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락 소프트웨어 등급 위원회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단체 정보
{{단체 정보
|단체이름 = 오락 소프트웨어 등급 위원회
| 이름          = 오락 소프트웨어 등급 위원회 <br/> Entertainment Software Rating Board
|원어이름 = Entertainment Software Rating Board
| 그림          = Esrb logo.png
|로고    =  
| 크기          =
|그림     = [[파일:ESRB logo (2006–present).svg]]
| 설명          =
|그림설명 =  
| 지도 그림      =
|표어     =  
| 지도 그림 설명 =
|종류    = 비영리 단체
| 약칭          =  
|목적     = 비디오 게임 심의
| 표어           =
|창립자  =  
| 결성          = 1994년
|창립일  = 1994년
| 해산          =  
|해산일  =  
| 유형          =
|본부    =  
| 이념          =
|인물    =  
| 형태          = 기구
|모단체  =  
| 목적           = 폭력성, 선정성 등의 고수위 비디오 게임 심의
|산하단체 =  
| 본부          =
|웹사이트 = http://www.esrb.org/
| 위치          =
|비고    =  
| 활동지역      = [[미국]], [[캐나다]]
| 회원          =
| 언어          =
| 수장명칭      =
| 초대수장      =
| 설립자        =
| 현재수장      =
| 수장명칭1      =
| 초대수장1      =
| 현재수장1      =  
| 주요기관      =
| 모기관        =
| 제휴기관      =
| 활동 인원      =  
| 예산          =  
| 웹사이트       = http://www.esrb.org/
| 기타사항      =  
}}
}}


'''오락 소프트웨어 등급 위원회'''(Entertainment Software Rating Board, 이하 '''ESRB''')는 비디오 게임 심의 등급 단체로 [[미국]]과 [[캐나다]] 같은 북미권에서 사용하고 있다.
'''오락 소프트웨어 등급 위원회'''(Entertainment Software Rating Board, 이하 ESRB)는 비디오 게임 심의 등급 단체로 [[미국]]과 [[캐나다]] 같은 북미권에서 사용하고 있다.


== 역사 ==
== 역사 ==
비디오 게임 초창기에는 심의 제도가 존재하지 않았다. 이 당시에 비디오 게임은 주로 유아를 대상으로 제작됐고 특별히 폭력적인 요소를 포함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하지만 1992년 [[모탈 컴뱃]]과 1993년 [[둠]]이 발매되고 나서 게임의 폭력성과 선정성이 논란이 되자 업계 차원에서 규제가 필요하다고 생각한 엔터테인먼트 소프트웨어 협회(ESA)가 1994년에 창설했다.
비디오 게임 초창기에는 심의 제도가 존재하지 않았다. 이 당시에 비디오 게임은 주로 유아를 대상으로 제작됐고 특별히 폭력적인 요소를 포함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하지만 1992년 [[모탈 컴뱃]]과 1993년 [[둠]]이 발매되고 나서 게임의 폭력성과 선정성이 논란이 되자 업계 차원에서 규제가 필요하다고 생각한 엔터테인먼트 소프트웨어 협회(ESA)가 1994년에 창설했다.
최초의 비디오 게임 심의 기구·단체라 전 세계에 있는 비디오 게임 심의 기구·단체들은 ESRB를 기준으로 만들어졌다.
== 심사방법 ==
게임 업계인 및 문화 종사자들을 심사위원으로 앉히는게 아니라 아이가 있거나 육아 경험이 있는 성인들, 즉 학부모를 중심으로 뽑아 심사를 한다. 최근에는 게임 시장이 커진 만큼 일일히 심사를 할 수 없어서 일부 게임은 설문지를 돌려 심사 여부를 묻고 있다.


== 등급 분류 ==
== 등급 분류 ==
[[게임물관리위원회|한국 게임 등급 분류]]와 달리 패키지에 등급을 준 이유를 요소별로 명시하는 게 특징이다. 등급은 다음과 같으며 만 나이 기준이니 한국식 나이로 혼동하질 않길 바란다.
[[게임물관리위원회|한국 게임 등급 분류]]와 달리 패키지에 등급을 준 이유를 요소별로 명시하는 게 특징이다. 등급은 다음과 같다.


{| class="wikitable" style="line-height: 150%; font-size: 95%; letter-spacing: -0.02em;"
{| class="wikitable"
! style="text-align: center; font-weight:bold;" | 아이콘
! style="text-align: center; font-weight:bold;" | 등급
! style="text-align: center; font-weight:bold;" | 등급
! style="text-align: center; font-weight:bold;" | [[GRAC]]
! style="text-align: center; font-weight:bold;" | [[GRAC]]
! style="text-align: center; font-weight:bold;" | [[CERO]]
! style="text-align: center; font-weight:bold;" | [[CERO]]
! style="text-align: center; font-weight:bold;" | [[PEGI]]
! style="text-align: center; font-weight:bold;" | [[PEGI]]
! style="text-align: center; font-weight:bold;" | [[GSRR]]
! style="text-align: center; font-weight:bold;" | 설명
! style="text-align: center; font-weight:bold;" | 설명
|-
|-
| style="text-align: center; | [[파일:ESRB 2013 Everyone.svg|50px]]
| style="text-align: center; | [[파일:Ratingsymbol e.png]]
| style="text-align: center; | '''E'''veryone
| style="text-align: center; | 전체
| style="text-align: center; | 전체
| style="text-align: center; | A
| style="text-align: center; | A
| style="text-align: center; | 3<br />7
| style="text-align: center; | 3<br/>7
| style="text-align: center; | 普遍級
| style="text-align: left; | '''Everyone''', 전연령 이용 가능. <br/> 교육용 게임같은 유아 대상 게임 및 스포츠, 가족 대상 게임들은 이 등급을 받는다. 이 등급을 받은 게임들은 폭력, 성적 묘사는 거진 없다고 보면 된다.
| style="text-align: left; | 전연령 이용 가능.<ref>예전에는 KA(Kid to Adults)라는 전체이용가 등급이 있었다.</ref> <br />{{숨기기|상세|교육용 게임같은 유아 대상 게임 및 스포츠, 가족 대상 게임들은 이 등급을 받는다. 이 등급을 받은 게임들은 폭력, 성적 묘사는 거진 없다고 보면 된다.}}
 
|-
|-
| style="text-align: center; | [[파일:ESRB 2013 Everyone 10+.svg|50px]]
| style="text-align: center; | [[파일:Ratingsymbol e10.png]]
| style="text-align: center; | '''E'''veryone '''10''' and Up
| style="text-align: center; | 전체<br/>12
| style="text-align: center; | 전체<br />12
| style="text-align: center; | A<br/> B
| style="text-align: center; | A<br />B
| style="text-align: center; | 7<br/>12
| style="text-align: center; | 7<br />12
| style="text-align: left; | '''Everyone 10 and Up''', 10세 이상 이용가.  <br/> 전체 이용가보다 높은 전연령 대상 게임의 등급으로 전체 이용가보다 조금 높은 폭력성이 첨가된 게임들은 이 등급을 받는다.
| style="text-align: center; | 保護級<br />保護級
 
| style="text-align: left; | 10세 이상 이용가.  <br /> {{숨기기|상세|전체 이용가보다 높은 전연령 대상 게임의 등급으로 전체 이용가보다 조금 높은 폭력성이 첨가된 게임들은 이 등급을 받는다.}}
|-
|-
| style="text-align: center; | [[파일:ESRB 2013 Teen.svg|50px]]
| style="text-align: center; | [[파일:Ratingsymbol t.png]]
| style="text-align: center; | '''T'''een
| style="text-align: center; | 12<br/>15
| style="text-align: center; | 12<br />15
| style="text-align: center; | B<br/>C
| style="text-align: center; | B<br />C
| style="text-align: center; | 12<br/>16
| style="text-align: center; | 12<br />16
| style="text-align: left; | '''Teen''', 13세 이상 이용가.  <br/> 청소년 이용가 게임으로 아동, 특정 대상 연령에 도달하지 못한 미성년자들도 구매 및 대여가 가능하다.
| style="text-align: center; | 輔12級<br />輔15級
| style="text-align: left; | 10대 이상 이용가.  <br /> {{숨기기|상세|청소년 이용가 게임으로 아동, 특정 대상 연령에 도달하지 못한 미성년자들도 구매 및 대여가 가능하다.}}
|-
|-
| style="text-align: center; | [[파일:ESRB 2013 Mature.svg|50px]]
| style="text-align: center; | [[파일:Ratingsymbol m.png]]
| style="text-align: center; | '''M'''ature
| style="text-align: center; | 15<br/>18
| style="text-align: center; | 청소년 이용 불가 <ref>수위가 낮다 싶으면 15세 이용가로 발매하기도 하지만 대부분은 청소년 이용 불가 등급으로 책정한다.</ref>
| style="text-align: center; | D<br/>Z
| style="text-align: center; | D<br />Z
| style="text-align: center; | 16<br/>18
| style="text-align: center; | 16<br />18
| style="text-align: left; | '''Mature''', 17세 이상 이용가.  <br/> 준성인용 게임으로 사실상 일정 수준의 선정성, 폭력성을 가진 수위 높은 게임들은 대부분 이 등급을 받고 있으며 미성년자는 보호자의 동의나 동반이 없으면 구매가 불가능하다. AO 등급과 다르게 법적인 선 한해서 판매 루트를 확보할 수 있다보니 성인 대상 비디오 게임을 주로 개발하는 개발사들도 M 등급을 받으려고 검열을 하는 경우가 많다.
| style="text-align: center; | 限制級
| style="text-align: left; | 17세 이상 이용가.  <br /> {{숨기기|상세|[[성인용 게임|준성인용, 실질적인 성인용 게임]]으로 사실상 일정 수준의 선정성, 폭력성을 가진 수위 높은 게임들은 대부분 이 등급을 받고 있으며 미성년자는 보호자의 동의나 동반이 없으면 구매가 불가능하다. AO 등급과 다르게 법적인 선 한해서 판매 루트를 확보할 수 있다보니 성인 대상 비디오 게임을 주로 개발하는 개발사들도 M 등급을 받으려고 검열을 하는 경우가 많다.<br />대한민국의 게등위에서는 엔간히 수위가 낮지 않으면 대부분 M등급 게임들은 청불 이용가로 뜬다.}}
|-
|-
| style="text-align: center; | [[파일:ESRB 2013 Adults Only 18+.svg|50px]]
| style="text-align: center; | [[파일:Ratingsymbol ao.png]]
| style="text-align: center; | '''A'''dults '''O'''nly
| style="text-align: center; | 18<br/>'''심사거부'''
| style="text-align: center; | '''심사거부'''
| style="text-align: center; | Z<br/>'''심사거부'''
| style="text-align: center; | '''심사거부'''
| style="text-align: center; | 18
| style="text-align: center; | 18
| style="text-align: center; | 限制級
| style="text-align: left; | '''Adults Only''', 만 18세 미만 이용 '''금지''' <br/> M 등급보다 폭력성, 선정성이 높은 등급으로 완전 성인용, 제한 상영가와 동일하다. 이 등급을 받으면 일반적인 루트로 판매 및 구매가 불가능하고 만일 미성년자의 손에 들어갔다면 보호자 여부와 관계없이 개발사가 처벌을 받을 수 있다. <br/> 현재 이 상영가를 받은 게임은 [[락스타 게임즈]]의 [[GTA 산 안드레아스]]와 [[맨헌트]], [[헤이트리드]], 심의를 받은 일본산 [[에로게]]가 유일하다.
| style="text-align: left; | 18세 미만 이용 '''금지''' <br /> {{숨기기|상세|M 등급보다 폭력성, 선정성이 높은 등급으로 완전 성인용, 제한 상영가와 동일하다. 이 등급을 받으면 일반적인 루트로 판매 및 구매가 불가능하고 만일 미성년자의 손에 들어갔다면 보호자 여부와 관계없이 개발사가 처벌을 받을 수 있다. AO 등급 게임들은 대부분 해외 정발이 안되어있으며 심사조차 거부하고 있다.<br />현재 이 등급을 받은 게임은 [[락스타 게임즈]]의 [[GTA 산 안드레아스]]와 [[맨헌트]], [[Hatred]], 심의를 받은 일본산 [[에로게]]가 유일하다.}}
|-
|-
| style="text-align: center; | [[파일:ESRB 2013 Rating Pending.svg|50px]]
| style="text-align: center; | [[파일:Ratingsymbol rp.png]]
| style="text-align: center; | '''R'''ating '''P'''ending
| style="text-align: center; | 심의중
| style="text-align: center; | 심의중
| style="text-align: center; | 심사예정
| style="text-align: center; | 심사예정
| style="text-align: center; | 불명
| style="text-align: center; | 불명
| style="text-align: center; | 불명
| style="text-align: left; |  '''Rating Pending''', 심의중인 게임 <br/>아직 심의 테스트 중이라 등급을 못받은 게임들.
| style="text-align: left; |  심의중인 게임 <br />아직 심의 테스트 중이라 등급을 못받은 게임들.
|-
|-
|}
|}


== 심의내용 ==
== 심의내용 ==
한국의 [[게등위]]와 일본의 [[CERO]], 유럽의 [[PEGI]]와 다르게 심사를 세분화해서 분류하고 있다.
심의내용은 [http://www.esrb.org/ratings/ratings_guide.aspx ESRB 공식 홈페이지의 가이드를 참조했다.] 단 공홈 가이드는 ABC 순으로 정리를 해서 섞여있으므로 본 문단은 폭력, 유혈, 성적 묘사들을 새로 분류해 서술했다. 패키지 앞면에는 등급만 표기되어있고 세부 내용은 뒷면을 봐야 나온다.
 
{| class="wikitable"
모든 세부적인 심의내용은 [http://www.esrb.org/ratings/ratings_guide.aspx ESRB 공식 홈페이지의 가이드를 참조했다.] 단 공홈 가이드는 ABC 순으로 정리를 해서 섞여있으므로 본 문단은 폭력, 유혈, 성적 묘사들을 새로 분류해 서술했다. 패키지 앞면에는 등급만 표기되어있고 세부 내용은 뒷면을 봐야 나온다.
{| class="wikitable" style="line-height: 150%; font-size: 95%; letter-spacing: -0.02em;"
! rowspan="2" style="text-align: center; font-weight:bold; background-color:#efefef;" | 영문
! rowspan="2" style="text-align: center; font-weight:bold; background-color:#efefef;" | 영문
! rowspan="2" style="text-align: center; font-weight:bold; background-color:#efefef;" | 설명
! rowspan="2" style="text-align: center; font-weight:bold; background-color:#efefef;" | 설명
109번째 줄: 106번째 줄:
| colspan="8" style="text-align: center; font-weight:bold; background-color:#c0c0c0;" | 범죄 묘사
| colspan="8" style="text-align: center; font-weight:bold; background-color:#c0c0c0;" | 범죄 묘사
|-
|-
| colspan="8" style="text-align: center; font-weight:bold; background-color:#EAEAEA;" | 폭력성 <br /> Violent  
| colspan="8" style="text-align: center; font-weight:bold; background-color:#BDBDBD;" | 폭력성 <br/> Violent  
|-
|-
| style="text-align: center;" | '''Violent Reference'''
| style="text-align: center;" | '''Violent Reference'''
127번째 줄: 124번째 줄: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left;" | 만화적으로 묘사된 폭력<br /> 주로 과장되거나 개그스럽게 묘사된 것들이 포함된다.
| style="text-align: left;" | 만화적으로 묘사된 폭력, 주로 과장되거나 개그스럽게 묘사된 것들이 포함된다.
|-
|-
| style="text-align: center;" | '''Fantasy Violence'''
| style="text-align: center;" | '''Fantasy Violence'''
134번째 줄: 131번째 줄:
| style="text-align: center;" | ○
| style="text-align: center;" | ○
| style="text-align: center;" | ○
| style="text-align: center;" | ○
| style="text-align: center;" |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left;" | 현실성이 없는 폭력, 주로 비인간(몬스터, 크리쳐, 기계 등)에 대한 폭력 묘사가 해당된다.
| style="text-align: left;" | 현실성이 없는 폭력<br /> 주로 슬라임이나 몬스터를 마법, 간접적인 공격으로 공격하는 폭력 묘사가 해당된다.
|-
|-
| style="text-align: center;" | '''Violence'''
| style="text-align: center;" | '''Violence'''
145번째 줄: 142번째 줄:
| style="text-align: center;" | '''○'''
| style="text-align: center;" | '''○'''
| style="text-align: center;" | {{색|#FF0000|'''○'''}}
| style="text-align: center;" | {{색|#FF0000|'''○'''}}
| style="text-align: left;" | 말그대로 일반적인 폭력.<br />간혹 유혈 묘사가 첨가되기도 하는데 이 등급부터 T 이상을 받게 된다.
| style="text-align: left;" | 말그대로 일반적인 폭력. 간혹 유혈 묘사가 첨가되기도 하는데 이 등급부터 T 이상을 받게 된다.
|-
|-
| style="text-align: center;" | '''Intense Violence'''
| style="text-align: center;" | '''Intense Violence'''
154번째 줄: 151번째 줄:
| style="text-align: center;" | '''○'''
| style="text-align: center;" | '''○'''
| style="text-align: center;" | {{색|#FF0000|'''○'''}}
| style="text-align: center;" | {{색|#FF0000|'''○'''}}
| style="text-align: left;" | 범죄 요소, 직접적인 물리적인 폭력<br />유혈 및 고어 묘사가 들어간 폭력, 여기부터 M, AO 등급을 받게 된다. 아동 및 동물 대상 범죄도 포함된다.
| style="text-align: left;" | 범죄 요소, 직접적인 물리적인 폭력, 유혈 및 고어 묘사가 들어간 폭력, 여기부터 M, AO 등급을 받게 된다.
|-
|-
| style="text-align: center;" | '''Sexual Violence'''
| style="text-align: center;" | '''Sexual Violence'''
163번째 줄: 160번째 줄:
| style="text-align: center;" | '''○'''
| style="text-align: center;" | '''○'''
| style="text-align: center;" | {{색|#FF0000|'''○'''}}
| style="text-align: center;" | {{색|#FF0000|'''○'''}}
| style="text-align: left;" | 강간 등 성범죄가 포함된 폭력<br />M은 간접적으로 묘사되어야 통과할 수 있고 얄짤없이 AO 확정.
| style="text-align: left;" | 강간 등 성범죄가 포함된 폭력, M은 간접적으로 묘사되어야 통과할 수 있고 얄짤없이 AO 확정.
|-
|-
| colspan="8" style="text-align: center; font-weight:bold; background-color:#EAEAEA;" | 유혈 표현 <br /> Blood
| colspan="8" style="text-align: center; font-weight:bold; background-color:#BDBDBD;" | 유혈 표현 <br/> Blood
|-
|-
| style="text-align: center;" | '''Animated Blood'''
| style="text-align: center;" | '''Animated Blood'''
183번째 줄: 180번째 줄:
| style="text-align: center;" | '''○'''
| style="text-align: center;" | '''○'''
| style="text-align: center;" | {{색|#FF0000|'''○'''}}
| style="text-align: center;" | {{색|#FF0000|'''○'''}}
| style="text-align: left;" | 일반적인 유혈 묘사.<br />저연령 등급보다 E10, T등급에서 많이 보인다.
| style="text-align: left;" | 일반적인 유혈 묘사. 저연령 등급보다 E10, T등급에서 많이 보인다.
|-
|-
| style="text-align: center;" | '''Blood and Gore'''
| style="text-align: center;" | '''Blood and Gore'''
194번째 줄: 191번째 줄:
| style="text-align: left;" | 유혈 표현 및 사지절단 및 장기노출 등 신체 훼손까지 포함된 경우.
| style="text-align: left;" | 유혈 표현 및 사지절단 및 장기노출 등 신체 훼손까지 포함된 경우.
|-
|-
| colspan="8" style="text-align: center; font-weight:bold; background-color:#EAEAEA;" | 사행성 <br /> Gambling<ref>참고로 미국은 카지노때문에 도박, 사행성에 되게 민감한 나라이다.</ref>
| colspan="8" style="text-align: center; font-weight:bold; background-color:#BDBDBD;" | 사행성 <br/> Gambling<ref>참고로 미국은 카지노때문에 도박, 사행성에 되게 민감한 나라이다.</ref>
|-
|-
| style="text-align: center;" | '''Simulated Gambling'''
| style="text-align: center;" | '''Simulated Gambling'''
203번째 줄: 200번째 줄:
| style="text-align: center;" | '''○'''
| style="text-align: center;" |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left;" | 실제 자산에 영향을 안주는 사행성 표현<br />흔히 게임 상 카지노를 생각하면 된다.
| style="text-align: left;" | 실제 자산에 영향을 안주는 사행성 표현. 흔히 게임 상 카지노를 생각하면 된다.
|-
|-
| style="text-align: center;" | '''Real Gambling'''
| style="text-align: center;" | '''Real Gambling'''
212번째 줄: 209번째 줄: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색|#FF0000|'''○'''}}
| style="text-align: center;" | {{색|#FF0000|'''○'''}}
| style="text-align: left;" | '''실제 자산에 영향을 주는 사행성.'''<br /> 가챠 게임이나 캐쉬 아이템 같은 현질 시스템이 있으면 무조건 사행성으로 분류된다.
| style="text-align: left;" | '''실제 자산에 영향을 주는 사행성.''' 가챠 게임이나 캐쉬 아이템 같은 현질 시스템이 있으면 무조건 사행성으로 분류된다.
|-
| colspan="8" style="text-align: center; font-weight:bold; background-color:#EAEAEA;" | 언어 & 가사 <br /> Language & Lyrics
|-
| style="text-align: center;" | '''Comic Mischief'''
| style="text-align: center;" | 만화적 말장난
| style="text-align: center;" | ○
| style="text-align: center;" | ○
| style="text-align: center;" |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left;" |
|-
| style="text-align: center;" | '''Crude Humor'''
| style="text-align: center;" | 저질성 개그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
| style="text-align: center;" | ○
| style="text-align: center;" |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left;" |
|-
| style="text-align: center;" | '''Mature Humor'''
| style="text-align: center;" | 성인용 개그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
| style="text-align: center;" | {{색|#FF0000|'''○'''}}
| style="text-align: left;" | [[섹드립]] 및 블랙 코미디 같은 성인들이 이해할 수 있는 개그.
|-
| style="text-align: center;" | '''Language'''
| style="text-align: center;" | 비속어 표현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
| style="text-align: center;" |  '''○'''
| style="text-align: center;" | {{색|#FF0000|'''○'''}}
| style="text-align: left;" | 비속어, 은어가 들어간 경우.<br />한국어로는 "젠장" 같은 표현 정도만 허가하고 있다.
|-
| style="text-align: center;" | '''Lyrics'''
| style="text-align: center;" | 가사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
| style="text-align: center;" | ○
| style="text-align: center;" |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left;" | 노래 가사는 주로 주제곡 및 게임 내 삽입곡에 부적절한 표현(비속어, 종교, 인종 등 사회적 논란 소재 등)이 들어갔을때 심의에 포함된다.
|-
| style="text-align: center;" | '''Strong Language'''
| style="text-align: center;" | 거친 비속어 표현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
| style="text-align: center;" | {{색|#FF0000|'''○'''}}
| style="text-align: left;" | F워드(Fuck 등)와 S워드(shit 등)를 위시로 한 Language보다 강한 비속어 표현이 들어간 경우.<br /> 한국어로는 쌍시옷 욕설(씨발, 썅 등)에 해당된다.
|-
| style="text-align: center;" | '''Strong Lyrics'''
| style="text-align: center;" | 거친 가사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
| style="text-align: center;" | {{색|#FF0000|'''○'''}}
| style="text-align: left;" | Lyrics보다 더 강한 표현이 노래 가사로 들어갔을 경우.
|-
|-
| colspan="8" style="text-align: center; font-weight:bold; background-color:#c0c0c0;" | 선정성
| colspan="8" style="text-align: center; font-weight:bold; background-color:#c0c0c0;" | 선정성
|-
|-
| colspan="8" style="text-align: center; font-weight:bold; background-color:#EAEAEA;" | 나체 표현 <br /> Nude
| colspan="8" style="text-align: center; font-weight:bold; background-color:#BDBDBD;" | 나체 표현 <br/> Nude
|-
|-
| style="text-align: center;" | '''Partial Nudity'''
| style="text-align: center;" | '''Partial Nudity'''
299번째 줄: 231번째 줄:
| style="text-align: center;" | '''○'''
| style="text-align: center;" | '''○'''
| style="text-align: center;" | {{색|#FF0000|'''○'''}}
| style="text-align: center;" | {{색|#FF0000|'''○'''}}
| style="text-align: left;" | 대놓고 나체가 묘사되는 경우. 대부분 유두 노출까지만 허용하고 성기 묘사까지 들어가면 AO.
| style="text-align: left;" | 대놓고 나체가 묘사되는 경우. 유두 노출까지만 M, 성기까지 드러나면 무조건 AO.
|-
|-
| colspan="8" style="text-align: center; font-weight:bold; background-color:#EAEAEA;" | 성적 묘사 <br /> Sexual
| colspan="8" style="text-align: center; font-weight:bold; background-color:#BDBDBD;" | 성적 묘사 <br/> Sexual
|-
|-
| style="text-align: center;" | '''Suggestive Themes'''
| style="text-align: center;" | '''Suggestive Themes'''
310번째 줄: 242번째 줄:
| style="text-align: center;" | '''○'''
| style="text-align: center;" |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left;" | 아주 간접적으로 언급되는 성적 요소.<br />어른들만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아주 경미하게 묘사되지 않는다면 E등급은 받기가 매우 힘들다.
| style="text-align: left;" | 아주 간접적으로 언급되는 성적 요소. 어른들만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아주 경미하게 묘사되지 않는다면 E등급은 받기가 매우 힘들다.
|-
|-
| style="text-align: center;" | '''Sexual Themes'''
| style="text-align: center;" | '''Sexual Themes'''
328번째 줄: 260번째 줄:
| style="text-align: center;" | '''○'''
| style="text-align: center;" | '''○'''
| style="text-align: center;" | {{색|#FF0000|'''○'''}}
| style="text-align: center;" | {{색|#FF0000|'''○'''}}
| style="text-align: left;" | 성기를 포함한 나체 노출과 직접적인 성행위 등 노골적인 성적 묘사를 다소 검열한 수위 높은 성적 묘사.<br />베드신에 들어가면 인물 둘이 붙어있는 형식으로 묘사되며 이게 붙으면 T 이하는 물건너갔다고 보면 된다.
| style="text-align: left;" | 성기를 포함한 나체 노출 및 간접적인 성행위 등 노골적인 성적 묘사를 제외한 수위 높은 성적 묘사. 이게 붙으면 T 이하는 물건너갔다고 보면 된다.
|-
|-
| style="text-align: center;" | '''Strong Sexual Content'''
| style="text-align: center;" | '''Strong Sexual Content'''
337번째 줄: 269번째 줄:
| style="text-align: center;" | '''○'''
| style="text-align: center;" | '''○'''
| style="text-align: center;" | {{색|#FF0000|'''○'''}}
| style="text-align: center;" | {{색|#FF0000|'''○'''}}
| style="text-align: left;" | 성기가 드러나지 않은 선 한해서 노골적인 성행위가 직접적으로 등장해야 이 심의를 받는다<br /> ESRB 심의를 받은 일본산 [[에로게]]와 [[GTA 산 안드레아스]]에 수록된 더미 데이터인 [[핫 커피 모드]]가 여기에 해당된다.
| style="text-align: left;" | 성기가 드러나지 않은 선한해서 성행위가 직접적으로 등장해야 이 심의내용을 받을 수 있다. 심의를 받은 일본산 [[에로게]]와 [[GTA 산 안드레아스]]에 수록된 시크릿 모드인 [[핫 커피 모드]]가 여기에 해당된다.
|-
|-
| colspan="8" style="text-align: center; font-weight:bold; background-color:#c0c0c0;" | 기타
| colspan="8" style="text-align: center; font-weight:bold; background-color:#c0c0c0;" | 기타
|-
|-
| colspan="8" style="text-align: center; font-weight:bold; background-color:#EAEAEA;" | 술, 담배, 약물 <br /> Alcohol, Tobacco, Drug
| colspan="8" style="text-align: center; font-weight:bold; background-color:#BDBDBD;" | 술, 담배, 약물 <br/> Alcohol, Tobacco, Drug
|-
| style="text-align: center;" | '''Alcohol Reference'''
| style="text-align: center;" | 술에 대한 묘사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
| style="text-align: center;" | ○
| style="text-align: center;" |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left;" | 술에 대한 간접적인 표현.
|-
| style="text-align: center;" | '''Tobacco Reference'''
| style="text-align: center;" | 담배에 대한 묘사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
| style="text-align: center;" | ○
| style="text-align: center;" |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left;" | 담배에 대한 간접적인 표현.
|-
| style="text-align: center;" | '''Drug Reference'''
| style="text-align: center;" | 약물에 대한 묘사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
| style="text-align: center;" |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left;" | 약물에 대한 간접적인 표현.
|-
| style="text-align: center;" | '''Use of Alcohol'''
| style="text-align: center;" | 술을 섭취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
| style="text-align: center;" | '''○'''
| style="text-align: center;" | {{색|#FF0000|'''○'''}}
| style="text-align: left;" | 술에 대한 직접적인 사용 표현.
|-
| style="text-align: center;" | '''Use of Tobacco '''
| style="text-align: center;" | 담배를 흡연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
| style="text-align: center;" | '''○'''
| style="text-align: center;" | {{색|#FF0000|'''○'''}}
| style="text-align: left;" | 담배에 대한 직접적인 사용 표현.
|-
| style="text-align: center;" | '''Use of Drug'''
| style="text-align: center;" | 약물을 사용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
| style="text-align: center;" | {{색|#FF0000|'''○'''}}
| style="text-align: left;" | 약물 섭취에 대한 직접적인 사용 표현.<br />[[스타크래프트 시리즈]]의 [[스팀팩]]같은 가상의 마약, 자극제를 사용하는거나 게임 시스템 상으로만 있는 약물 섭취 묘사는 M, AO 등급을 받지 않는다.
|-
|-
|}
|}
401번째 줄: 279번째 줄:
== 기타 ==
== 기타 ==
* 미국은 아동 대상 범죄 및 동물 살해 묘사에 매우 엄격하기에 만일 게임내에 직접적으로 아동이 살해당하거나 범죄대상이 되는 묘사가 들어가면 무조건 AO 등급을 받게 된다. M 등급을 받으려면 간접적으로 묘사하거나 아동이 설정상 비인간일 경우에만 가능하다.
* 미국은 아동 대상 범죄 및 동물 살해 묘사에 매우 엄격하기에 만일 게임내에 직접적으로 아동이 살해당하거나 범죄대상이 되는 묘사가 들어가면 무조건 AO 등급을 받게 된다. M 등급을 받으려면 간접적으로 묘사하거나 아동이 설정상 비인간일 경우에만 가능하다.
{{각주}}
{{각주}}
{{비디오 게임 심의 기구}}
{{비디오 게임 심의 기구}}
[[분류:미국의 단체]]
[[분류:게임 등급 심의]]
[[분류:캐나다의 단체]]
[[분류:1994년 설립]]
[[분류:비영리 단체]]
[[분류:비영리 단체]]
[[분류:위원회]]
[[분류:1994년 설립]]
[[분류:미국의 문화]]
[[분류:캐나다의 문화]]
[[분류:게임 등급 심의]]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