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항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Ulsan Port Terminal.JPG|thumb|여객 터미널]]
==개요==
==개요==
[[울산광역시]]의 동쪽 해안인 울산만내에 위치한 무역항이며 대한민국 최대의 [[공업항]]이다. 최초의 공업항인 본항(장생포를 포함)에 남쪽의 온산항과 동쪽의 미포항, 을 포함시킨 전체 항만들을 울산항으로 부르기도 한다. 배후에 대규모 공업단지가 조성되어 본항과 온산항은 중화학공업 지원항만으로, 미포항은 조선공업의 지원항만으로 발전하였다. 본항 내부의 장생포항은 과거 포경선의 집결지로 유명하였던 곳이기도 하다.
[[울산광역시]]의 동쪽 해안인 울산만내에 위치한 무역항이며 대한민국 최대의 [[공업항]]이다. 최초의 공업항인 본항(장생포를 포함)에 남쪽의 온산항과 동쪽의 미포항, 을 포함시킨 전체 항만들을 울산항으로 부르기도 한다. 배후에 대규모 공업단지가 조성되어 본항과 온산항은 중화학공업 지원항만으로, 미포항은 조선공업의 지원항만으로 발전하였다. 본항 내부의 장생포항은 과거 포경선의 집결지로 유명하였던 곳이기도 하다.


==역사==
==역사==
울산항의 역사는 통일[[신라]]시대로 거슬러 올라가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 당시 이곳에는 [[중국]]과 [[일본]]이외에도 멀리 아라비아에서까지 상인들이 왔던 것으로 보인다. [[조선]]시대에 들어와서는 [[대마도 정벌]]이후 [[1426년]]에 대마도측의 요청에 따라 부산포, 염포, 제포의 3개 포구를 개항하게 되는데 이 중 염포가 바로 지금의 울산항이다. 현대적인 무역항으로의 개항은 [[1963년]] [[9월 25일]]이며, 현대적인 부두를 축조한 것은 1964년이다. 이후 1973년에는 온산항을, 1976년에는 미포항을 편입하면서 항구의 규모가 성장하게 되었고, 1992년에는 정기 컨테이너선의 취급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후 1997년부터는 울산신항이 개발되기에 이른다.
울산항의 역사는 [[신라]]시대로 거슬러 올라가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 당시 이곳에는 [[중국]]과 [[일본]]이외에도 멀리 아라비아에서까지 상인들이 왔던 것으로 보인다. [[조선]]시대에 들어와서는 [[대마도 정벌]]이후 [[1426년]]에 대마도측의 요청에 따라 부산포, 염포, 제포의 3개 포구를 개항하게 되는데 이 중 염포가 바로 지금의 울산항이다. 현대적인 무역항으로의 개항은 {{날짜/출력|1963-9-25}}이며, 현대적인 부두를 축조한 것은 1964년이다. 이후 1973년에는 온산항을, 1976년에는 미포항을 편입하면서 항구의 규모가 성장하게 되었고, 1992년에는 정기 컨테이너선의 취급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후 1997년부터는 울산신항이 개발되기에 이른다.


{| class="wikitable"
{| class="wikitable"
! 안벽연장!!접안능력!!정박능력!!년간하역능력!!총야적능력!!항내수면적!!해안선길이!!간만의 차
! 안벽연장!!접안능력!!정박능력!!년간하역능력!!총야적능력!!항내수면적!!해안선길이!!간만의 차
|-
|-
| 20,218m,<br />잔교포함||115척<br />4,279천DWT||44척<br />996천G/T||70,583천톤||3,015천톤<br />1,287천㎡||114㎢||58㎞ ||60.8㎝ 
| 20,218m,</br>잔교포함||115척</br>4,279천DWT||44척</br>996천G/T||70,583천톤||3,015천톤</br>1,287천㎡||114㎢||58㎞ ||60.8㎝ 
|}
|}
==울산본항==
==울산본항==
가장 먼저 개발된 구역으로 장생포를 포함한 구역을 의미한다. 항내 부두 안벽 길이만 10,085m에 달하는 대규모 항구로 울산항의 구성 항만들 중에서도 가장 큰 규모를 자랑한다. 통상 신항만이 본항보다 더 큰 경우가 일반적인데 울산항은 조금 다른 경우. 장생포쪽 울산미포국가산업단지의 경우 [[장생포역]]을 통해 철도 물류와 연결되며, 북쪽의 본항이라 할 수 있는 곳은 [[울산항역]]을 통하여 철도 물류로 환적이 가능하다.
가장 먼저 개발된 구역으로 장생포를 포함한 구역을 의미한다. 항내 부두 안벽 길이만 10,085m에 달하는 대규모 항구로 울산항의 구성 항만들 중에서도 가장 큰 규모를 자랑한다. 통상 신항만이 본항보다 더 큰 경우가 일반적인데 울산항은 조금 다른 경우. 장생포쪽 울산미포국가산업단지의 경우 [[장생포역]]을 통해 철도 물류와 연결되며, 북쪽의 본항이라 할 수 있는 곳은 [[울산항역]]을 통하여 철도 물류로 환적이 가능하다.
17번째 줄: 15번째 줄:
===부두 시설 현황===
===부두 시설 현황===
{| class="wikitable"
{| class="wikitable"
! 구분!!길이<br />(m)!!수심<br />(m)!!접안능력(DWT)!!선석!!하역능력<br />(천톤)!!취급화물<br />(기본계획)!!운영사
! 구분!!길이</br>(m)!!수심</br>(m)!!접안능력(DWT)!!선석!!하역능력</br>(천톤)!!취급화물</br>(기본계획)!!운영사
|-
|-
| 석탄부두||270||12||40,000||1||1,544||석탄||공용
| 석탄부두||270||12||40,000||1||1,544||석탄||공용
23번째 줄: 21번째 줄:
| 1부두||149||8||5,000||1||375||잡화||울산항만운영(주)
| 1부두||149||8||5,000||1||375||잡화||울산항만운영(주)
|-
|-
| 2부두||602||9,12||20,000<br />40,000<br />5,000||3||2,394||잡화,시멘트||울산항만운영(주)
| 2부두||602||9,12||20,000</br>40,000</br>5,000||3||2,394||잡화,시멘트||울산항만운영(주)
|-
|-
| 3부두||347||9||10,000×2||2||1,202||잡화,액체화학||울산항만운영(주)<br />(주)신흥사
| 3부두||347||9||10,000×2||2||1,202||잡화,액체화학||울산항만운영(주)</br>(주)신흥사
|-
|-
| 4부두||322||11||20,000<br />5,000||2||1,495||액체화학||(주)신흥사
| 4부두||322||11||20,000</br>5,000||2||1,495||액체화학||(주)신흥사
|-
|-
| 5부두||220||11.5||20,000||1||549||잡화||고려항만(주)
| 5부두||220||11.5||20,000||1||549||잡화||고려항만(주)
|-
|-
| 6부두||990||12||30,000×4||4||3,564||잡화,액체화학||UCTC<br />(주)한국보팍터미널<br />6,7부두운영(주)
| 6부두||990||12||30,000×4||4||3,564||잡화,액체화학||UCTC</br>(주)한국보팍터미널</br>6,7부두운영(주)
|-
|-
| 7부두||210||11||20,000||1||509||잡화||6,7부두운영(주)
| 7부두||210||11||20,000||1||509||잡화||6,7부두운영(주)
|-
|-
| 8부두||375||11||20,000<br />10,000||2||1,208||잡화||6,7부두운영(주)<br />공용
| 8부두||375||11||20,000</br>10,000||2||1,208||잡화||6,7부두운영(주)</br>공용
|-
|-
| 9부두||150||8||5,000||1||375||잡화||공용
| 9부두||150||8||5,000||1||375||잡화||공용
|-
|-
| 일반부두||679||7||1,000×5<br />5,000×2||7||2,056||잡화,철재,철광석||공용
| 일반부두||679||7||1,000×5</br>5,000×2||7||2,056||잡화,철재,철광석||공용
|-
|-
| SK1부두||260||7.5||5,000×2||2||||유류||SK에너지(주)
| SK1부두||260||7.5||5,000×2||2||||유류||SK에너지(주)
51번째 줄: 49번째 줄:
| 양곡부두||185||13||50,000||1||1,674||양곡||태영인더스트리
| 양곡부두||185||13||50,000||1||1,674||양곡||태영인더스트리
|-
|-
| 가스부두||360||7.5||1,000<br />5,000<br />8,500||3||||가스||SK가스
| 가스부두||360||7.5||1,000</br>5,000</br>8,500||3||||가스||SK가스
|-
|-
| 자동차부두||830||11.5||40,000×3||3||9,425||자동차||현대자동차
| 자동차부두||830||11.5||40,000×3||3||9,425||자동차||현대자동차
61번째 줄: 59번째 줄:
| UTT부두||80||11||40,000||1||979||액체화학||태영인더스트리
| UTT부두||80||11||40,000||1||979||액체화학||태영인더스트리
|-
|-
| SK2부두||430||8||3,000×2<br />4,000<br />6,000||4||||유류||SK에너지(주)
| SK2부두||430||8||3,000×2</br>4,000</br>6,000||4||||유류||SK에너지(주)
|-
|-
| SK3부두||130||12||50,000||1||||유류||SK에너지(주)
| SK3부두||130||12||50,000||1||||유류||SK에너지(주)
|-
|-
| SK4부두||228||10||10,000<br />4,000×2||3||||유류||SK에너지(주)
| SK4부두||228||10||10,000</br>4,000×2||3||||유류||SK에너지(주)
|-
|-
| SK5부두||798||7~11||2,000×2<br />4,000<br />5,000<br />15,000||5||||유류||SK에너지(주)
| SK5부두||798||7~11||2,000×2</br>4,000</br>5,000</br>15,000||5||||유류||SK에너지(주)
|-
|-
| SK6부두||347||15||70,000||1||||유류||SK에너지(주)
| SK6부두||347||15||70,000||1||||유류||SK에너지(주)
85번째 줄: 83번째 줄:
===부두 현황===
===부두 현황===
{|class="wikitable"
{|class="wikitable"
! 구분!!길이<br />(m)!!수심<br />(m)!!접안능력<br />(DWT)!!선석!!하역능력<br />(천톤)!!취급화물<br />(기본계획)!!운영사
! 구분!!길이</br>(m)!!수심</br>(m)!!접안능력</br>(DWT)!!척수!!하역능력</br>(천톤)!!취급화물</br>(기본계획)!!운영사
|-
|-
| 온산1부두||270||11||20,000||1||905||잡화||KG케미칼
| 온산1부두||270||11||20,000||1||905||잡화||KG케미칼
95번째 줄: 93번째 줄:
| 온산4부두||210||11||20,000||1||925||시멘트||한라시멘트
| 온산4부두||210||11||20,000||1||925||시멘트||한라시멘트
|-
|-
| 정일컨테이너부두||220||12||20,000<br />(2천TEU)||1||3,047<br />(22만TEU)||컨테이너||정일울산컨터미날
| 정일컨테이너부두||220||12||20,000</br>(2천TEU)||1||3,047</br>(22만TEU)||컨테이너||정일울산컨터미날
|-
|-
| 효성부두||240||12||30,000||1||761||액체화학||(주)효성
| 효성부두||240||12||30,000||1||761||액체화학||(주)효성
101번째 줄: 99번째 줄:
| 달포부두||325||7||3,000×2||2||||-||공용
| 달포부두||325||7||3,000×2||2||||-||공용
|-
|-
| 동북부두||585||12||30,000<br />10,000×2||3||1,485||액체화학||동북화학
| 동북부두||585||12||30,000</br>10,000×2||3||1,485||액체화학||동북화학
|-
|-
| S-Oil 1부두||280||14||50,000<br />20,000||2||||유류||[[S-OIL]]
| S-Oil 1부두||280||14||50,000</br>20,000||2||||유류||[[S-OIL]]
|-
|-
| S-Oil 2부두||340||16||120,000<br />15,000<br />5,000||3||||유류||[[S-OIL]]
| S-Oil 2부두||340||16||120,000</br>15,000</br>5,000||3||||유류||[[S-OIL]]
|-
|-
| S-Oil 3부두||280||14||50,000<br />10,000||2||||유류||[[S-OIL]]
| S-Oil 3부두||280||14||50,000</br>10,000||2||||유류||[[S-OIL]]
|-
|-
| S-Oil부이||1기||27||350,000||1||||원유||[[S-OIL]]
| S-Oil부이||1기||27||350,000||1||||원유||[[S-OIL]]
115번째 줄: 113번째 줄:
| 석유공사부이||1기||27||300,000||1||||원유||한국석유공사
| 석유공사부이||1기||27||300,000||1||||원유||한국석유공사
|-
|-
| 정일1부두||354||11||40,000<br />3,000||2||925||액체화학||정일스톨트헤븐
| 정일1부두||354||11||40,000</br>3,000||2||925||액체화학||정일스톨트헤븐
|-
|-
| 정일2부두||256||12.5||40,000<br />20,000||2||1,395||액체화학||정일스톨트헤븐
| 정일2부두||256||12.5||40,000</br>20,000||2||1,395||액체화학||정일스톨트헤븐
|-
|-
| 대한유화부두||320||12||80,000<br />50,000||2||1,581||액체화학||대한유화
| 대한유화부두||320||12||80,000</br>50,000||2||1,581||액체화학||대한유화
|-
|-
| OTK1부두||391||12||40,000<br />20,000||2||965||액체화학||오드펠탱크터미널
| OTK1부두||391||12||40,000</br>20,000||2||965||액체화학||오드펠탱크터미널
|-
|-
| OTK2부두||275||9||10,000×2||2||0||액체화학||오드펠탱크터미널
| OTK2부두||275||9||10,000×2||2||0||액체화학||오드펠탱크터미널
|-
|-
| 태영호라이즌부두||287||12||30,000<br />8,000||2||2,363||액체화학||태영호라이즌
| 태영호라이즌부두||287||12||30,000</br>8,000||2||2,363||액체화학||태영호라이즌
|}
|}


132번째 줄: 130번째 줄:
===부두 현황===
===부두 현황===
{| class="wikitable"
{| class="wikitable"
! 구분!!길이<br />(m)!!수심<br />(m)!!접안능력<br />(DWT)!!선석!!하역능력<br />(천톤)!!취급화물<br />(기본계획)!!운영사
! 구분!!길이</br>(m)!!수심</br>(m)!!접안능력</br>(DWT)!!척수!!하역능력</br>(천톤)!!취급화물</br>(기본계획)!!운영사
|-
|-
| 미포부두||210||9||20,000||1||987||철재||[[현대중공업]]
| 미포부두||210||9||20,000||1||987||철재||[[현대중공업]]
142번째 줄: 140번째 줄:
===부두 현황===
===부두 현황===
{| class="wikitable"
{| class="wikitable"
! 구분!!길이<br />(m)!!수심<br />(m)!!접안능력<br />(DWT)!!선석!!하역능력<br />(천톤)!!취급화물<br />(기본계획)!!운영사
! 구분!!길이</br>(m)!!수심</br>(m)!!접안능력</br>(DWT)!!척수!!하역능력</br>(천톤)!!취급화물</br>(기본계획)!!운영사
|-
|-
| 신항작업부두||140||7||3,000||1||1,360||모래||현재 신항작업부두로 사용
| 신항작업부두||140||7||3,000||1||1,360||모래||현재 신항작업부두로 사용
148번째 줄: 146번째 줄:
| 신항일반부두||340||12||20,000×2||2||1,396||잡화||울산동방아이포트
| 신항일반부두||340||12||20,000×2||2||1,396||잡화||울산동방아이포트
|-
|-
| 신항컨테이너부두||920||12월 14일||30,000×4<br />(2천TEU×4)||4||7,202(52만TEU)||컨테이너||울산동방아이포트
| 신항컨테이너부두||920||12월 14일||30,000×4</br>(2천TEU×4)||4||7,202(52만TEU)||컨테이너||울산동방아이포트
|-
|-
| 세방신항부두||240||14||20,000||1||661||잡화||세방
| 세방신항부두||240||14||20,000||1||661||잡화||세방
175번째 줄: 173번째 줄:
{{주석}}
{{주석}}
{{대한민국의 항구}}
{{대한민국의 항구}}
[[분류:무역항]]
{{리브레 맵스 마커|35.4832478063391|129.3955135345459|8|울산항}}
{{리브레 맵스 마커|35.45423794746326|129.3523406982422|8|온산항}}
{{리브레 맵스 마커|35.42109099551547|129.3643569946289|8|울산신항}}
{{리브레 맵스 마커|35.52538082675657|129.4441795349121|8|미포항}}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