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0번째 줄: 10번째 줄:
|지도설명    =  
|지도설명    =  
|표어        =  
|표어        =  
|국가        = [[하느님, 국왕 폐하를 지켜 주소서]]
|국가        = [[하느님, 여왕 폐하를 지켜 주소서]]
|수도        = [[런던]]
|수도        = [[런던]]
|공용어      = [[영어]]
|공용어      = [[영어]]
|국어        =  
|국어        =  
|국교        = [[성공회]]
|국교        =  
|정부유형    = [[입헌군주제]], [[의원내각제]], [[단일국가]], [[양원제]]
|정부유형    = [[입헌군주제]], [[의원내각제]], [[단일국가]], [[양원제]]
|군주        = [[찰스 3세]]
|군주        = [[찰스 3세]]
27번째 줄: 27번째 줄:
|면적        = 242,495
|면적        = 242,495
|면적 연도  =  
|면적 연도  =  
|GDP PPP    = 3조 2,760억
|GDP PPP    = 3조 2760억
|GDP PPP 1인 = 48,693
|GDP PPP 1인 = 48,693
|GDP        = 3조 1,080억
|GDP        = 3조 1080억
|GDP 1인    = 46,200
|GDP 1인    = 46,200
|GDP 연도    = 2021년 추정
|GDP 연도    = 2021년 추정
46번째 줄: 46번째 줄:


== 개요 ==
== 개요 ==
[[유라시아]] 대륙 서쪽에 위치한 '''섬나라'''. 정식 국호는 '''대브리튼과 북아일랜드 연합왕국'''(United Kingdom of Great Britain and Northern Ireland). 줄여서 '''연합왕국'''(United Kingdom, '''UK''')이라고도 부른다. 현대 [[대한민국]]에서 사용하는 영국이란 명칭은 [[잉글랜드]]를 [[한자 문화권]]에서 음차한 '''영길리'''(英吉利)에서 유래한 것이다.<ref>정확히 말하자면 [[1614년]]에 이수광(李睟光)이란 사람이 쓴 《지봉유설(芝峰類說)》이란 책에서 처음으로 영길리국(英吉利國)이란 말이 나왔다. 이후 [[1707년]]에 [[잉글랜드]]와 [[스코틀랜드]]가 합쳐져서 그레이트브리튼 왕국이 되었지만, 당시 이 사정을 알 수 없던 [[조선]]에서는 계속 영국으로 쓰면서 지금까지 이어진 것이다. 물론 현재는 브리튼 전체를 영국이라고 한다.</ref> [[수도]]는 [[런던]]. [[입헌군주제]] 국가로 현 국왕은 [[찰스 3세]]. [[언어]]는 [[영어]]. 요즘은 잘 안 그러지만 몇몇 사람은 잉글랜드나 영국이나 같은 걸로 생각한다. 영국의 다른 지방(스코틀랜드, 웨일즈, 콘월, 북아일랜드 등등) 사람들에게 이런 이야기를 하는 건 실례다.
[[유라시아]] 대륙 서쪽에 위치한 '''섬나라'''. 정식 국호는 '''대브리튼과 북아일랜드 연합왕국'''(United Kingdom of Great Britain and Northern Ireland). 줄여서 '''연합왕국'''(United Kingdom, '''UK''')이라고도 부른다. 현대 [[대한민국]]에서 사용하는 영국이란 명칭은 [[잉글랜드]]를 [[한자 문화권]]에서 음차한 '''영길리'''(英吉利)에서 유래한 것이다.<ref>정확히 말하자면 [[1614년]]에 이수광(李睟光)이란 사람이 쓴 《지봉유설(芝峰類說)》이란 책에서 처음으로 영길리국(英吉利國)이란 말이 나왔다. 이후 [[1707년]]에 [[잉글랜드]]와 [[스코틀랜드]]가 합쳐져서 그레이트브리튼 왕국이 되었지만, 당시 이 사정을 알 수 없던 [[조선]]에서는 계속 영국으로 쓰면서 지금까지 이어진 것이다. 물론 현재는 브리튼 전체를 영국이라고 한다.</ref> [[수도]]는 [[런던]]. [[입헌군주제]] 국가로 현 국왕은 [[엘리자베스 2세]]. [[언어]]는 [[영어]]. 요즘은 잘 안 그러지만 몇몇 사람은 잉글랜드나 영국이나 같은 걸로 생각한다. 영국의 다른 지방(스코틀랜드, 웨일즈, 콘월, 북아일랜드 등등) 사람들에게 이런 이야기를 하는 건 실례다.


영국은 [[잉글랜드]], [[스코틀랜드]], [[웨일스]], [[북아일랜드]]로 이루어진 [[연방국가]]처럼 보이지만 영국 국회가 자유자재로 양도한 권력을 회수할 수 있고 국왕도 폐위시킬 수 있기에 단일국가로 여겨진다.
영국은 [[잉글랜드]], [[스코틀랜드]], [[웨일스]], [[북아일랜드]]로 이루어진 [[연방국가]]처럼 보이지만 영국 국회가 자유자재로 양도한 권력을 회수할 수 있기에 단일국가로 여겨진다.


== 지역 ==
== 지역 ==
{{YouTube|rNu8XDBSn10|||center}}
{{YouTube|rNu8XDBSn10|||center}}
<br />
<br />
영국 현지인들도 헷갈리는 부분이라 영상 하나를 첨부했다. 우선 연합왕국(UK)이나 [[잉글랜드]]나 한국어로는 다 같이 '''영국'''이라고 부르지만, 정작 영국에서는 잉글랜드, [[스코틀랜드]], [[웨일스]], [[북아일랜드]] 중에서 어느 지역까지 포함하느냐에 따라 명칭이 달라진다. 어떻게 달라지냐면…
영국 현지인들도 헷갈리는 부분이라 영상 하나를 첨부했다. 우선 연합왕국(UK)이나 [[잉글랜드]]나 한국어로는 다 같이 '''영국'''이라고 부르지만, 정작 영국에서는 잉글랜드, [[스코틀랜드]], [[웨일스]], [[북아일랜드]] 중에서 어느 지역까지 포함하느냐에 따라 명칭이 달라진다. 어떻게 달라지냐면...
* '''잉글랜드'''(England) - 영국 중 잉글랜드만을 부르는 말. 그래서 잉글랜드 사람을 '잉글리시(English)'라고 불러도 사실 별 상관이 없는 것이다. [[유튜버]] [https://www.youtube.com/channel/UCg-p3lQIqmhh7gHpyaOmOiQ 영국남자]도 "영국남자"와 함께 "'''Korean Englishman'''"이란 이름도 같이 쓰는 것이 예시이다.
* '''잉글랜드'''(England) - 영국 중 잉글랜드만을 부르는 말. 그래서 잉글랜드 사람을 '잉글리시(English)'라고 불러도 사실 별 상관이 없는 것이다. [[유튜버]] [https://www.youtube.com/channel/UCg-p3lQIqmhh7gHpyaOmOiQ 영국남자]도 "영국남자"와 함께 "'''Korean Englishman'''"이란 이름도 같이 쓰는 것이 예시이다.
* '''그레이트 브리튼''' (Great Britain) - 영국 중 잉글랜드, 스코틀랜드, 웨일스를 묶어서 부르는 말로, 그러니까 영국 지도의 '''오른쪽 섬'''만을 부르는 말이다. 정치적인 것과 상관없이 섬 하나만을 부르는 말이니 상당히 지리적인 호칭인 셈이다.
* '''그레이트 브리튼''' (Great Britain) - 영국 중 잉글랜드, 스코틀랜드, 웨일스를 묶어서 부르는 말로, 그러니까 영국 지도의 '''오른쪽 섬'''만을 부르는 말이다. 정치적인 것과 상관없이 섬 하나만을 부르는 말이니 상당히 지리적인 호칭인 셈이다.
* '''연합왕국''' (United Kingdom) - 영국 중 잉글랜드, 스코틀랜드, 웨일스, 북아일랜드를 묶어서 부르는 말. 잉글랜드와 함께 대중적으로 많이 쓰이는 호칭이고, 한국어의 '''영국'''도 연합 왕국을 지칭하는 말이다.<ref>다만 어원은 잉글랜드의 음차인 영길리(英吉利)이기 때문에, ‘영국’은 엄밀히 말해선 잉글랜드를 가리키는 말이다. 비슷한 예시로 네덜란드의 반쪽에 해당하는 홀란트(Holland)의 음차인 화란(和蘭, 오란다)이 결국 네덜란드를 가리키게 된 것과도 같다.</ref>
* '''연합왕국''' (United Kingdom) - 영국 중 잉글랜드, 스코틀랜드, 웨일스, 북아일랜드를 묶어서 부르는 말. 잉글랜드와 함께 대중적으로 많이 쓰이는 호칭이고, 한국어의 '''영국'''도 연합 왕국을 지칭하는 말이다.<ref>다만 어원은 잉글랜드의 음차인 영길리(英吉利)이기 때문에, '영국'은 엄밀히 말해선 잉글랜드를 가리키는 말이다. 비슷한 예시로 네덜란드의 반쪽에 해당하는 홀란트(Holland)의 음차인 화란(和蘭, 오란다)이 결국 네덜란드를 가리키게 된 것과도 같다.</ref>
* '''브리튼 제도''' (British Isles) - 영국과 아일랜드를 묶어서 부르는 말. 둘다 유럽 대륙에서 떨어져 있는 섬나라이고 섬이 또 엄청나게 크기 때문에 이 둘을 묶어서 부르는 호칭. 하지만 브리튼(Britain)이란 말 자체가 영국 소유라는 뜻이기 때문에 아일랜드에서는 받아들이지 않는 호칭으로, 줄여서 아일즈(Isles)라고도 부른다.
* '''브리튼 제도''' (British Isles) - 영국과 아일랜드를 묶어서 부르는 말. 둘다 유럽 대륙에서 떨어져 있는 섬나라이고 섬이 또 엄청나게 크기 때문에 이 둘을 묶어서 부르는 호칭. 하지만 브리튼(Britain)이란 말 자체가 영국 소유라는 뜻이기 때문에 아일랜드에서는 받아들이지 않는 호칭으로, 줄여서 아일즈(Isles)라고도 부른다.


72번째 줄: 72번째 줄:


===중세와 르네상스===
===중세와 르네상스===
그레이트브리튼 섬이 앵글로색슨족의 영토가 된 이후 이 영토를 되찾으려는 시도는 거의 없었다. 물론 [[565년]]에 최전성기에 달한 비잔티움 제국은 옛 로마 영토를 되찾으려는 시도를 여러번 하게 되지만, 당시 거의 국가의 모습을 갖추고 있었던 [[프랑크족]] 집단에 막혀 영국은커녕 지금의 프랑스 영토도 되찾지 못하고 돌아와야 됐다. 이후 그레이트브리튼 섬은 앵글로족과 색슨족이 계속 지배하게 되는데, 색슨족은 [[843년]]에 [[픽트인]]과 연합하여 [[스코틀랜드 왕국]]을 세운다. 곧이어 [[잉글랜드 왕국]]도 세워지는데, 초반에는 다른 국가들에 밀려 여러 국가의 식민지가 되어야 했다.
그레이트브리튼 섬이 앵글로색슨족의 영토가 된 이후 이 영토를 되찾으려는 시도는 거의 없었다. 물론 [[565년]]에 최전성기에 달한 비잔티움 제국은 옛 로마 영토를 되찾으려는 시도를 여러번 하게 되지만 당시 거의 국가의 모습을 갖추고 있었던 [[프랑크족]] 집단에 막혀 영국은커녕 지금의 프랑스 영토도 되찾지 못하고 돌아와야 됐다. 이후 그레이트브리튼 섬은 앵글로족과 색슨족이 계속 지배하게 되는데 색슨족은 [[843년]]에 [[픽트인]]과 연합하여 [[스코틀랜드 왕국]]을 세운다. 곧이어 [[잉글랜드 왕국]]도 세워지는데 초반에는 다른 국가들에 밀려 여러 국가의 식민지가 되어야 했다.


[[10세기]] 후반 들어 영국에는 [[바이킹족]]의 침입이 많이 일어났다. 특히 [[노르만족]]의 침입으로 인해 [[프랑스]] 문화가 영국에 전파되었으며 영국은 유럽 본토의 문물을 받아들여 힘을 키우게 된다.
[[10세기]] 후반 들어 영국에는 [[바이킹족]]의 침입이 많이 일어났다. 특히 [[노르만족]]의 침입으로 인해 [[프랑스]] 문화가 영국에 전파되었으며 영국은 유럽 본토의 문물을 받아들여 힘을 키우게 된다.


===그레이트 브리튼 왕국===
===그레이트 브리튼 왕국===
17세기말 스코틀랜드가 [[파나마]]에 [[식민지]] 개발을 하다가 준비를 부실하게 하고 [[스페인]]의 침략을 겪어 2년 만에 실패로 끝난다. 스코틀랜드는 GDP의 25-50%를 소모하고 재정 파탄 상태에 빠졌다. 스코틀랜드는 잉글랜드와 별개의 의회를 구성한 채로 스튜어트 왕조 아래의 [[동군연합]]국이었으나  [[1712년]] 그레이트브리튼 왕국으로 통합되어 의회를 합치고 영국의 일부가 된다. 초대 국왕은 [[앤 여왕]].
17세기말 스코틀랜드가 [[파나마]]에 식민지 개발을 하다가 준비를 부실하게 하고 [[스페인]]의 침략을 겪어 2년 만에 실패로 끝난다. 스코틀랜드는 GDP의 25-50%를 소모하고 재정 파탄 상태에 빠졌다. 스코틀랜드는 잉글랜드와 별개의 의회를 구성한 채로 스튜어트 왕조 아래의 [[동군연합]]국이었으나  [[1712년]] 그레이트브리튼 왕국으로 통합되어 의회를 합치고 영국의 일부가 된다. 초대 국왕은 [[앤 여왕]].


===[[제1차 세계대전]]과 [[제2차 세계대전]]===
===제1차 세계 대전과 제2차 세계 대전===
[[사라예보 사건]] 이후로 [[제1차 세계대전]]이 발발하였고, [[러시아]]와 동맹이었던 영국은 협상국 측에 서서 참전한다. 영국은 제1차 세계대전에서 승리했으나 전쟁으로 인한 혼란을 틈탄 [[아일랜드]]에서 독립전쟁을 벌여 독립한다. 대공황 이후 [[독일]]에서 팽창주의 정당인 나치당이 집권하였고 이웃 국가들을 점차 예속화하기 시작하였다. [[네빌 체임벌린]] 총리는 영국이 아직 전쟁준비가 되어 있지 않다고 여겼고<ref>대공황으로 경제가 박살난 이후 가까스로 숨을 돌리고 재무장을 추진한 게 얼마 되지 않은 시점이었다. 체임벌린이 집권한 다음 이를 더 가속시키기는 하였으나 재무장관시절 대대적인 군축을 시행한 게 본인이었으니 전쟁에 대한 대비에 대해서 긍정적으로 볼 수 없었을 것이다.</ref> 제1차 세계대전을 반복하는 것을 막기 위해 [[아돌프 히틀러]]에 유화 정책을 폈었으나 실패하였고 결국 독일이 [[폴란드]]를 침공하자 영국과 [[프랑스]]가 독일에 전쟁을 선포하면서 제2차 [[세계대전]]이 발발한다.
사라예보 사건 이후로 제1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였고, 러시아와 동맹이었던 영국은 협상국 측에 서서 참전한다. 영국은 제1차 세계대전에서 승리했으나 전쟁으로 인한 혼란을 틈탄 아일랜드에서 독립전쟁을 벌여 독립한다. 대공황 이후 독일에서 팽창주의 정당인 나치당이 집권하였고 이웃 국가들을 점차 예속화하기 시작하였다. [[네빌 체임벌린]] 총리는 영국이 아직 전쟁준비가 되어 있지 않다고 여겼고<ref>대공황으로 경제가 박살난 이후 가까스로 숨을 돌리고 재무장을 추진한게 얼마되지 않은 시점이었다. 체임벌린이 집권한 다음 이를 더 가속시키기는 하였으나 재무장관시절 대대적인 군축을 시행한게 본인이었으니 전쟁에 대한 대비에 대해서 긍정적으로 볼 수 없었을 것이다.</ref> 제1차 세계대전을 반복하는 것을 막기 위해 히틀러에 유화 정책을 폈었으나 실패하였고 결국 독일이 폴란드를 침공하자 영국과 프랑스가 독일에 전쟁을 선포하면서 제2차 세계대전이 발발한다.


프랑스가 1940년에 함락당하고 [[독일]]은 영국에 공습을 펼쳤으나 점령에는 실패하였다. 한편 영국과 [[미국]]은 [[중일전쟁]]을 벌이는 [[일본]]에 제재를 가하였는데, 일본은 이에 반발해 1941년에 [[진주만 공습|진주만을 습격]]하고 이후 [[말레이시아]], [[미얀마]], [[홍콩]] 등의 영국 식민지들을 점령하고는 영국 식민지인 [[인도]]와 [[영연방]] 국가인 [[호주]]를 침략하려 시도했다. 독일은 [[독소전쟁|소련과의 전쟁]]에서 점차 패퇴하기 시작했고 이를 틈탄 영국은 [[노르망디 상륙작전]]을 펼쳐 프랑스를 해방하고 독일 본토를 공격하기 시작했다. 일본도 [[태평양전쟁]]에서 연합국의 공격에 점진적으로 패퇴하기 시작했다. 결국 독일은 1945년 5월에 항복하고, 일본은 [[8.15 광복|1945년 8월 15일에 항복]]하면서 제2차 세계대전은 종전된다.
프랑스가 1940년에 함락당하고 독일은 영국에 공습을 펼쳤으나 점령에는 실패하였다. 한편 영국과 미국은 중일전쟁을 벌이는 일본에 제재를 가하였는데, 일본은 이에 반발해 1941년에 진주만을 습격하고 이후 말레이시아, 미얀마, 홍콩 등의 영국 식민지들을 점령하고는 영국 식민지인 인도와 영연방 국가인 호주를 침략하려 시도했다. 독일은 소련과의 전쟁에서 점차 패퇴하기 시작했고 이를 틈탄 영국은 노르망디 작전을 펼쳐 프랑스를 해방하고 독일 본토를 공격하기 시작했다. 일본도 태평양 전쟁에서 연합국의 공격에 점진적으로 패퇴하기 시작했다. 결국 독일은 1945년 5월에 항복하고, 일본은 1945년 8월에 항복하면서 제2차 세계대전은 종전된다.


영국은 [[제2차 세계대전]] 도중 수많은 도시들이 폭격당했으며, 막대한 전비를 지출하고 미국에게 많은 빚을 지는 바람에 [[미국]]의 영향력 아래로 들어가게 되었다. 또한 많은 [[식민지]]들이 독립해 나가게 되는데, 당시 정권을 잡고 있었던 노동당의 [[클레멘트 애틀리]], 이후 정권을 잡게 되는 보수당의 [[헤럴드 맥밀런]] 등의 수상들이 식민지의 독립이 거스를 수 없는 시대의 방향이라고 여겨서 비교적 온건하게 독립을 승인한 덕분에, 많은 국가들이 독립 이후에도 영연방에 잔류하는 등 오랜 식민통치에 비하면 나쁘지 않은 관계를 유지하는 경우가 많다. 물론 지역이나 국가에 따라서 가혹하게 탄압한다거나 [[가나]]에서 독립을 요구하는 시위대를 학살하다가 마지못해서 독립을 인정한 사례도 있으므로, 어디까지나 다른 식민제국에 비하면 온건하게 마무리했다 정도로 받아들여야 한다. 다만 주로 비교되는 대상인 [[프랑스]]가 [[인도차이나 전쟁]], [[알제리 전쟁]] 등으로 추태를 보이고 쫒겨나다시피 독립시키다보니 상대적으로 온건하게 보이는 것이다. 네덜란드도 인도네시아를 식민지로 유지하려다가 [[인도네시아 독립전쟁]] 끝에 망신을 당하고 독립을 승인해야 했었다.
영국은 제2차 세계대전 도중 수많은 도시들이 폭격당했으며 막대한 전비를 지출하고 미국에게 많은 빚을 지는 바람에 미국의 영향력 아래로 들어가게 되었다. 또한 많은 식민지들이 독립해 나가게 되는데 당시 정권을 잡고 있었던 노동당의 [[클레멘트 애틀리]], 이후 정권을 잡게되는 보수당의 [[헤럴드 맥밀런]] 등의 수상들이 식민지의 독립이 거스를 수 없는 시대의 방향이라고 여겨서 비교적 온건하게 독립을 승인한 덕분에 많은 국가들이 독립 이후에도 영연방에 잔류하는 등 오랜 식민통치에 비하면 나쁘지 않은 관계를 유지하는 경우가 많다.<ref>물론 지역이나 국가에 따라서 가혹하게 탄압한다거나 가나에서 독립을 요구하는 시위대를 학살하다가 마지못해서 독립을 인정한 사례도 있으므로 어디까지나 다른 식민제국에 비하면 온건하게 마무리 했다 정도로 받아들여야 한다. 다만 주로 비교되는 대상인 프랑스가 [[인도차이나 전쟁]], [[알제리 전쟁]] 등으로 추태를 보이고 쫒겨나다시피 독립시키다보니 상대적으로 온건하게 보이는 것이다. 네덜란드도 인도네시아를 식민지로 유지하려다가 [[인도네시아 독립전쟁]] 끝에 망신을 당하고 독립을 승인해야 했었다. </ref>


===현대 영국===
===현대 영국===
[[1982년]]에는 [[아르헨티나]]와 [[포클랜드 전쟁]]을 치른다. [[1982년]] [[4월 2일]] 아르헨티나는 영국령 [[포클랜드 제도]]를 자기 영토라고 주장하며 침략하였다. 아르헨티나 군사정권은 영국이 군사적으로 반응할거라고 예상을 안 했지만 의외로 [[마거릿 대처]] 총리는 대대적으로 반응해서 전쟁에서 2개월 안에 승리를 이룬다.
[[1982년]]에는 [[아르헨티나]]와 [[포클랜드 전쟁]]을 치른다. [[1982년]] [[4월 2일]] 아르헨티나는 영국령 [[포클랜드 제도]]를 자기 영토라고 주장하며 침략하였다. 아르헨티나 군사정권은 영국이 군사적으로 반응할거라고 예상을 안 했지만 의외로 [[마거릿 대처]] 총리는 대대적으로 반응해서 전쟁에서 2개월 안에 승리를 이룬다.


[[1998년]] [[북아일랜드]]에 있는 민족주의 세력들, 통합론주의 세력들, 아일랜드 공화국과 벨파스트 협정으로 30년간 이루어진 북아일랜드 내전을 마무리 짓는다.
[[1998년]] 북아일랜드에 있는 민족주의 세력들, 통합론주의 세력들, 아일랜드 공화국과 벨파스트 협정으로 30년간 이루어진 북아일랜드 내전을 마무리 짓는다.


[[2014년]] 분리주의 운동이 고조된 [[스코틀랜드]]는 독립 주민투표를 실행한다. 당시 영국 3대 정당 보수당, 노동당, 자유민주당 모두 반대했으며, 선거 이전까지의 여론조사 결과는 독립과 현상유지가 박빙이었으나 투표 결과는 55%의 스코틀랜드 주민들이 독립 반대를 해서 영국의 일부로 남아 있게 되었다. 하지만 이걸 계기로 독립 켐페인을 열심히 하며 민심을 사로잡은 스코틀랜드 국민당이 [[2015년]] 총선에 영국국회의 스코틀랜드의 59석중 56석을 차지하게 된다.
[[2014년]] 분리주의 운동이 고조된 스코틀랜드는 독립 주민투표를 실행한다. 당시 영국 3대정당 보수당, 노동당, 자유민주당 모두 반대했으며, 선거 이전까지의 여론조사 결과는 독립과 현상유지가 박빙이었으나 투표 결과는 55%의 스코틀랜드 주민들이 독립 반대를 해서 영국의 일부로 남아 있게 되었다. 하지만 이걸 계기로 독립 켐페인을 열심히 하며 민심을 사로잡은 스코틀랜드 국민당이 [[2015년]] 총선에 영국국회의 스코틀랜드의 59석중 56석을 차지하게 된다.
==정치==
==정치==
대표적인 의원내각제 나라이다. 또한 양원제 국가인데 하원 서민원과 상원 귀족원이 있다.
대표적인 의원내각제 나라이다. 또한 양원제 국가인데 하원 서민원과 상원 귀족원이 있다.
참고로 ‘mi6+007'이라는 짐승은 木위키에서 “국왕은 법 위에 군림하고 있어 사법적 제재를 받지 않는다. 다시 말해 살인을 포함한 어떠한 범죄를 저질러도 처벌을 받지 않는 완전 면책 특권을 지니고 있다.”라면서 극단적인 단정조와 설교조 및 전칭부정을 사용했다. 영국 왕이 조두순이나 유영철 혹은 김정은과 같이 어떠한 인간 이하의 더러운 짓을 해도 합법적으로 처단 못한다고 확신에 찬 말투로 木위키에 지껄였다.
동시에 영국 왕실이 폭정이나 만행으로 민심을 완전히 잃어 영국민 대다수가 왕정 폐지를 원해도 “공화정 전환이 가능할 수도 있다”라며 엄청나게 자신없고 겸손하고 조신하고 확신 없고 마지못해 어느 정도 인정해주겠다는, 간신히 될까 말까 하지 현실적으로 좌초될 가능성이 무지하게 큰 것처럼 각주에 뿡뿡뿌웅 뿌지직 뿌지직 파지직 뿌직 더럽게 싸 놓고서
“합법적인 개헌을 통한 공화정화나 시민저항권에 대한 문제는 통해 영국 국왕 문서에 그쪽 의견을 충실히 반영해줬는데도 계속 몰래 적는 건 이유를 모르겠음. 에섹스 대학의 공법교수나 하원이 발행한 글에서도 왕은 관습법에 구속되지 않는다고 명시하고 있는데 법리를 논하는데 정변이 섞인 역사적 사례말고 진지하게 토론을 열던가 하길 바람”
이라면서 “그쪽 의견을 충실히 반영해줬다”라고 씨부린다. 영국 왕이 국민의 생명권, 재산권, 자유권을 침해해도 적법한 절차에 따라 해결할 수 있다라고 어디에 명시되어 있습니까? 라고 명령조, 시비조, 공격조로 오만하게 짖는다. 왕정 폐지 가능성에 대해서는 “폭정과 만행으로 민심을 완전히 잃으면 공화정 전환이 가능할 수도 있다”라며 영국민 99.9%가 공화화를 원한다 해도 국왕대권의 막강함과 반역중죄법을 감안할 때 벽에 부딪힐 거린 뉘앙스, 불가능할 가능성이 크다는 뉘앙스를 아무렇지도 않게 흘렸다.
똥인지 된장인지 구분도 못하는 루저 녀석.
* 서민원(The Commons Parliament)
* 서민원(The Commons Parliament)
*: 지방 봉건귀족들이 시민들과 연합하여 무리를 형성하고, 국왕의 자문·견제기구로 기능했던 것이 굳어져 현재의 서민원으로 이어진다. 그래서 상원이 하원을 견제할 수 있는 다른 양원제 국가와 달리 영국은 서민원 혼자서 다 해먹을 수 있다. 국왕은 의회 해산권 발동을 제외하고는 서민원에 들어오지 못하는데, 의회가 국왕으로부터 독립되어 있다는 상징적인 관습이다. PMQ(Prime Minister Question)이 있는데, 쉽게 말하면 총리랑 제1야당 당수랑 토론하는 것이다.
*: 지방 봉건귀족들이 시민들과 연합하여 무리를 형성하고, 국왕의 자문·견제기구로 기능했던 것이 굳어져 현재의 서민원으로 이어진다. 그래서 상원이 하원을 견제할 수 있는 다른 양원제 국가와 달리 영국은 서민원 혼자서 다 해먹을 수 있다. 국왕은 의회 해산권 발동을 제외하고는 서민원에 들어오지 못하는 데, 의회가 국왕으로부터 독립되어 있다는 상징적인 룰이다. PMQ(Prime Minister Question)이 있는데 쉽게 말하면 총리랑 제1야당 당수랑 토론하는 것이다.
* 귀족원(The Lords Parliament)
* 귀족원(The Lords Parliament)
*: 중앙 귀족들이 모여서 논의하는 자리가 귀족원이다. 처음에는 서민원을 견제하거나 삼심제의 대법원 역할을 하기도 했으나 법안 거부권이 삭제되고, 대법원도 별도로 설립되면서 입헌군주정의 맹장 비슷한 기관이 되었다. 서민원에는 국왕이 들어가지 못하는 관계로 의회 개회식을 귀족원에서 한다. 귀족원에 내정되면 총리가 될 수 없다.
*: 중앙 귀족들이 모여서 논의하는 자리가 귀족원이다. 처음에는 서민원을 견제하거나 삼심제의 대법원 역할을 하기도 했으나 법안 거부권이 삭제되고, 대법원도 별도로 설립되면서 입헌군주정의 맹장 비슷한 기관이 되었다. 서민원에는 국왕이 들어가지 못하는 관계로 의회 개회식을 귀족원에서 한다. 귀족원에 내정되면 총리가 될 수 없다.
101번째 줄: 112번째 줄:
대표적인 정당으로는 보수당과 노동당이 있다.
대표적인 정당으로는 보수당과 노동당이 있다.
* [[보수당 (영국)|보수당]](conservatives)
* [[보수당 (영국)|보수당]](conservatives)
*: 과거 ‘토리당’을 전신으로 하기 때문에 Tories라고 부르기도 한다. 총리로 [[윈스턴 처칠]], [[마가렛 대처]], [[데이비드 캐머런]], [[테레사 메이]], [[보리스 존슨]], 현 총리인 [[리시 수낵]] 등을 배출한 바 있다.
*: 과거 "토리당"을 전신으로 하기 때문에 Tories라고 부르기도 한다. 총리로 윈스턴 처칠, 마가렛 대처, 데이비드 캐머런, 테레사 메이, 현 총리인 보리스 존슨을 배출한 바 있다.
* [[노동당 (영국)|노동당]](labour)
* [[노동당 (영국)|노동당]](labour)
*: 총리로 [[클레멘트 애틀리]], [[토니 블레어]] 등을 배출한 바 있다.
*: 총리로 클레멘트 애틀리, 토니 블레어를 배출한 바 있다.


==지리==
==지리==
118번째 줄: 129번째 줄:
=== 요리 ===
=== 요리 ===
{{본문|영국 요리}}
{{본문|영국 요리}}
[[영국 요리]]는 세계에서 맛없기로 유명하다(…)
[[영국 요리]]는 세계에서 맛없기로 유명하다(...)
 
=== 스포츠 ===
[[축구]]가 탄생하고 발달한 곳이다. 축구에서는 [[잉글랜드]], [[스코틀랜드]], [[웨일스]], [[북아일랜드]]가 따로 출전하며, 상당수의 속령도 국가대표팀이 있다.
 
[[크리켓]]에서는 잉글랜드와 웨일스가 한 협회를 이루고, 스코틀랜드는 따로 출전하며, 북아일랜드는 아일랜드와 한 팀을 이룬다.
 
[[럭비 유니언]]에서는 잉글랜드, 스코틀랜드, 웨일스는 모두 별개의 협회를 구성하며, 북아일랜드는 아일랜드와 한 팀을 이룬다.
 
[[럭비 리그]]에서는 한때 [[영국 럭비 리그 국가대표팀]]이라는 단일 팀이 [[럭비 리그 월드컵]]에 출전하였고, 첫 대회를 포함하여 3번 우승하였으나, 지금은 잉글랜드, 스코틀랜드, 웨일스는 별개의 협회를 구성하며, 북아일랜드는 [[아일랜드]]와 한 팀을 이룬다.
 
[[필드하키]]에서는 상황이 복잡하다. 영국은 [[올림픽]]에서 단일 팀으로 출전한다. [[영국 남자 필드하키 국가대표팀]]은 [[1920 안트베르펀 올림픽]]과 [[1988 서울 올림픽]]에서 금메달을 획득하였다. [[영국 여자 필드하키 국가대표팀]]은 2016 리우 올림픽에서 금메달을 획득하였다. [[남자 FIH 하키 월드컵]]에서는 잉글랜드, 스코틀랜드, 웨일스가 따로 출전하며, 북아일랜드는 아일랜드와 한 팀을 이룬다.


==외교==
==외교==
137번째 줄: 137번째 줄:
{{유럽의 나라}}
{{유럽의 나라}}
{{G20}}
{{G20}}
{{군주국}}
{{NATO}}
{{NATO}}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분류:영국| ]]
[[분류:영국| ]]
[[분류:유럽의 나라]]
[[분류:유럽의 나라]]
[[분류:영연방]]
{{리브레 맵스 마커|54.00776876193478|-2.63671875|4|영국}}
{{리브레 맵스 마커|54.00776876193478|-2.63671875|4|영국}}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이 문서는 다음의 숨은 분류 2개에 속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