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병렬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5번째 줄: 5번째 줄:
이후 박정빈이 의병 활동을 전개하다 큰 손실을 입은 뒤 9월 4일 우병렬에게 대장 직을 넘겨줬고, 우병렬은 사위 [[이진룡]]과 함께 일본군을 상대로 유격전을 전개했다. 그는 1908년 8월까지 1년간 일본군과 싸웠지만 전세가 어려워지자 해외에서 재기를 도모하고자 1911년 10월 의병의 지휘권을 [[한정만]]에게 위임하고 [[조맹선]]과 함께 압록강을 건너 연해주로 망명하였다.
이후 박정빈이 의병 활동을 전개하다 큰 손실을 입은 뒤 9월 4일 우병렬에게 대장 직을 넘겨줬고, 우병렬은 사위 [[이진룡]]과 함께 일본군을 상대로 유격전을 전개했다. 그는 1908년 8월까지 1년간 일본군과 싸웠지만 전세가 어려워지자 해외에서 재기를 도모하고자 1911년 10월 의병의 지휘권을 [[한정만]]에게 위임하고 [[조맹선]]과 함께 압록강을 건너 연해주로 망명하였다.


이후 [[최재형]], [[이범윤]]의 의병대에 합류한 그는 1910년 6월 21일 [[유인석]]이 13도의군을 조직할 때 참가해 도총소참모(都總所參謀)를 맡았다. 그러다가 류인석과 의견이 일치하지 않자 1912년 4월 결별하고 러시아에서 나와 중국 봉천성 관전현 청산구 소아하구로 가서 항일 투쟁을 이어갔다. 그리고 의병밀영을 초막으로 짓고, 그 부근에 훈련장도 만들었다. 1922년 가족들을 데리고 본계현, 흥경현 등지로 전전하면서 유랑생활을 하다가 1929년 고향으로 돌아왔고, 그해 7월 20일에 사망했다.
이후 [[최재형(독립운동가)|최재형]], [[이범윤]]의 의병대에 합류한 그는 1910년 6월 21일 [[유인석]]이 13도의군을 조직할 때 참가해 도총소참모(都總所參謀)를 맡았다. 그러다가 류인석과 의견이 일치하지 않자 1912년 4월 결별하고 러시아에서 나와 중국 봉천성 관전현 청산구 소아하구로 가서 항일 투쟁을 이어갔다. 그리고 의병밀영을 초막으로 짓고, 그 부근에 훈련장도 만들었다. 1922년 가족들을 데리고 본계현, 흥경현 등지로 전전하면서 유랑생활을 하다가 1929년 고향으로 돌아왔고, 그해 7월 20일에 사망했다.


대한민국 정부는 1996년 우병렬에게 건국훈장 애국장을 추서했다.
대한민국 정부는 1996년 우병렬에게 건국훈장 애국장을 추서했다.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