의 숨은 분류 1개에 속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