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크라이나 흐리우냐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37번째 줄: 37번째 줄:


=== 환율 추이 - 동유럽의 동네북 ===
=== 환율 추이 - 동유럽의 동네북 ===
우크라이나는 땅이 평탄하면서도 비옥하고 지하자원이 풍부해서 계기만 갖춰진다면 발전 가능성은 매우 큰 나라이긴 한데, 문제는 서쪽/북쪽 육로는 굳이 말할 것도 없고, 동쪽으로는 경쟁국인 러시아가 떡 버티고 앉아 있으며, 그나마 남쪽에 해안선이 있으나 이마저도 일부가 러시아의 영향권인 것도 모자라 하필이면 닫혀있는 바다인 흑해인지라, 무슨 수를 쓰더라도 독자적 생존은 거의 불가능에 가깝다. 더군다나 평탄한 땅은 되려 침공하기 쉽다는 약점을 동반하기 때문에 이를 대비한다고 군비에 많은 예산을 써온 탓에 유럽의 빈국이 되어버렸다.<ref>2022년 2월 러시아 침공이 터졌을 당시, 독립 당시 가지고 있던 핵을 포기한 것이 우책이었다고 비판하는 여론도 있었지만, 당시 (그리고 그 이후로도) 우크라이나의 경제 사정 및 안보 사정과 외교 사정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면, 완전히 친러국가로 돌아서지 않는 한은 그 어떠한 수를 써도 핵을 유지시킬 비용을 마련할 수 없었다. 때문에 우크라이나는 비핵화를 수단으로 하여 서방세계 및 옐친 정권으로 어필한 것이었으나, 정작 서방세계가 우크라이나의 중요성을 너무 안이하게 생각한 것도 전쟁 사태를 키운 원인이라고 볼 수도 있다. 결론적으로 비핵화 선언은 단순하게 치부하기엔 매우 복잡한 문제이다(...)</ref> 하물며 2010년대 중반까지는 정계까지 부패하여서 지하경제가 비대해진 탓에 내수도 약했고, 또 양방향으로 거대한 외세(서쪽으로 EU, 동쪽으로 러시아)의 기싸움에 이리 치이고 저리 치이다보니 외환시장, 특히나 러시아 루블의 영향을 지나치게 잘 받곤 하였다.  
우크라이나는 땅이 평탄하면서도 비옥하고 지하자원이 풍부해서 계기만 갖춰진다면 발전 가능성은 매우 큰 나라이긴 한데, 문제는 서쪽/북쪽 육로는 굳이 말할 것도 없고, 동쪽으로는 경쟁국인 러시아가 떡 버티고 앉아 있으며, 그나마 남쪽에 해안선이 있으나 이마저도 일부가 러시아의 영향권인 것도 모자라 하필이면 닫혀있는 바다인 흑해인지라, 무슨 수를 쓰더라도 독자적 생존은 거의 불가능에 가깝다. 더군다나 평탄한 땅은 되려 침공하기 쉽다는 약점을 동반하기 때문에 이를 대비한다고 군비에 많은 예산을 써온 탓에 유럽의 빈국이 되어버렸다. 하물며 2010년대 중반까지는 정계까지 부패하여서 지하경제가 비대해진 탓에 내수도 약했고, 또 양 방향으로 거대한 외세(서쪽으로 EU, 동쪽으로 러시아)의 기싸움에 이리 치이고 저리 치이다보니 외환시장, 특히나 러시아 루블의 영향을 지나치게 잘 받곤 하였다.  


2008년 전반까지는 4.6₴/USD(약 250원/₴)까지 올라가는 듯 했으나, 2008년 후반 리먼사태 등의 간접 영향으로 외환위기가 닥쳐와 8~10₴까지 확 꺾여버렸고, 2013년 11월 [[유로마이단]] 사태의 영향으로 도네츠크/루한스크 분열 및 2014년 3월 러시아의 [[크림 공화국|크림반도 점령]]이 연달아 터지면서 러시아와의 사이가 급격히 악화된 탓에 전운(戰雲)이 감돌자, 경제투자를 하려던 재원이 다시 군비쪽으로 돌아가버려 통화가치도 반토막이 났다. 순간 거래 값은 최저 33₴(2015년 2월 24일)까지 내려앉았지만, 다시 서서히 24~26₴ 선으로 올라가 안정을 되찾아가는 듯 하였다.
2008년 전반까지는 4.6₴/USD(약 250원/₴)까지 올라가는 듯 했으나, 2008년 후반 리먼사태 등의 간접 영향으로 외환위기가 닥쳐와 8~10₴까지 확 꺾여버렸고, 2013년 11월 [[유로마이단]] 사태의 영향으로 도네츠크/루한스크 분열 및 2014년 3월 러시아의 [[크림 공화국|크림반도 점령]]이 연달아 터지면서 러시아와의 사이가 급격히 악화된 탓에 전운(戰雲)이 감돌자, 경제투자를 하려던 재원이 다시 군비쪽으로 돌아가버려 통화가치도 반토막이 났다. 순간 거래 값은 최저 33₴(2015년 2월 24일)까지 내려앉았지만, 다시 서서히 24~26₴ 선으로 올라가 안정을 되찾아가는 듯 하였다.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