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너크립터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2번째 줄: 2번째 줄:
'''워너크립터'''(WannaCryptor)는 2017년 2월 처음 발견된 [[랜섬웨어]]다. 타 랜섬웨어에서 보이지 않는 특징이 두 가지 있다. 2017년 5월에 '워너크라이(WannaCry) 사태'가 전세계를 휩쓸었다.
'''워너크립터'''(WannaCryptor)는 2017년 2월 처음 발견된 [[랜섬웨어]]다. 타 랜섬웨어에서 보이지 않는 특징이 두 가지 있다. 2017년 5월에 '워너크라이(WannaCry) 사태'가 전세계를 휩쓸었다.


== 특징 ==
==개요==
Microsoft Windows를 사용하는 컴퓨터를 대상으로 하는 랜섬웨어. Wannacrypt라고도 불린다. 2017년 5월 12일에 대규모 공격이 시작되어 전세계적으로 많은 컴퓨터에서 심각한 피해가 발생하였다. 감염되면 컴퓨터 내의 파일들이 암호화되어 버리며, 파일 몸값으로 비트코인 $300[1]를 요구하는 메시지 창이 화면에 뜬다.
 
이름의 유래도 꽤나 악랄하기 그지없는데, 우선 뒤의 Cry는 Crypt를 줄인 것도 있지만 울다는 뜻까지 포함한 중의적인 표현인 듯하며(Do You Wanna Cry?), 한번 걸리면 말 그대로 울고싶어라 노래를 부르게 만드는 작명이다. 이 랜섬웨어의 파일명이 Wana Decrypt0r (Wana Deryptor)인데 Wanna의 오타인 Wana라고 되어 있다. 한국에서는 워너크립터라고 읽기도 하지만 워나크라이라고 읽기도 한다.
 
 
==배경==
===만든 조직/어떤 계기를 통해 유포되는지===
워너크라이 랜섬웨어는 2017년 4월 14일 더 섀도 브로커스라는 해커 그룹이 공개한 이터널블루라는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의 파일 공유에 사용되는 서버 메시지 블록(SMB) 원격코드의 취약점을 악용한 것으로, 이메일 첨부파일을 통해 유포되는 일반적인 랜섬웨어와 달리 인터넷 네트워크에 접속만 해도 감염된다. 워너크라이는 문서 파일, 압축 파일, 데이터베이스 파일, 가상머신 파일 등 다양한 파일을 암호화하며, 한국어를 비롯한 28개의 다국적 언어를 지원한다. 또한 암호화된 파일을 푸는 대가로 300∼600달러의 비트코인을 요구하는 메시지를 띄운다. 이 랜섬웨어의 감염은 2017년 3월 14일 마이크로소프트에서 배포했던 MS17-010 취약점의 패치를 통해 예방 가능하다.
 
PC가 워너크라이에 감염되면 'Wana Decrypt0r 2.0'이라는 이름의 창이 뜬다. 감염창에는 상황 설명, 복구 방법, 금전 지급 방법, 비트코인을 보내는 주소가 함께 표시되며, 지불 기한과 파일을 잃게 되는 기한도 함께 표시된다.[17] 감염된 파일명에는 '.WNCRY'가 붙어, '파일명.jpg.WNCRY'와 같은 식으로 파일명을 변경해 암호화한다.[17] 만약 보안 프로그램이 워너크라이 랜섬웨어를 지우게 되면 배경화면이 검은색 창으로 바뀌며, 워너크라이를 다시 가동하라는 경고문이 뜨게 된다.[17]
 
본 랜섬웨어는 특히 Windows XP 와 7 버전이 취약점을 가지고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상위 버전은 평소에 윈도우즈 업데이트와 백신의 업데이트 등으로 예방할 수 있다고 한다.
 
=== 특징 ===
* 시한부 : 최초 감염 후 3일 이내 몸값을 지불하지 않으면 몸값이 2배로 오르며, 7일 뒤에는 파일을 복구할 수 없다.(라고 주장한다.)
* 시한부 : 최초 감염 후 3일 이내 몸값을 지불하지 않으면 몸값이 2배로 오르며, 7일 뒤에는 파일을 복구할 수 없다.(라고 주장한다.)
* [[킬 스위치]] : 유포 시점에는 존재하지 않는 특정 도메인을 생성하여 웹 서비스를 올려두면 랜섬웨어가 작동을 멈춘다. 대량 유포 초기에 화이트해커에 의해 발견되어 킬 스위치가 작동했으나, 킬 스위치가 먹히지 않는 변종이 나왔다.
* [[킬 스위치]] : 유포 시점에는 존재하지 않는 특정 도메인을 생성하여 웹 서비스를 올려두면 랜섬웨어가 작동을 멈춘다. 대량 유포 초기에 화이트해커에 의해 발견되어 킬 스위치가 작동했으나, 킬 스위치가 먹히지 않는 변종이 나왔다.
* 자가 번식 : 과거의 랜섬웨어는 공격자가 보안이 취약한 사이트에 랜섬웨어를 올려두고 희생자가 접속하기를 기다렸지만, 워너크립터는 윈도우의 보안 취약점을 통해 스스로를 배포한다. 과거의 [[컴퓨터 바이러스]], [[웜 (악성 코드)|웜]]과 유사한 방식을 띠면서 랜섬웨어의 파괴력을 가지고 있다.
* 자가 번식 : 과거의 랜섬웨어는 공격자가 보안이 취약한 사이트에 랜섬웨어를 올려두고 희생자가 접속하기를 기다렸지만, 워너크립터는 윈도우의 보안 취약점을 통해 스스로를 배포한다. 과거의 [[컴퓨터 바이러스]], [[웜 (악성 코드)|웜]]과 유사한 방식을 띠면서 랜섬웨어의 파괴력을 가지고 있다.


== 피해 및 복구 ==
== 피해 및 복구 ==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