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도면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추천 문서}}
{{추천 문서|2016년 2분기}}
{{섬 정보
{{대한민국의
|섬이름  = 우도
|명칭=우도
|원어이름 =  
|한자=牛島
|그림     = [[파일:우도.JPG|150px]]
|그림=우도.JPG
|그림설명 =  
|그림설명=
|위치    =
|행정구역=[[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우도면]]
|군도    =
|경위도=
|나라    = {{나라|대한민국}}
|면적=6.18㎢
|행정구역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우도면]]
|거주인구=1,663명
|영유권  =  
|기준일자=2014년 9월
|면적     = 6.18 km<sup>2</sup>
|연결=
|인구    = 1,663명
|시간대  = [[한국 표준시|KST]] ([[UTC]]+9)
|비고    =  
|하위 틀  =  
}}
}}
'''우도면'''(牛島面)은 [[대한민국]]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의 한 [[면 (행정구역)|면]]으로 우도 섬 전체가 1개의 면으로 되어있다. 이 우도는 [[제주도]]의 동쪽 끝에{{ㅈ|[[성산항]]에서 약  4km 동쪽에 위치해 있다}}위치한 섬으로 제주도의 부속 도서들 중 가장 큰 면적을 가지고 있다. 섬의 모양이 소가 누워있는 모양과 비슷하다고 하여서 우도라는 명칭이 붙은 섬이며, 이름 때문인지는 모르나 조선시대에는 소의 방목지로 사용되었던 역사가 있다. 섬의 지형은  전체적으로 완만한 경사를 가지고 있는 섬으로 1986년에 우도면으로 승격되어서 현재에 이르고 있는 섬이다.
'''우도면'''(牛島面)은 [[대한민국]]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의 한 [[면 (행정구역)|면]]으로 우도 섬 전체가 1개의 면으로 되어있다. 이 우도는 [[제주도]]의 동쪽 끝에{{ㅈ|[[성산항]]에서 약  4km 동쪽에 위치해 있다}}위치한 섬으로 제주도의 부속 도서들 중 가장 큰 면적을 가지고 있다. 섬의 모양이 소가 누워있는 모양과 비슷하다고 하여서 우도라는 명칭이 붙은 섬이며, 이름 때문인지는 모르나 조선시대에는 소의 방목지로 사용되었던 역사가 있다. 섬의 지형은  전체적으로 완만한 경사를 가지고 있는 섬으로 1986년에 우도면으로 승격되어서 현재에 이르고 있는 섬이다.
*섬 속의 섬
*섬 속의 섬
*작은 제주도
*작은 제주도
44번째 줄: 41번째 줄:
*[[종달항]]- 하우목동포구 : 운항하는 선박의 수는 성산항쪽 대비 절반 정도 수준으로 운항한다. 시간도 성산항보다 약간 더 소요되는 편. 다만 이쪽은 상대적으로 덜 알려져 있어서인지 출항시간만 잘 맞춘다면 천진항쪽에 비해서 대기시간이 짧은 편이다.
*[[종달항]]- 하우목동포구 : 운항하는 선박의 수는 성산항쪽 대비 절반 정도 수준으로 운항한다. 시간도 성산항보다 약간 더 소요되는 편. 다만 이쪽은 상대적으로 덜 알려져 있어서인지 출항시간만 잘 맞춘다면 천진항쪽에 비해서 대기시간이 짧은 편이다.


참고로 섬을 찾는 관광객이 늘면서 교통량이 섬이 감당할 수 있는 용량을 아득히 초과하면서 주말마다 우도 곳곳에서 교통 아수라장이 벌어졌었다. 결국 제주도에서는 공고를 통해 2017년 8월 1일부터 우도에 대한 외부 차량 운행 및 통행을 제한하였다. 주요 골자는 등록지가 우도면이 아닌 렌터카, 전세버스, 외부 차량 등의 섬 내 운행을 제한하는 것으로  장애인을 비롯한 교통약자를 위한 차량 이외에는 아예 배에 실어주지 않게 되었다. 이외에 늘상 사고 위험이 높았던 이륜자동차나 원동기장치자전거(스쿠터 등)도 대여 목적으로는 사용하지 못하게 하였다. 이 조치로 섬 내 차량 운행량이 절반 이상 줄어들었으며 기존의 아수라장은 어느 정도 해결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일단 이 조치는 1년간 시행되는 조치이나 해마다 재연장이 가능하기 때문에 예전처럼 아수라장인 교통상황으로 돌아갈 일은 없을 것으로 보인다.
참고로 섬을 찾는 관광객이 늘면서 교통량이 섬이 감당할 수 있는 용량을 아득히 초과하면서 주말마다 우도 곳곳에서 교통 아수라장이 벌어졌었다. 결국 제주도에서는 공고를 통해 2017년 8월 1일부터 우도에 대한 외부 차량 운행 및 통행이 제한되었다. 등록지가 우도면이 아닌 렌터카, 전세버스, 외부 차량 등의 섬 내 운행을 제한하는 것으로  장애인을 비롯한 교통약자를 위한 차량 이외에는 아예 배에 실어주지 않는 것이다. 이외에 늘상 사고 위험이 높았던 이륜자동차나 원동기장치자전거(스쿠터 등)도 대여 목적으로는 사용하지 못하게 하였다. 이 조치로 섬 내 차량 운행량이 절반 이상 줄어들었으며 기존의 아수라장은 어느 정도 해결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일단 이 조치는 1년간 시행되는 조치이나 해마다 재연장이 가능하기 때문에 예전처럼 아수라장인 교통상황으로 돌아갈 일은 없을 것으로 보인다.


==볼거리들==
==볼거리들==
62번째 줄: 59번째 줄:


===우도 홍조단괴 해빈===
===우도 홍조단괴 해빈===
{{문화재 정보
{{문화재
|이름    = 우도 홍조단괴 해빈
|명칭 = 우도 홍조단괴 해빈
|원어이름 =  
|한자 = 牛島 紅藻團塊 海濱
|그림     = [[파일:사빈백사.jpg|150px]]
|그림 =
|그림설명 =  
|그림설명 =  
|종목     = [[천연기념물]] 제438호
|종목 = [[천연기념물]] 제438호
|구성    =  
|분류 = 자연유산 / 천연기념물/ 지구과학기념물/ 지질지형
|위치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우도면 연평리 2215-5번지 등 7필지의 지선에 인접한 공유수면
|수량=
|지정일  = [[2004년]] [[4월 9일]]
|면적 =
|해제일  =  
|날짜 = {{날짜/출력|2004-04-09}}
|소유     =  
|소재지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우도면 연평리 2215-5번지 등 7필지의 지선에 인접한 공유수면
|관리     = [[제주특별자치도]]
|시대 =
|비고    =
|소유 =  
|관리 = [[제주특별자치도]]
}}
}}
서빈백사라고도 하는 곳이다. 홍조단괴가 파도에 밀려와 퇴적된 해변을 의미하는데 홍조단괴는 석회조류의 일종이다. 참고로 이 해변은 [[천연기념물]] 제438호로 지정되어있다. 과거에는 이 해변의 모래가 산호모래로 알려져 있어서 산호사해수욕장이라는 이름으로 불렸었으나 사실 이 모래가 산호가 부서져서 만든 것이 아닌 홍조류가 태풍에 의하여 부서지면서 바닷가로 운반, 퇴적되면서 만들어진다는 것이 밝혀지면서 이름이 바뀌게 되었다. 원래 홍조류는 붉은 색을 가지지만 죽어서는 유기물이 분해되고 석회성분만 남아서 하얗게 변하는 특성을 가진다. 이 해빈에 있는 홍조류의 단괴들은 직경이 약 4~5cm정도 되는데 홍조단괴의 성장속도는 100년에 1.3~3.4mm에 불과하므로 엄청나게 오래 산 홍조류의 잔유물이라고 보면 된다.
서빈백사라고도 하는 곳이다. 홍조단괴가 파도에 밀려와 퇴적된 해변을 의미하는데 홍조단괴는 석회조류의 일종이다. 참고로 이 해변은 [[천연기념물]] 제438호로 지정되어있다. 과거에는 이 해변의 모래가 산호모래로 알려져 있어서 산호사해수욕장이라는 이름으로 불렸었으나 사실 이 모래가 산호가 부서져서 만든 것이 아닌 홍조류가 태풍에 의하여 부서지면서 바닷가로 운반, 퇴적되면서 만들어진다는 것이 밝혀지면서 이름이 바뀌게 되었다. 원래 홍조류는 붉은 색을 가지지만 죽어서는 유기물이 분해되고 석회성분만 남아서 하얗게 변하는 특성을 가진다. 이 해빈에 있는 홍조류의 단괴들은 직경이 약 4~5cm정도 되는데 홍조단괴의 성장속도는 100년에 1.3~3.4mm에 불과하므로 엄청나게 오래 산 홍조류의 잔유물이라고 보면 된다.
*주의사항 : 이 곳의 모래가 예쁘다고 외부로 가져가지 말자. 당연히 불법이며, 환경파괴 행위이다. 가져가는 사람은 한두개라고 생각할지 모르겠지만 여러명이 가져가면 단괴가 남아날리가 없다. [[은팔찌]] 득템은 덤. 거기다 최근에는 이 해빈 자체의 면적이 줄어들고 있어서 보존대책이 시급한 상황이다.
*주의사항 : 이 곳의 모래가 예쁘다고 외부로 가져가지 말자. 당연히 불법이며, 환경파괴 행위이다. 가져가는 사람은 한두개라고 생각할지 모르겠지만 여러명이 가져가면 단괴가 남아날리가 없다. [[은팔찌]] 득템은 덤. 거기다 최근에는 이 해빈 자체의 면적이 줄어들고 있어서 보존대책이 시급한 상황이다.


82번째 줄: 81번째 줄:


위의 주의사항에서 해빈의 면적이 줄어들고 있다고 하여서 보존이 시급하다고 하였는데 실제로 1990년대와 2000년대의 사진을 비교하면 해빈 중앙부의 길이가 짧아진 것이 눈에 띌 정도이다. 원인으로는 우도 해안도로로 인한 해안침식이 가장 큰 원인으로 추정되는데 문제는 이 해안도로 주변의 시설(가옥과 상가 등)들은 죄다 사유지에 해당하는지라 강제 이주같은 것을 시킬 수도 없는 상황이다.
위의 주의사항에서 해빈의 면적이 줄어들고 있다고 하여서 보존이 시급하다고 하였는데 실제로 1990년대와 2000년대의 사진을 비교하면 해빈 중앙부의 길이가 짧아진 것이 눈에 띌 정도이다. 원인으로는 우도 해안도로로 인한 해안침식이 가장 큰 원인으로 추정되는데 문제는 이 해안도로 주변의 시설(가옥과 상가 등)들은 죄다 사유지에 해당하는지라 강제 이주같은 것을 시킬 수도 없는 상황이다.
전 세계적으로 볼때도 홍조단괴 해안은 몇 남지않은 진귀한 풍광이라는 점에서 보호가 절실하다.


===기타 볼거리들===
===기타 볼거리들===
[[파일:우도 비양도 동방위표지.JPG|섬네일|우도 비양도 동편의 동방위표지 등표]]
[[파일:우도 비양도 동방위표지.JPG|섬네일|우도 비양도 동편의 동방위표지 등표]]
*[[우도등대]] : 제주특별자치도에서 가장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는 [[등대]]이다. 위의 우도 남쪽 우도봉(쇠오름) 정상에 있는우도팔경 중 하나인 지두청사와 겸해서 볼 수 있는 위치이다.
*[[우도등대]] : 제주특별자치도에서 가장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는 [[등대]]이다. 위의 우도 남쪽 우도봉(쇠오름) 정상에 있는우도팔경 중 하나인 지두청사와 겸해서 볼 수 있는 위치이다.
{{참고|우도등대}}
{{참조|우도등대}}
*[[득생곶등대]] : 우도 가장 북쪽에 있는 등대이다. 바로 옆에 뿔소라 조형물과 우도연대(탑다니탑망대)가 자리하고 있다.
*[[득생곶등대]] : 우도 가장 북쪽에 있는 등대이다. 바로 옆에 뿔소라 조형물과 우도연대(탑다니탑망대)가 자리하고 있다.
{{참고|득생곶등대}}
{{참조|득생곶등대}}
*우도비양도 : 우도와 둑방길로 연결되어있는 작은 섬이다. 주변 바다는 마을 어장이기도 하다. 참고로 제주도 북서쪽의 [[애월항]] 건너편에도 [[비양도]]라는 동명의 섬이 있기 때문에 구분을 위해 우도비양도라 부른다. 참고로 이 섬 동편에 왠지 노란빛{{ㅈ|흑황흑 원통형 구조물}}의 등대 하나가 서 있는데 바로 동방위표지로 사용되는  방위표지등표이다. 이 섬에는 우도에 두 개 자리하고 있는 망대 중 하나인 비양도망대가 자리하고 있으며, 인근에 캠핑장이 자리하고 있다.
*우도비양도 : 우도와 둑방길로 연결되어있는 작은 섬이다. 주변 바다는 마을 어장이기도 하다. 참고로 제주도 북서쪽의 [[애월항]] 건너편에도 [[비양도]]라는 동명의 섬이 있기 때문에 구분을 위해 우도비양도라 부른다. 참고로 이 섬 동편에 왠지 노란빛{{ㅈ|흑황흑 원통형 구조물}}의 등대 하나가 서 있는데 바로 동방위표지로 사용되는  방위표지등표이다. 이 섬에는 우도에 두 개 자리하고 있는 망대 중 하나인 비양도망대가 자리하고 있으며, 인근에 캠핑장이 자리하고 있다.
*[[성산일출봉]] : 무슨 소리인가 싶겠지만 [[섭지코지]]와 함께 성산일출봉을 가장 잘 조망할 수 있는 곳이 바로 이 우도의 우도봉 정상부이다.
*[[성산일출봉]] : 무슨 소리인가 싶겠지만 [[섭지코지]]와 함께 성산일출봉을 가장 잘 조망할 수 있는 곳이 바로 이 우도의 우도봉 정상부이다.
*한반도여 : 한반도 모양으로 생긴 바위이다. 여는 [[암초]]를 뜻하는 말로 이 바위는 밀물 때는 보이지 않다가 썰물때만 노출되는 간출암이다. 천진항에서 가장 가까운 곳에 위치한 곳인데 여기서 더 들어가면 톨칸이라는 곳이 나오고 바로 막다른 길이므로 인근 주차장에서 알아서 유턴해서 나와야 한다. 여담으로 이 돌칸이라는 곳에서 우도의 화산체 내부 구조를 어느 정도 가늠해 볼 수 있다.
*한반도여 : 한반도 모양으로 생긴 바위이다. 여는 [[암초]]를 뜻하는 말로 이 바위는 밀물 때는 보이지 않다가 썰물때만 노출되는 간출암이다. 천진항에서 가장 가까운 곳에 위치한 곳인데 여기서 더 들어가면 톨칸이라는 곳이 나오고 바로 막다른 길이므로 인근 주차장에서 알아서 유턴해서 나와야 한다. 여담으로 이 돌칸이라는 곳에서 우도의 화산체 내부 구조를 어느 정도 가늠해 볼 수 있다.
*우도잠수함 : 2척의 잠수함이 영업중이다. 총 80분 가량이 소요되며, 우도 앞바다의 해저경관을 볼 수 있다.
*우도잠수함 : 2척의 잠수함이 영업중이다. 총 80분 가량이 소요되며, 우도 앞바다의 해저경관을 볼 수 있다.
*우도유람선 : [[성산항]]에서 탑승하는 유람선으로 공식명칭은 성산포유람선이다. 우도와 성산일출봉 부근을 항해하며 대략 1시간 가량이 소요된다. 제주쪽 바다든 우도쪽 바다든 [[풍광]]이 끝내준다. 막차 시간을 놓치지 않게 늘 체크하자.
*우도유람선 : [[성산항]]에서 탑승하는 유람선으로 공식명칭은 성산포유람선이다. 우도와 성산일출봉 부근을 항해하며 대략 1시간 가량이 소요된다
*하고수동해변 : 우도 동편에 있는 해수욕장이다. 규모는 홍조단괴해빈과 비슷한 규모이다. 우도 동편의 만입부 깊숙한 곳에 자리하고 있어서 동풍이 불 때를 제외하면 파도가 상당히 잔잔한 편에 속하는 곳이다.
*하고수동해변 : 우도 동편에 있는 해수욕장이다. 규모는 홍조단괴해빈과 비슷한 규모이다. 우도 동편의 만입부 깊숙한 곳에 자리하고 있어서 동풍이 불 때를 제외하면 파도가 상당히 잔잔한 편에 속하는 곳이다.


104번째 줄: 101번째 줄:
**요금
**요금
***3세~초등학생 : 3,000원
***3세~초등학생 : 3,000원
***중학생~일반 : 6,000원
***중학생~일반 : 5,000원
**주의사항 : 탑승시 운전선쪽에 빨간 바탕으로 "개인관광"이라고 붙여진 버스를 타야 한다. 파란 바탕에 "단체관광"이라는 글씨가 붙어있는 건 전세버스로 개별 관광객이 타는 버스가 아니다.
**주의사항 : 탑승시 운전선쪽에 빨간 바탕으로 "개인관광"이라고 붙여진 버스를 타야 한다. 파란 바탕에 "단체관광"이라는 글씨가 붙어있는 건 전세버스로 개별 관광객이 타는 버스가 아니다.
**참조 : 현금결제 이외에 카드도 받아준다.
**참조 : 현금결제 이외에 카드도 받아준다.
121번째 줄: 118번째 줄:
*[[영화]] [[인어공주 (영화)|인어공주]] 촬영지
*[[영화]] [[인어공주 (영화)|인어공주]] 촬영지
*[[MBC]] [[드라마]] [[내 생에 봄날의]] 촬영지
*[[MBC]] [[드라마]] [[내 생에 봄날의]] 촬영지
*[[KBS]] 예능 프로그램 [[1박2일]]의 [[2016년]] [[4월 24일]]방영분이 이 우도에서 촬영된 것이었다. 기상미션 수행을 못했으면 우도봉에 올라갔다 오게 할 계획이었다나... 사실 우도봉을 방송에서는 엄청 높은 산이라고 했지만 그렇게까지 높지는 않다. {{ㅊ|유모차를 끌고 올라갈 수도 있다. 내려올 때 개고생이라 그렇지}}
*[[KBS]] 예능 프로그램 [[1박2일]]의 {{날짜/출력|2016-4-24}}방영분이 이 우도에서 촬영된 것이었다. 기상미션 수행을 못했으면 우도봉에 올라갔다 오게 할 계획이었다나... 사실 우도봉을 방송에서는 엄청 높은 산이라고 했지만 그렇게까지 높지는 않다. {{ㅊ|유모차를 끌고 올라갈 수도 있다. 내려올 때 개고생이라 그렇지}}


==우도 갤러리==
==우도 갤러리==
134번째 줄: 131번째 줄:
원담.JPG|우도 북동쪽에 자리한 마을 공동어장의 일종인 [[원담 (어업)|원담]]
원담.JPG|우도 북동쪽에 자리한 마을 공동어장의 일종인 [[원담 (어업)|원담]]
우도 뿔소라 조형물.JPG|우도 해안가의 뿔소라 조형물
우도 뿔소라 조형물.JPG|우도 해안가의 뿔소라 조형물
검멀레해변.jpg|우도 검멀레 해변
</gallery>
</gallery>


140번째 줄: 136번째 줄:
{{오름 목록}}
{{오름 목록}}
[[분류:우도면| ]]
[[분류:우도면| ]]
[[분류:제주특별자치도의 천연기념물]]
[[분류:대한민국의 섬]]
[[분류:천연기념물]]
[[분류:오름]]
[[분류:오름]]


{{제주특별자치도의 행정구역}}
{{제주시의_행정구역}}
 
{{리브레 맵스 마커|33.506521439362366|126.95339097839178|8|우도면}}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