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표/인터넷 사건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집단연구}}
== [[1980년대]] : PC통신의 개막 ==
== [[1980년대]] : PC통신의 개막 ==
* [[1986년]] [[9월]] : [[데이콤]]에서 [[천리안 (포털 사이트)|천리안]] 서비스를 시작하다.
* [[1986년]] [[9월]] [[데이콤]]에서 [[천리안]] 서비스를 시작하다.
* [[1986년]] [[11월]] : [[한국경제신문]]에서 [[하이텔]]의 전신인 [[한경KETEL]] 서비스를 시작하다.
* [[1986년]] [[11월]] [[한국경제신문]]에서 [[하이텔]]의 전신인 [[한경KETEL]] 서비스를 시작하다.
 
== [[1990년대]] : PC통신에서 인터넷으로의 전환 ==
== [[1990년대]] : PC통신에서 인터넷으로의 전환 ==
* [[1991년]] [[12월]] : 한국경제신문과 [[한국통신]]의 합작법인 한국PC통신이 설립되어 KETEL이 [[하이텔]]이 되다.
* [[1991년]] [[12월]] 한국경제신문과 [[한국통신]]의 합작법인 한국PC통신이 설립되어 KETEL이 [[하이텔]]이 되다.
* [[1994년]] [[10월]] : [[나우콤]]에서 [[나우누리]] 서비스를 시작하다.
* [[1994년]] [[10월]] [[나우콤]]에서 [[나우누리]] 서비스를 시작하다.
* [[1996년]] [[4월]] : [[삼성SDS]]에서 [[유니텔]] 서비스를 시작하다.
* [[1996년]] [[4월]] [[삼성SDS]]에서 [[유니텔]] 서비스를 시작하다.
* [[1997년]] [[5월]] : [[이메일|웹메일]] 서비스 [[다음|한메일넷]]이 문을 열다.<ref name="daumhistory">[http://www.daumkakao.com/about/history 연혁], 다음카카오</ref>
* [[1999년]] 동호회 포털 사이트 [[프리챌]]이 서비스를 시작하다.
* [[1997년]] [[9월 1일]] : [[야후! 코리아]]가 문을 열다.<ref>[[위키백과:야후! 코리아]], 한국어 위키백과</ref>
* [[1999년]] [[4월 1일]] [[하나로통신]]이 국내 최초 [[ADSL]] 상용서비스를 시작하다.
* [[1998년]] [[9월 1일]] : [[MMORPG]] 《[[리니지]]》가 상용화되다.
* [[1999년]] [[4월 26일]] [[CIH 바이러스]] 대란이 터지다. 국내 PC 유저들의 보안 인식 수준이 대폭 상향되는 계기가 되다.
* [[1998년]] [[9월 27일]] : 검색 엔진 사이트 [[구글]]이 개설되다.
=== 1999년 ===
* [[1999년]] [[4월 1일]] : [[하나로통신]]이 국내 최초 [[ADSL]] 상용서비스를 시작하다.
* [[1999년]] [[4월 26일]] : [[CIH 바이러스]] 대란이 터지다. 국내 PC 유저들의 보안 인식 수준이 대폭 상향되는 계기가 되다.
* [[1999년]] [[5월]] : 온라인 커뮤니티 서비스 [[다음 카페]]가 문을 열다.<ref name="daumhistory" />
* [[1999년]] [[6월]] : [[네이버]]가 문을 열다.<ref>[http://www.navercorp.com/ko/company/companyInfo.nhn NAVER소개], NAVER</ref>
* [[1999년]] [[7월 22일]] : [[MSN 메신저]]가 서비스를 시작하다.<ref name="msn">[[위키백과:윈도 라이브 메신저]]</ref>
* [[1999년]] [[9월 1일]] : [[싸이월드]]가 문을 열다.
* [[1999년]] [[9월 8일]] : [[한미르]]가 문을 열다.<ref>[[위키백과:한미르]], 한국어 위키백과</ref>
* [[1999년]] [[10월 6일]] : [[디시인사이드]]가 문을 열다.
* [[1999년]] [[11월]] : 검색 사이트 [[엠파스]]가 문을 열다.<ref name="empas">[[위키백과:엠파스]]</ref>
* [[1999년]] : 동호회 포털 사이트 [[프리챌]]이 서비스를 시작하다.
* [[1999년]] : [[오늘의유머]]가 메일링 서비스로 시작하다.
* [[1999년]] : 연말에 [[게시판]] 시스템 [[제로보드]]가 공개되다.


== [[2000년대]] : '인터넷 시대'의 시작 ==
== [[2000년대]] : '인터넷 시대'의 시작 ==
[[2000년]]대부터는 [[대한민국]]에서 [[VT 통신]]이 사양세로 접어들고 정보통신망의 기반이 [[인터넷]]으로 이동했다. 나우누리·천리안·하이텔 등의 기존 VT 통신 서비스도 인터넷으로 그 터전을 옮기며 새 시대의 적응을 꾀했다.
=== [[2000년]] ===
* [[1월 1일]] : [[2000년 문제]](밀레니엄 버그)의 우려가 예측되었으나 별다른 이상 없이 무사히 새해를 맞이하다.
* [[1월 12일]] : [[루리웹]]이 문을 열다.<ref name="ruliweb">[[위키백과:루리웹]], 한국어 위키백과, 2015.06.04. 확인</ref>
* [[1월]] : [[다음]]이 검색 서비스를 시작하다.<ref name="daumhistory" />
* [[11월 29일]] : [[SLR 클럽]]이 문을 열다.
* [[플래시 르네상스 시대]]가 시작되다.
=== [[2001년]] ===
* [[1월 15일]] : [[위키백과]]가 문을 열다.
* [[5월 20일]] : 일본어 위키백과가 문을 열다.
* ? : [[Pgr21]]이 문을 열다.
===[[2002년]]===
===[[2002년]]===
*[[1월 1일]] : 소니 PDA 동호회 [[클리앙]]이 개인 사이트로 독립하다.
*[[1월 1일]] 소니 PDA 동호회 [[클리앙]]이 개인 사이트로 독립하다.
*[[7월 5일]] : [[디시인사이드]]에서 병욱대첩이 발발하다.
*[[10월 7일]] 인터넷 커뮤니티 사이트인 [[프리챌]]이 천천천 캠페인 공지를 올렸다. 요지는 전격적인 커뮤니티 서비스의 유료화로 만일 유료화를 하지 않는다면 커뮤니티 운영, 개설이 불가능해지며, 기존의 자료는 열람도 불가능하게 바뀌는 것이었다. 이 여파로 프리챌의 커뮤니티를 운영하던 사람들 중 일부는 해당 커뮤니티의 내용을 프로그램을 써서 크롤링을 하기도 하였으며, 상당수의 유저들이 이 당시 단체로 이탈을 하게 된다. 이 이탈한 인구 중 상당수가 당시 커뮤니티 기능의 무료를 선언한 [[싸이월드]]로 이동을 하게 되면서 이듬해인 [[2003년]]에 싸이월드의 [[미니홈피]] 열풍이 불게 된다.
*[[10월 7일]] : 포털 사이트 [[프리챌]]이 천천천 캠페인 공지를 올리다. 요지는 전격적인 커뮤니티 서비스의 유료화로 만일 유료화를 하지 않는다면 커뮤니티 운영, 개설이 불가능해지며, 기존의 자료는 열람도 불가능하게 바뀌는 것이었다. 이 여파로 프리챌의 커뮤니티를 운영하던 사람들 중 일부는 해당 커뮤니티의 내용을 프로그램을 써서 크롤링을 하기도 하였으며, 상당수의 유저들이 이 당시 단체로 이탈을 하게 된다. 이 이탈한 인구 중 상당수가 당시 커뮤니티 기능의 무료를 선언한 [[싸이월드]]로 이동을 하게 되면서 이듬해인 [[2003년]]에 싸이월드의 [[미니홈피]] 열풍이 불게 된다.
* [[10월 12일]] : [[한국어 위키백과]]가 문을 열다.
* [[11월]] : <del>포털 파괴자</del> [[루리웹]]이 인티즌에 영입되다.<ref name="ruliweb" />


=== [[2003년]] ===
=== [[2003]]===
* [[1월 25일]] : 슬래머 웜 대란이 터지다. MS-SQL 서버의 취약점을 노린 공격으로 국내 ISP에서 운영하는 DNS 서버가 잇따라 무너짐에 따라 인터넷이 마비되다.
* [[1월 25일]] 슬래머 웜 대란이 터지다. MS-SQL 서버의 취약점을 노린 공격으로 국내 ISP에서 운영하는 DNS 서버가 잇따라 무너짐에 따라 인터넷이 마비되다.
* [[2월 26일]] : [[오픈소스]]형 [[게시판]] [[그누보드]]가 개발되다.
* [[4월 29일]] : [[MMORPG]] [[메이플스토리]]가 정식 오픈되다.
* [[6월 18일]] : [[구글]]이 광고 개제 서비스 [[애드센스]]를 런칭하다.<ref>[http://googlepress.blogspot.kr/2003/06/google-expands-advertising-monetization.html Google Expands Advertising Monetization Program for Websites], 구글 보도자료</ref>
* [[6월 23일]] : 가입형 블로그 호스팅 서비스 [[이글루스]]가 문을 열다.
* [[플래시 르네상스 시대]]가 끝으로 접어들다.
 
=== [[2004년]] ===
* [[2월 4일]] : [[페이스북]]이 문을 열다.
* [[5월]] : 100mbps급 속도의 광랜 인터넷이 상용화되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5&oid=029&aid=0000066521 KT, 일반주택에 100Mbps급 서비스], 디지털타임스, 2004.05.06</ref>
* [[6월 23일]] : [[네이버 웹툰]]이 서비스를 개시하다.
* [[7월 17일]] : [[하이텔]]과 [[한미르]]를 통합한 포털 사이트 [[파란]]이 문을 열다.<ref name="paran">[[위키백과:파란 (포털)]], 한국어 위키백과, 2015.06.04. 확인</ref>
* [[9월]] : 포털 파괴자 [[루리웹]]이 [[드림위즈]]로 넘어가다.<ref name="ruliweb" />
 
=== [[2005년]] ===
* [[5월 11일]] : [[MMORPG]] 《[[리니지 2]]》 회원들의 아이디와 비밀번호가 무방비로 노출되는 사건이 발생하다. 약 4~50만 명의 아이디와 비번이 유출된 것으로 추정되다.
* [[9월 13일]] : [[MMORPG]]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에서 [[오염된 피 사건]]이 발생하다.
* ? : [[오늘의유머]]가 [[드림위즈]]와 통합하다.
 
=== [[2006년]] ===
* [[2월 10일]] : 설치형 [[블로그]] [[태터툴즈]]가 공개되다.
* [[4월 20일]] : 중국의 온라인 백과사전 사이트 [[바이두 백과]]가 개설되다.
* [[6월]] : [[태터툴즈]] 기반으로 한 [[블로그]] 서비스 [[티스토리]]가 문을 열다.
* [[7월 15일]] : <s>[[트위터는 인생의 낭비|인생의 낭비]]</s>[[트위터]]가 문을 열다.
* [[10월 19일]] : '[[김본좌]]'라는 닉네임으로 불리던 포르노 동영상 업로더가 부산 모 경찰서에 구속되다.
* [[12월]] : [[루리웹]]이 [[엠파스]]로 이전하다.<ref name="ruliweb" />


=== [[2007년]] ===
=== [[2007년]] ===
* [[2월 25일]] : [[SNS]] [[미투데이]]가 문을 열다.
* [[3월 1일]] [[엔젤하이로]] 사이트(훗날의 [[NTX]]) 하위 서비스로 [[리그베다 위키|엔하위키]](훗날의 리그베다 위키)가 개설되다.
* [[3월 1일]] : [[엔젤하이로]] 사이트(훗날의 [[NTX]]) 하위 서비스로 [[리그베다 위키|엔하위키]](훗날의 리그베다 위키)가 개설되다.
* [[4월 14일]] : [[테터툴즈]]를 계승한 설치형 [[블로그]] 시스템 [[텍스트큐브]]가 공개되다.
* [[9월 10일]] : 일본의 그림 커뮤니티 사이트 [[pixiv]]가 개설되다.
 
=== [[2008년]] ===
* [[2월 18일]] : [[프리챌]]의 커뮤니티 기능이 폐쇄되다.
* [[2월 28일]] : [[제로보드]]를 계승한 [[게시판]] 프로그램 [[XpressEngine]]이 공개되다.
* [[2월]] : 한국 최대 전자상거래 [[옥션]]의 해킹사건이 발생하여 1860만 명의 개인정보가 유출되다. 이는 주민번호 대량유출사건의 시초격이다.
* [[5월 12일]] : [[niconico]] 산하의 온라인 백과사전 사이트 [[니코니코 대백과]]가 개설되다.
* [[5월 19일]] : [[네이버]]의 마이홈 서비스가 종료되다. 이로써 대한민국 인터넷 세상에서 한 때 [[홈페이지]] 열풍이 불었던 시대의 종언을 고하다.
 
=== [[2009년]] ===
* [[2월 28일]]
** [[엠파스]]가 문을 닫다.<ref name="empas" />
** [[루리웹]]이 [[네이트]]로 이전되다.<ref name="ruliweb" />
* [[5월 28일]] : 법원이 《[[리니지 2]]》의 아이디와 비밀번호 노출사건에 대해서 엔씨소프트에게 원고 44명에게 10만 원씩 배상하라는 판결을 내리다. 이는 아이디도 개인정보에 해당한다고 인정된 최초의 판례에 해당한다.
* [[7월 7일]] : [[청와대]], [[국방부]] 등 주요 인터넷 사이트가 [[DDos]] 공격을 받아 마비되다.
* 8월 : [[엔젤하이로 친목질 사건]]이 일어나다
* [[11월 28일]] : KT를 통해 [[아이폰 3GS]]가 출시되고 이는 모바일 인터넷 생태계의 신호탄이 되다.
* ? : [[오늘의유머]]가 [[파란]]으로 서버를 이전하다.
* ? : 모에명수가 [[일간베스트]]를 열었다가 문을 닫다.


== [[2010년대]] ==
== [[2010년대]] ==
=== [[2010년]] ===
=== [[2010년]] ===
* [[3월 1일]] : [[한국]]의 '테대연'과 [[일본]]의 [[2ch]] 간에 [[삼일절 사이버 전쟁]]이 일어나다.
* [[3월 1일]], [[한국]]의 '테대연'과 [[2ch]] 간에 [[삼일절 사이버 전쟁]]이 일어나다.
* [[3월]] : [[카카오톡]]이 문을 열다.<ref name="daumhistory" />
* [[4월]] : '쥐빠는SAD해'가 [[일간베스트]]를 열다.
 
=== [[2011년]] ===
* [[3월]]: 포털 파괴자 [[루리웹]]이 [[다음]]으로 이전되다.<ref name="ruliweb" />
* [[4월 12일]]: [[해킹]]에 의한 [[농협]] 전산망 마비 사태가 발생하다.
* [[5월 20일]]: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감독 [[알렉스 퍼거슨]]이 불후의 명언 "[[트위터는 인생의 낭비]]"를 남기다.<ref>[[위키인용집:알렉스 퍼거슨]]</ref>
* [[7월 26일]]: [[네이트 개인정보 유출 사건]]이 일어나다.
* [[8월 24일]]: [[MORPG]] 《[[던전 앤 파이터]]》에서 "[[키리의 약속과 믿음]]"이 9월 1일까지 판매 되었다.
 
=== [[2012년]] ===
* [[5월 25일]] : 온라인 메신저 [[버디버디]]가 서비스를 종료하다.<ref>[http://www.newstomato.com/readNews.aspx?no=242944 ‘버디버디’, 모바일 메신저 압박에 서비스 종료], 뉴스토마토, 2012.04.19</ref>
* [[7월 31일]] : 포털 사이트 [[파란]]이 문을 닫다.<ref name="paran" />
 
=== [[2013년]] ===
* [[1월 1일]] : 포털 사이트 [[야후! 코리아]]가 문을 닫다.
* [[1월 31일]] : 포털 사이트 [[나우누리]]가 서비스를 종료하다.<ref>[http://economy.hankooki.com/lpage/it/201301/e20130129100108117720.htm 나우누리 추억속으로… 31일 서비스 종료]. 서울경제. 2013.01.29.</ref>
* [[3월 15일]] : [[윈도 라이브 메신저]]가 서비스를 종료하다.<ref name="msn" />
* [[10월 18일]] : MMORPG 《리니지》의 최고급 아이템 '[[진명황의 집행검]]'을 [[강화]]하다가 실패한 게이머가 제기한 민사소송이 법원에서 기각되다.<ref>[http://www.thisisgame.com/webzine/news/nboard/4/?n=50311 강화로 ‘집행검’ 잃은 게이머, 복구 소송 패소]. [[디스이즈게임]. 2013.10.18.</ref>
 
=== [[2014년]] ===
* [[6월 30일]] : [[SNS]] [[미투데이]]가 문을 닫다.
* [[10월 1일]] : [[다음|다음커뮤니케이션]]과 [[카카오톡|카카오]]가 합병하여 [[다음카카오]]가 되다.<ref name="daumhistory" />
* [[10월 2일]] : [[카카오톡]] 사찰 논란이 시작되었다.<ref>[http://www.gobal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0400 검찰 ‘SNS 검열’ 회의에 카카오톡 간부 참석], 고발뉴스, 2014.10.02</ref> 이 여파로 [[텔래그램]] 열풍이 불었다.
* [[10월 20일]] : [[KT]]에서 [[기가 인터넷]] 서비스를 개시하다.
* [[12월 3일]] : [[삼성 AMOLED 리퍼 내부고발 조작사건]]이 터지다. 이 사건으로 [[파코즈]]는 신뢰성에 치명타를 입었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08&aid=0003411675&viewType=pc 삼성전자, 허위사실 유포 악플러에 '강경대응' 이유는?], 머니투데이, 2015.01.30</ref>


=== [[2015년]] ===
=== [[2015년]] ===
* [[3월 8일]] : [[리그베다 위키 사유화 사태]]의 서막이 오르다.
* [[3월 8일]], [[리그베다 위키 사유화 사태]]의 서막이 오르다.
* [[3월 25일]] : [[방송통신심의위원회]]가 [[레진코믹스]]를 몇 시간 동안 접속 차단하다.
* [[4월 17일]], [[리그베다 위키 4·17 무정부 사태]]를 기점으로 [[대위키시대]]가 시작되다.
* [[4월 16일]] : '''이곳 [[리브레 위키]]가 문을 열다.'''
* [[5월 6일]], [[여성시대]]의 해명글이 조작된 것으로 밝혀져 [[여시대전]]이 발발하다.
* [[4월 17일]] : [[리그베다 위키 4·17 무정부 사태]]를 기점으로 [[대위키시대]]가 시작되다.
* [[6월 3일]]
** [[나무위키]]가 문을 열다.
* [[5월 6일]] : [[여성시대]]의 해명글이 조작된 것으로 밝혀져 [[여시대전]]이 발발하다.
* [[6월 1일]] : [[디시위키]]가 문을 열다.
* [[6월 3일]] :
**[[다음]] 카페 '[[도탁스]]'에 상업화의 불이 붙다.
**[[다음]] 카페 '[[도탁스]]'에 상업화의 불이 붙다.
**[[질병관리본부]]가 자신들의 공식 [[트위터]] 계정을 비공개로 돌려버리다. 정부 공식 트위터 계정이 비공개로 전환된 사례로는 최초다.
**[[질병관리본부]]가 자신들의 공식 [[트위터]] 계정을 비공개로 돌려버린다. 정부 공식 트위터 계정이 비공개로 전환된 것은 최초다.
* [[6월 5일]] : [[질병관리본부]] 트위터 계정이 공개 계정으로 전환되다.<ref>[https://twitter.com/KoreaCDC/status/606726297914470400 질병관리본부가 SNS를 통해서도 질병 관련 정보를 지속적으로 공유 드려야 했는데, 트위터를 비공개한 점에 대해 국민 여러분께 사과드립니다. 앞으로 메르스 등 질병관련 정보들을 신속하게 제공하도록 하겠습니다.], {{트위터|KoreaCDC}}, 2015.06.05</ref>
* [[8월 6일]] : [[인터넷 커뮤니티]] [[메갈리안]]이 문을 열다.
* [[9월 11일]] : [[인터넷 커뮤니티]] [[뽐뿌]]의 모든 회원정보가 해킹당하다.
* [[9월 23일]] : 다음카카오의 사명이 임시 주주총회를 통해 '다음'을 뺀 '[[카카오]]'로 바뀌다.<ref>[http://www.hankookilbo.com/v/364c32263dd3f0df5095b65321f3cd79 16년만에 사라지는 '다음', 카카오로 새 판 짠다], 한국일보, 2015.09.01.</ref>
* [[10월 1일]]
** [[천리안 (포털 사이트)|천리안]]의 커뮤니티 기능이 종료되다.<ref>[http://www.clien.net/cs2/bbs/board.php?bo_table=news&wr_id=2012497&page=0&page=0 LG U+ 계열 mediaLog社의 천리안 일부 서비스 종료], 클리앙, 2015.07.02</ref> 이로써 [[PC통신]] 커뮤니티는 종말을 고하였다.
** [[싸이월드]]의 방명록·일촌평·쪽지 서비스가 종료되다.<ref>[http://www.fnnews.com/news/201509111627106450 추억의 싸이월드, 방명록·일촌평·쪽지 기능 종료], 파이낸셜뉴스, 2015.09.11.</ref>
*[[12월 23일]] : [[나무위키 운영진 IRC 친목질 사태]]가 발생하였다.
 
===[[2016년]]===
=== [[2017년]] ===
* 2월 24일
** 구글에서 [[SHA-1]]의 해시 충돌을 발표하다.
** [[CloudFlare]]의 HTML 파서 버그로 인한 취약점이 밝혀지다. (Cloudbleed)
* 8월 31일 : 014XY 서비스가 완전 종료되어 PC통신이 소멸하다.[http://inside.olleh.com/html/noticeView.asp?seq=11440&page=2&sub=00&code=HAA00]
=== [[2018년]] ===
{{빈 문단}}
=== [[2019년]] ===
{{빈 문단}}
 
== [[2020년대]] ==
=== [[2020년]] ===
 
=== [[2021년]] ===
 
=== [[2022년]] ===


{{각주}}
{{주석}}
{{리브레 시리즈}}
{{리브레 시리즈}}
[[분류:연표]]
[[분류:연표]]
[[분류:인터넷 사건|*]]
[[분류:리브레 시리즈]]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