옹 (성씨)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3번째 줄: 3번째 줄:
== 본관 ==
== 본관 ==
* '''[[순창 옹씨]]'''(淳昌 邕氏) 또는 '''[[옥천 옹씨]]'''(玉川 邕氏)는 [[전라북도]] [[순창군]]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시조는 [[고려]]시대에 병부상서(兵部尙書)를 지낸 '''옹희태'''(邕羲泰)이다. 중시조 '''[[옹몽진]]'''(邕夢辰)은 옹태운의 아들로 1553년([[조선 명종]] 8년) 별시 문과에 급제하여 음성현감을 역임하고 충청도사, 형조좌랑, 예조좌랑, 병조정랑을 거쳐 가선대부동지중추부사(嘉善大夫同知中樞府使)에 이르러 집안을 다시 세우면서 옹몽진의 증조부인 옹은(邕誾)을 1세조로 하고 있다.<ref name="옹몽진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8902 옹몽진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ref> 본관은 [[순창군|옥천]](沃川)이지만, 옥천은 순창의 옛 지명이기 때문에, [[1930년]] 조선총독부 국세조사에서 본관을 기록할 때에 일족 중의 일부가 바뀐 지명인 순창으로 본관을 등록함으로써 '''[[순창 옹씨]]'''가 생겨나게 되었다. 그러나 이 두 본관은 동일한 본관으로 간주되고 있으며, 족보에서 역시 두 본관을 구분하지 않고 함께 기재하고 있다.
* '''[[순창 옹씨]]'''(淳昌 邕氏) 또는 '''[[옥천 옹씨]]'''(玉川 邕氏)는 [[전라북도]] [[순창군]]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시조는 [[고려]]시대에 병부상서(兵部尙書)를 지낸 '''옹희태'''(邕羲泰)이다. 중시조 '''[[옹몽진]]'''(邕夢辰)은 옹태운의 아들로 1553년([[조선 명종]] 8년) 별시 문과에 급제하여 음성현감을 역임하고 충청도사, 형조좌랑, 예조좌랑, 병조정랑을 거쳐 가선대부동지중추부사(嘉善大夫同知中樞府使)에 이르러 집안을 다시 세우면서 옹몽진의 증조부인 옹은(邕誾)을 1세조로 하고 있다.<ref name="옹몽진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8902 옹몽진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ref> 본관은 [[순창군|옥천]](沃川)이지만, 옥천은 순창의 옛 지명이기 때문에, [[1930년]] 조선총독부 국세조사에서 본관을 기록할 때에 일족 중의 일부가 바뀐 지명인 순창으로 본관을 등록함으로써 '''[[순창 옹씨]]'''가 생겨나게 되었다. 그러나 이 두 본관은 동일한 본관으로 간주되고 있으며, 족보에서 역시 두 본관을 구분하지 않고 함께 기재하고 있다.
* '''거창 옹씨'''(居昌 邕氏) : 1930년에 실시된 조선총독부 국세조사에서 당시의 거주지를 본관으로 신고함으로써 생겨나게 되었다.
* '''거창 옹씨'''(居昌 邕氏) : 1930년에 실시된 조선총독부 국세조사에서 당시의 거주지를 본관으로 신고함으로써 생겨나게 되었다.
* '''파평 옹씨'''(坡平 雍氏) : 1930년 국세조사 때 처음 나타난 성씨로 경상남도 창원군 능남면 안민리에 8가구가 있었다. 옹(雍)씨는 원래 순창 옹(邕)씨인데 1908년 민적 기재시에 안민리에 살던 옹(邕)씨를 잘못 기재하여 옹(雍)씨가 되었다고 한다. 2000년 통계청 인구조사에서 41가구, 135명으로 조사되었다.
* '''파평 옹씨'''(坡平 雍氏) : 1930년 국세조사 때 처음 나타난 성씨로 경상남도 창원군 능남면 안민리에 8가구가 있었다. 옹(雍)씨는 원래 순창 옹(邕)씨인데 1908년 민적 기재시에 안민리에 살던 옹(邕)씨를 잘못 기재하여 옹(雍)씨가 되었다고 한다. 2000년 통계청 인구조사에서 41가구, 135명으로 조사되었다.
* '''부령 옹씨'''(邕氏)도 전하고 있으나 그 시조는 알수없다.
* '''부령 옹씨'''(邕氏)도 전하고 있으나 그 시조는 알수없다.
* '''웅진 옹씨'''(甕津 雍氏)는 1985년도에는 총 69명으로 이루어진 15 가구가 살았으며, 2000년도에는 57가구, 192명이 남한에 거주하고 있다.<ref>[http://sgis.kostat.go.kr/contents/funnySGIS/funnySGIS_04.jsp 통계청 성씨분포 자료]</ref>
* '''웅진 옹씨'''(甕津 雍氏)는 1985년도에는 총 69명으로 이루어진 15 가구가 살았으며, 2000년도에는 57가구, 192명이 남한에 거주하고 있다.<ref>[http://sgis.kostat.go.kr/contents/funnySGIS/funnySGIS_04.jsp 통계청 성씨분포 자료]</ref>


78번째 줄: 82번째 줄:
==== 현대(20세기,21세기) ====
==== 현대(20세기,21세기) ====
* [[옹경일]](邕敬壹, 1972년 ~, 미국 샌프라시스코) : 국립 무용가, 현 옹 댄스 컴페니(Ong Dance Company)의 사장, 2006년 04월 27일 제20회 이사도라 던컨 상을 수상했다.
* [[옹경일]](邕敬壹, 1972년 ~, 미국 샌프라시스코) : 국립 무용가, 현 옹 댄스 컴페니(Ong Dance Company)의 사장, 2006년 04월 27일 제20회 이사도라 던컨 상을 수상했다.
* [[옹성우]](邕聖祐, 1995년 ~, 대한민국) : [[대한민국]] 최초 옹씨 연예인으로, 보이그룹 [[워너원]] 출신 배우이다.


== 외부 링크 ==
== 외부 링크 ==
84번째 줄: 87번째 줄:


{{각주}}
{{각주}}
{{한국인의 성씨}}
{{한국의 성씨}}
{{퍼온문서|옹 (성씨)|13542038}}
{{퍼온문서|옹 (성씨)|13542038}}


[[분류:한국인의 성씨]]
[[분류:한국의 성씨]]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는 다음의 숨은 분류 1개에 속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